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카이도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카이도리역은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 미나토구에 위치한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코 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으로, 2019년 하루 평균 7,461명이 이용했다. 1971년 3월 29일에 개업했으며, 2020년 6월 15일부터 스크린도어 사용을 시작했다. 역 주변에는 나고야 시립 나카가와 초등학교, 도카이도리 상점가 등이 있으며, 나고야 시영 버스 노선이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나토구 (나고야시)의 철도역 - 나고야코역
나고야코역은 1971년 개업한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코 선의 지하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가동식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나고야항 수족관 등 관광 명소가 있는 가든 부두 인근에 위치한다. - 미나토구 (나고야시)의 철도역 - 미나토쿠야쿠쇼역
미나토쿠야쿠쇼역은 1971년에 개업한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코선의 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미나토구청 인근에 위치하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2011년부터는 역 업무가 일본통운에 위탁 운영되고 있으며 인근에는 나고야 시영 버스와 환승 가능한 미나토구청 버스 정류장이 있다. - 1971년 개업한 철도역 - 아우라지역
아우라지역은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정선선 소속의 지상역으로, 1971년 여량역으로 개업하여 2000년에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정선아리랑열차 운행 및 어름치 카페, 캡슐 하우스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 1971년 개업한 철도역 - 바자오유러위안역
바자오유러위안역은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의 지하철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바자오 북로와 바자오 남로 지하에 위치하며, 과거 공무원 전용으로 운영되다 일반 시민과 외국인에게 개방되었고, 주변에는 스징산 체육장, 바자오 공원, 스징산 유러위안 등이 있다. - 나고야시 교통국의 철도역 - 나고야역
나고야역은 JR 도카이,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나고야시 교통국 노선이 접속하고, 메이테쓰 및 긴테쓰와 환승이 가능하며, 도카이도 신칸센의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나고야 지역 교통의 중심지이자 '메이에키'라 불리는 번화가이다. - 나고야시 교통국의 철도역 - 미즈호운도조히가시역
미즈호운도조히가시역은 나고야 시 교통국 사쿠라도리선에 있는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주변에는 미즈호 공원, 미즈호 경기장, 아이치 현립 대학 등이 위치한다.
도카이도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역 이름 | 도카이도리 역 |
로마자 표기 | Tōkai-dōri-eki |
위치 | 아이치현 나고야시 미나토구 도카이도리 3-177 |
운영 정보 | |
운영 주체 | 나고야 시 교통국 (나고야 시영 지하철) |
노선 | 메이코 선 |
역 번호 | E04 |
개업일 | 1971년 3월 29일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
버스 환승 | 버스 터미널 |
통계 정보 | |
2008년 승객 수 | 2,560,618명 |
2019년 평균 승차 인원 | 7,461명 |
2019년 평균 승강 인원 | 14,689명 |
노선 정보 | |
이전 역 | 미나토구청 E05 |
다음 역 | 로쿠반초 E03 |
역간 거리 (미나토구청 방면) | 0.8km |
역간 거리 (로쿠반초 방면) | 1.2km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가나야마 기점 3.8km |
2. 역 구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다. 개찰구는 남북으로 1개씩, 출입구는 총 4곳이 있다. 각 승강장과 남쪽 개찰구 및 대합실과 지상을 연결하는 엘리베이터가 1기씩 설치되어 있다.[2][3]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나고야항 방면에는 보수 기지와 비상용 건넘선이 있다. 이 역은 메이조 선 남부 역무구 가나야마 관구역이 관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