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실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루실라는 헤로데 아그리파 1세의 딸로, 정치적 동맹 강화를 위해 두 번의 결혼을 시도했다. 첫 번째 결혼은 콤마게네 왕국의 왕자와 약혼했으나, 유대교 수용 문제와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무산되었다. 이후 에메세네 왕조의 제사장 왕과 결혼했으나, 로마 총독 안토니우스 펠릭스를 만나 그와 결혼하기 위해 남편과 이혼했다. 펠릭스와의 사이에서 아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아그리파를 낳았으나,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인해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의 주민들과 함께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녀 - 공주
공주는 제왕의 딸에게 주어지는 작위로, 춘추전국시대에 처음 등장하여 전한 시대 이후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며, 시대와 국가에 따라 지위와 칭호가 다양하게 변화했고, 특히 당나라와 청나라의 제도가 후대 국가들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왕녀 - 다말 (다윗의 딸)
다말은 다윗 왕의 딸로 이복 오빠 암논에게 강간당한 후 친오빠 압살롬의 복수를 받았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성경 해석과 문학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 79년 사망 -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는 로마 제국 시대의 학자이자 작가로, 《박물지》를 저술했으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 당시 사망했다. - 79년 사망 - 베스파시아누스
베스파시아누스는 69년부터 79년까지 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이며, 유대 전쟁을 진압하고 내전을 수습하여 권력을 강화했으며, 재정 개혁과 로마 재건 사업을 추진하고 백성들에게 관대한 통치를 했다고 평가받는다. - 로마 제국의 유대인과 유대교 - 피스쿠스 유다이쿠스
피스쿠스 유다이쿠스는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제1차 유대-로마 전쟁 이후 유대인에게 부과한 세금으로, 예루살렘 성전 유지에 사용되던 십일조를 대체하여 로마 제국 내 모든 유대인에게 부과되었으며, 징수된 세금은 카피톨리누스 유피테르 신전으로 보내졌다. - 로마 제국의 유대인과 유대교 - 제2성전 유대교
제2성전 유대교는 기원전 539년부터 서기 70년까지 제2성전 재건 이후 유대교로, 페르시아, 헬레니즘, 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았고 사두개파, 바리새파, 에세네파 등 다양한 분파가 등장했으며 히브리 성경의 정경화와 유대인 디아스포라 확대, 기독교의 기원이 되는 시기이다.
드루실라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서기 38년 |
사망 | 79년 |
아버지 | 헤롯 아그리파 1세 |
어머니 | 키프로스 |
배우자 | 가이사르의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펠릭스 |
자녀 | 아그리파 |
상세 정보 | |
로마자 표기 | Deurushilla |
그리스어 | Δρούσιλλα |
2. 생애
드루실라는 권력, 사랑, 비극으로 점철된 삶을 살았다.
콤마게네의 왕자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르켈라우스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와의 정략결혼은 아버지 헤로데 아그리파 1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무산되었다. 이후 에메세네 왕조의 사제왕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지주스와 결혼했는데, 아지주스는 드루실라와의 결혼을 위해 할례를 받았다.[4]
얼마 후, 드루실라는 유대 총독 안토니우스 펠릭스의 청혼을 받아들여 이전 남편과 이혼하고 재혼했다. 펠릭스는 드루실라의 미모에 반해 키프로스 출신 마법사 시몬을 통해 구애했다.[7] 드루실라는 언니 베레니케의 질투를 피하고자 유대교 율법을 어기고 펠릭스와 결혼했다.[8]
요세푸스에 따르면, 드루실라와 펠릭스 사이에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아그리파라는 아들이 있었으나, 서기 79년 베수비오 산 폭발로 아들과 함께 사망했다.[8][9]
2. 1. 첫 결혼
드루실라는 콤마게네의 왕자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르켈라우스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와 정략 결혼할 예정이었으나, 아버지 헤로데 아그리파 1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무산되었다. 이후 그녀는 에메세네 왕조의 사제왕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지주스와 결혼했다.2. 1. 1. 첫 결혼 배경
드루실라의 아버지 헤로데 아그리파 1세는 콤마게네의 안티오쿠스 4세 왕의 장남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르켈라우스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와 드루실라를 약혼시켰다.[3] 아그리파 1세는 에피파네스가 유대교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조건을 걸었지만,[4] 44년에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결혼은 성사되지 못했다. 요세푸스에 따르면, 아그리파 1세가 죽자 백성들은 "죽은 자에게 입에 담을 수 없는 비난을 퍼부었고, 그 당시 병사였던 많은 수의 사람들이 그의 집으로 몰려가 [아그리파 1세]의 딸들의 조각상을 급히 훔쳐 창녀촌으로 가져갔으며, 그 조각상들을 창녀촌 지붕에 올려놓고 할 수 있는 한 최대한 모욕을 가하고, 말하기에는 너무 부적절한 짓을 했다".[5]이후 드루실라의 오빠 헤로데스 아그리파 2세가 49/50년경 헤로데스 필리포스 1세의 분봉왕국(바타네아, 트라코니티스 및 아빌라)을 할당받자, 드루실라의 약혼을 파기하고 에메세네 왕조의 제사장 왕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지주스와 결혼시켰다. 아지주스는 드루실라와 결혼하기 위해 할례를 받기로 동의했다.[4]
2. 2. 로마 총독 안토니우스 펠릭스와의 결혼
드루실라는 유대교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대 총독 안토니우스 펠릭스의 청혼을 받아들여 이전 남편과 이혼하고 두 번째 결혼을 했다. 펠릭스는 드루실라의 아름다움에 반해 키프로스 출신의 친구이자 마법사인 시몬을 보내 그녀와 결혼할 의사를 전했다. 드루실라는 언니 베레니케의 질투를 피하고자 하는 마음도 있어, 유대교 율법을 어기고 펠릭스와의 결혼에 동의했다.2. 2. 1. 안토니우스 펠릭스와의 만남
안토니우스 펠릭스가 드루실라를 처음 만난 것은 그녀의 첫 결혼 직후로, 아마도 그녀의 오빠인 아그리파 2세의 궁정에서였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드루실라의 언니 베레니케도 아그리파 2세와 함께 살고 있었기 때문에, 드루실라도 그랬을 것으로 추정된다. 펠릭스는 드루실라의 뛰어난 미모에 반해 그녀를 자신의 두 번째 아내로 삼기로 결심했다.[6]펠릭스는 유대교 신자였던 드루실라가 남편과 이혼하고 이교도인 자신과 결혼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키프로스 출신의 유대인 친구이자 마법사 행세를 하던 시몬(Simon, 일부 사본에는 아토모스)을 사절로 보냈다.[7] 시몬은 드루실라에게 현재의 남편을 버리고 펠릭스와 결혼하면 행복하게 해주겠다고 약속하며 설득했다.[8]
드루실라는 언니 베레니케의 질투를 피하고 싶은 마음에 (드루실라의 아름다움 때문에 베레니케에게 심한 학대를 받았다고 한다) 조상들의 법, 즉 유대교 율법을 어기고 펠릭스와 결혼하는 데 동의했다.[8]
사도행전 24장 24절에는 "며칠 뒤 펠릭스가 아내 유대 여자 드루실라와 함께 [법정으로] 돌아왔다"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때 드루실라는 사도 바울이 가이사랴에 갇혀 있을 때 펠릭스와 함께 나타났으며, 당시 그녀의 나이는 약 22세였다.[9]
2. 2. 2. 결혼 이후
드루실라는 첫 번째 결혼 직후 로마의 유대 총독인 안토니우스 펠릭스를 만났는데, 아마도 오빠의 궁정에서였을 것으로 보인다. 펠릭스는 드루실라의 뛰어난 미모에 반해 그녀를 자신의 두 번째 아내로 삼기로 결심했다. 유대교 신자였던 드루실라가 남편과 이혼하고 이교도인 펠릭스와 결혼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펠릭스는 사절을 보내 설득했다.[6]사도 바울이 가이사랴에 갇혀 있을 때 드루실라는 펠릭스와 함께 나타났으며, 당시 그녀의 나이는 약 22세였다. 사도행전 24장 24절에는 "며칠 뒤 펠릭스가 아내 유대 여자 드루실라와 함께 [법정으로] 돌아왔다"고 기록되어 있다.[9]
사도행전에는 그녀의 이후 삶에 대한 추가 정보가 없지만, 요세푸스는 드루실라와 펠릭스 사이에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아그리파라는 아들이 있었다고 말한다. 서기 79년 베수비오 산의 폭발로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의 대부분의 사람들과 함께 아들도 사망하였는데, 요세푸스는 "그의 아내와 함께" 사망했다고 기록하여, 드루실라 역시 이때 사망했음을 알 수 있다.[8][9]
참조
[1]
서적
Agrippa II: The Last of the Herod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7-02
[2]
논문
Philorhomaioi: The Herods between Rome and Jerusalem
https://brill.com/vi[...]
2014-09-23
[3]
간행물
Jewish Antiquities
[4]
간행물
Jewish Antiquities
[5]
간행물
Jewish Antiquities
[6]
문서
[7]
문서
[8]
간행물
Jewish Antiquities
https://www.perseus.[...]
[9]
문서
[10]
서적
Agrippa II: The Last of the Herod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7-02
[11]
논문
Philorhomaioi: The Herods between Rome and Jerusalem
https://brill.com/vi[...]
2014-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