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일 제국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제국의 국가는 1790년 하인리히 하리스가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7세를 기리기 위해 작사한 곡에서 유래했다. 이 곡은 프로이센에서 사용하도록 개작되었으며, 독일 제국 선포 후 'Kaiser'(황제)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 이 곡은 빌헬름 2세 치세에 사용되었으며, 가사 중 'Kaiser Wilhelm'은 원래 빌헬름 1세를 가리켰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에는 새로운 가사가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유럽 - 웨스트민스터 조약
    웨스트민스터 조약은 1462년부터 1756년까지 잉글랜드-스코틀랜드 귀족, 영국-네덜란드, 영국-프로이센 간에 체결된 여러 조약들을 지칭하며, 영국의 해상 패권, 유럽 세력 균형, 식민지 경쟁 등 다양한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 18세기 유럽 - 외교 혁명
    외교 혁명은 18세기 중반 유럽에서 오스트리아가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영국과 프로이센이 동맹을 맺으며 외교 관계가 재편된 사건으로,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외교 정책 변화와 식민지 경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부르봉 왕가와 합스부르크 왕가 사이에 베르사유 조약이 체결되어 7년 전쟁의 배경이 되었다.
  • 독일 제국 - 독일령 뉴기니
    독일령 뉴기니는 1884년부터 1919년까지 독일 제국의 식민지였으며, 독일의 식민 정책과 강제 노동, 선교 활동을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후 호주, 일본, 미국 등에 분할되었다.
  • 독일 제국 - 독일 11월 혁명
    독일 11월 혁명은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직후 독일 제국에서 발생하여 군주제를 무너뜨리고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진 혁명으로,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 러시아 혁명의 영향, 군부의 붕괴 등이 배경이 되었다.
  • 옛 국가 - 동방홍
    동방홍은 중국 섬서성 북부 민요 가락에 리유위안이 가사를 붙여 마오쩌둥을 찬양하는 노래로, 마오쩌둥 시대에 사실상 국가 역할을 했으며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마오쩌둥 개인 숭배에 이용되었고, 덩샤오핑 시대 이후 공식적인 사용은 줄었으나 중국인들에게 문화적 상징으로 남아 뮤지컬, 기관차, 역, 광장 등의 명칭에 사용되었다.
  • 옛 국가 - 남아프리카의 외침
    '남아프리카의 외침'은 아프리칸스어 노래로, 과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국가였으나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상징으로 여겨졌고, 현재는 '주여, 아프리카를 구원하소서'와 함께 새로운 국가의 일부로 사용되며 화해와 갈등의 복잡한 역사를 상징한다.
독일 제국의 국가
일반 정보
1900년경 엽서
1900년경 엽서
제목Heil dir im Siegerkranz (황제 폐하 만세)
영어 제목Hail to Thee in Victor's Crown (승리자의 관에 씌워진 당신께 만세)
작사가하인리히 하리스
작사 연도1790년
작곡가"God Save the King" (하느님, 국왕을 보호하소서)
채택1795년 (프로이센 왕국 국가로), 1871년 (독일 제국 국가로)
폐지1918년
계승 국가Das Lied der Deutschen (독일인의 노래)
가사 (1절)
(한국어 번역)승리자의 관을 쓰신 당신께, 조국의 통치자시여! 만세, 폐하, 당신께! 왕좌의 광채 속에서 숭고한 기쁨을 온전히 느끼소서. 사랑하는 조국이여! 만세, 폐하, 당신께!

2. 가사

하인리히 하리스가 1790년 덴마크의 국왕 크리스티안 7세를 기리기 위해 작사한 가사는[9] 원래 "Heil, Christian, dir"라는 구절을 포함하고 있었다. 1793년, 이 가사는 Balthasar Gerhard Schumacher|발타자르 게르하르트 슈마허de에 의해 프로이센에서 사용하도록 개작되었는데, 이때 ''Christian''은 ''König''(왕)으로 바뀌었다. 독일 제국 선포 후에는 ''König''이 ''Kaiser''(황제)로 대체되었다.[5]

가사에 나오는 ''Kaiser Wilhelm''은 원래 빌헬름 1세를 가리켰다. 프리드리히 3세는 99일 동안만 통치했고, 빌헬름 2세가 즉위했다. 당시에는 빌헬름 2세의 잦은 여행 때문에 노래 제목이 "Heil Dir im Sonderzug"("그대의 특별 열차에 경례를")으로 바뀌었다는 농담도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인 1914년, 후고 카운은 "God Save the King"과의 유사성을 없애기 위해 가사에 새로운 곡을 붙였다.[6]

독일어 원문, IPA 전사, 영어 번역[5]
독일어 원문IPA 전사영어 번역


2. 1. 원문 (독일어)

:Heil dir im Siegerkranz,de

:Herrscher des Vaterlands!de

:Heil, Kaiser, dir!de

:𝄆 Fühl in des Thrones Glanzde

:Die hohe Wonne ganz,de

:Liebling des Volks zu sein!de

:Heil Kaiser, dir! 𝄇de

:Nicht Roß, nicht Reisigede

:Sichern die steile Höh’,de

:Wo Fürsten stehn:de

:𝄆 Liebe des Vaterlands,de

:Liebe des freien Mannsde

:Gründen den Herrschers Thronde

:Wie Fels im Meer. 𝄇de

:Heilige Flamme, glüh',de

:Glüh' und erlösche niede

:Für's Vaterland!de

:𝄆 Wir alle stehen dannde

:Mutig für einen Mann,de

:Kämpfen und bluten gernde

:Für Thron und Reich! 𝄇de

:Handlung und Wissenschaftde

:Hebe mit Mut und Kraftde

:Ihr Haupt empor!de

:𝄆 Krieger und Heldenthatde

:Finde ihr Lorbeerblattde

:Treu aufgehoben dort,de

:An deinem Thron! 𝄇de

:Sei, Kaiser Wilhelm, hierde

:Lang deines Volkes Zier,de

:Der Menschheit Stolz!de

:𝄆 Fühl in des Thrones Glanz,de

:Die hohe Wonne ganz,de

:Liebling des Volks zu sein!de

:Heil, Kaiser, dir! 𝄇de[5]

2. 2. 한국어 번역

하인리히 하리스는 1790년 덴마크의 국왕 크리스티안 7세를 기리기 위해 가사를 썼으며, "Heil, Kaiser, dir"라는 구절은 원래 "Heil, Christian, dir"였다. 1793년, 하리스의 가사는 Balthasar Gerhard Schumacher|발타자르 게르하르트 슈마허de (1755–1805)에 의해 프로이센에서 사용하도록 개작되었다. 슈마허는 하리스의 가사를 줄이고 ''Christian''이라는 단어를 ''König''(왕)으로 바꿨다. 독일 제국이 선포된 후, ''König''이라는 단어는 ''Kaiser''(황제)로 대체되었다.[5]

가사에 나오는 ''Kaiser Wilhelm''은 원래 1888년까지 통치했던 빌헬름 1세를 가리켰다. 그의 아들인 프리드리히 3세는 99일 동안만 통치했고, 그 뒤를 이어 빌헬름 2세가 즉위했다. 당시 농담 중 하나는 빌헬름 2세의 잦은 여행으로 인해 이 노래의 제목이 "Heil Dir im Sonderzug"("그대의 특별 열차에 경례를")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제1차 세계 대전이 1914년에 시작된 후, 후고 카운은 "God Save the King"과의 유사성을 없애기 위해 국가의 가사를 새로운 음악으로 설정했다.[6]

한국어 번역[5]


3. 역사

"라인강의 파수병(Die Wacht am Rhein)"은 애국가로서 매우 인기가 많아 종종 비공식적인 국가로 여겨지기도 했다.[7]

바이에른 왕국에서는 공식 국가가 ""("우리 왕에게 만세!")였으며, 이 또한 "신이여, 국왕을 지켜주소서"의 멜로디에 맞춰 불렸다. 마찬가지로 리히텐슈타인은 같은 멜로디로 불리는 "어린 라인강 위에서(Oben am jungen Rhein)"(1920)을 국가로 사용한다.

하와이 국가 "하와이 포노이(Hawaiʻi Ponoʻī)"는 프로이센의 악장(Kapellmeister) 앙리 베르거가 작곡했으며, 이 멜로디를 변형한 것이다.[8]

3. 1. 기원

하인리히 하리스는 1790년 덴마크의 국왕 크리스티안 7세를 기리기 위해 가사를 썼으며, "Heil, Kaiser, dir"라는 구절은 원래 "Heil, Christian, dir"였다.[9] 1793년, 하리스의 가사는 Balthasar Gerhard Schumacherde에 의해 프로이센에서 사용하도록 개작되었다. 슈마허는 하리스의 가사를 줄이고 ''Christian''이라는 단어를 ''König''(왕)으로 바꿨다. 독일 제국이 선포된 후, ''König''이라는 단어는 ''Kaiser''(황제)로 대체되었다.[5]

가사에 나오는 ''Kaiser Wilhelm''은 원래 1888년까지 통치했던 빌헬름 1세를 가리켰다. 그의 아들인 프리드리히 3세는 99일 동안만 통치했고, 그 뒤를 이어 빌헬름 2세가 즉위했다. 당시 농담 중 하나는 빌헬름 2세의 잦은 여행으로 인해 이 노래의 제목이 "Heil Dir im Sonderzug"("그대의 특별 열차에 경례를")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제1차 세계 대전1914년에 시작된 후, 후고 카운은 "God Save the King"과의 유사성을 없애기 위해 국가의 가사를 새로운 음악으로 설정했다.[6]

3. 2. 독일 제국 시대

하인리히 하리스는 1790년 덴마크의 국왕 크리스티안 7세를 기리기 위해 가사를 썼으며, "Heil, Kaiser, dir"라는 구절은 원래 "Heil, Christian, dir"였다. 1793년, 하리스의 가사는 Balthasar Gerhard Schumacher|발타자르 게르하르트 슈마허de (1755–1805)에 의해 프로이센에서 사용하도록 개작되었다. 슈마허는 하리스의 가사를 줄이고 ''Christian''이라는 단어를 ''König''(왕)으로 바꿨다. 독일 제국이 선포된 후, ''König''이라는 단어는 ''Kaiser''(황제)로 대체되었다.[5]

독일어 원문한국어 번역
Heil dir im Siegerkranz,\\Herrscher des Vaterlands!\\Heil, Kaiser, dir!\\𝄆 Fühl in des Thrones Glanz\\Die hohe Wonne ganz,\\Liebling des Volks zu sein!\\Heil Kaiser, dir! 𝄇\\\\Nicht Roß, nicht ReisigeSichern die steile Höh’,\\Wo Fürsten stehn:\\𝄆 Liebe des Vaterlands,\\Liebe des freien Manns\\Gründen den Herrschers Thron\\Wie Fels im Meer. 𝄇\\\\Heilige Flamme, glüh,\\Glüh und erlösche nie\\Für's Vaterland!\\𝄆 Wir alle stehen dann\\Mutig für einen Mann,\\Kämpfen und bluten gern\\Für Thron und Reich! 𝄇\\\\Handlung und Wissenschaft\\Hebe mit Mut und Kraft\\Ihr Haupt empor!\\𝄆 Krieger und Heldenthat\\Finde ihr Lorbeerblatt\\Treu aufgehoben dort,\\An deinem Thron! 𝄇\\\\Sei, Kaiser Wilhelm, hier\\Lang deines Volkes Zier,\\Der Menschheit Stolz!\\𝄆 Fühl in des Thrones Glanz,\\Die hohe Wonne ganz,\\Liebling des Volks zu sein!\\Heil, Kaiser, dir! 𝄇[5]de승리의 화관으로 그대에게 경례를,\\조국의 통치자여!\\만세, 황제여!\\𝄆 왕좌의 영광 속에서 느껴라\\온전한 숭고한 환희를,\\인민의 사랑을 받는 자가 되기를!\\만세, 황제여! 𝄇\\\\말도 기병도 아닌\\요새를 지키는 것은,\\군주가 서 있는 곳:\\𝄆 조국에 대한 사랑,\\자유로운 사람들의 사랑이,\\통치자의 왕좌를 세우네\\바다의 암초처럼. 𝄇\\\\오 신성한 불꽃이여, 타올라라,\\타올라 영원히 꺼지지 말라\\조국을 위해!\\𝄆 그러면 우리 모두는 일어서리라\\한 사람을 위해 용감하게,\\기꺼이 싸우고 피를 흘리리라\\왕좌와 제국을 위해! 𝄇\\\\상업과 과학은\\용기와 힘을 가지고\\그들의 머리를 높이 들어올려라!\\𝄆 전사들과 영웅들의 업적은\\그들의 월계관을 찾으리라\\충실하게 보존된 곳,\\그대의 왕좌에! 𝄇\\\\빌헬름 황제여, 여기,\\오래도록 그대 백성의 자랑,\\인류의 자부심이 되어주소서!\\𝄆 왕좌의 영광 속에서 느껴라\\온전한 숭고한 환희를,\\인민의 사랑을 받는 자가 되기를!\\만세, 황제여! 𝄇



가사에 나오는 ''Kaiser Wilhelm''은 원래 1888년까지 통치했던 빌헬름 1세를 가리켰다. 그의 아들인 프리드리히 3세는 99일 동안만 통치했고, 그 뒤를 이어 빌헬름 2세가 즉위했다. 당시 농담 중 하나는 빌헬름 2세의 잦은 여행으로 인해 이 노래의 제목이 "Heil Dir im Sonderzug"("그대의 특별 열차에 경례를")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제1차 세계 대전이 1914년에 시작된 후, 후고 카운은 "God Save the King"과의 유사성을 없애기 위해 국가의 가사를 새로운 음악으로 설정했다.[6]

3. 3. 제1차 세계 대전

하인리히 하리스는 1790년 덴마크의 국왕 크리스티안 7세를 기리기 위해 가사를 썼으며, "Heil, Kaiser, dir"라는 구절은 원래 "Heil, Christian, dir"였다. 1793년, 하리스의 가사는 Balthasar Gerhard Schumacher|발타자르 게르하르트 슈마허de에 의해 프로이센에서 사용하도록 개작되었다. 슈마허는 하리스의 가사를 줄이고 ''Christian''이라는 단어를 ''König''(왕)으로 바꿨다. 독일 제국이 선포된 후, ''König''이라는 단어는 ''Kaiser''(황제)로 대체되었다.[5]

가사에 나오는 ''Kaiser Wilhelm''은 원래 1888년까지 통치했던 빌헬름 1세를 가리켰다. 그의 아들인 프리드리히 3세는 99일 동안만 통치했고, 그 뒤를 이어 빌헬름 2세가 즉위했다. 당시 농담 중 하나는 빌헬름 2세의 잦은 여행으로 인해 이 노래의 제목이 "Heil Dir im Sonderzug"("그대의 특별 열차에 경례를")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제1차 세계 대전이 1914년에 시작된 후, 후고 카운은 "God Save the King"과의 유사성을 없애기 위해 국가의 가사를 새로운 음악으로 설정했다.[6]

4. 다른 노래와의 관계

라인강의 파수병(Die Wacht am Rhein)은 애국가로서 매우 인기가 많아 종종 비공식적인 국가로 여겨지기도 했다.[7]

바이에른 왕국에서는 공식 국가가 "우리 왕에게 만세!"였으며, 이 또한 "신이여, 국왕을 지켜주소서"의 멜로디에 맞춰 불렸다. 마찬가지로 리히텐슈타인은 같은 멜로디로 불리는 "어린 라인강 위에서(Oben am jungen Rhein)"(1920)을 국가로 사용한다.

하와이 국가 "하와이 포노이(Hawaiʻi Ponoʻī)"는 프로이센의 악장(Kapellmeister) 앙리 베르거가 작곡했으며, 이 멜로디를 변형한 것이다.[8]

참조

[1] 서적 Politischer Umbruch und gesellschaftliche Bewegung: ausgewählte Aufsätze zur Geschichte Frankreichs und Deutschlands im 19. Jahrhundert Oldenburg 1997
[2] 문서 Die Geschichte der Deutschen
[3] 웹사이트 Germany (1871-1918) – nationalanthems.info https://nationalanth[...] 2023-06-02
[4]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https://www.protokol[...] 2023-06-02
[5] 문서 Song No. 50 in Allgemeines Deutsches Kommersbuch
[6] 문서 "Heil dir im Siegerkranz" (Kaun)
[7] 서적 Schwarz-Rot-Gold: Kleine Geschichte deutscher Nationalsymbole nach 1945 C. H. Beck: Munich 2005
[8] 웹사이트 Hawaiʻi ponoʻī http://www.huapala.o[...] 2018-06-02
[9] 서적 世界軍歌全集-歌詞で読むナショナリズムとイデオロギーの時代 사회評論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