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산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산동은 서울특별시 금천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마을 뒷산이 민둥산이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고려 강감찬 장군의 후손 강희가 자신의 호를 따서 독산으로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2008년 독산3동과 독산본동이 통합되어 현재의 독산동이 되었으며, 서울안천초등학교, 안천중학교, 독산고등학교 등 교육 시설과 수도권 전철 1호선,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 독산역 등의 교통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금천구의 행정 구역 - 시흥동 (서울)
시흥동은 서울특별시 금천구에 있는 동으로, 조선 시대 시흥현에서 유래하여 '새롭게 일어나는 땅'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1963년 서울특별시에 편입된 후 분동을 거쳐 현재 5개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 서울 금천구의 행정 구역 - 가산동
가산동은 금천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과거 가리봉동에서 분동되었으며, 갓을 만드는 사람들이 많이 살아 '갓뫼' 또는 '갓산'이라 불리던 것에서 유래되었고, 현재는 가산디지털단지를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활발하며, 가산디지털단지역과 독산역이 위치해 있다. - 서울 금천구의 법정동 - 시흥동 (서울)
시흥동은 서울특별시 금천구에 있는 동으로, 조선 시대 시흥현에서 유래하여 '새롭게 일어나는 땅'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1963년 서울특별시에 편입된 후 분동을 거쳐 현재 5개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 서울 금천구의 법정동 - 가산동
가산동은 금천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과거 가리봉동에서 분동되었으며, 갓을 만드는 사람들이 많이 살아 '갓뫼' 또는 '갓산'이라 불리던 것에서 유래되었고, 현재는 가산디지털단지를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활발하며, 가산디지털단지역과 독산역이 위치해 있다. - 1977년 폐지 - 신대방동
신대방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동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를 거쳐 서울에 편입되었으며, 서울보라매초등학교, 문창초등학교, 대방중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 등의 시설과 신대방역, 신대방삼거리역이 위치해 있다. - 1977년 폐지 - 성산동 (서울)
성산동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하며, 산세가 성처럼 둘러싸인 지형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과거 '성메' 또는 '성미'로 불리다 일제강점기 이후 택지 조성 사업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현재는 성산1동과 성산2동으로 나뉘어 행정 업무를 수행하고, 서울월드컵경기장과 서부자동차검사소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한다.
독산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한글 | 독산동 |
한자 | 禿山洞 |
로마자 표기 | Doksan-dong |
행정 구역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면적 | 4.2km² |
인구 (2001년 기준) | 116,410명 |
인구 밀도 | 8,682명/km² |
독산제1동 정보 | |
한자 표기 | 禿山第1洞 |
영어 표기 | Doksan 1(il)-dong |
면적 | 2.08km² |
세대 (2012년 12월 31일 기준) | 14,315세대 |
인구 (2022년 2월 기준) | 45,144명 |
법정동 | 독산동 |
통 | 38 |
반 | 296 |
동 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123길 11 |
홈페이지 | 금천구 독산1동 주민센터 |
독산제2동 정보 | |
한자 표기 | 禿山第2洞 |
영어 표기 | Doksan 2(i)-dong |
면적 | 0.61km² |
세대 (2012년 12월 31일 기준) | 9,837세대 |
인구 (2022년 2월 기준) | 18,721명 |
법정동 | 독산동 |
통 | 33 |
반 | 263 |
동 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로 179 |
홈페이지 | 금천구 독산2동 주민센터 |
독산제3동 정보 | |
한자 표기 | 禿山第3洞 |
영어 표기 | Doksan 3(sam)-dong |
면적 | 0.92km² |
세대 (2012년 12월 31일 기준) | 12,778세대 |
인구 (2022년 2월 기준) | 24,135명 |
법정동 | 독산동 |
통 | 46 |
반 | 395 |
동 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로 317 |
홈페이지 | 금천구 독산3동 주민센터 |
독산제4동 정보 | |
한자 표기 | 禿山第4洞 |
영어 표기 | Doksan 4(sa)-dong |
면적 | 0.59km² |
세대 (2012년 12월 31일 기준) | 8,341세대 |
인구 (2022년 2월 기준) | 15,102명 |
법정동 | 독산동 |
통 | 28 |
반 | 229 |
동 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로 232 |
홈페이지 | 금천구 독산4동 주민센터 |
2. 지명 유래
독산동의 '독(禿)'자는 '대머리'를 의미하며, 동명의 유래는 이 마을의 산봉우리에 나무가 없어 '벌거숭이 산'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강희의 말에 따르면, “내 집 뒤에 산이 있는데 벌거숭이 산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독산이라 한다. 원래는 나무가 있었으나 한성 교외에 있는 까닭에 도끼로 찍히고, 소 · 염소 따위에게 먹혀 벌거숭이가 되었다”고 한다.[3]
현재 독산동은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2008년 1월 1일, 독산3동과 독산본동이 통합되어 현재의 독산동이 되었다.
독산동에는 다수의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위치하여 지역 학생들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인 학교 목록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조할 수 있다.
강희는 고려 시대 강감찬 장군의 후손으로, 그의 생몰년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439년 (세종 21년) 문과에 급제한 사실로 미루어 조선 중기 이전의 인물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독산동이라는 지명 역시 그 이전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강희의 본관은 금천(衿川)이며, 호는 독산(禿山)이었다.
한편, 옛 지도에는 현재의 한울중학교(구 대림여자중학교) 지역이 문교리(文橋里)로 표시되어 있었는데, 이 문교리는 1911년 4월 27일 독산리에 흡수되었다.
3. 행정 구역 및 연혁
4. 교육
4. 1. 초등학교
4. 2. 중학교
5. 교통
- 가산디지털단지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 독산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참조
[1]
웹사이트
독산동 (Doksan-dong 禿山洞)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19
[2]
웹사이트
The origin of Doksan-dong
http://www.geumcheon[...]
Geumcheon District official site
2008-04-20
[3]
웹사이트
독산동 유래
http://doksan1.geumc[...]
2012-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