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백섬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곳으로, 과거 섬이었으나 현재는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동백꽃이 많이 피어 동백섬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아름다운 경치로 인해 신라 시대의 최치원이 방문하기도 했다. 현재는 광안대교와 해운대 해수욕장을 조망할 수 있으며, 산책로, 최치원의 해운대 석각, 황옥공주 인어상, 누리마루 APEC 하우스 등이 주요 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해운대구의 문화유산 - 송정역 (부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위치한 송정역은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으로, 과거 무인역으로 개업하여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구 역사를 가지며, 송정해수욕장 인근에 있어 이용객이 많다. - 유명한 동백나무 -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충청남도 서천군 마량리에 위치한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은 천연기념물 제169호로 지정된 동백나무 군락지로, 다양한 상록활엽수와 함께 자생하며 따뜻한 기후대의 식생을 보여주는 중요한 생태적 가치를 지니고 식물지리학적으로도 의미가 크다. -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 경상좌수영성지
경상좌수영성지는 경상좌도 수군 총 지휘관이 있던 진영으로, 1652년 부산포로 옮겨진 후 1895년까지 사용되었으며, 현재 남아있는 성은 1692년 재건된 것으로, 방어 시설을 갖추었으나 현재는 성벽과 남문, 홍예문만 남아있다. -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 김해 죽도왜성
김해 죽도왜성은 임진왜란 때 나베시마에 의해 축조된 성으로, 낙동강 지류에 인접하여 김해 북쪽 방어의 요충지 역할을 했으며, 발굴 조사를 통해 유물이 확인되었다.
동백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동백섬 |
한글 | 동백섬 |
한자 | 冬柏섬 |
로마자 표기 | Dongbaekseom |
다른 이름 | 동백도 |
다른 이름 한글 | 동백도 |
다른 이름 한자 | 冬柏島 |
다른 이름 로마자 표기 | Dongbaekdo |
위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783-1번지 일원 |
문화재 정보 | |
명칭 | 해운대 동백섬 |
지정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46 |
지정일 | 1999년 3월 9일 |
![]() | |
수량 | 일원 |
추가 정보 | |
설명 | 동백나무가 많은 섬 |
참고 자료 | 해운대 동백섬 (海雲臺 冬栢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2. 역사
동백섬은 이름처럼 섬 전체에 동백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1] 본래 섬이었으나, 옆을 흐르는 춘천천의 퇴적 작용으로 해운대해수욕장 백사장 끝과 연결된 육계도가 되었다.[6][2] 하지만 여전히 동백섬이라는 옛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이곳은 예로부터 경치가 아름다워 신라 시대의 학자 최치원도 방문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3][1] 동백섬 주위로는 산책로가 조성되어 바다와 숲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으며, 멀리 광안대교, 오륙도, 달맞이 고개 등을 조망할 수 있다.[7][3][1]
2. 1. 최치원과 해운대 석각
동백섬은 예로부터 아름다운 경치로 유명했으며, 신라 시대의 학자이자 문장가인 최치원도 이곳을 방문했다.[3][1] 동백섬 주위로 조성된 산책로를 따라가면 섬 내에 최치원의 해운대석각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7][4][1]2. 2. 황옥공주 전설
동백섬에는 황옥공주 전설이 깃든 인어상이 있다. 이 인어상은 섬 주위를 따라 조성된 산책로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같은 산책로에서는 최치원의 해운대석각, 누리마루 APEC 하우스 등 다른 명소들도 함께 볼 수 있다.[7][4][1]3. 지리
해운대해수욕장 백사장 끝에 자리한 육계도이다.[6] 본래 섬이었으나, 인근 춘천천에서 운반된 토사가 퇴적되면서 육지와 연결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동백섬'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섬 이름은 과거 섬 전체에 동백나무가 많았던 것에서 유래했다.
섬 주변으로는 해안을 따라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바다와 숲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이 산책로에서는 광안대교, 오륙도, 달맞이 고개 등 주변 지역을 조망할 수 있으며, 섬 안에는 최치원 유적지인 해운대석각, 황옥공주 전설이 깃든 인어상, 누리마루 APEC 하우스 등이 위치한다.[7]
4. 주요 명소
섬 전체를 붉게 물들이는 동백나무가 섬의 이름이 된 동백섬은 해운대해수욕장 백사장 끝에 연결된 육계도이다.[6] 본래 섬이었으나 춘천천의 퇴적 작용으로 육지와 연결되었지만, 여전히 동백섬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동백섬 주위로는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이 길을 따라 최치원의 해운대석각, 황옥공주 전설이 깃든 인어상, 누리마루 APEC 하우스 등 다양한 명소를 만날 수 있다.[7]
4. 1. 누리마루 APEC 하우스
동백섬 주위로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이 길을 따라가면 최치원의 해운대석각, 황옥공주 전설이 깃든 인어상과 함께 누리마루 APEC 하우스를 볼 수 있다.[7][4][1]4. 2. 동백섬 산책로
동백섬 주위에는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7][4][1] 이 길을 따라가면 바다와 숲이 만드는 절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멀리 광안대교, 오륙도, 달맞이 고개 등을 조망할 수 있다.[7][3][1] 또한 산책로 주변에는 신라 시대 학자 최치원이 남긴 해운대석각, 황옥공주 전설이 깃든 인어상, 누리마루 APEC 하우스 등 다양한 명소를 만날 수 있다.[7][4][1]4. 3. 기타 명소
동백섬 주위로는 산책로가 잘 조성되어 있어, 방문객들은 이 길을 따라 걸으며 바다와 숲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산책로에서는 멀리 광안대교, 오륙도, 달맞이 고개 등의 명소들을 조망하는 것이 가능하다.[7][3][1]섬 곳곳에는 다양한 볼거리가 자리 잡고 있다. 신라 시대의 학자 최치원이 방문하여 남긴 해운대석각은 동백섬의 오랜 역사를 보여주는 유적이며, 황옥공주 전설이 깃들어 있는 인어상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2005년 APEC 정상회의가 열렸던 누리마루 APEC 하우스 역시 동백섬의 주요 명소 중 하나이다.[7][4][1]
5. 사진
참조
[1]
논문
해운대 동백섬 (海雲臺 冬栢섬)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12
[2]
웹사이트
Dongbaekseom Island (동백공원)
http://english.visit[...]
[3]
웹사이트
Haeundae Dongbaekseom Island (해운대 동백섬)
http://english.visit[...]
[4]
웹사이트
동백섬 소개
http://tour.busan.go[...]
[5]
간행물
부산광역시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명칭 변경 고시
부산광역시장
2014-09-03
[6]
웹사이트
해운대동백섬
http://www.cha.go.kr[...]
문화재청
[7]
웹사이트
관광명소 해운대동백섬
http://tour.busan.go[...]
해운대구청
[8]
웹사이트
특정도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