댄스 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댄스 팝은 1980년대 초 팝과 댄스, 또는 포스트 디스코가 결합하여 등장한 음악 장르이다. 업템포, 단순한 구성, 클럽적인 성향, 프로듀서 주도, 귀에 쏙 들어오는 특징을 가지며, 팝의 쉬운 구조와 멜로디, 댄스의 강한 비트와 업템포를 결합했다. 1980년대 마돈나를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1990년대에는 스파이스 걸스, 브리트니 스피어스 등 많은 아티스트들이 댄스 팝을 주류 음악으로 만들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전자 음악의 영향을 받아 일렉트로, 신스팝과 융합되었으며, 2020년대에는 두아 리파, K팝 그룹, 테일러 스위프트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댄스 팝의 경계를 넓혀가고 있다. 댄스 팝은 클럽에서 춤을 추기 좋은 경쾌한 멜로디, 단순한 가사, 세련된 프로덕션 등을 특징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댄스 음악 장르 - 댄스 펑크
댄스 펑크는 1970년대 후반 펑크, 디스코, 뉴 웨이브의 영향을 받아 춤에 적합한 사운드를 실험한 음악 장르이며, 미니멀리즘, 건조한 사운드, 아이러니한 가사를 특징으로 한다. - 댄스 음악 장르 - 틴 팝
틴 팝은 10대 청취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장르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대중음악 하위 장르로, 따라 부르기 쉬운 후렴구와 10대들의 관심사를 반영한 가사, 그리고 틴 아이돌의 외모와 화려한 안무가 특징이다. - 미국의 음악 장르 - 내슈빌 사운드
내슈빌 사운드는 1950년대 후반 내슈빌 음반사에서 쳇 애킨스 등을 중심으로 개발된 컨트리 음악 스타일로, 혼키통크 요소와 팝 음악의 부드러움을 결합해 현악 세션, 백킹 보컬, 크루닝 창법을 활용했으며, 컨트리폴리탄으로 진화하여 컨트리 팝에 영향을 주었다. - 미국의 음악 장르 - 스윙 음악
스윙 음악은 192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초 미국에서 유행한 춤곡이자 재즈의 한 형태로, 빅 밴드 앙상블 연주와 강력한 리듬 섹션이 특징이며, 대공황 시대 대중의 위안이 되었으나 1940년대 쇠퇴 후에도 여러 장르에 영향을 주며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 팝 음악 장르 - 내슈빌 사운드
내슈빌 사운드는 1950년대 후반 내슈빌 음반사에서 쳇 애킨스 등을 중심으로 개발된 컨트리 음악 스타일로, 혼키통크 요소와 팝 음악의 부드러움을 결합해 현악 세션, 백킹 보컬, 크루닝 창법을 활용했으며, 컨트리폴리탄으로 진화하여 컨트리 팝에 영향을 주었다. - 팝 음악 장르 - 어덜트 컨템포러리
어덜트 컨템포러리는 1960년대 이지 리스닝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하위 장르로 발전했으며, 2000년대 이후 주류 음악과의 융합을 통해 팝 음악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 온 라디오 음악 형식이다.
댄스 팝 | |
---|---|
장르 개요 | |
스타일 기원 | 팝 음악 댄스 음악 디스코 포스트 디스코 신스팝 일렉트로팝 하우스 버블검 팝 |
문화적 기원 | 1970년대 후반 ~ 1980년대 초, 미국 및 영국 |
파생 장르 | 유로비트 디바 하우스 보컬 트랜스 |
퓨전 장르 | 틴 팝 하우스 팝 |
관련 토픽 | 유로팝 K-팝 J-팝 디스코 팝 스톡 에이트킨 워터맨 댄스 팝 아티스트 목록 |
악기 | |
사용 악기 | 신디사이저 키보드 드럼 머신 보컬 |
역사 및 인기 | |
인기 | 1980년대 영국과 미국에서 시작되어 1990년대 초부터 세계적으로 인기를 끔. |
2. 역사
2. 1. 1980년대: 댄스 팝의 탄생과 발전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 "디스코"라는 용어가 유행하면서 "포스트 디스코", "클럽", "댄스", "댄스 팝"과 같은 다른 용어들이 디스코 기반 음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4] 이 장르는 포스트 디스코의 현대적 변형으로, 더 실험적이고 전자 음악적이며, 음악 프로듀서/DJ 주도로, 음악 시퀀서와 신시사이저를 사용했다.댄스 팝 음악은 1980년대 초 댄스와 팝, 또는 포스트 디스코의 결합으로 등장했다. 업템포하고 단순하며, 클럽적이고, 프로듀서 주도적이며, 귀에 쏙 들어오는 특징을 지녔다. 댄스 팝은 일반 팝보다 더 업템포하고 댄스적이지만, 댄스 음악보다는 더 구조적이고 자유로운 형태를 띠며, 팝의 쉬운 구조와 멜로디, 댄스의 강한 비트와 업템포한 특성을 결합했다. 댄스 팝 음악은 음반 프로듀서가 만들고, 작곡하고, 프로듀싱한 후 가수를 고용하여 노래를 부르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1980년대 초, 디스코는 주류 팝 음악에서 배척받았다. 올뮤직 평론가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마돈나가 댄스 음악을 주류로 대중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6] 마돈나는 자신의 데뷔 앨범의 주요 작곡가이자 세 번째 음반부터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하며 창작 측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는데, 이는 당시 여성 댄스 팝 보컬리스트에게는 이례적인 일이었다. ''바이스'' 잡지는 마돈나의 데뷔 앨범이 "미래의 댄스 팝의 청사진을 그렸다"고 언급했다.[7]
1980년대 댄스 팝은 Hi-NRG와 같은 다른 업템포 전자 장르와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스톡, 에이트켄 앤 워터먼은 카일리 미노그, 데드 오어 얼라이브, 바나나라마와 같은 아티스트를 위해 Hi-NRG/댄스 팝을 제작한 1980년대의 저명한 프로듀서였다. 10년 동안 댄스 팝은 펑크 (마이클 잭슨, 휘트니 휴스턴), 뉴 잭 스윙 (자넷 잭슨, 폴라 압둘), 컨템포러리 R&B의 영향을 받았다.
펫 샵 보이즈, 멜 앤 킴, 사만다 폭스, 데비 깁슨, 티파니 등도 1980년대의 저명한 댄스 팝 아티스트 및 그룹이다.
2. 2. 1990년대: 주류 음악으로의 부상
1990년대에 댄스 팝은 대중 음악의 주요 장르가 되었다. 스파이스 걸스, 브리트니 스피어스,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제시카 심슨, 백스트리트 보이즈, 'N Sync 등 여러 댄스 팝 그룹과 아티스트들이 1990년대에 등장했다. 1990년대 초반 동안 댄스 팝은 하우스 음악 (예: Right Said Fred의 "I'm Too Sexy", 테일러 데인의 ''Soul Dancing'', 그리고 마돈나의 "Vogue", "Rescue Me" 그리고 "Deeper and Deeper"), 그리고 컨템포러리 R&B 와 뉴 잭 스윙의 영향을 받았다 (예: Shanice의 "I Love Your Smile").1990년대 후반에는 전자 음악의 영향이 댄스 팝 음악에서 뚜렷해졌다. 마돈나의 비평가들의 호평과 상업적 성공을 거둔 앨범 ''Ray of Light''(1998)는 테크노, 트랜스 음악 및 기타 형태의 전자 댄스 음악을 통합하여 일렉트로니카를 주류 댄스 팝으로 끌어들였다. 또한 1998년에는 셰어가 "Believe"라는 댄스 팝 곡을 발표했는데, 당시의 기술 혁신인 오토 튠을 사용했다. 오디오 프로세서이자 음조 수정 소프트웨어의 한 형태인 오토 튠은 일반적으로 음조를 수정하고 특수 효과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1990년대 후반부터 오토 튠 프로세싱의 사용은 댄스 팝 음악의 일반적인 특징이 되었다.
셀린 디온 역시 1999년 말에 미디엄 템포 댄스 팝 곡 "That's the Way It Is"를 발표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일부 브릿팝 및 얼터너티브 팝과 관련된 영국 밴드들이 댄스 팝을 한 형태로 실험했다. 예로는 카타토니아의 싱글 "Karaoke Queen", 비스의 톱 40 히트곡 "유로디스코", Kenickie의 마지막 싱글 "Stay in the Sun" 그리고 로모 밴드 올랜도의 메이저 레이블 데뷔 싱글 "Just For A Second" 등이 있다. 또 다른 브릿팝 밴드인 Theaudience는 소피 엘리스 벡스터가 프론트였으며, 그는 주로 아티스트 주도 댄스 팝으로 성공적인 솔로 경력을 쌓았다.
2. 3. 2000년대: 디스코의 부활과 새로운 아티스트의 등장

2000년대 초, 댄스 팝 음악은 트랜스, 하우스, 테크노, 일렉트로와 같은 장르의 영향을 받아 전자적인 스타일을 유지했다.[4] 1980년대와 1990년대의 댄스 팝 스타들인 브리트니 스피어스,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마돈나, 자넷 잭슨, 카일리 미노그는 2000년대 초반에도 성공을 거두었다. 카일리 미노그의 앨범 ''라이트 이어스''(2000)와 ''피버''(2001)는 누-디스코의 영향을 받았으며, "스피닝 어라운드"(2000)와 "캔트 겟 유 아웃 오브 마이 헤드"(2001)는 디스코의 흔적을 담고 있었다.[4] 마돈나의 앨범 ''뮤직''(2000)은 유로 디스코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8]

2000년대 중후반, 마돈나의 앨범 ''컨페션스 온 어 댄스 플로어''(2005)는 ABBA, 조르지오 모로더, 비 지스, 도나 섬머와 같은 1970년대 아티스트와 밴드의 영향을 받았다.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앨범 ''블랙아웃''(2007)은 유로 디스코의 영향을 담고 있었다. 리아나, 케샤, 케이티 페리, 레이디 가가를 포함한 여러 새로운 댄스 팝 아티스트들이 등장했다. 이 시기에는 댄스 팝이 신스팝과 일렉트로팝의 강한 영향을 받아 더욱 전자적인 뿌리로 회귀했다. 레이디 가가는 이러한 진화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그녀의 싱글 "저스트 댄스"와 "포커 페이스"가 대표적이다.[9] 리아나의 싱글 "돈트 스톱 더 뮤직"은 하우스 음악,[10] "디스터비아"는 일렉트로팝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 케샤의 데뷔 싱글 "틱톡"은 비디오 게임 음악 비트를 사용했다. 케이티 페리의 "핫 앤 콜드"(2008), "캘리포니아 걸스"(2010), "파이어워크"(2010)는 일렉트로팝과 하우스 음악의 영향도 보여주었다.
2. 4. 2010년대: 전자 음악의 영향 강화
2010년대는 2000년대 후반과 마찬가지로 댄스 팝에 강한 전자 음악적 영향이 나타났으며, 베이스가 강한 드럼 비트가 강조되었다. 브리트니 스피어스, 레이디 가가, 테일러 스위프트, 케이티 페리, 마돈나, 케샤,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어셔 및 리한나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여전히 매우 인기를 누렸으며, 아리아나 그란데, 저스틴 비버, 리타 오라, 두아 리파와 같은 새로운 레코딩 아티스트들이 이 10년 동안 댄스 팝 차트에 합류했다.[11]일부 음악 저널리스트들은 2010년대 초 팝 음악에서 클럽 문화와 힘든 시기 속 긍정적인 감정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댄스 트랙의 인기를 주목했다. 이는 2007~2008년 금융 위기 또는 2012년 현상에 대한 반응으로 여겨졌으며, 구어체 용어 "불황 팝"은 이 10년의 인기곡 중 일부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었다.[12][13][14]
미국 싱어송라이터 테일러 스위프트의 앨범 ''Red'' (2012), ''1989'' (2014) 및 ''Reputation'' (2017)는 댄스 팝 음반 프로듀서 맥스 마틴과 셸백의 프로듀싱을 특징으로 하는, 팝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은 사운드를 담고 있다. 아리아나 그란데의 싱글 "Problem"은 이기 아젤리아가 피처링했으며, 2014년에 큰 인기를 얻었고, 이듬해 전 세계적으로 900만 유닛의 판매량과 트랙 환산 스트리밍을 기록했다.[15]
2. 5. 2020년대: 다양한 스타일의 융합과 K팝의 영향력 확대
2020년대는 다양한 음악 스타일의 요소를 통합하면서 댄스 팝 장르의 경계를 확장하는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등장했다. 두아 리파의 앨범 ''Future Nostalgia''(2020)는 디스코, 펑크, 일렉트로 팝을 융합하여 큰 호평을 받았다. "Don't Start Now"와 "Physical"과 같은 히트곡들은 복고풍 분위기와 현대적인 프로덕션을 통해 댄스 팝 장르에 대한 관심을 되살렸다.[16][17] 레이디 가가는 아리아나 그란데("Rain on Me"), 블랙핑크("Sour Candy")와의 협업을 포함한 앨범 ''Chromatica''로 댄스 팝의 뿌리로 돌아왔다.[18]
K팝의 영향력 또한 두드러졌다.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와 같은 대한민국 그룹들은 전자 댄스 비트와 팝 멜로디를 결합한 곡들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방탄소년단의 싱글 "Dynamite"(2020)는 빌보드 핫 100에서 1위를 차지하며 K팝 아티스트들이 댄스 팝 요소를 음악에 성공적으로 융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19]
도자 캣의 ''Planet Her''(2021)과 더 위켄드의 ''Dawn FM''(2022)은 R&B와 댄스 팝, 신스 팝 요소를 결합하여 장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했다.[20][21] 테일러 스위프트의 앨범 ''Midnights''(2022)와 ''1989 (Taylor's Version)''(2024)는 신스 팝과 댄스 팝 감성을 지속적으로 수용했다.[24] 두아 리파는 후속 앨범 ''Radical Optimism''(2024)에서 하우스와 디스코 요소를 통합하는 동시에 힘과 성장에 대한 주제를 탐구하며 댄스 팝의 경계를 넓혀갔다.[22][23]
2024년, 레코딩 아카데미는 댄스 팝의 증가하는 영향력을 기리기 위해 최우수 팝 댄스 레코딩 그래미상을 도입했다. 초대 수상자는 카일리 미노그로, 싱글 "Padam Padam"으로 선정되어 장르에서 그녀의 지속적인 영향력을 강조했다.[25] 리나 사와야마와 찰리 XCX는 ''SAWAYAMA''(2020)과 ''CRASH''(2022)와 같은 앨범에서 하이퍼팝, 일렉트로 팝, 아방가르드 팝 요소를 혼합하여 댄스 팝에 대한 더 인디적이고 대안적인 접근 방식을 보여주었다.[26][27]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주요 페스티벌과 라이브 이벤트가 재개되면서 댄스 팝의 주류적 인기는 지속되었으며, 이는 장르의 지속적인 인기와 적응성을 보여준다.
3. 특징
댄스 팝 장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클럽에서 춤을 추기 좋은 업 템포의 경쾌한 멜로디를 사용한다.
- 팝 음악을 기반으로 단순하게 만들어 익숙하다.
- 박과 그루브를 중점으로 둔다.
- 눈에 띄는 훅이 있다.
- 가사가 간단하다.
- 세련된 프로덕션을 특징으로 한다.
댄스 팝은 일반적으로 댄스 지향적인 빠르고 활기찬 음악으로, 나이트클럽을 위한 빠른 템포가 특징이다. 상업적으로 라디오 방송에 적합하며, 주류 청중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팝 지향적인 노래 구조를 갖는다. 빠르고 활기찬 템포를 유지하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멜로디와 기억하기 쉬운 리듬, 매력적인 후크를 사용한다. 비트, 그루브, 리듬을 음악적으로 강조한다.
4. 주요 아티스트 (대한민국 외)
5. 대한민국에서의 댄스 팝
5. 1. 주요 한국 아티스트
5. 2. 한국 댄스 팝의 특징
댄스 팝 장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6. 비판과 논란
참조
[1]
서적
American popular music: a multi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Thomson Wadsworth
2012-05-12
[2]
웹사이트
Dance Pop 101: From the 1970s to Today
https://www.altwire.[...]
2023-12-05
[3]
서적
Bubblegum Music Is the Naked Truth: The Dark History of Prepubescent Pop, from the Banana Splits to Britney Spears
Feral House
[4]
웹사이트
Dance-pop
http://www.allmusic.[...]
AllMusic
2011-10-30
[5]
간행물
[6]
문서
Madonna (Madonna album)
http://www.allmusic.[...]
2009-09-04
[7]
뉴스
The 99 Greatest Dance Albums of All Time
None
Vice
2015-07-14
[8]
매거진
100 Best Songs of the 2000s: Madonna, 'Music'
https://www.rollings[...]
2014-02-05
[9]
웹사이트
Buy the Hype: Why Electronic Dance Music Really Could Be the New Rock
https://www.theatlan[...]
2019-04-29
[10]
웹사이트
Rihanna - Don't Stop the Music
http://top40.about.c[...]
2014-02-05
[11]
매거진
Year-End Charts: Dance Club Songs
https://www.billboar[...]
2021-08-05
[12]
웹사이트
Recession Pop: Dancing Through The Pain
https://thecurrentms[...]
2024-02-10
[13]
웹사이트
Towards a Theory of Recession Pop
https://www.hotknife[...]
2024-02-10
[14]
웹사이트
Dance Music Saves Us From The Exhausting Business Of 21st-Century Living
https://www.refinery[...]
2024-02-10
[15]
웹사이트
IFPI publishes Digital Music Report 2015
https://www.ifpi.org[...]
2019-04-29
[16]
웹사이트
Review: Dua Lipa - Future Nostalgia
https://pitchfork.co[...]
2020-03-30
[17]
매거진
Review: Dua Lipa Makes a Brilliant Case for Disco-Pop Revival With 'Future Nostalgia'
https://www.billboar[...]
2020-03-27
[18]
매거진
Lady Gaga Returns to the Dance Floor in Style on 'Chromatica'
https://www.rollings[...]
2020-06-02
[19]
웹사이트
BTS: K-pop stars become first all-South Korean act to top US singles charts
https://www.bbc.com/[...]
2020-08-31
[20]
매거진
Doja Cat Is a Space-Age Superstar on 'Planet Her'
https://www.rollings[...]
2021-06-25
[21]
웹사이트
The Weeknd: *Dawn FM* Album Review
https://pitchfork.co[...]
2022-01-11
[22]
웹사이트
Dua Lipa Is Releasing 'Radical Optimism' Album in 2024
https://www.nbc.com/[...]
2024-04-11
[23]
웹사이트
Dua Lipa Releases New Single 'Training Season' & Shares Music Video
https://live365.com/[...]
2024-02-16
[24]
웹사이트
Taylor Swift: *Midnights* Album Review
https://pitchfork.co[...]
2022-10-21
[25]
웹사이트
Kylie Minogue Wins Inaugural Grammy for Best Pop Dance Recording
https://variety.com/[...]
2024-02-04
[26]
웹사이트
Rina Sawayama: *SAWAYAMA* Album Review
https://pitchfork.co[...]
2020-04-17
[27]
매거진
Charli XCX's 'Crash' Is a Masterpiece of Pop Maximalism
https://www.rollings[...]
2022-03-18
[28]
AllMusic
Dance-Pop Music Genre Overview
2021-09-14
[29]
서적
Bubblegum Music Is the Naked Truth: The Dark History of Prepubescent Pop, from the Banana Splits to Britney Spears
Feral House
[30]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avid Guetta: Where Pop Music Meets Dance Music
https://www.huffpost[...]
BuzzFeed, Inc.
2021-09-14
[31]
서적
American popular music: a multi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Thomson Wadsworth
[32]
웹사이트
Dance pop
http://www.allmusic.[...]
2011-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