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창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창군은 평안북도 동부에 위치하며 자강도와 접하는 군이다. 피난덕산맥이 북부와 동부를 지나며, 단풍덕산(1,159m)이 최고봉이다. 창성강이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흘러 대동강과 합류하며, 면적의 약 80%가 숲으로 덮여 있다. 1952년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설되었으며, 1읍 1로동자구 16개 리로 구성된다. 주요 산업은 광업으로, 옥수수 재배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북도의 군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 평안북도의 군 - 벽동군
    벽동군은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며 자강도에 위치하고, 산지가 많아 임업이 주요 산업이며, 고려 시대에 벽동군으로 명명되었다.
  • 1952년 설치 - 평양시
    평양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대동강이 관통하는 평양 평야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를 지닌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 1952년 설치 - 우시군
    우시군은 북한 자강도 서쪽 끝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경하고, 1952년 벽동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수자원이 풍부하지만 철도가 없어 도로 교통에 의존하고 농업 중심의 낙후된 경제 구조를 가진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동창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유형
위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면적654 km²
인구 (2008년)28,665명
행정 구역1읍, 1로동자구, 16리
행정 구역 정보
동창읍
로동자구청송로동자구 (Ch'ŏngsong-rodongjagu)
가평리 (Kap'yŏng-ri)
고자리 (Kojari)
남정리 (Namjŏng-ri)
대오리 (Taeo-ri)
룡운리 (Ryongun-ri)
묵송리 (Muksong-ri)
백운리 (Paegun-ri)
삼봉리 (Sambong-ri)
송곡리 (Songgok-ri)
송림리 (Songnim-ri)
신흥리 (Sinhŭng-ri)
양지리 (Yangji-ri)
운산리 (Unsan-ri)
운흥리 (Unhŭng-ri)
중추리 (Chungch'u-ri)
추상리 (Ch'usang-ri)

2. 지리

동창군은 평안북도 동부의 산악 지대에 위치하며, 자강도와 접한다. 북쪽으로는 벽동군과 자강도 우시군, 남쪽으로는 운산군과 자강도 송원군, 동쪽으로는 태천군, 서쪽으로는 대관군창성군에 접한다.

방향지역
북쪽벽동군, 우시군(자강도)
동쪽송원군(자강도), 운산군
남쪽태천군
서쪽대관군, 창성군

[1]

2. 1. 지형

평안북도 동부의 산악 지대에 위치하며, 자강도와 접한다. 피난덕산맥은 동창군 북부와 동부를 지나며, 군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단풍덕산(1,159m)을 이룬다. 창성강은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흘러 대동강과 합류한다. 군 토지의 약 80%가 산림이며 이 중 40%는 침엽수림이고, 소나무와 참나무 혼합림이 우세하다.[1]

2. 2. 기후

피난덕산맥이 동창군의 북쪽과 동쪽을 통과하며, 군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단풍덕산(1159m)이 있다. 군의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흐르는 창송강은 대동강과 합류한다. 연평균 기온은 7°C이고, 1월 평균기온은 -10°C, 8월 평균기온은 22.8°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440mm이다. 현 면적의 약 80%가 숲으로 덮여 있으며, 이 중 40%가 침엽수이고 소나무와 참나무가 주종을 이룬다.[1]

2. 3. 산림

피난덕산맥은 동창군 북부와 동부를 지나며, 군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단풍덕산(1,159m)을 이룬다. 군 토지의 약 80%가 산림이며, 이 중 40%는 침엽수림이고 소나무와 참나무 혼합림이 우세하다.[1]

3. 역사

동창군은 북한 건국 후 행정구역 재편으로 신설된 군이다. 1952년 12월, 창성군 남동부에 있던 동창면, 대창면, 청산면 일부가 분할되어 동창군이 신설되었다.[2]

3. 1. 연혁

1952년 12월, 창성군 남동부에 있던 동창면, 대창면, 청산면의 일부가 분할되어 동창군이 신설되었다(1읍 29리).[2] 이듬해에 동창읍이 대유리로, 소유리가 동창읍으로 되었다. 얼마 후 대유리가 로동자구로 개편되었다.

연도내용
1952년 12월평안북도 창성군 동창면·대창면·청산면 및 신창면 일부 지역을 관할하여 동창군 설치. (1읍 18리)
동창읍·신안리·화풍리·소유리·이천리·두룡리·대동리·창암리·학성리·봉룡리·구룡리·고직리·학송리·용두리·양지리·룡전리·학봉리·율곡리·청룡리가 설치됨.
1953년* 동창읍이 대유리로 강등.
* 소유리가 동창읍으로 승격.
* 화풍리 일부가 창성군 연풍리·회덕리에 분할 편입. (1읍 18리)
1953년 말대유리가 대유 노동자구로 승격.(1읍 1노동자구 17리)
1954년벽동군 회상리를 편입.(1읍 1노동자구 18리)
1958년 6월양지리·룡전리가 태천군에 편입.(1읍 1노동자구 16리)
1991년학성리가 성평리로 개칭.(1읍 1노동자구 16리)


4. 경제

동창군은 경작 가능한 토지가 도내에서 가장 적으며(전체 면적의 6.5%), 그 대부분(80%)이 벼농사에 부적합한 마른 밭으로 구성되어 있다.[1] 따라서 주요 지역 작물은 옥수수이다.[1]

4. 1. 광업

동창군의 주요 지역 산업은 광업이다. 1896년 프랑스 기업에 의해 대유동에 최초의 금광이 개발되었다.[1] 이 외에도 은과 인회석이 채굴된다.[1] 대유동광산은 1896년 프랑스인에 의해 채굴이 시작된 광산으로, 현재는 금, 은 등을 생산한다.[1] 현재 군의 중심(동창읍)이 있는 소유리는 대유로동자구에 인접해 있다.[1]

4. 2. 에너지

동창군에는 소규모 수력 발전소가 다수 있다.[1] 주요 지역 산업은 광업으로, 최초의 금광은 1896년 프랑스 기업에 의해 대유동에 설치되었다.[1] 대유동광산은 같은 해 프랑스인에 의해서 채굴이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금, 은 등을 생산한다.[1] 이 외에도 은과 인회석이 채굴된다.[1]

5. 행정 구역

동창군은 1개의 (동창읍), 1개의 로동자구(대유로동자구), 16개의 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 구역한자
동창읍東倉邑
대유로동자구大楡勞動者區
고직리高直里
구룡리九龍里
대동리大洞里
두룡리頭龍里
룡두리龍頭里
률곡리栗谷里
리천리梨川里
봉룡리鳳龍里
성평리城坪里
신안리新安里
창암리倉巖里
청룡리靑龍里
학봉리鶴峯里
학송리鶴松里
화풍리和豊里
회상리會上里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평안북도 동창군 역사 http://www.cybernk.n[...]
[3]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