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댄 시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댄 시먼스는 SF, 호러, 역사 소설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작품 활동을 하는 미국의 소설가이다. 1982년 단편 소설 "The River Styx Runs Upstream"으로 데뷔했으며, 1989년 발표한 장편 소설 《하이페리온》으로 휴고상과 로커스상을 수상하며 이름을 알렸다. 주요 작품으로 《칼리의 노래》, 《밤의 여름》, 《공포》, 《드로오드》 등이 있으며, 작품들은 고전 문학에서 영감을 얻어 문학적 깊이를 더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오리아 (일리노이주) 출신 - 조 지라디
    조 지라디는 전 메이저 리그 포수이자 플로리다 말린스, 뉴욕 양키스,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감독을 역임한 야구 지도자로, 선수 시절 뉴욕 양키스 소속으로 3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했고, 지도자로서도 플로리다 말린스 감독으로 내셔널 리그 올해의 감독상을, 뉴욕 양키스 감독 시절에는 월드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 피오리아 (일리노이주) 출신 - 에이미 웨버
    에이미 웨버는 미국의 배우, 모델, 음악가, 프로듀서로서 영화와 텔레비전 시리즈에 출연했으며 WWE 스맥다운!에서 악역 디바로 활동했고 "Let It Rain" 싱글을 발표하기도 했다.
  • 로커스상 수상작가 - 아서 C. 클라크
    영국의 SF 작가이자 발명가, 해저 탐험가인 아서 C. 클라크는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리즈로 유명하며 SF계의 '빅3'로 불리고, 정지 궤도 통신 위성의 개념을 제안하여 '클라크 궤도'라는 용어를 탄생시킨 인물이다.
  • 로커스상 수상작가 - 아이작 아시모프
    아이작 아시모프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동문 - J. C. R. 리클라이더
    J. C. R. 리클라이더는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로, 심리음향학을 연구하고 인간-컴퓨터 공생 개념을 제시했으며, ARPANET 개발에 기여했다.
  •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동문 - 진념
    진념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경제기획원 등에서 주요 보직과 다섯 차례의 장관직을 역임하며 한국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고 경제부총리, 장관 등을 지냈으며 경기도지사 선거에 낙선 후 학계와 재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댄 시먼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댄 시먼스
출생일1948년 4월 4일
출생지일리노이주 피오리아
직업소설가
학력워배시 칼리지 (문학사)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교육학 석사)
활동 기간1983년 – 현재
장르SF, 호러, 판타지
공식 웹사이트공식 사이트
작품
대표작《송 오브 칼리》 (1985년)
《하이페리온》 (1989년)
《캐리언 컴포트》 (1989년)
《테러》 (2007년)
데뷔작황천의 강이 역류한다
수상
수상 내역세계 환상 문학상
휴고상
로커스상
브람 스토커상
성운상
영국 SF 협회상
개인 정보

2. 생애

일리노이주 피오리아에서 태어난 댄 시먼스는 어린 시절부터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으며, 독자들을 매료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 그는 1970년 와바시 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71년에는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2] 이후 1989년까지 초등학교 교사로 일했다.[2]

시먼스는 교사로 재직하면서 단편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1982년, 작가 할런 엘리슨의 도움으로 엘리슨이 "세계 최고의 SF 작가 워크숍"이라고 평가했던 밀포드 워크숍에 참가하면서 본격적인 작가 경력을 시작했다.[3] 시먼스는 엘리슨을 자신의 멘토이자 친구로 여기며, 그 덕분에 전업 작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고 생각했다.[3] 그의 단편 소설 〈스틱스 강은 거꾸로 흐른다〉(The River Styx Runs Upstreameng)는 트와일라잇 존 매거진의 단편 소설 공모전에서 1등을 수상하며 발표되었고, 이후 엘리슨의 에이전트인 리처드 커티스와 계약하게 되었다. 시먼스의 첫 장편 소설인 《칼리의 노래》(Song of Kalieng)는 1985년에 출판되었다.[2]

2007년 기준으로 그는 콜로라도주 롱몬트에 거주하고 있다.[4]

3. 작품 세계

댄 시먼스는 과학 소설, 호러 소설, 역사 소설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폭넓은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그는 1982년 단편 〈스틱스 강은 거꾸로 흐른다〉(The River Styx Runs Upward)로 트와일라잇 존 매거진 단편 공모에서 수상하며 본격적인 작가 활동을 시작했고, 1985년 첫 장편 《칼리의 노래》를 발표했다.[2]

초기에는 주로 공포 소설을 집필했으며, 《Summer of Night》(1991)는 그의 초기 대표작 중 하나이다. 이 작품은 작은 마을을 배경으로 어린 시절의 공포와 성장의 주제를 다루며, 이후 여러 작품에서 등장인물이나 배경이 이어지는 느슨한 세계관을 형성하기도 했다.

《Summer of Night》 이후 시먼스는 과학 소설 집필에 집중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1989년 발표한 《히페리온》은 휴고상로커스상 최우수 장편 부문을 수상하며 그에게 국제적인 명성을 안겨주었다. 이 작품은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과 제프리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은 독특한 서사 구조로도 주목받았다.[8]

시먼스는 데뷔 초부터 능숙한 플롯 전개 능력을 인정받았으며, 그의 작품 다수는 고전 문학 작품에서 모티프나 구조를 차용하여 깊이 있는 주제와 복잡하고 정교한 플롯을 선보이는 특징을 지닌다. 이후에도 그는 《일리움》/《올림포스》 연작과 같은 대규모 SF 서사시뿐만 아니라, 존 프랭클린 경과 프랭클린 탐험대의 비극적인 여정을 그린 역사 호러 소설 《공포》(2007) 등 다양한 장르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방대한 스케일과 철학적, 문학적 깊이를 탐구하는 작품들을 발표하고 있다.

3. 1. 문학적 영향

댄 시먼스의 작품들은 고전 문학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그의 작품들은 고전 문학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으며, 여러 작품에서 이러한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 《히페리온》(Hyperion, 1989): 이 작품은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과 제프리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서사 구조를 착안했다.[8] 하이페리온 연작의 제목은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존 키츠의 시에서 따왔으며,[9] 《히페리온의 몰락》에서는 키츠가 주요 등장인물 중 하나로 나온다.
  • 《캐리언 컴포트》(Carrion Comfort): 제목과 주제는 제라드 맨리 홉킨스의 시 "캐리언 컴포트"에서 유래했다.[10]
  • 《할로우 맨》(The Hollow Man, 1992): 단테의 《신곡》 중 지옥편과 T. S. 엘리엇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다.[11]
  • 《일리움》(Ilium) / 《올림포스》(Olympos) 연작: 호메로스의 작품들, 특히 《일리아스》와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에서 영감을 얻었다. 《일리움》은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의 주제와 등장인물을 포괄하면서, 5000년의 시간과 전 태양계를 넘나드는 서사시적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 연작의 등장인물 에이다와 그녀의 고향 아디스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에이다 혹은 아더》(Ada or Ardor)에서 가져왔다.
  • 단편 〈Vanni Fucci Is Alive and Well and Living In Hell〉(1988): 단테의 《신곡》 중 지옥편에 등장하는 인물이 잠시 현세로 돌아오는 이야기를 다룬다.
  • 단편 〈The Great Lover〉(1993):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전쟁 시인들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다.[12]
  • 단편집 《시간과 세상》(Worlds Enough & Time): 제목은 영국의 시인 앤드루 마블의 시 "그의 수줍은 연인에게"(To His Coy Mistress) 첫 구절 "Had we but world enough, and time"에서 따왔다.[13]
  • 《플래시백》(Flashback): 작품 속 탐정 닉 바텀의 이름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한여름 밤의 꿈》 등장인물에서 따왔다.[14]

3. 2. 주요 작품 경향

시먼스의 초기작 중 하나인 《Summer of Night》는 1960년대 일리노이주의 작은 마을 엘름 헤이븐을 배경으로, 마을을 위협하는 오래된 악에 맞서 싸우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스티븐 킹은 이 작품을 극찬했으며, 실제로 소도시에서의 삶, 순수의 상실, 악의 부활, 성장을 통한 책임감 등 의 《그것》(It)과 유사한 주제를 탐구한다. 이 작품의 세계관은 여러 후속작 및 관련 작품으로 확장된다. 《A Winter Haunting》에서는 성인이 된 주인공이 과거의 미스터리를 풀기 위해 고향을 찾고, 《Children of the Night》에서는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가 된 다른 등장인물이 유럽의 괴이한 사건을 조사한다. 《Summer of Night》의 다른 등장인물들은 시먼스의 스릴러 소설 《Darwin's Blade》나 《Fires of Eden》, 《Phases of Gravity》 등에도 조연 또는 주요 인물로 등장하며 작품 간의 연결성을 보여준다.

주로 공포 소설을 써왔던 시먼스는 《Summer of Night》 이후 과학 소설 집필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특히 1989년 발표한 《히페리온》은 휴고상로커스상 최우수 장편 부문을 수상하며 그에게 큰 명성을 안겨주었다. 이 작품은 거대한 우주 전쟁을 배경으로 하며,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과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은 서사 구조를 차용하여 여러 인물의 시점에서 이야기를 풀어낸다. 이는 그의 작품이 종종 거대한 스케일을 다루며 다양한 인물들의 관점을 통해 이야기를 전개하는 특징을 잘 보여준다.

시먼스는 데뷔 초부터 능숙한 플롯 전개 능력을 인정받았으며, 그의 플롯은 종종 고전 문학 작품과의 깊은 연관성을 통해 풍부함을 더한다. 그의 작품 다수는 고전 문학 작품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복잡한 플롯 속에서 철학적, 종교적, 과학적 주제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 《시체의 위안》(Carrion Comfort)은 제목과 주제를 제라드 맨리 홉킨스의 시에서 가져왔다.
  • 단편 〈Vanni Fucci Is Alive and Well and Living In Hell〉(1988)은 단테의 《신곡》 지옥편에 등장하는 인물이 현세로 잠시 돌아오는 이야기를 다루며 TV 선교사를 풍자한다.
  • 《히페리온》의 기본 플롯인 다양한 순례자들의 이야기는 중세 시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빌려온 것이다.
  • 《The Hollow Man》은 단테의 《신곡》 지옥편과 T. S. 엘리엇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다.
  • 단편 〈The Great Lover〉(1993)는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시인들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다.
  • 《히페리온의 몰락》에서는 시인 존 키츠가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 《일리움》/《올림포스》 연작은 호메로스의 서사시에서 영감을 얻었다.
  • 《일리움》 연작의 등장인물 에이다와 그녀의 고향 아디스는 나보코프의 《에이다 혹은 아더》(Ada or Ardor)에서 가져온 설정이다.


2004년 1월, 그의 장편 《일리움》과 《올림포스》의 영화화 계획이 발표되었으며, 시먼스 본인이 제작 총지휘를 맡기로 했다. 이 작품들은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의 주제 및 등장인물을 아우르며, 5,000년의 시간과 태양계 전체를 넘나드는 방대한 스케일의 서사시로 평가받는다. 《일리움》은 2004년 7월, 2003년 로커스상 장편 부문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4. 장르별 작품 목록

댄 시먼스는 SF, 호러 소설, 판타지, 스릴러, 역사 소설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왕성한 작품 활동을 펼쳤다. 그의 주요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과학 소설 (SF)
시리즈원제출간 연도한국어판 제목 및 정보비고
히페리온 연작Hyperion1989《히페리온》 (2009, 열린책들, )휴고상, 로커스상 수상
The Fall of Hyperion1990《히페리オン의 몰락》
Endymion1996《엔디미온》
The Rise of Endymion1997《엔디미온의 각성》로커스상 수상
일리움/올림포스Ilium2003《일리움 : 신들의 산 올림포스를 공습하라》 (2007, 베가북스, )로커스상 수상
Olympos2005《올림포스 : 신들로부터 불과 지식을 훔치다!》 (2009, 베가북스, )



호러 소설
원제출간 연도한국어판 제목 및 정보비고
칼리의 노래 (Song of Kali)1985세계 환상 문학 대상 수상
캐리언 컴포트 (Carrion Comfort)1989브람 스토커 상 수상
밤의 여름 (Summer of Night)1991로커스상 수상
밤의 아이들 (Children of the Night)1992로커스상 수상
겨울의 유령 (A Winter Haunting)2002밤의 여름 후속작
더 테러 (The Terror)2007역사 소설 요소 포함



스릴러 / 미스터리
시리즈원제출간 연도비고
조 커츠 시리즈Hardcase2001
Hard Freeze2002
Hard as Nails2003
기타첩보 지휘관 헤밍웨이 (The Crook Factory)1999역사 소설 요소 포함
다윈의 칼날 (Darwin's Blade)2000



기타 장편 소설
원제출간 연도비고
Phases of Gravity1989
'Entropys Bed at Midnight''1990
The Hollow Man1992
에덴의 불꽃 (Fires of Eden)1994



단편집
원제출간 연도
부서진 돌에게 드리는 기도 (Prayers to Broken Stones)1990
Summer Sketches1992
사랑의 죽음 (Lovedeath)1993
충분한 세계와 시간 (Worlds Enough & Time)2002


4. 1. 과학 소설 (SF)

댄 시먼스는 주로 공포 소설을 써왔으나, 《Summer of Night》(1991) 이후 과학 소설 집필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그는 1989년 발표한 《히페리온》(Hyperion)이 1990년 휴고상로커스상 최우수 장편 부문을 수상하면서 SF 작가로서 큰 명성을 얻었다. 이 작품은 대규모 우주 전쟁을 배경으로 하며,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과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서사 구조의 영감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8]

《히페리온》을 포함한 《히페리온 연작》(Hyperion Cantos)과 호메로스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은 《일리움》(Ilium)/《올림포스》(Olympos) 사이클은 시먼스의 대표적인 SF 시리즈이다. 그는 능숙한 플롯 전개로 주목받았으며, 그의 작품 상당수는 고전 문학과 깊이 연관되어 풍부한 서사를 구축한다.[8] 예를 들어, 《히페리온 연작》의 제목은 존 키츠의 시에서 따왔고,[9] 《일리움》은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의 영향을 받았다. 이 외에도 단테, T. S. 엘리엇, 제라드 맨리 홉킨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등 다양한 작가와 고전 작품의 영향이 그의 작품 곳곳에서 발견된다.[10][11][12][13]

4. 1. 1. 히페리온 4부작

히페리온 4부작은 댄 시먼스의 대표적인 SF 시리즈이다.

  • 《히페리온》(Hyperion, 1989): 1990년 휴고상로커스상 최우수 장편 부문을 수상하며 시먼스에게 명성을 안겨주었다. 이 작품은 대규모 우주 전쟁을 배경으로 하며,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과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서사 구조의 영감을 얻었다고 평가받는다. 특히 순례길에 오른 다양한 인물들이 각자의 이야기를 풀어놓는 형식은 《캔터베리 이야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는 2009년 8월 최용준 번역으로 열린책들에서 출간되었다.
  • 《히페리온의 몰락》(The Fall of Hyperion, 1990): 1991년 로커스상1992년 영국 SF 협회상을 수상했다. 작중 키츠가 주요 등장인물 가운데 하나로 나온다.
  • 《엔디미온》(Endymion, 1996)
  • 《엔디미온의 각성》(The Rise of Endymion, 1997): 1998년 로커스상을 수상했다.

4. 1. 2. 일리움/올림포스

《일리움》/《올림포스》 사이클은 호메로스의 작품들로부터 영감을 얻어 쓴 연작 소설이다. 《일리움》(Ilium, 2003)과 《올림포스》(Olympos, 2005) 두 편으로 구성된다.

특히 《일리움》은 호메로스의 서사시 《일리아드》와 셰익스피어의 희곡 《템페스트》의 주제와 등장인물을 바탕으로, 5000년의 시간과 태양계 전체를 아우르는 방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에이다와 그녀의 고향 아디스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 《에이다 혹은 아더》(Ada or Ardor)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일리움》은 2004년 로커스상 최우수 SF 장편 부문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2004년 1월에는 《일리움》과 《올림포스》를 원작으로 하는 영화 제작 계획이 발표되기도 했다. 디지털 도메인과 바넷 베인 필름이 제작을 맡고, 댄 시먼스 본인이 제작 총지휘를 담당할 예정이었다.

원제출간 연도수상 내역한국어판 제목 및 정보
Ilium2003로커스상 최우수 SF 장편 (2004)《일리움 : 신들의 산 올림포스를 공습하라》 (양장), 2007년 10월, 유인선 역, 베가북스, 942쪽, ISBN 978-89-92309-08-0
Olympos2005《올림포스 : 신들로부터 불과 지식을 훔치다!》 (양장), 2009년 9월, 김수연 역, 베가북스, 997쪽, ISBN 978-89-92309-25-7


4. 2. 호러 소설

시먼스는 초기 작품 활동에서 주로 공포 소설을 집필했다. 그의 첫 장편 소설인 《칼리의 노래》(Song of Kali, 1985)는 세계 환상 문학 대상을 수상하며 작가로서 이름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1][2] 1989년에는 《캐리언 컴포트》(Carrion Comfort)를 발표하여 브람 스토커 상을 수상했다.[1]

1991년에 발표된 《밤의 여름》(Summer of Night)은 1960년대 일리노이주의 작은 마을 엘름 헤이븐을 배경으로, 마을을 위협하는 오래된 악에 맞서 싸우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다룬다.[3] 이 소설은 스티븐 킹으로부터 극찬을 받았으며[4], 작은 마을에서의 삶, 순수함의 상실, 고대 악의 부활, 성인으로 성장하며 중요해지는 타인에 대한 책임감 등의 주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스티븐 킹의 《그것》(It)과 비교되기도 한다.[3][4]

《밤의 여름》의 세계관을 공유하는 후속작들도 발표되었다. 《밤의 아이들》(Children of the Night, 1992)은 《밤의 여름》의 등장인물이었던 마이크 오루크가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가 되어 유럽에서 발생하는 기이한 사건을 조사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 작품으로 로커스상 공포 부문을 수상했다.[1][4] 《겨울의 유령》(A Winter Haunting, 2002)에서는 《밤의 여름》의 주인공 중 한 명이었던 댈 스튜어트가 성인이 되어 어린 시절 살던 고향을 다시 방문하여 자신을 괴롭히는 미스터리를 파헤친다.[4]

시먼스는 《밤의 여름》 이후 주로 과학 소설 집필에 집중했으나, 2007년에는 역사적 사실에 공포 요소를 결합한 소설 《더 테러》(The Terror)를 발표하며 다시 공포 장르의 작품을 선보였다.[1][5]

4. 3. 역사 소설

댄 시먼스는 역사적 사실에 허구를 가미한 역사 소설도 여러 편 발표했다.

  • '''테러''' (The Terror, 2007): 공포 소설과 역사 소설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 작품이다. 19세기 중반, 존 프랭클린 경이 이끄는 프랭클린 탐험대가 북서 항로를 개척하려다 조난당한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탐험대가 탑승했던 에러버스호와 테러호는 항해 첫 겨울에 두꺼운 얼음에 갇히고 만다. 이후 선장과 선원들은 혹독한 북극의 추위와 식량 부족, 그리고 정체불명의 위협 속에서 생존을 위한 처절한 사투를 벌인다. 이 소설은 AMC에서 10부작 드라마로 제작되어 방영되기도 했다.
  • '''드로오드''' (Drood, 2009)
  • '''어보미너블''' (The Abominable, 2013): 1920년대 중반을 배경으로, 영국인 2명, 프랑스인 1명, 셰르파 1명, 그리고 화자인 미국인 1명으로 구성된 다국적 등반대가 에베레스트 산 등반 중 실종된 영국 귀족의 시신을 찾기 위해 원정을 떠나는 이야기를 그린다.

4. 4. 기타 장르

댄 시먼스는 과학 소설, 호러 소설, 역사 소설 외에도 스릴러, 미스터리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작품 활동을 이어왔다.

초기작 중 하나인 《칼리의 노래》(Song of Kali, 1985)는 1986년 세계 환상 문학 대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다. 1989년에는 정신적 흡혈귀들의 이야기를 다룬 《살육의 체스 게임》(Carrion Comfort)을 발표하여 1990년 로커스상과 브람 스토커 상을 수상했으며, 같은 해 《중력으로부터 도망쳐》(Phases of Gravity)를 출간하기도 했다.

1991년 발표된 《밤의 여름》(Summer of Night)은 1960년대 일리노이주의 작은 마을 엘름 헤이븐을 배경으로, 어린 시절을 보내던 소년들이 마을을 위협하는 고대의 악에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다. 이 작품은 작은 마을의 일상, 순수함의 상실, 악의 귀환, 성장기의 책임감 등을 다룬다는 점에서 스티븐 킹의 ''그것''과 비교되기도 하며, 1992년 로커스상을 수상했다.

《밤의 여름》의 세계관과 등장인물은 이후 여러 작품에서 이어진다.

  • 《어둠의 아이들》(Children of the Night, 1992): 《밤의 여름》의 등장인물 마이크 오'루크가 로마 가톨릭 사제가 되어 유럽에서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조사하는 이야기로, 1993년 로커스상을 수상했다.
  • 《에덴의 불꽃》(Fires of Eden, 1994): 《밤의 여름》의 또 다른 등장인물 코디 쿡이 성인이 되어 겪는 사건을 다루며, 1995년 로커스상을 수상했다.
  • 《다윈의 칼날》(Darwin's Blade, 2000): 《밤의 여름》 주인공 댈 스튜어트의 남동생 로렌스 스튜어트가 단역으로 등장하는 스릴러 작품이다.
  • 《겨울의 유령》(A Winter Haunting, 2002): 《밤의 여름》의 직접적인 속편으로, 성인이 된 주인공 댈 스튜어트가 어린 시절의 고향을 다시 찾아 과거의 미스터리와 마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외에도 《텅 빈 남자》(The Hollow Man, 1992), 어니스트 헤밍웨이제2차 세계 대전쿠바에서 첩보 활동을 벌인다는 설정의 스릴러 《첩보 지휘관 헤밍웨이》(The Crook Factory, 1999) 등의 작품이 있다. 또한 여러 단편 소설을 묶어 《Prayers to Broken Stones》(1990), 《Summer Sketches》(1992), 《Lovedeath》(1993), 《Worlds Enough & Time》(2002) 등의 단편집을 출간했다.

4. 5. 단편집


  • '''부서진 돌에게 드리는 기도''' (''Prayers to Broken Stones'', 1990)
  • 단편 6편과 중단편 7편이 수록된 단편집이다. 하이페리온 연작 세계관과 관련된 작품("시리 기억하기", "켄타우로스의 죽음")이 포함되어 있다.

수록 작품 목록
제목원제비고
강물 스틱스는 거꾸로 흐른다The River Styx Runs Upstream
꿈속에서 감히 마주할 수 없는 눈Eyes I Dare Not Meet in Dreams중단편
바니 푸치는 살아있고 잘 지내며 지옥에 산다Vanni Fucci Is Alive and Well and Living in Hell
흔들리는 요람에 악몽을 겪다Vexed to Nightmare by a Rocking Cradle
시리 기억하기Remembering Siri중단편, 하이페리온 연작 시리즈
전이Metastasis
제물The Offering중단편
남랜드행 E-티켓'E-Ticket to Namland / E-Ticket to Namland''중단편
아이버슨의 구덩이'Iversons Pits''중편
면도와 이발, 두 입Shave and a Haircut, Two Bites
켄타우로스의 죽음The Death of the Centaur중단편, 하이페리온 연작 시리즈
2분 45초Two Minutes Forty-Five Seconds
캐리언 컴포트Carrion Comfort중단편


  • '''Summer Sketches''' (1992)
  • 단편집.

  • '''사랑의 죽음''' (''Lovedeath'', 1993)
  • 중단편 5편이 수록된 단편집이다. 일본에서는 1994년 카도카와 서점에서 시마다 요이치 번역으로 출간되었다.

수록 작품 목록
제목원제비고수상
자정의 엔트로피 침대'Entropys Bed at Midnight''중단편로커스상
방콕에서의 죽음Dying in Bangkok / Death in Bangkok중단편로커스상, 브람 스토커 상
이빨 여인들과 잠들다Sleeping with Teeth Women중편
플래시백Flashback중단편
위대한 연인The Great Lover중편


  • '''충분한 세계와 시간''' (''Worlds Enough & Time'', 2002)
  • 중단편 5편이 수록된 단편집이다. 하이페리온 연작 세계관의 작품("나선 고아(Orphans of the Helix)")이 포함되어 있다.

수록 작품 목록
제목원제비고
켈리 달 찾기Looking for Kelly Dahl중편
나선 고아Orphans of the Helix중단편, 하이페리온 연작 시리즈
아브의 아홉째 날The Ninth of Av중편
카나카레데스와 함께 K2에 가다On K2 with Kanakaredes중단편
중력의 종말The End of Gravity중편


  • '''한밤중의 엔트로피''' (''Entropy's Bed at Midnight'', 2003)
  •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기획, 편집된 단편집이다. 2003년 가와이데 쇼보 신샤의 기상 컬렉션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시마다 요이치 번역) 이전 단편집에 수록되었던 작품들을 포함하고 있다.

수록 작품 목록
일본어판 제목원제비고수상
황천강이 거꾸로 흐른다The River Styx Runs Upstream데뷔작트와일라잇 존 매거진 콘테스트 1위
베트남 랜드 우대권'E-Ticket to Namland''
드라큘라의 아이들'All Dracullas Children''로커스상
밤샘의 엔트로피'Entropys Bed at Midnight''구 제목: 한밤중의 엔트로피 침대로커스상
켈리 달을 찾아서Looking for Kelly Dahl
마지막 졸업사진'This Years Class Picture''세계 환상 문학 대상, 브람 스토커 상, 성운상
방콕에서 죽다Dying in Bangkok로커스상, 브람 스토커 상


5. 수상 내역

댄 시먼스는 아서 C. 클라크 상, 브람 스토커 상, 영국 판타지 상, 휴고상, 네뷸러상, 월드 판타지 상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차례 후보로 지명되었다.[28]

선정된 후보 지명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29]후보분야결과참고
1989"Metastasis "월드 판타지 상단편 소설후보 지명[27]
1990Carrion Comfort월드 판타지 상장편 소설후보 지명[27]
1991Hyperion영국 SF 상장편 소설후보 지명[27]
Hyperion휴고상장편 소설후보 지명[27]
네뷸러상장편 소설후보 지명[27]
Prayers to Broken Stones월드 판타지 상컬렉션후보 지명[27]
브람 스토커 상컬렉션후보 지명[27]
'Entropys Bed at Midnight''브람 스토커 상중편 소설후보 지명[27]
1992Hyperion Cantos아서 C. 클라크 상후보 지명[27]
Summer of Night영국 판타지 상어거스트 더레th 상 (최우수 장편 소설)후보 지명[27]
브람 스토커 상장편 소설후보 지명[27]
1993Children of the Night브람 스토커 상장편 소설후보 지명[27]
"This Year's Class Picture"월드 판타지 상단편 소설후보 지명[27]
1994"Dying in Bangkok"월드 판타지 상단편 소설후보 지명[27]
Lovedeath브람 스토커 상컬렉션후보 지명[27]
"Flashback"브람 스토커 상중편 소설후보 지명[27]
1998엔디미온의 부상휴고상장편 소설후보 지명[27]
2004Ilium휴고상장편 소설후보 지명[27]
2008테러호의 악몽브람 스토커 상장편 소설후보 지명[27]
영국 판타지 상어거스트 더레th 상 (최우수 장편 소설)후보 지명[27]
셜리 잭슨 상장편 소설후보 지명[27]



로커스 상 후보 내역은 다음과 같다.


  • ''더 할로우 맨'' (1992) – 로커스 상 후보, 1993
  • ''The Winter Haunting'' (2002) – 로커스 상 후보, 2003
  • ''올림포스'' (2005) – 로커스 상 최종 후보, 2006

참조

[1] 웹사이트 BookBanter Episode 004 - An Interview With Dan Simmons http://archive.org/d[...] 2024-04-24
[2] 웹사이트 About Dan: Biographic Sketch https://web.archive.[...] 2018-06-14
[3] 웹사이트 "Something Only Your Soul Knew" – Wabash Magazine https://blog.wabash.[...] 2024-04-24
[4] 뉴스 Myth and madness in the frozen north http://www.dailycame[...] 2007-02-07
[5] 뉴스 Review: ''Darwin's Blade'' https://www.publishe[...] 2000-10-30
[6] 서적 Darwin's Blade https://archive.org/[...] William Morrow 2000
[7] 뉴스 Review: 'The Abominable' by Dan Simmons https://www.chicagot[...] 2013-10-20
[8] 간행물 Flying Chaucers, Insectile Ecclesiasts, and Pilgrims Through Space and Time: The Science Fiction Chaucer https://muse.jhu.edu[...] 2020-05-26
[9] 웹사이트 John Keats https://www.poetryfo[...] 2018-09-06
[10] 서적 Hopkins and Heidegger Continuum 2009
[11] 뉴스 The Hollow Man https://www.washingt[...] 1992-09-27
[12] 서적 News of the Black Feast and Other Random Reviews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LLC 2009-03-01
[13] 웹사이트 To his coy mistress https://www.poetryfo[...] 1981
[14] 웹사이트 Book review: 'Flashback' by Dan Simmons https://www.latimes.[...] 2011-08-07
[15] 웹사이트 Dan Simmons The Abominable cover art reveal! https://web.archive.[...] 2013-03-14
[16] 웹사이트 Dan Simmons To Release 'The Fifth Heart', His Next Book After 'The Abominable' http://www.kernelsco[...] 2014-03-10
[17] 웹사이트 'Ilium,' 'Olympos' optioned for pic https://variety.com/[...] 2004-01-08
[18] 웹사이트 Guillermo Del Toro booked thru 2017 https://variety.com/[...] 2008-09-03
[19] 웹사이트 Drood https://www.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20] 웹사이트 Scott Derrickson to direct 'Hyperion' https://variety.com/[...] 2009-01-29
[21] 웹사이트 Bradley Cooper Anxious to Adapt Dan Simmons's Hyperion for the Screen http://www.cinemaspy[...] 2011-05-27
[22] 웹사이트 Bradley Cooper, Graham King, Todd Phillips Adapting Dan Simmons' 'Hyperion' for Syfy https://www.hollywoo[...] 2015-06-10
[23] 웹사이트 Syfy Reboot Includes Greenlit Krypton Series, George R.R. Martin's Nightflyers and More http://in.ign.com/tv[...] IGN News 2017-05-12
[24] 웹사이트 Bradley Cooper Launches Production Label; Sets 'Hyperion' At Warner Bros With Graham King https://deadline.com[...] 2021-11-01
[25] 웹사이트 "The Terror': Season 1 (2018)" https://www.rottento[...]
[26] 웹사이트 "The Terror'' Reviews" https://www.metacrit[...]
[27] 웹사이트 sfadb : Dan Simmons Awards https://www.sfadb.co[...] 2022-06-24
[28] 문서 Works in the WWEnd Database http://www.worldswit[...]
[29] 문서 Award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