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리클레 함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리클레 함수는 실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로, 유리수에서는 1, 무리수에서는 0의 값을 갖는다. 이 함수는 모든 점에서 불연속이며, 모든 유리수를 주기로 갖는 주기 함수이지만 최소 양의 주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디리클레 함수는 리만 적분 불가능하지만 르베그 적분은 가능하며, 르베그 적분 값은 0이다. 이 함수는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디리클레에 의해 1829년에 제시되었다.

2. 정의

디리클레 함수 1_\mathbb Q\colon\mathbb R\to\{0,1\}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6]

:1_\mathbb Q(x)=\begin{cases}

1 & x\in\mathbb Q \\

0 & x\in\mathbb R\setminus\mathbb Q

\end{cases}

여기서 \mathbb Q\mathbb R\setminus\mathbb Q는 각각 유리수무리수의 집합이다.

디리클레 함수는 다음과 같이 극한을 이용하여 정의할 수도 있다.

:1_\mathbb Q(x)=\lim_{m\to\infty}\lim_{n\to\infty}\cos^{2n}(m!\pi x)

여기서 m!는 계승, \cos는 코사인 함수이다.

2. 1. 지시 함수를 이용한 정의

디리클레 함수 1_\mathbb Q\colon\mathbb R\to\{0,1\}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_\mathbb Q(x)=\lim_{m\to\infty}\lim_{n\to\infty}\cos^{2n}(m!\pi x)=\begin{cases}

1 & x\in\mathbb Q \\

0 & x\in\mathbb R\setminus\mathbb Q

\end{cases}

여기서 m!는 계승, \cos는 코사인, \mathbb Q\mathbb R\setminus\mathbb Q는 각각 유리수무리수의 집합이다. 위 정의에 따라, 디리클레 함수 1_{\mathbb Q}는 베르 2급 함수이다.[6]

x\in\mathbb Q인 경우, \textstyle x=\frac ab인 정수 a,b를 잡을 수 있다. 임의의 m\ge b에 대하여 m!x는 정수이므로, \cos(m!\pi x)는 -1 또는 1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lim_{m\to\infty}\lim_{n\to\infty}\cos^{2n}(m!\pi x)=\lim_{m\to\infty}\lim_{n\to\infty}1=1

x\in\mathbb R\setminus\mathbb Q인 경우, 임의의 m\ge 0에 대하여 m!x는 정수가 아니므로, \cos(m!\pi x)는 -1과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lim_{m\to\infty}\lim_{n\to\infty}\cos^{2n}(m!\pi x)=\lim_{m\to\infty}0=0

2. 2. 극한을 이용한 정의

:1_\mathbb Q(x)=\lim_{m\to\infty}\lim_{n\to\infty}\cos^{2n}(m!\pi x)

여기서 m!는 계승, \cos는 코사인 함수이다. 이 정의는 디리클레 함수가 베르 2급 함수임을 보여준다.[6]

두 정의가 같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만약 x유리수라면, \textstyle x=\frac ab인 정수 a, b를 찾을 수 있다. m\ge b이면 m!x는 정수이므로, \cos(m!\pi x)는 -1 또는 1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lim_{m\to\infty}\lim_{n\to\infty}\cos^{2n}(m!\pi x)=\lim_{m\to\infty}\lim_{n\to\infty}1=1

만약 x무리수라면, 모든 m\ge 0에 대하여 m!x는 정수가 아니므로, \cos(m!\pi x)는 -1과 1 사이의 값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lim_{m\to\infty}\lim_{n\to\infty}\cos^{2n}(m!\pi x)=\lim_{m\to\infty}0=0

3. 성질

디리클레 함수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3. 1. 주기성

디리클레 함수 1_{\mathbb Q}는 모든 유리수를 주기로 갖는 주기 함수이며, 최소 양의 주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임의의 유리수 및 실수 에 대하여, 1_{\mathbb Q}(x+t)=1_{\mathbb Q}(x)가 성립한다. 만약 x\in\mathbb Q라면, 유리수는 덧셈에 대해 닫혀있으므로 x+t\in\mathbb Q이고,

:1_{\mathbb Q}(x+t)=1=1_{\mathbb Q}(x)

이다. 만약 x\in\mathbb R\setminus\mathbb Q라면, x+t\in\mathbb R\setminus\mathbb Q이므로,

:1_{\mathbb Q}(x+t)=0=1_{\mathbb Q}(x)

이다.

귀류법을 사용하여, t_0\in\mathbb Q^+1_{\mathbb Q}의 양의 최소 주기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textstyle\frac{t_0}2\in\mathbb Q^+ 역시 1_{\mathbb Q}의 양의 주기이며, \textstyle\frac{t_0}2이다. 이는 t_0이 최소 양의 주기라는 가정에 모순된다. 따라서 디리클레 함수는 최소 양의 주기를 갖지 않는다.

디리클레 함수는 임의의 유리수 에 대해 f(x+a)=f(x)가 성립한다. 이는 유리수체 \mathbb{Q}덧셈에 대해 닫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함수는 무한히 많은 주기를 가지며 상수 함수가 아닌 주기 함수의 예시이다.

3. 2. 연속성

디리클레 함수 1_{\mathbb Q}는 모든 점에서 불연속이다. 이는 임의의 x\in\mathbb R에 대하여, 상극한은 1이고 하극한은 0이기 때문이다.

임의의 x\in\mathbb R에 대하여, x로 수렴하는 유리수 수열 (x_n)_{n=0}^\infty무리수 수열 (y_n)_{n=0}^\infty을 취할 수 있다. 유리수무리수실수에서 조밀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1=\lim_{n\to\infty}1_{\mathbb Q}(x_n)\le\limsup_{y\to x}1_{\mathbb Q}(y)\le\sup_{y\in\mathbb R}1_{\mathbb Q}(y)=1

:0=\inf_{y\in\mathbb R}1_{\mathbb Q}(y)\le\liminf_{y\to x}1_{\mathbb Q}(y)\le\lim_{n\to\infty}1_{\mathbb Q}(y_n)=0

디리클레 함수는 어디에도 연속이 아니다. 유리수와 무리수의 조밀성 때문에, 모든 점에서 불연속성이 나타난다.

디리클레 함수는 블럼버그 정리의 예시로 사용될 수 있다.[4]

3. 3. 적분

디리클레 함수 1_{\mathbb Q}는 모든 점에서 불연속이므로, 임의의 닫힌구간 위에서 리만 적분이 불가능하다. 그 상적분과 하적분은 각각 다음과 같다.

:\overline{\int_a^b}1_{\mathbb Q}(x)dx=b-a

:\underline{\int_a^b}1_{\mathbb Q}(x)dx=0

그러나 디리클레 함수는 단순 함수이므로, 르베그 적분이 가능하며, 그 값은 다음과 같다.

:\int_{\mathbb R}1_{\mathbb Q}d\mu=0

이는 유리수 집합의 르베그 측도가 0이기 때문이다. 디리클레 함수는 불연속점 집합이 영집합이 아니므로 (르베그 측도에 대해) 유계임에도 불구하고 \R의 어떤 구간에서도 리만 적분이 불가능하다.

또한, 디리클레 함수는 단조 수렴 정리가 리만 적분의 맥락에서 참이 아님을 보여주는 반례를 제공한다.

4. 역사

독일의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가 1829년에 제시하였다.[7]

참조

[1] Springer Dirichlet-function
[2] 웹사이트 Dirichlet Function — from MathWorld http://mathworld.wol[...]
[3] 학술지 Sur la convergence des séries trigonométriques qui servent à représenter une fonction arbitraire entre des limites données https://eudml.org/do[...]
[4] 서적 The Calculus Galle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5] 학술지 Sur la convergence des séries trigonométriques qui servent à représenter une fonction arbitraire entre des limites données http://www.digizeits[...]
[6] 서적 The Calculus Gallery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7] 문서 "Sur la convergence des séries trigonométriques qui servent à répresenter une fonction arbitraire entre des limites donées" [주어진 극한 사이의 임의의 함수의 표현에 쓰이는 삼각급수의 수렴성에 대하여] 1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