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을 열어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대문을 열어라는 술래 두 명이 문을 만들어 다른 사람들이 지나가도록 하고, 노래가 끝나면 문을 닫아 한 명을 가두는 놀이이다. 놀이 참여자들은 노래를 부르며 앞사람의 허리를 잡고 문을 통과하며, 갇힌 사람은 새로운 술래가 된다. 노래는 "동 동 동대문을 열어라"로 시작하며, 가사와 악보가 함께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속 동요 - 새야새야 파랑새야
'새야 새야 파랑새야'는 동학 농민 운동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민요로, 파랑새, 녹두꽃 등의 상징적 표현을 통해 당시 사회의 혼란과 억압, 희망과 절망을 은유적으로 보여주는 어린이 동요이며, 녹두밭에 앉지 말라는 경고와 파랑새의 비행을 촉구하는 가사로 구성되어 있다. - 민속 동요 - 아일 텔 마이 마
"아일 텔 마이 마"는 클랜시 형제, 더 더블리너스 등 다양한 아티스트에 의해 녹음 및 리메이크된 아일랜드 민요로, 여러 장르로 편곡 및 패러디되면서 다재다능함을 보여준다. - 한국의 민속놀이 -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10줄 x 9줄의 판에서 각 16개 기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궁을 잡는 한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하며 삼국시대부터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상희라고도 불렸으며, 현대에는 주로 노년층 남성이 즐기고 대한장기협회에서 보급 및 관리를 한다. - 한국의 민속놀이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동대문을 열어라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어린이 노래 |
언어 | 한국어 |
가사 | |
가사 (1절) | 동, 동, 동대문을 열어라. 동, 동, 동대문을 열어라. 9월이 오면은 문을 활짝 열어라. |
가사 (2절) | 남, 남, 남대문을 열어라. 남, 남, 남대문을 열어라. 9월이 오면은 문을 활짝 열어라. |
가사 (3절) | 서울, 서울, 서울역을 열어라. 서울, 서울, 서울역을 열어라. 9월이 오면은 문을 활짝 열어라. |
2. 놀이 방법
놀이를 시작하면서 술래(‘문지기’라고도 함) 두 명을 정한다. 이때 술래를 남녀 어린이 한 쌍으로 하기도 한다. 술래 두 명이 양손을 맞잡아 ‘문’을 만들면, 나머지 사람들은 노래를 부르며 줄을 서서 앞 사람의 허리를 잡고 차례대로 ‘문’을 지나가길 반복한다. 노래가 끝남과 동시에 ‘문’을 만들고 있던 술래 두 명은 맞잡은 양손을 내려 ‘문’을 닫음으로써 지나가고 있던 한 명을 가둔다. 문에 갇힌 사람은 새로운 술래가 된다.
이 노래는 가단조, 4/4박자로 구성되어 있다.
3. 노래
3. 1. 노랫말
동 동 동대문을 열어라
남 남 남대문을 열어라
12시가 되면은(또는 지나면)
문을 닫는다.(또는 문이 닫힌다.)
한글
동, 동, 동대문을 열어라,
남, 남, 남대문을 열어라,
12시가 되면은, (또는 지나면,)
문을 닫는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Dong, Dong, Dongdaemuneul yeoreora,
Nam, Nam, Namdaemuneul yeoreora,
Yeol dusiga doemyeoneun, (또는 Yeol dusiga jinamyeon,)
Muneul danneunda.
번역
동, 동, 동대문을 열어라,
남, 남, 남대문을 열어라,
12시 정각이 되면,
문이 닫힌다.
3. 2. 악보
wikitext
\relative c' { \key a \minor \time 4/4 \set Staff.midiInstrument = #"violin"
g'4 g g8 a g f | e4 e e r4 | f4 f f8 g f e | d4 d d r |\break
c4 d e f | g a g r | c g e d | c2 r2 \bar "|." }
\addlyrics {
동 동 동 대 문 을 열 어 라 남 남 남 대 문 을 열 어 라
열 두 시 가 되 면 은 문 을 닫는 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