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돈친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돈친왕은 청나라 황족 작위로, 역대 돈친왕의 계보와 가계도를 설명한다. 가경제의 아들인 면개가 1대 돈친왕으로 봉해졌으며, 도광제의 서자이자 면개의 양자인 혁종이 2대 돈친왕으로 작위를 이어받았다. 이후 재렴, 재영, 부한 등이 돈친왕 작위를 승계했으며, 각 인물들의 봉호, 시호, 재위 기간, 가계도, 그리고 지계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친왕 - 혈통친왕
    혈통친왕은 프랑스 왕국에서 카페 왕조의 남계 후손 중 국왕의 직계 자녀가 아닌 왕족을 지칭하는 칭호로, 왕위 계승권과 특별한 지위를 누렸으며, 왕권 안정에 활용되었다.
  • 친왕 - 토크토아부카
    토크토아부카는 고려 충렬왕의 4대손이자 원나라에서 동궁겁설관과 심왕을 지냈으며, 공민왕 폐위 시 고려 왕 옹립을 사양했으나 북원 멸망 후 왕위를 요구하다 거절당하고 사망과 함께 심양왕 직위가 폐지되었다.
  • 청나라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청나라 - 제1차 아편 전쟁
    제1차 아편 전쟁은 1839년부터 1842년까지 청나라와 영국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광저우 무역 체제와 아편 밀매가 원인이 되어 영국의 승리로 끝났으며, 난징 조약 체결로 청나라의 몰락을 가속화하고 서구 열강의 아시아 침략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돈친왕
돈친왕 (惇親王)
전봉 시호친왕 (親王)
설립자융친
작위 소멸선통제 퇴위 후
민카이의 왕공 작위 순위제1등급
정보
봉호돈 (惇)
작위친왕 (親王)
작위 등급화석 (和碩)
작위 세습 횟수8회
초대 돈친왕돈근친왕 융친
마지막 돈친왕푸타오

2. 역대 돈친왕

봉호시호이름재위년도내용
돈친왕각(覺)면개1819년 ~ 1838년
돈친왕근(勤)혁종1846년 ~ 1889년
이혁군왕 (已革郡王)재렴1889년 ~ 1900년
패륵공각 (恭覺)재영1900년 ~ 1930년혁종의 4남이다.
패자부한1930년 ~ 1945년재영의 5남이며 패자로 승격되었다.



혁종(奕劻; 1831–1889), 돈친왕(敦親王)의 둘째 아들

3. 돈친왕 가계도


  • '''면개''' (가경제의 셋째 아들, 1819년 군왕(郡王)에 책봉, 1821년 "돈친왕(敦親王)" 작위로 친왕(親王)으로 승격, 1827년 군왕으로 강등되었으나 1828년 친왕으로 복권, 1838년 다시 군왕으로 강등, 사후 1838년 친왕으로 복위되고 '''돈각친왕(惇恪親王)'''으로 추존됨)
  • * 이전(奕纘, 1818–1821), 면개의 장남, 불입팔분보국공(不入八分輔國公) 작위를 지님, 사후 패륵(貝勒)으로 추봉됨
  • * '''이총'''(1831–1889), 도광제의 다섯째 아들이자 면개의 양자, 초기에 군왕, 패륵(貝勒)으로 강등되었다가 1856년 군왕으로 복권되고 1860년 친왕으로 승격, 사후 '''돈근친왕(惇勤親王)'''으로 추존됨
  • ** '''재렴(載濂, 1854–1917)''', 이총의 장남, 초기에 정국장군(正國將軍) 2등급, 1864년 불입팔분정국공(不入八分正國公)으로 승격, 1871년 봉은보국공(奉恩輔國公)으로 승격, 1889년 패륵(貝勒)이 되고 군왕을 대리, 1900년 작위 박탈

푸수(溥修, 1896–1956), 재렴의 차남이자 재진(載津)의 양자, 1896년부터 1915년까지 정국장군(正國將軍) 2등급 작위를 지님

  • ** 재의(載瀅) (1856–1923), 이총의 다섯째 아들, 이지(奕誌, 1827–1850)에게 입양되어 뢰친왕가에 들어감, 1894년부터 1900년까지 "단군왕(端郡王)" 작위를 지님

푸전(溥僎, 1875–1920), 재의의 장남, 1894년부터 1920년까지 정국장군(正國將軍) 1등급 작위를 지님
* 유안(毓侒, 1893–1979), 푸전의 아들
푸준(溥儁, 1885–1942), 재의의 차남, 1901년부터 1942년까지 불입팔분보국공(不入八分輔國公) 작위를 지님
* 유위(毓巍, 1912–1998), 푸준의 아들

  • ** 재란(載瀾, 1856–1916), 이총의 셋째 아들, 초기에 보국장군(輔國將軍) 3등급, 1884년 정국장군(正國將軍) 2등급으로 승격, 1889년 불입팔분보국공(不入八分輔國公)으로 승격, 1900년 작위 박탈, 사후 불입팔분보국공으로 복권됨

푸조(溥倬, 1882–1932), 재란의 아들
* 유준(毓峻, 1905–?), 푸조의 아들

  • ** '''재영(載瀛, 1859–1930)''', 이총의 넷째 아들, 초기에 정국장군(正國將軍) 2등급, 1894년 불입팔분보국공(不入八分輔國公)을 대리, 1900년 패륵(貝勒)이 됨, 사후 '''공각패륵(恭恪貝勒)'''으로 추봉됨

'''푸한(溥僩, 1901–1966)''', 재영의 다섯째 아들, 1930년부터 패자(貝子) 작위를 지님
* 유월(毓岄, 1922–1992), 푸한의 아들
푸권(溥佺, 1913–1992), 재영의 여섯째 아들이자 재진의 양자, 1915년부터 1945년까지 정국장군(正國將軍) 2등급 작위를 지님

  • ** 재진(載津, 1859–1896), 이총의 다섯째 아들, 초기에 정국장군(正國將軍) 2등급, 1894년 불입팔분보국공(不入八分輔國公)을 대리, 후사 없음


4. 돈친왕 지계

돈친왕의 지계는 다음과 같다.


  • 혁류: 면개의 아들로 불입팔분보국공에 봉해졌으나 후사가 없었다.
  • 재렴: 혁종의 장남으로, 이등진국장군, 불입팔분진국공, 봉은보국공을 거쳐 패륵으로 승격되었다.
  • 재란: 혁종의 3남으로, 삼등보국장군, 이등진국장군, 팔분보국공, 패륵을 거쳐 불입팔분보국공에 복작되었다.
  • 재영: 혁종의 4남으로, 이등진국장군, 불입팔분보국공을 거쳐 패륵으로 승격되었다.
  • 재진: 혁종의 5남으로, 이등진국장군을 거쳐 팔분보국공에 봉해졌다.
  • 부선: 혁종의 손자이자 재의의 장남으로, 일등진국장군을 지냈다.
  • 부준: 혁종의 손자이자 재의의 2남으로, 팔분공에 봉해졌다.

4. 1. 혁류지계(奕纘支系)

면개의 아들로, 처음 불입팔분보국공에 봉해졌으며 후사는 없다. 1820년부터 1821년까지 추봉패륵에 봉해졌다.

4. 2. 재렴지계(載濂支系)


  • 혁종의 장남이다.
  • 1862년 이등진국장군으로 처음 봉해졌고, 1864년 불입팔분진국공으로 봉해졌다.
  • 1871년 봉은보국공, 1889년 패륵으로 승격되었다.

4. 3. 재란지계(載瀾支系)

혁종의 3남이다. 처음 삼등보국장군에 봉해졌고, 1884년 이등진국장군, 1889년 팔분보국공, 1900년 패륵에 봉작되었다. 1916년 불입팔분보국공에 복작되었다.

4. 4. 재영지계(載瀛支系)


  • 1889년 ~ 1900년: 팔분보국공 겸 이등진국장군 재영.
  • 혁종의 4남.
  • 초봉 이등진국장군, 1894년 불입팔분보국공에 진봉, 1900년 패륵 지위로 승격.

4. 5. 재진지계(載津支系)

혁종의 5남 재진은 초봉 이등진국장군이었으며, 1894년 팔분보국공으로 봉해졌다. 시호는 내리지 않았다. 재진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시기작위 및 지위
1889년 ~ 1896년팔분보국공 겸 이등진국장군 재진
1896년 ~ 1915년이등진국장군 부수
1915년 ~ 1945년이등진국장군 부전


4. 6. 부선지계(溥僎支系)

혁종의 손자이자, 재의의 장자이다. 1894년부터 1920년까지 일등진국장군을 지냈다.

4. 7. 부준지계(溥儁支系)

혁종의 손자이자, 재의의 2남이다. 1901년, 팔분공명에 들어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