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더 로켓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 로켓은 1979년 시애틀 선의 증보판으로 창간된 음악 잡지이다. 1980년대 초 지역 얼터너티브 밴드를 다루며 인기를 얻었고, 1986년 찰스 R. 크로스가 편집장을 맡으면서 그런지 음악을 집중적으로 다루며 사운드가든과 너바나를 표지에 싣기도 했다. 1991년 포틀랜드판을 발행했으며, 1995년 BAM 미디어에 매각되었다가 2000년 폐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런지 - 마더 러브 본
    마더 러브 본은 1988년 시애틀에서 결성되어 앤드류 우드의 활발한 무대 매너로 주목받았으나, 1990년 데뷔 앨범 발매를 앞두고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해체된 미국의 록 밴드이다.
  • 그런지 - 클럽 싱글즈
    1990년대 초 시애틀의 그런지 문화를 배경으로, 싱글 침실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두 커플과 주변 인물들의 불안정한 로맨스를 챕터별로 나누어 보여주는 로맨틱 코미디 영화 《클럽 싱글즈》는 사랑과 관계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동시에 당시 그런지 록 음악을 담아내어 시대상을 반영했다.
  • 시애틀의 음악 - 그런지
    그런지는 1980년대 후반 시애틀에서 시작된 얼터너티브 록의 하위 장르로, 펑크 록과 헤비 메탈의 요소 융합, 허무주의적 가사, 반체제 패션을 특징으로 하며 1990년대 초 주류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고, 쇠퇴 후에도 후속 장르에 영향을 주며 현대 음악에 중요한 현상으로 남아있다.
  • 시애틀의 음악 - EMP 박물관
    EMP 박물관(MoPOP)은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시애틀 센터의 팝 문화 박물관으로, 팝 문화 전시, 체험 활동, 지미 헨드릭스와 너바나 컬렉션, 과학소설 및 판타지 명예의 전당 운영,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대중문화 이해를 증진시킨다.
  • 2000년 폐간 - RPM (잡지)
    RPM은 캐나다의 음악 산업 잡지로, 캐나다 전국 차트를 최초로 도입하고 음반 판매량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발전했으며 RPM 어워드는 주노상의 기원이 되었으나 2000년에 폐간되었다.
  • 2000년 폐간 - 라이프 (잡지)
    《라이프》는 유머 잡지로 시작하여 사진 중심의 보도사진 잡지로 재창간되어 사진을 중심으로 한 지면 구성, 저렴한 가격으로 큰 인기를 얻고 포토 저널리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온라인 매체로 전환되어 사진 아카이브를 제공하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더 로켓
기본 정보
Sub Pop 200의 표지를 패러디한 1999년 4월 7일~21일 발행된 299호 표지
Sub Pop 200의 표지를 패러디한 1999년 4월 7일~21일 발행된 299호 표지
범주록 음악
창간1979년 10월 1일
폐간2000년 10월 18일
국가미국
위치워싱턴주 시애틀
언어영어
발행
창립자로버트 W. 맥체스니
편집자로버트 W. 맥체스니 (1979-1983)
편집자2찰스 R. 크로스 (1986-2000)
발행 빈도월간 (1979-1992), 격주간 (1992-2000)

2. 출판 역사

1979년 10월, 시애틀 선의 증보판으로 처음 출간되었다.[9][1] 창업자 밥 맥체스니(Bob McChesney)는 시애틀 위클리와 경쟁하던 주간지 시애틀 선의 외판원으로 활동했다.[9] 당시 시애틀의 음악 신을 다루고 싶지 않아했던 맥체스니 때문에, 시애틀 선의 예술 면을 맡고 있었던 로버트 페리뇨와 밥 뉴먼(Bob Newman)이 더 로켓을 창간하여 시애틀 선의 증보판으로 발행했다.[9][1]

1980년 4월, 페리뇨와 뉴먼, 맥체스니는 더 로켓을 단독으로 제작하기에 충분한 돈을 모았다.[9][1] 페리뇨는 1979년부터 1982년까지 잡지를 편집했으며, 이 기간 동안 패티 스미스, 블랙아우츠, 에너미, 지터스 등의 밴드를 다루었다.[9] 발행인 맥체스니는 유명한 밴드도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페리뇨와 작가진은 이들을 비판할 수 있다는 조건으로 동의했다.[1]

1982년 1월, 잡지의 판매 부수는 호당 5만 부로 증가했고, 제프 크리스텐슨(Jeff Christensen), 로베르타 펜, 린다 배리, 존 키스터, 웨스 앤더슨, 찰스 R. 크로스, 스콧 맥코이와 같은 만화가와 저널리스트들을 영입했다.[10][2] 편집자들과 작가들은 유명한 음악가들보다 지역의 알려지지 않은 얼터너티브 밴드들을 다루려고 노력했다.[10]

1982년 4월, 페리뇨는 더 로켓을 그만두었고, 뉴먼이 편집장을 맡았다.[3] 1983년 말에는 맥체스니도 잡지를 떠났다.[4]

1982년 4월, 로버트 페리뇨가 편집장에서 물러나고 밥 뉴먼이 편집장 자리를 이어받았다.[9][3] 1983년 말에는 창업자이자 출판인이었던 밥 맥체스니도 《더 로켓》을 떠났다.[4] 이 기간 동안 데이나 다진(Dana Dargin), 크레이그 토마쇼프, 앤 파워스, 짐 에머슨, 길리언 G. 가, 브렌트 로랭, 그랜트 알덴, 피터 블레차, 데니스 에이홈 등의 작가들이 새롭게 합류했다.[4] 맷 그레이닝은 이 시기에 몇몇 표지 삽화를 제공하기도 했다.[4]

브루스 파빗은 "서브 팝 U.S.A."라는 월간 칼럼을 통해 시애틀과 미국의 다른 지역의 인디 및 언더그라운드 음악계를 다루었다.[4] 1984년 말, "10대 핫 노스웨스트 밴드" 목록을 인쇄했는데, 여기에는 패스트백스, 54-40, D.O.A., Hosannah Choir, Girltalk, Ellipsis, 로버트 크레이 밴드, 메탈 처치, 더 영 프레시 펠로우즈, The U-Men이 포함되었다.[4]

1986년, 찰스 R. 크로스가 ''더 로켓''의 편집장이 되면서, 헤비메탈 음악에서 그런지로 편집 방향을 전환했다.[5] 당시 헤비 메탈 음악은 태평양 북서부에서 강력한 팬층을 형성하고 있었고, 이 신문은 슬레이어, 와일드 독스, 퀸스라이크, 메탈 처치와 같은 밴드에 대한 표지 기사를 실었다.[5] 그러나 1988년까지 헤비메탈 씬은 거의 사라졌고, ''더 로켓''은 전국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한 그런지 이전의 지역 얼터너티브 록 밴드를 다루기 시작했다.[5]

사운드가든과 너바나는 다른 어떤 간행물보다 먼저 1988년에 ''로켓'' 표지에 실렸다.[5] 1989년 12월, ''더 로켓''은 창간 10주년을 기념하여 "90년대를 위한 9" 콘서트를 개최했다.[6] 이 콘서트에는 러브 배터리, 더 포지스, High Performance Crew, 더 워크어바웃츠, 더 영 프레시 펠로우즈, 앨리스 인 체인스 등 시애틀에서 가장 유망한 신생 밴드들이 참여했다.[6]

1991년, ''더 로켓''은 오리건주 포틀랜드판을 발행하기 시작했는데, 시애틀판과 내용은 거의 동일했고 콘서트 목록 페이지만 달랐다.[5] 1992년에는 발행 빈도가 월간에서 격주간으로 바뀌었다.[5]

1995년, 크로스는 이 신문을 여러 음악 관련 간행물을 발행하는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둔 회사인 BAM 미디어에 매각했다.[7] BAM은 수익성이 좋은 ''더 로켓''을 사용하여 여러 해 동안 "다른 신문을 부양"했지만, 다른 신문들이 자리를 잡지 못하는 동안 ''더 로켓''의 자금을 서서히 고갈시켰다.[7] 2000년 8월, BAM은 모든 부진한 프로젝트를 중단하고 ''더 로켓''을 ''일리노이 엔터테이너''의 발행인 데이브 로버츠에게 매각했다.[7] 로버츠는 사무실 규모를 축소하고, 직원들을 위해 새로운 컴퓨터를 구입하고, 몇 차례의 판매 촉진을 실시하여, 간행물을 부활시키려는 진지한 시도를 하는 것처럼 보였다.[7]

그러나 몇 주 후 "거의 모든 직원의 급여가 부도 처리"되었고, 로버츠는 갑자기 모든 직원에게 잡지가 즉시 폐간될 것이라고 통보했다.[7] 잡지 폐간 이유에 대해 직원들에게 어떠한 설명도 제공되지 않았다.[7] ''더 로켓''의 마지막 호는 2000년 10월 18일자였다.[7] ''더 시애틀 타임스''에 따르면, 마지막 몇 년 동안 ''더 로켓''의 독자 수는 그 어느 때보다 강세를 보여, 시애틀에서 55,000부, 포틀랜드에서 36,000부의 발행 부수를 기록했다.[8] 잡지 폐간 후 크로스는 "이것은 ''더 로켓''이 읽히지 않거나, 존경받지 못하거나, 광고가 없어서가 아니었다. 단지 지난 몇 년 동안 운영이 부실했을 뿐..."이라고 말했다.[8]

2. 1. 창간과 초기 (1979년 ~ 1982년)

1979년 10월, 시애틀 선의 증보판으로 처음 출간되었다.[9][1] 창업자 밥 맥체스니(Bob McChesney)는 시애틀 위클리와 경쟁하던 주간지 시애틀 선의 외판원으로 활동했다.[9] 당시 시애틀의 음악 신을 다루고 싶지 않아했던 맥체스니 때문에, 시애틀 선의 예술 면을 맡고 있었던 로버트 페리뇨와 밥 뉴먼(Bob Newman)이 더 로켓을 창간하여 시애틀 선의 증보판으로 발행했다.[9][1]

1980년 4월, 페리뇨와 뉴먼, 맥체스니는 더 로켓을 단독으로 제작하기에 충분한 돈을 모았다.[9][1] 페리뇨는 1979년부터 1982년까지 잡지를 편집했으며, 이 기간 동안 패티 스미스, 블랙아우츠, 에너미, 지터스 등의 밴드를 다루었다.[9] 발행인 맥체스니는 유명한 밴드도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페리뇨와 작가진은 이들을 비판할 수 있다는 조건으로 동의했다.[1]

1982년 1월, 잡지의 판매 부수는 호당 5만 부로 증가했고, 제프 크리스텐슨(Jeff Christensen), 로베르타 펜, 린다 배리, 존 키스터, 웨스 앤더슨, 찰스 R. 크로스, 스콧 맥코이와 같은 만화가와 저널리스트들을 영입했다.[10][2] 편집자들과 작가들은 유명한 음악가들보다 지역의 알려지지 않은 얼터너티브 밴드들을 다루려고 노력했다.[10]

1982년 4월, 페리뇨는 더 로켓을 그만두었고, 뉴먼이 편집장을 맡았다.[3] 1983년 말에는 맥체스니도 잡지를 떠났다.[4]

2. 2. 편집진 교체와 장르 확장 (1982년 ~ 1986년)

1982년 4월, 로버트 페리뇨가 편집장에서 물러나고 밥 뉴먼이 편집장 자리를 이어받았다.[9][3] 1983년 말에는 창업자이자 출판인이었던 밥 맥체스니도 《더 로켓》을 떠났다.[4] 이 기간 동안 데이나 다진(Dana Dargin), 크레이그 토마쇼프, 앤 파워스, 짐 에머슨, 길리언 G. 가, 브렌트 로랭, 그랜트 알덴, 피터 블레차, 데니스 에이홈 등의 작가들이 새롭게 합류했다.[4] 맷 그레이닝은 이 시기에 몇몇 표지 삽화를 제공하기도 했다.[4]

브루스 파빗은 "서브 팝 U.S.A."라는 월간 칼럼을 통해 시애틀과 미국의 다른 지역의 인디 및 언더그라운드 음악계를 다루었다.[4] 1984년 말, "10대 핫 노스웨스트 밴드" 목록을 인쇄했는데, 여기에는 패스트백스, 54-40, D.O.A., Hosannah Choir, Girltalk, Ellipsis, 로버트 크레이 밴드, 메탈 처치, 더 영 프레시 펠로우즈, The U-Men이 포함되었다.[4]

2. 3. 그런지 음악의 부상과 전성기 (1986년 ~ 1991년)

1986년, 찰스 R. 크로스가 ''더 로켓''의 편집장이 되면서, 헤비메탈 음악에서 그런지로 편집 방향을 전환했다.[5] 당시 헤비 메탈 음악은 태평양 북서부에서 강력한 팬층을 형성하고 있었고, 이 신문은 슬레이어, 와일드 독스, 퀸스라이크, 메탈 처치와 같은 밴드에 대한 표지 기사를 실었다.[5] 그러나 1988년까지 헤비메탈 씬은 거의 사라졌고, ''더 로켓''은 전국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한 그런지 이전의 지역 얼터너티브 록 밴드를 다루기 시작했다.[5]

사운드가든과 너바나는 다른 어떤 간행물보다 먼저 1988년에 ''로켓'' 표지에 실렸다.[5] 1989년 12월, ''더 로켓''은 창간 10주년을 기념하여 "90년대를 위한 9" 콘서트를 개최했다.[6] 이 콘서트에는 러브 배터리, 더 포지스, High Performance Crew, 더 워크어바웃츠, 더 영 프레시 펠로우즈, 앨리스 인 체인스 등 시애틀에서 가장 유망한 신생 밴드들이 참여했다.[6]

2. 4. 포틀랜드판 발행과 격주간 전환 (1991년 ~ 1995년)

1991년, ''더 로켓''은 오리건주 포틀랜드판을 발행하기 시작했는데, 시애틀판과 내용은 거의 동일했고 콘서트 목록 페이지만 달랐다.[5] 1992년에는 발행 빈도가 월간에서 격주간으로 바뀌었다.[5]

2. 5. 매각, 폐간과 그 이후 (1995년 ~ 2000년)

1995년, 크로스는 이 신문을 여러 음악 관련 간행물을 발행하는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둔 회사인 BAM 미디어에 매각했다.[7] BAM은 수익성이 좋은 ''더 로켓''을 사용하여 여러 해 동안 "다른 신문을 부양"했지만, 다른 신문들이 자리를 잡지 못하는 동안 ''더 로켓''의 자금을 서서히 고갈시켰다.[7] 2000년 8월, BAM은 모든 부진한 프로젝트를 중단하고 ''더 로켓''을 ''일리노이 엔터테이너''의 발행인 데이브 로버츠에게 매각했다.[7] 로버츠는 사무실 규모를 축소하고, 직원들을 위해 새로운 컴퓨터를 구입하고, 몇 차례의 판매 촉진을 실시하여, 간행물을 부활시키려는 진지한 시도를 하는 것처럼 보였다.[7]

그러나 몇 주 후 "거의 모든 직원의 급여가 부도 처리"되었고, 로버츠는 갑자기 모든 직원에게 잡지가 즉시 폐간될 것이라고 통보했다.[7] 잡지 폐간 이유에 대해 직원들에게 어떠한 설명도 제공되지 않았다.[7] ''더 로켓''의 마지막 호는 2000년 10월 18일자였다.[7] ''더 시애틀 타임스''에 따르면, 마지막 몇 년 동안 ''더 로켓''의 독자 수는 그 어느 때보다 강세를 보여, 시애틀에서 55,000부, 포틀랜드에서 36,000부의 발행 부수를 기록했다.[8] 잡지 폐간 후 크로스는 "이것은 ''더 로켓''이 읽히지 않거나, 존경받지 못하거나, 광고가 없어서가 아니었다. 단지 지난 몇 년 동안 운영이 부실했을 뿐..."이라고 말했다.[8]

3. 더 로켓과 한국의 인디 음악

참조

[1] 간행물 Love, Rage, and Negative Macramé The Rocket 1994-12-07
[2] 간행물 Balancing Things Left of Center The Rocket 1994-12-07
[3] 웹사이트 http://rockmagarchiv[...]
[4] 간행물 Mighty Cranium-Impaling Metalmesiters The Rocket 1994-12-07
[5] 간행물 Timeline: 1988 The Rocket 1994-12-07
[6] 간행물 Mick’s Rockutz, The Central Tavern, Lots of Beer The Rocket 1994-12-07
[7] 뉴스 End of Flight, Please Disembark: R.I.P. The Rocket The Stranger (newspaper) 2000-11-02
[8] 뉴스 Rocket's Nose Dive Stuns Music Magazine's Staffers The Seattle Times 2000-10-20
[9] 간행물 Love, Rage, and Negative Macramé The Rocket 1994-12-07
[10] 간행물 Balancing Things Left of Center The Rocket 1994-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