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니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미니코는 1170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1221년 사망한 가톨릭 사제이자, 도미니코 수도회의 창설자이다. 그는 청빈한 삶을 살며 설교를 통해 진리를 전파했고, 1216년 도미니코 수도회를 결성하여 교황의 승인을 받았다. 성모 마리아로부터 묵주를 받았다는 일화는 묵주 기도의 보급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후 123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하지만 중세 종교 재판과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일부에서는 그가 종교 재판관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미니코회 총장 - 교황 베네딕토 11세
도미니코회 총장 출신으로 제194대 교황에 오른 베네딕토 11세는 짧은 재임 기간 동안 보니파시오 8세의 파문 철회, 프랑스와 잉글랜드 휴전 중재, 새 추기경 임명, 성경 주석 집필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사후 복자로 시복되었다. - 도미니코회 총장 - 토마스 카예탄
토마스 카예탄은 이탈리아 출신의 도미니코회 수도사이자 신학자, 철학자, 추기경으로, 토마스 아퀴나스 철학 연구에 매진하여 토마스주의 학파의 주요 인물로 활동했으며, 교황권 옹호와 종교 개혁 시기 마르틴 루터 가르침 조사 등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철학, 신학 외에 경제 분야에서도 유비 개념 옹호와 무역의 도덕성에 대한 고찰로 알려져 있다. - 부르고스도 출신 - 헤수스 마리아 페레다
헤수스 마리아 페레다는 스페인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1964년 UEFA 유럽 네이션스컵 우승을 이끌었으며, 레알 마드리드, 세비야, FC 바르셀로나 등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스페인 U-16 대표팀을 UEFA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으로 이끌었으나 2011년 암으로 사망했다. - 부르고스도 출신 - 미겔 앙헬 포르투갈
미겔 앙헬 포르투갈은 스페인 출신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레알 마드리드에서 라리가와 코파 델 레이 우승을 경험했으며, 은퇴 후 여러 국가의 클럽을 지휘하며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을 달성했다. - 1221년 사망 - 테오도로스 1세 라스카리스
테오도로스 1세 라스카리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귀족 출신으로 니케아에서 비잔티움의 후계 국가를 세우고 황제를 선포했으며, 라틴 제국 등과 관계를 맺고 1221년에 사망했다. - 1221년 사망 - 무투겐
무투겐은 차가타이 칸의 아들로, 그의 자손들은 차가타이 울루스의 실권 장악과 당주위 계승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셋째 아들 예순 투아의 가문에서 차가타이 울루스의 주도권을 잡았다.
도미니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 |
이름 | 도미니코 |
존칭 접미사 | OP |
출생 이름 | 도밍고 펠릭스 데 구스만 이 아사 |
로마자 표기 | Domingo Félix de Guzmán |
IPA 표기 | /ɡuθˈman/ |
출생일 | 1170년 8월 8일 |
출생지 | 칼레루에가, 카스티야 왕국 |
사망일 | 1221년 8월 6일 |
사망지 | 볼로냐, 이탈리아 왕국, 신성 로마 제국 |
공경하는 교파 | 가톨릭교회 성공회 루터교 |
시성일 | 1234년 7월 13일 |
시성 장소 | 리에티 대성당 |
시성자 | 교황 그레고리오 9세 |
주요 성지 | 산 도메니코 대성당 |
축일 | 8월 8일 5월 24일 (유해 이송) 8월 4일 (1970년 이전 로마 보편 전례력) |
상징 | 도미니코회 수도복 개 머리 위의 별 백합 도미니코 규칙 지팡이 묵주 |
수호 | 천문학자 자연과학; 푸저우 대교구 천문학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 도밍고 푸에블로, 발레타, 비르구 (몰타), 캄파나, 칼라브리아, 마나과 |
추가 정보 |
2. 생애
1170년 구 카스티야 지방의 가난한 농촌 칼레루에가에서 펠릭스 데 구스만과 후아나 데 아사(후아나 갈세스)의 아들로 태어났다. 도밍고라는 이름은 를 따라 지어졌다. 작센의 요르단이 저술한 전기에 따르면, 어머니 복자요한나는 도미니코가 태중에 있을 때 개의 모습으로 횃불을 물고 뛰쳐나와 "온 세상에 불을 지르겠다"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51] 이 꿈은 중세에는 도미니코 수도회를 Dominicans→''Domini canes''(주님의 개)로 해석하는 말장난으로 여겨졌다.
6세부터 외삼촌이 주임 사제로 있는 교회에서, 14세부터 28세까지(1184년 - 1198년) 팔렌시아에서 팔렌시아 대학교로 발전하는 학교에서 인문학, 철학, 신학을 공부했다.[52] 그러나 굶주리고 목마른 가난한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고 자신의 소유물(성서 포함)을 모두 희사했다.[53]
교황에게 아나톨리아 전도를 청하여 주교와 함께 카타리파가 성행하는 랑그도크 지방으로 파견되었다. 거기서 가톨릭 전도에는 이단과 마찬가지로 열정과 엄격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청빈한 삶을 살았다. 이 무렵, 성모 마리아가 나타나 도미니코에게 묵주를 건네주었다는 일화가 전해지며[54], 도미니코 수도회가 묵주 보급에 기여했다고 알려진다.
남프랑스, 스페인을 여행하며 설교를 다녔고, 개종하는 사람들이 급증했다. 도미니코에 공감하는 사람들도 모여 1216년 도미니코 수도회(설교자 형제회)를 결성, 교황 호노리우스 3세에게 승인받았다.[53]
어느 날, 도미니코는 꿈에서 천국을 방문했으나 도미니코 수도회원이 아무도 없어 슬퍼했는데, 성모 마리아가 나타나 자신의 망토 속에 있다고 알려주었다고 한다.[55]
세 번이나 주교직을 권유받았지만 모두 거절하고, 사제로서 1221년에 사망했다. 도미니코의 일생은 진리를 추구하는 일생이었고, 그의 설교는 진리에 기반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매우 가난한 생활을 했다고 한다. 사후 123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2. 1. 탄생과 가족 관계
도미니코는 1170년 스페인의 오스마와 아란다데두에로 사이에 있는 칼레루에가에서 태어났다.[56] 그의 부모는 펠릭스 데 구스만과 아자의 요안나(후아나 데 아사 또는 후아나 갈세스)이다.[57] 도미니코라는 이름은 실로스의 도미니코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56]작센의 요르단의 기록에 따르면, 도미니코의 어머니는 그를 임신했을 때 횃불을 입에 문 개가 뱃속에서 튀어나와 온 세상이 불타오르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57] 이 이야기는 훗날 도미니코 수도회를 라틴어로 ‘도미니카누스’(Dominicanus)라고 하는데, 이를 ‘주님의 개’를 뜻하는 라틴어 ‘도미니 카니스’(Domini canis)로 해석하는 말장난이 되었다.[2]
2. 2. 교육과 초기 활동
도미니코는 팔렌시아에 있는 학교에서 예술과 신학을 각각 6년과 4년 동안 공부했다.[60] 14세부터 28세까지(1184년 - 1198년) 팔렌시아에서 인문학과 철학을 6년, 신학을 4년간 공부했다.[52] 6세부터는 외삼촌이 주임 사제로 있는 교회에서 공부했다.1191년, 스페인이 기근으로 황폐했을 때,[8] 젊은 도미니코는 가진 돈과 옷, 가구, 심지어 귀중한 사본까지 모두 팔아 굶주린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그는 놀란 동료 학생들에게 "사람들이 굶주림으로 죽어가는데 이 죽은 가죽으로 공부를 계속해야 합니까?"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8] 도미니코는 굶주리고 목마른 가난한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고 자신의 소유물을 모두 희사했는데, 거기에는 성서도 포함되어 있었다.[53]
1194년, 24세[9](25세[60])의 나이에 사제로 서품을 받은 후 오스마 대성당의 참사회원이 되었다.[9] 1198년, 마르틴 데 바산 오스마 주교는 참사회를 개혁하고 도미니코를 부수도원장으로 임명했다.[12] 얼마 지나지 않아, 의전사제가 되었다.[60]
1203년 또는 1204년에 도미니코는 오스마의 주교 디에고 데 아세도와 함께 알폰소 8세 카스티야 국왕을 위해 왕세자 페르난도의 신붓감을 덴마크에서 구하는 외교 사절단에 동행했다.[10] 이들은 아라곤과 프랑스 남부를 거쳐 덴마크로 갔다. 결혼 협상은 성공적이었지만, 공주는 카스티야로 떠나기 전에 사망했다.[11] 귀국길에 이들은 교황 인노첸시오 3세가 이단으로 간주한 영지주의적이고 이원론적인 신앙을 가진 종교 집단인 알비파에 대항하여 설교하도록 파견된 시토회 수도사들을 만났다. 도미니코와 디에고 데 아세보는 알비파의 금욕주의와 비교했을 때 시토회 수도사들의 성공이 부족한 이유가 그들의 사치와 화려함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도미니코와 디에고는 더욱 금욕적인 삶을 채택하고 프랑스 남부에서 알비파를 개종시키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2]
2. 3. 도미니코회 창설
1215년, 도미니코는 툴루즈의 지주 페드로 세일라가 제공한 가옥에서 자신과 뜻을 같이하는 여섯 명의 동료와 함께 수도회를 세웠다. 이들은 성 아우구스티노의 규칙을 따르고 프레몽트레회의 관습을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 폴케 주교는 도미니코와 그의 동료들에게 툴루즈 지역을 순회하며 설교하는 것을 허락했다.[62]도미니코는 성장하는 도시들의 영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도회나 세속 성직자보다 더 유연하면서도 헌신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조직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자신과 동료들을 기도와 속죄의 수도 규칙에 복종시켰다.[20]
같은 해,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에 참석한 도미니코는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게 수도회 인가를 약속받았다. 이후 1216년 12월, 새 교황 호노리오 3세는 도미니코회를 '설교자들의 수도회'(Ordo Praedicatorum, O.P.)라는 이름으로 공식 인준했다.[12]
2. 4. 묵주기도 전파
오늘날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의 하나인 묵주기도가 가톨릭 교회에 널리 확산되어 활발히 보급되기까지 도미니코가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85] 묵주 기도는 수세기 동안 도미니코회의 핵심이었다.[86] 도미니코회원들은 묵주 기도에 대한 신심을 널리 보급하고, 묵주 기도의 힘에 대한 가톨릭 신자들의 믿음을 강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87]
도미니코회 전통에 따르면, 1208년 도미니코는 프루이유(Prouille) 교회에서 성모 마리아의 환시를 보았고, 그때 성모 마리아는 그에게 묵주를 주었다.[15] 이것으로 인해 묵주 성모라는 호칭이 생겨났다.[16] 이 무렵, 이단 신자들을 어떻게든 개종시키고자 기도하던 중, 성모 마리아가 나타나 도미니코에게 묵주를 건네주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54] 그 때문에 도미니코 수도회가 묵주의 보급에 기여했다고도 말해진다.
볼란디스트 학파에 따르면, 이 환시 이야기는 알라누스 드 뤼프(Alanus de Rupe)에 의해 시작되었는데,[17] 역사적으로 사실이라고 보기는 어렵다.[18] 묵주의 보급은 도미니크 수도회의 설교 덕분이다.[19]
2. 5. 말년과 죽음
도미니코는 유럽 전역을 여행하며 설교하고 수도회를 확장하는 데 힘썼다. 그는 로마를 본부로 삼아 성장하는 수도회 형제들과 연락을 유지했다.[21] 1219년에는 호노리오 3세 교황의 초대로 로마 산타 사비나 성당에 거주하기도 했다.[22]도미니코는 금욕적인 생활과 과로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어 1221년 8월 6일 이탈리아 볼로냐의 산 니콜라스 수도원에서 51세의 나이로 선종했다.[9] 그는 죽기 전 동료 수사들에게 "형제들 간에 서로 사랑하여라. 겸손하여라. 청빈을 자발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영적인 보화를 만들어 가도록 하라."고 권고했다.[77]
도미니코는 1234년 그레고리오 9세 교황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1267년 그의 유해는 볼로냐의 산 도메니코 성당에 있는 산 도메니코의 성궤로 옮겨졌다.[70]
3. 종교 재판과의 관계 논란
도미니코가 중세 종교 재판에 관여했다는 주장은 수세기 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78] 그러나 도미니코가 살았던 당시의 역사 자료를 보면, 그는 종교 재판에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79] 한 역사학자는 도미니코가 1221년에 사망했고, 종교 재판소는 그보다 늦은 1231년과 1234년에 각각 롬바르디아와 랑그도크에 세워졌다는 점을 들어 도미니코가 종교 재판에 참여할 수 없었다고 명확히 밝혔다.[80]
초창기 도미니코회원들 중 일부가 종교 재판관으로 활동한 것은 사실이다.[81]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도미니코와 종교 재판관이 된 초기 도미니코회원들 사이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15세기 스페인 종교 재판소는 화가 페드로 베루게테에게 도미니코가 스페인 종교 재판을 주재하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을 그리도록 의뢰하여 자신들의 정당성을 주장하려 했다.[82]
이러한 이미지는 16~17세기 개신교 비평가들에 의해 더욱 과장되어 퍼져나갔다.[83] 특히 독일의 개신교 비평가들은 도미니코회를 자신들의 강력한 எதிர수로 인식하고, 도미니코를 이단 심문관으로 묘사하는 전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84] 에드워드 피터스는 16세기 개신교 사료에서 도미니코에 대한 적대적인 문화가 성장했다고 지적했다.[30]
결론적으로, 도미니코는 가톨릭과 개신교 양측의 논쟁 과정에서 이단 심문관이라는 오명을 쓰게 되었고, 억울하게도 흑색 선전의 대상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4. 기타
성 도미니코의 끈은 착용자에게 성 도미니크의 보호를 상기시켜주는 가톨릭 교회의 성사품이다.[32] 끈은 소리아노의 성 도미니크 기적의 그림과 관련이 있으며, "오 놀라운 희망" 기도의 시작 부분이 끈에 적혀 있다.[34] 전통에 따르면, 성 도미니크로부터 은총을 받고자 하는 사람은 항상 이 끈을 착용해야 하며,[35] 특히 불임 부부는 하느님으로부터 자녀를 얻는 은총을 위해 이 끈을 사용한다.[36]
도미니카 공화국과 수도 산토도밍고는 성 도미니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지역과 전통에 따라 여러 날짜에 성 도미니코의 축일을 기념한다.
우를라우 축제(Pattern of Urlaur)는 중세 시대부터 매년 8월 4일 메이요 주 킬무비의 우를라우에서 성 도미니코의 축일을 기념하기 위해 열리는 축제이다.[38]
몰타의 비르구 구시가지와 발레타 수도에서 성 도미니코의 축일은 큰 경건과 헌신으로 기념된다. 도미니코 수도회는 몰타와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도미니코 수사였던 비오 5세 교황은 성 요한 기사단이 발레타 도시를 건설하는 것을 도왔다.[37]
영국 성공회와 미국 성공회에서도 8월 8일에 성 도미니코를 기념한다.[48][49]
4. 1. 도미니코의 끈
성 도미니코의 끈은 착용자에게 성 도미니크의 보호를 상기시켜주는 가톨릭 교회의 성사품이다.[32] 끈의 역사는 소리아노의 성 도미니크 기적의 그림과 관련이 있는데, 그림의 둘레가 끈의 길이를 정의한다.[33] "오 놀라운 희망" 기도의 시작 부분이 끈에 적혀 있으며,[34] 전통에 따르면, 성 도미니크로부터 은총을 받고자 하는 사람은 항상 이 끈을 착용해야 한다.[35] 불임 부부는 하느님으로부터 자녀를 얻는 은총을 위해 성 도미니크에게 중재 기도를 하며 이 끈을 사용한다.[36]4. 2. 도미니코를 기념하는 장소
도미니카 공화국과 수도 산토도밍고는 성 도미니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3. 축일
가톨릭 교회에서는 지역과 전통에 따라 여러 날짜에 성 도미니코의 축일을 기념한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
우를라우 축제(Pattern of Urlaur)는 중세 시대부터 매년 8월 4일 메이요 주 킬무비의 우를라우에서 성 도미니코의 축일을 기념하기 위해 열리는 축제이다.[38]
몰타의 비르구 구시가지와 발레타 수도에서 성 도미니코의 축일은 큰 경건과 헌신으로 기념된다. 도미니코 수도회는 몰타와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도미니코 수사였던 비오 5세 교황은 성 요한 기사단이 발레타 도시를 건설하는 것을 도왔다.[37]
영국 성공회와 미국 성공회에서도 8월 8일에 성 도미니코를 기념한다.[48][49]
참조
[1]
웹사이트
Saint Dominic
https://www.francisc[...]
[2]
서적
Joan of Aza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07
[3]
간행물
Libellus de principiis
[4]
간행물
Legenda Sancti Dominici
[5]
간행물
Vita S. Dominic
[6]
서적
Andanças e viajes
[7]
서적
An ecclesiastical biography, containing the lives of ancient fathers and modern divines, interspersed with notices of heretics and schismatics, forming a brief history of the church in every age
F. and J. Rivington; Parker, Oxford; J. and J. J. Deighton, Cambridge; T. Harrison, Leeds
[8]
서적
The Inquisition: A History
McFarland
[9]
웹사이트
St. Dominic of Guzmán, priest, Founder of the Order of The Preachers – Information on the Saint of the Day – Vatican News
https://www.vaticann[...]
2020-10-31
[10]
간행물
Libellus de principiis
[11]
웹사이트
Saint Dominic
http://www.3op.org/s[...]
2013-01-13
[12]
백과사전
St. Dominic
2020-10-31
[13]
서적
Medieval France: An Encyclopedia
Routledge
[14]
서적
Guillaume de Puylaurens, Chronique 1145–1275: Chronica magistri Guillelmi de Podio Laurentii
CNRS
[15]
서적
St. Dominic and the rosary
[16]
서적
The Rosary: The Little Summa
[17]
웹사이트
The Rosary
https://www.newadven[...]
2023
[18]
웹사이트
Alanus de Rupe
https://www.newadven[...]
[1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Dominicans
http://opcentral.org[...]
2014
[20]
웹사이트
French translation of Foulques' 1215 letter
http://www.dominicai[...]
2012-01-11
[21]
웹사이트
Life of St. Dominic
http://www.dominican[...]
[22]
웹사이트
St. Dominic and His Work
http://www.domcentra[...]
B. Herder Book Co.
2012-06-18
[23]
웹사이트
Saint Dominic Guzmán presiding over an auto-da-fé
https://www.museodel[...]
[24]
서적
The Medieval Inquisition
Holmes & Meier
[25]
서적
St. Dominic: The Grace of the Word
Ignatius Press
[26]
서적
Truth and the heretic: crises of knowledge in medieval French litera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서적
Inquis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8]
웹사이트
Medieval Inquisition
http://courseweb.stt[...]
2020-05-09
[29]
서적
Inquisition
The Free Press
[30]
서적
Inquisition
[31]
서적
Inquisition
[32]
웹사이트
O pasku – Mniszki dominikańskie na Gródku
https://grodek.mnisz[...]
2022-12-06
[33]
웹사이트
Pasek św. Dominika
https://www.przewodn[...]
2022-12-06
[34]
웹사이트
Contemplata aliis Tradere
http://contemplare.b[...]
2022-12-06
[35]
웹사이트
Pasek św. Dominika – historia oraz świadectwa szczęśliwych matek
https://pch24.pl/pas[...]
2022-12-06
[36]
웹사이트
Dla pragnących potomstwa - Pasek św. Dominika
https://stacja7.pl/m[...]
2017-08-08
[37]
웹사이트
St. Dominic and the Rosary
http://www.catholic.[...]
Catholic.net
[38]
웹사이트
Kilkelly, County Mayo
http://www.mayo-irel[...]
[39]
웹사이트
Capilla y Sepulcro
https://www.dominico[...]
2016-12-13
[40]
웹사이트
Lexikoneintrag zu »Dominicus, S. (7)«. Vollständiges Heiligen-Lexikon, Band 1. ...
http://www.zeno.org/[...]
[41]
웹사이트
San Domenico di Guzman
http://www.santiebea[...]
[42]
웹사이트
Liturgical Calendar — Australia (2021)
http://www.gcatholic[...]
[43]
웹사이트
Dominik
https://deon.pl/imio[...]
[44]
웹사이트
Kalendarz liturgiczny - sierpień - Diecezja Sosnowiecka
http://diecezja.sosn[...]
[45]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2004)
http://archive.org/d[...]
2004
[46]
웹사이트
Santuario San Domenico in Soriano
https://it-it.facebo[...]
[47]
서적
Piccolo breviario
https://books.google[...]
Edizioni Studio Domenicano
1992
[48]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49]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Church Publishing, Inc.
2019-12-17
[50]
웹사이트
http://www.catholic.[...]
[51]
서적
Libellus de principiis
[52]
논문
[53]
웹사이트
https://www.dominic.[...]
[54]
웹사이트
http://www.cbcj.cath[...]
[55]
웹사이트
http://dominica.jp/b[...]
[56]
웹인용
"Saint Dominic", Lay Dominicans
http://www.3op.org/s[...]
2013-04-17
[57]
서적
Legenda Sancti Dominici, 4.
[58]
서적
Vita S. Dominic
[59]
서적
Andanças e viajes
[60]
웹사이트
http://www.catholic.[...]
[61]
서적
Libellus de principiis
[62]
웹사이트
http://www.dominicai[...]
[63]
웹사이트
Life of St. Dominic
http://www.dominican[...]
[64]
웹사이트
St. Dominic and His Work
http://www.domcentra[...]
B. Herder Book Co.
1948
[65]
논문
[66]
논문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St. Dominic: The Grace of the Word
Ignatius Press
[79]
서적
The Medieval Inquisition
Holmes & Meier
[80]
서적
St. Dominic
[81]
서적
The Medieval Inquisition
[82]
서적
Inquisition
The Free Press
[83]
서적
Inquisition
[84]
서적
Inquisition
[8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4-10-12
[86]
웹인용
St. Dominic and the Rosary
http://www.catholic.[...]
Catholic.net
2008-07-11
[8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Dominicans
http://www.domcentra[...]
2008-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