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북관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북 관화는 중화인민공화국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이다.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내몽골 자치구 북부 등지에 분포하며, 하얼빈어, 창춘어, 치치하얼어, 선양어 등을 포함한다. 동부의 지-선, 서부의 하-부, 북부의 헤이-쑹 등 세 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뉘며, 만주어, 몽골어의 영향을 받아 베이징어와 차이를 보인다. 특징적으로는 권설음의 부재, 음평성의 낮은 발음, 얼화 현상, 그리고 억양과 어휘의 지역적 특성을 가진다. 동북 관화는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코미디 등 문화 콘텐츠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화 - 쓰촨어
    쓰촨어는 쓰촨성과 충칭시를 중심으로 쓰촨분지 일대에서 약 1.2억 명이 사용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파촉어에서 기원하여 이민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고유한 특징을 지니고 보통화 보급 정책 속에서도 생존하고 있다.
  • 관화 - 북경관화
    북경관화는 원나라 대도 시기부터 사용된 중국어 방언으로, 명나라의 수도 이전과 옹정제 시기를 거치며 관료 사회의 표준어로 자리 잡았고, 현대 표준 중국어의 기반이 되었다.
  • 만주 -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고구려 역사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하여 고구려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만주 - 외만주
    외만주는 19세기 청나라 동북 지역으로, 러시아가 아무르 강 유역을 병합한 후 러시아 만주라고도 불렸으나,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에 할양되어 현재 러시아 영토가 되었으며, 중국은 불평등 조약을 근거로 영토 반환을 주장하지만 러시아는 이를 부정하며 영토 분쟁과 역사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동북관화
개요
언어 이름동북관화
로마자 표기Dongbuk Gwanhwa
자기 이름東北官話/东北官话
자기 이름 (로마자 표기)Dōngběi guānhuà
언어 정보
언어 계통중국티베트어족
어파중국어파
언어중국어
분파관화
사용 지역만주
사용 국가중국 (동북부)
화자 수약 1억 명
방언
방언 목록장춘 방언
하얼빈 방언
치치하얼 방언
선양 방언

2. 지리적 분포

동북관화는 중화인민공화국 북동부 지역, 즉 랴오닝성(다롄에서 단둥에 이르는 남부 지역은 자오랴오 관화가 사용됨), 지린성, 헤이룽장성내몽골 자치구 북부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1987년 기준으로 화자 수는 약 8,200만 명으로 추산되었다.

동북관화는 크게 세 개의 편(片)으로 나뉘며, 각 편은 다시 여러 소편(小片)으로 분류된다. 각 편의 분포 지역과 관할 현시 수는 다음과 같다.

편 (片)소편 (小片)주요 분포 지역관할 현시 수
지선 편 (吉沈片)교녕 소편 (胶辽小片)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54개
통계 소편 (通溪小片)
연길 소편 (延吉小片)
하부 편 (哈阜片)조부 소편 (肇扶小片)헤이룽장성, 지린성, 내몽골 자치구 동부65개
장금 소편 (长锦小片)
흑송 편 (黑松片)눈극 소편 (嫩克小片)헤이룽장성, 내몽골 자치구 일부57개
가부 소편 (佳富小片)
점화 소편 (站话小片)


3. 하위 방언

동북관화의 주요 방언으로는 창춘어(長春話), 하얼빈어(哈爾濱話), 치치하얼어(齊齊哈爾話), 선양어(瀋陽話) 등이 있다.

중국어 방언 지도는 동북 관화를 세 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는데, 이는 허웨이(何伟)의 분류를 따른 것으로, 베이징어에서 무성음으로 시작하는 단어가 동북 관화의 해당 방언에서 비음으로 시작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한다.


  • 동부의 '''지-선'''(吉沈) 그룹은 지린 방언과 선양 방언 등을 포함하며, 베이징어처럼 해당 단어에서 무성음 초성을 유지한다.
  • 서부의 '''하-부'''(哈阜) 그룹은 하얼빈 방언과 창춘 방언 등을 포함하며, 해당 단어에서 비음 초성을 가진다.
  • 북부의 '''헤이-쑹'''(黑松) 그룹은 치치하얼 방언 등을 포함하며, 무성음 또는 비음 초성을 불규칙하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지리적으로 더 멀리 떨어진 방언일수록 베이징 방언과 더 유사한 경향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하얼빈 방언은 지린 및 창춘 방언보다 베이징 방언에 더 가깝고, 이들 방언은 다시 선양 방언보다 베이징 방언에 더 가깝다.

타즈어는 동북 관화의 일종으로, 우데게어나나이어에서 유래한 일부 어휘를 포함한다. 1800년대부터 주로 러시아 극동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타즈족이 사용해왔다.[2]

해외에서는 미국 뉴욕시의 차이나타운이나 플러싱을 중심으로 동북 관화를 사용하는 공동체가 점차 커지고 있다.

동북관화의 하위 방언 분류는 다음과 같다.

동북관화 하위 방언 분류
편(片)주요 분포 지역소편(小片)
지선 편(吉瀋片)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의 54개 현시교녕 소편(膠遼小片)
통계 소편(通溪小片)
연길 소편(延吉小片)
하부 편(哈阜片)헤이룽장성, 지린성, 내몽골 자치구 동부의 65개 현시조부 소편(肇扶小片)
장금 소편(長錦小片)
흑송 편(黑松片)주로 헤이룽장성내몽골 자치구 일부의 57개 현시눈극 소편(嫩克小片)
가부 소편(佳富小片)
점화 소편(站話小片)


4. 특징

동북관화(둥베이어)는 중국어가 현지의 만주어, 몽골어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관화의 한 갈래이다. 전반적으로 베이징관화와 큰 차이가 없으나 일부 발음에서 변형이 나타난다.

중국어 방언 지도는 동북 관화를 세 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는데, 이는 베이징어에서 무성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에 비음 초성이 나타나는지를 기준으로 한다.

그룹주요 방언특징 (베이징어 무성 초성 단어)
지-선 (吉沈)지린 방언, 선양 방언무성 초성 유지 (베이징어와 동일)
하-부 (哈阜)하얼빈 방언, 창춘 방언비음 초성
헤이-쑹 (黑松)치치하얼 방언무성 또는 비음 초성 혼용



지리적으로 먼 지역의 방언일수록 베이징 방언과 더 유사한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하얼빈 방언은 지린 및 창춘 방언보다 베이징 방언에 더 가깝고, 이들은 다시 선양 방언보다 가깝다.

타즈어는 동북 관화의 영향을 받은 언어로, 우데게어나나이어에서 유래한 일부 어휘를 포함하며 1800년대부터 러시아 극동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타즈족이 주로 사용해왔다.[2] 해외에서는 미국 뉴욕시의 차이나타운이나 플러싱을 중심으로 동북 관화 사용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음운적으로 동북 관화는 베이징 방언과 여러 유사점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다른 성조에서 중고 중국어 입성의 분포가 유사하며, 베이징 주변 허베이성 방언이 'v' 발음을 가지는 것과 달리 초기 'w' 발음을 보존하고 있다. 그러나 차이점도 존재하는데, 동북 관화에서는 종성 '-ian' 또는 '-üan'이 표준 중국어의 'ɛ' 또는 'e' 발음과 달리 'æ'로 발음된다. 또한, 베이징 방언의 초기 'r-' 발음(병음 'r-', 발음 기호로는 ʐ)은 동북 방언에서 일반적으로 생략되는 경향이 있다.

동북 관화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유성 권설 파찰음('r' 발음, 발음 기호 ʐ) 성모가 소실되어, 베이징어에서 구별되는 "如"(rú)와 "魚"(yú), "柔"(róu)와 "油"(yóu), "人"(rén)과 "銀"(yín), "軟"(ruǎn)과 "遠"(yuǎn) 등을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성조는 베이징어와 유사하지만, 음평성의 높이가 베이징어보다 낮다. 얼화 현상이 자주 나타나며, 권설음치경음이 자주 혼동되기도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이를 구별하여 발음한다. 전반적으로 억양이 강하고 리듬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5. 역사

동북관화는 역사적으로 허베이산둥 등지에서 온 이민자들의 중국어가 현지의 만주어몽골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언어이다. 베이징관화와 큰 차이는 없지만, 일부 발음에서 변형이 나타난다. 동북관화는 지방 특유의 억양과 어휘를 가지고 있으며, 많은 만주어 어휘와 일부 고대 한어 어휘를 보존하고 있다. 또한 일본어, 한국어, 러시아어에서 유래한 어휘도 일부 포함하고 있다.

6. 문화와 지역 정체성

관화의 한 방언인 동북관화는 종종 강력한 지역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특유의 어휘와 억양은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며, 이러한 특징 때문에 코미디언들이 공연에서 동북 방언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로 코미디언 자오번산은 동북 방언과 동북 지역의 전통 민속 무용 및 노래인 얼런좐을 유머러스하게 활용한 공연으로 중국 전역에서 인기를 얻었다. 동북관화는 베이징관화와 큰 차이가 없으나, 현지 만주어몽골어의 영향을 받아 일부 발음에 변형이 나타나기도 한다.

7. 참고 항목

참조

[1] 서적 Běijīng Guānhuà yǔyīn yánjiū https://books.google[...] Beijing yuyan daxue chubanshe 2010
[2]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10: Population by ethnicity http://www.gks.ru/fr[...] 2019-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