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전앤파이터 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던전앤파이터 리그는 공정한 경쟁을 위해 다양한 규칙을 적용하여 진행되었다. 참가 자격, 사용 가능한 아이템, 캐릭터, 스킬 등에 제한을 두었으며, 리그와 시기에 따라 규칙이 변경되었다. 초기 리그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진행되었으며, 이후 액션토너먼트 형태로 이어졌다. 리그 중계는 성승헌 캐스터와 정준 해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스턱 시스템, 장비 및 엠블렘 시스템으로 인한 능력치 격차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e스포츠 대회 - GOM 클래식
GOM 클래식은 곰TV가 주최하여 XNOTE-인텔센트리노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을 시작으로 TG삼보, 인텔, 위메프의 후원을 받아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개인 리그 시리즈이며, 각 시즌마다 다양한 맵이 사용되었고 목동 스튜디오에서 결승전이 개최되기도 하였다. - 대한민국의 e스포츠 대회 - 카트라이더 리그
카트라이더 리그는 넥슨의 레이싱 게임 카트라이더를 기반으로 2005년부터 시작된 e스포츠 대회이며, 팀전과 개인전으로 진행되고 문호준, 이재혁 등 많은 우승자를 배출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던전앤파이터 리그 | |
---|---|
던전앤파이터 연간 리그 | |
게임 | 던전앤파이터 |
장르 | E스포츠 |
국가 | 대한민국 |
2. 던전 앤 파이터 리그 규칙
던전앤파이터 리그는 공정한 경쟁을 위해 다양한 규칙을 적용해왔다. 리그 규칙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리고 각 리그마다 조금씩 변경되어왔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상세하게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해당 섹션에서는 규칙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작성하지 않는다.
2. 1. 일반 규칙
던전앤파이터 리그의 일반 규칙은 다음과 같다.- 참가 자격은 지존 1 이상, 35레벨 이상이어야 한다.
- 각성기는 사용할 수 없으며, 사용 시 탈락 처리된다.
- 소모품 중 무색 큐브 조각과 영혼의 결정을 제외한 소모품과 올빼미는 사용할 수 없다.
- 예선 대회에서는 계약 시리즈를 사용할 수 있다.
- 패키지/이벤트 크리쳐, 칭호(TCG, 국가대표 포함)는 사용할 수 없으며, 에픽 아이템도 사용할 수 없다.
- 시즌 2. ACT2 패치 이후 업데이트된 유니크 아이템(고대던전 유니크, 55레벨 유니크)은 사용할 수 없으나, 그 외 모든 장비는 사용할 수 있다.
- 일반, 상급, 상급 엠블렘 아바타만 사용할 수 있다. (레어/이벤트/패키지 아바타 사용 불가) 단, 아바타에 장착하는 엠블렘은 제한 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무기와 방어구의 강화 수치는 일괄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된다.
- 대장전에서는 남성 거너, 여성 거너와 같이 동일 직업군에 속하는 캐릭터는 중복 출전할 수 없다.
2. 2. 6차 리그 기준 규칙 (참고)
6차 리그는 지존 1 이상, 35레벨 이상 캐릭터만 참가할 수 있었다.[1]2. 2. 1. 사용 불가 아이템 및 스킬
- 각성기 사용은 불가능하며, 각성기 사용 시 탈락 처리된다.[1]
- 소모품 중 무색 큐브 조각, 영혼의 결정을 제외한 소모품과 올빼미는 사용이 불가능하다.[1]
- 패키지/이벤트 크리쳐, 칭호(TCG, 국가대표 포함), 에픽 아이템은 사용이 불가능하다.[1]
- 시즌 2. ACT2 패치 이후 업데이트된 유니크 아이템(고대던전 유니크, 55레벨 유니크)은 사용이 불가능하다.[1]
2. 2. 2. 사용 가능 아이템
다음은 사용 가능한 장비에 대한 설명이다.- 일반, 상급, 상급 엠블렘 아바타만 사용 가능하다. (레어, 이벤트, 패키지 아바타는 사용 불가)
- 아바타에 장착하는 엠블렘은 제한 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1]
- 시즌 2. ACT2 패치 이후 업데이트된 유니크 아이템은 사용 불가하다. (고대던전 유니크, 55레벨 유니크)[1]
- 그 외 모든 장비는 사용 가능하다.[1]
2. 2. 3. 기타
- 강화 수치는 무기와 방어구 모두 일괄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 대장전에서는 남성 거너, 여성 거너와 같은 직업은 출전이 불가능했다.
- 예선 대회 진행 시에만 계약 시리즈 사용이 가능했다.
3. 역대 리그
리그 | 개인전 챔피언 | 대장전 챔피언 |
---|---|---|
고래밥 컵 1차 리그 | King's (김남규, 스트리트파이터) | 야화 (안지환(스트리트파이터), 유나영(소환사), 정승혁(스핏파이어)) |
투니스컵 2차 리그 | 바라코 (김현도, 스트라이커) | 지면군대 (장웅(스트라이커), 정준(스트리트파이터), 이선호(레인저)) |
신한은행컵 3차 리그 | 초붕 (박정완, 그래플러) | 방폭의 주범 (정시혁(스트리트파이터), 신현수(배틀메이지), 이상민(인파이터)) |
신한은행컵 4차 리그 | 바라코 (김현도, 스트라이커) | 대역죄인 (오수민(배틀메이지), 김창원(그래플러), 유철규(웨펀마스터)) |
신한은행컵 5차 리그 | 시집 (김현도, 스트라이커) | 20:3 (이덕주(레인저), 박진제(메카닉), 유나영(소환사)) |
G마켓컵 6차 리그 | 시집 (김현도, 스트라이커) | 20:3 (이덕주(레인저), 박진제(메카닉), 유나영(소환사)) |
7차 리그 | 권민우 | 고수 |
8차 리그 | - | - |
9차 리그 | - | - |
액션토너먼트 (2013~2015) | 이현 | 악마군단 |
던전 앤 파이터 리그는 2007년 고래밥 컵 1차 리그를 시작으로 2015년 액션토너먼트 윈터까지 진행되었다. 초기 리그는 서버 대항전, 챔피언 방어전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선수 간 귓속말 협박 사건[2], 온게임넷 편성 문제로 인한 경기 편집[3] 등의 이슈가 있었다.
7차 리그에서는 최초로 중국인 선수인 신관천정(新官天正중국어)이 등장했고, 권민우는 개인전과 대장전을 모두 우승한 최초의 양대 우승자가 되었다.[1]
액션토너먼트(2013~2015)는 온게임넷에서 마지막으로 중계한 리그이자, 스포티비 게임즈에서 중계한 첫 번째 시즌이었다. 개인전에서는 이현이, 단체전에서는 악마군단이 우승했다. 정소림 캐스터가 복귀하여 사이퍼즈 부문을 진행하였다.
3. 1. 초기 리그 (2007~2009)
초기 리그는 2007년 고래밥 컵 1차 리그부터 2009년 G마켓 컵 6차 리그까지 진행되었다.1차 리그는 서버 대항전 형식, 2차 리그는 챔피언 방어전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2차 리그부터 레어 아바타 사용이 금지되었다. 3차 리그에서는 경기 중 선수 간 귓속말 협박 사건으로 논란이 있었다.[2] 4차 리그부터 던파리그 선수 출신 해설자가 등장했고, 5차 리그에서는 챔피언 시드 쟁탈전이 도입되었다. 6차 리그에서는 온게임넷 편성 문제로 일부 경기가 편집되기도 했다.[3]
개인전에서는 김현도(스트라이커)가 여러 차례 우승했다. 대장전에서는 '야화', '지면군대', '방폭의 주범', '대역죄인', '20:3' 등의 팀이 우승했다.
리그 | 개인전 챔피언 | 대장전 챔피언 |
---|---|---|
고래밥 컵 1차 리그 | King's (김남규, 스트리트파이터) | 야화 (안지환(스트리트파이터), 유나영(소환사), 정승혁(스핏파이어)) |
투니스컵 2차 리그 | 바라코 (김현도, 스트라이커) | 지면군대 (장웅(스트라이커), 정준(스트리트파이터), 이선호(레인저)) |
신한은행컵 3차 리그 | 초붕 (박정완, 그래플러) | 방폭의 주범 (정시혁(스트리트파이터), 신현수(배틀메이지), 이상민(인파이터)) |
신한은행컵 4차 리그 | 바라코 (김현도, 스트라이커) | 대역죄인 (오수민(배틀메이지), 김창원(그래플러), 유철규(웨펀마스터)) |
신한은행컵 5차 리그 | 시집 (김현도, 스트라이커) | 20:3 (이덕주(레인저), 박진제(메카닉), 유나영(소환사)) |
G마켓컵 6차 리그 | 시집 (김현도, 스트라이커) | 20:3 (이덕주(레인저), 박진제(메카닉), 유나영(소환사)) |
3. 1. 1. 고래밥 컵 1차 리그 (2007)
屆|회중국어를 거듭할수록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던 던전앤파이터 리그의 첫 시작을 알린 리그이다. 2007년 8월 1일부터 9월 1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매주 수요일 밤 10시에 방송하였다.[1] 서버 대항전 형식으로 진행하였다.[1]개인전 챔피언은 프레이 서버의 King's (김남규, 스트리트파이터)가 차지했으며, 대장전 챔피언은 프레이 서버의 야화 (안지환(스트리트파이터), 유나영(소환사), 정승혁(스핏파이어)) 팀이 차지했다.[1]
3. 1. 2. 투니스컵 2차 리그 (2007)
OnGameNet영어 투니스 2차 리그는 2007년 10월 30일부터 12월 18일까지 매주 화요일 밤 10시에 방송되었다.[1] 챔피언 방어전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차 리그 때 허용되었던 레어 아바타는 사용이 금지되었다.[1]개인전 챔피언은 안톤 서버의 바라코(김현도, 스트라이커)이며, 대장전 챔피언은 카인 서버의 지면군대(장웅(스트라이커), 정준(스트리트파이터), 이선호(레인저))이다.[1]
3. 1. 3. 신한은행컵 3차 리그 (2008)
2008년 5월 16일부터 7월 18일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4시 30분에 방송되었다. 경기 도중 대회에 참가한 선수가 상대방 선수에게 귓속말로 특정 스킬을 쓰지 말라고 위협하여 승리한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되었다.[2]3. 1. 4. 신한은행컵 4차 리그 (2008)
新韓銀行|신한은행중국어컵 4차 리그는 2008년 9월 12일부터 11월 7일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5시에 방송되었다.[1] 던파리그 선수 출신인 정준, 정덕기가 해설을 맡기 시작했다.[1]개인전에서는 안톤 서버의 바라코(김현도, 스트라이커)가 챔피언을 차지했고,[1] 대장전에서는 대역죄인 팀(오수민(배틀메이지, 힐더), 김창원(그래플러, 카시야스), 유철규(웨펀마스터, 카인))이 챔피언을 차지했다.[1]
3. 1. 5. 신한은행컵 5차 리그 (2009)
新韓銀行杯|신한은행컵중국어 5차 리그는 2009년 1월 2일부터 2월 27일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5시에 방송되었다.[1] 챔피언 시드 쟁탈전이 도입되었다.[1]3. 1. 6. G마켓컵 6차 리그 (2009)
2009년 4월 14일부터 6월 7일까지 G마켓컵 6차 리그가 진행되었으며, 매주 금요일 오후 5시에 방송되었다. 온게임넷 편성 시간 문제로 일부 선수들의 경기가 편집되었는데[3], 편집된 경기는 온게임넷 공식 홈페이지와 온게임넷 던파리그 카페에서 확인할 수 있다.개인전에서는 프레이 서버의 '시집'(김현도, 스트라이커)이 우승을 차지했다. 대장전에서는 '20:3'(이덕주(레인저, 오즈마), 박진제(메카닉, 안톤), 유나영(소환사, 프레이))이 우승했다.
3. 2. 7차~9차 리그 (2009~)
新官天正중국어은 던파리그 최초로 등장한 중국인 선수였다.[1] 권민우는 최초로 개인전과 대장전을 모두 우승한 양대 우승자가 되었다.[1]구분 | 우승 | 준우승 |
---|---|---|
대장전 | 고수 | 악마군단 |
개인전 | 권민우 | 신철우 |
3. 3. 액션토너먼트 (2013~2015)
4. 중계진
기간 | 던전앤파이터 | 사이퍼즈 |
---|---|---|
1차 ~ 3차 | 성승헌, 온상민, 김태집 | 해당 없음 |
4차 ~ 6차 | 성승헌, 정준, 정덕기 | 해당 없음 |
7차 ~ 10차 | 성승헌, 정준, 이준행 | 해당 없음 |
액션 토너먼트 시즌1 | 성승헌, 정준 | 해당 없음 |
액션 토너먼트 2015 윈터 | 성승헌, 정준 | 정소림, 이준행, 오성균 |
5. 논란
던전앤파이터 리그 진행 과정에서 발생한 주요 논란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인용
던전앤파이터 연간리그
http://www.playple.c[...]
온게임넷
2010-04-16
[2]
뉴스
베타뉴스
http://www.betanews.[...]
[3]
문서
대장전 8강 B,C조, 개인전 시드랭킹전 2경기, 도전자 4강 B조 1경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