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라이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딜라이브는 2000년 씨앤앰커뮤니케이션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케이블 방송사이다. 201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케이블 TV,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딜라이브는 여러 차례의 인수 합병과 상호 변경을 거쳤으며, 노동조합 파업, 채널 송출 중단 등의 논란을 겪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YTN - N서울타워
N서울타워는 서울 남산에 위치한 랜드마크이자 방송 송신탑으로, 다양한 시설과 관광 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KBS, MBC, SBS 등 방송 송신 시설을 갖추고 있다. - YTN - 연합뉴스
연합뉴스는 1945년 합동통신으로 시작하여 1980년 합병을 거쳐 설립된 대한민국의 뉴스통신사이며, 국가기간뉴스통신사로 지정되어 한국어 등 7개 언어로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연합뉴스TV 등의 자회사를 운영한다. - 대한민국의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SK브로드밴드
SK브로드밴드는 1997년 하나로통신으로 설립되어 유선 통신 시장에서 시작, 초고속 인터넷, IPTV 등 트리플 플레이 사업을 확장했으며, SK텔레콤에 인수되어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고, 10Gbit/s 인터넷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발표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HCN (방송사)
HCN은 서울, 부산, 대구, 경북 등 여러 지역에 방송국을 운영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케이블 방송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 2000년 설립된 기업 - 키움증권
2000년에 설립되어 코스닥에 상장된 키움증권은 온라인 증권거래 서비스를 중심으로 투자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영웅문'과 키움프라이빗에쿼티를 운영하고, 한때 프로야구단 명명권을 취득하기도 했으나 주가조작 의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한민국의 증권회사이다. - 2000년 설립된 기업 - 한화오션
한화오션은 1973년 대한조선공사로 설립되어 대우조선해양을 거쳐 2022년 한화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조선업체로, 다양한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 분식회계 및 경영난을 거쳐 한화그룹 인수 후 사업 확장과 세계적인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딜라이브 | |
---|---|
기본 정보 | |
이름 | 주식회사 딜라이브 |
원어 | D'live Co., Ltd. |
형태 | 주식회사 |
산업 | 서비스, 제조, 서비스(사업관련)업 |
창립 | 2000년 1월 25일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03길 9 (삼성동) |
대표 | 김덕일 (대표이사) |
서비스 | 유선방송업 광고대행업 홍보대행업 공연·전시·행사기획 및 대행업 |
자본금 | 16,694,595,000원 (2019.12) |
매출액 | 517,716,781,406원 (2019) |
영업이익 | 22,880,068,727원 (2019) |
순이익 | -63,841,350,196원 (2019) |
자산총액 | 1,001,341,498,360원 (2019.12) |
주주 | 국민유선방송투자 주식회사 : 94.87% 기타 : 5.13% |
계열사 | 국민유선방송투자 주식회사 |
종업원 | 850명 (2019.12)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자회사 |
2. 연혁
2000년 '''씨앤앰커뮤니케이션'''으로 설립되었다. 2001년 EMC(대만 최대 MSO)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강동유선, 성북유선의 3차 SO 전환 승인을 받았으며, Discovery Networks Asia와 Discovery Channel 국내 Distribution 독점 계약을 체결하고 가입자 관리 정보 시스템(SMS)을 통합했다. 2002년에는 콜센터를 통합하고 ABS를 발행(900억원)했다. 2003년 씨앤앰 자가망을 이용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4년 중앙케이블비전(C-VISION)·서서울케이블TV·남부미디넷(현.서초지점)을 인수하고 골드만 삭스로부터 1,400억원을 투자받았다. 같은 해 C&M DMC를 개국하고 디지털케이블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제1회 C&M케이블TV기 초등학교 야구대회'를 개최 및 중계방송하고 주식회사 대한유선방송을 합병했다. 2005년 한국케이블TV 경기방송을 인수했다.
2006년 한국케이블TV강동방송, 한국케이블TV송파방송, 한국케이블TV중랑방송, 한국케이블TV중앙방송, 한국케이블TV경동방송을 흡수합병했다. 2007년 상호명을 '''씨앤엠커뮤니케이션'''에서 '''씨앤엠'''으로 변경했다. 2009년 씨앤엠구로케이블TV, 씨앤엠경기케이블TV, 씨앤엠노원케이블TV, 씨앤엠동서울케이블TV, 씨앤엠마포케이블TV, 씨앤엠북부케이블TV, 씨앤엠서서울케이블TV, 씨앤엠서초케이블TV, 씨앤엠용산케이블TV, 씨앤엠우리케이블TV를 합병했다.
2010년 씨앤앰 정규직 노동자들로 구성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서울지역본부 더불어사는희망연대노동조합 씨앤앰지부가 설립되어 35일간 파업을 진행했다. 같은 해 케이블 업계 최초로 통합물류센터를 구축했다. 2011년 GS 강남방송·GS 울산방송을 인수하고, 구로케이블에서 구로금천케이블로 변경했다. 2012년 C&M 울산케이블TV를 JCN 울산중앙방송에 매각하고 디지털미디어넷, 한국유선미디어를 합병했다.
2013년 씨앤앰 협력사 노동자로 구성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서울지역본부 더불어사는희망연대노동조합 케이블방송비정규직지부가 설립되었다. 2014년 비정규직 109명이 해고되고 구조조정에 맞선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209일간의 공동파업이 있었으며, 12월 31일 해고자 복직으로 구조조정을 막아냈다. 이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를 위한 투쟁의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는다. 2016년 상호명을 '''씨앤엠'''에서 '''딜라이브'''로 변경했다.
2018년에는 서초구 지역 케이블TV, 인터넷전화, 초고속인터넷 부문 등을 서초디지털방송으로 분리하였다.
2. 1. 씨앤앰(C&M) 시절 (2000년 ~ 2016년)
2000년 씨앤앰커뮤니케이션으로 설립되었다. 2001년 EMC(대만 최대 MSO)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강동유선, 성북유선의 3차 SO 전환 승인을 받았으며, Discovery Networks Asia와 Discovery Channel 국내 Distribution 독점 계약을 체결하고 가입자 관리 정보 시스템(SMS)을 통합했다. 2002년에는 콜센터를 통합하고 ABS를 발행(900억원)했다. 2003년 씨앤앰 자가망을 이용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다.2004년 중앙케이블비전(C-VISION)·서서울케이블TV·남부미디넷(현.서초지점)을 인수하고 골드만 삭스로부터 1,400억원을 투자받았다. 같은 해 C&M DMC를 개국하고 디지털케이블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제1회 C&M케이블TV기 초등학교 야구대회'를 개최 및 중계방송하고 주식회사 대한유선방송을 합병했다. 2005년 한국케이블TV 경기방송을 인수했다.
2006년 한국케이블TV강동방송, 한국케이블TV송파방송, 한국케이블TV중랑방송, 한국케이블TV중앙방송, 한국케이블TV경동방송을 흡수합병했다. 2007년 상호명을 씨앤엠커뮤니케이션에서 씨앤엠으로 변경했다. 2009년 씨앤엠구로케이블TV, 씨앤엠경기케이블TV, 씨앤엠노원케이블TV, 씨앤엠동서울케이블TV, 씨앤엠마포케이블TV, 씨앤엠북부케이블TV, 씨앤엠서서울케이블TV, 씨앤엠서초케이블TV, 씨앤엠용산케이블TV, 씨앤엠우리케이블TV를 합병했다.
2010년 씨앤앰 정규직 노동자들로 구성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서울지역본부 더불어사는희망연대노동조합 씨앤앰지부가 설립되어 35일간 파업을 진행했다. 같은 해 케이블 업계 최초로 통합물류센터를 구축했다. 2011년 GS 강남방송·GS 울산방송을 인수하고, 구로케이블에서 구로금천케이블로 변경했다. 2012년 C&M 울산케이블TV를 JCN 울산중앙방송에 매각하고 디지털미디어넷, 한국유선미디어를 합병했다.
2013년 씨앤앰 협력사 노동자로 구성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서울지역본부 더불어사는희망연대노동조합 케이블방송비정규직지부가 설립되었다. 2014년 비정규직 109명이 해고되고 구조조정에 맞선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209일간의 공동파업이 있었으며, 12월 31일 해고자 복직으로 구조조정을 막아냈다. 2016년 상호명을 씨앤엠에서 딜라이브로 변경했다.
2. 2. 딜라이브(D'LIVE) (2016년 ~ 현재)
2016년, 상호명을 '''씨앤엠'''에서 '''딜라이브'''로 변경하였다. 2018년에는 서초구 지역 케이블TV, 인터넷전화, 초고속인터넷 부문 등을 서초디지털방송으로 분리하였다.3. 계열사
3. 1. 서울특별시
wikitable방송국 | 서비스 지역 | 소재지 | 경쟁 방송국 |
---|---|---|---|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강남방송[2] | 서울 강남구 일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 318 | |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강동방송 | 서울 강동구 일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34길 15 | |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구로금천방송 | 서울 구로구/금천구 일원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29길 38 | |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노원방송 | 서울 노원구 일원 |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 244 | SK브로드밴드 노원방송 |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동서울방송 | 서울 광진구/성동구일원 | 서울특별시 성동구 고산자로 284 | SK브로드밴드 광진성동방송 |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마포방송 | 서울 마포구 일원 |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83길 13-26 | |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북부방송 | 서울 성북구 일원 |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21 | |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서서울방송 | 서울 서대문구 일원 |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83길 13-26 | SK브로드밴드 서대문방송 |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송파방송 | 서울 송파구 일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34길 15 | |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용산방송 | 서울 용산구 일원 |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83길 13-26 | |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중랑방송 | 서울 중랑구 일원 |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 244 | |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중앙방송 | 서울 종로구/중구 일원 |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83길 13-26 | SK브로드밴드 종로중구방송 |
3. 2. 경기도
딜라이브는 경기도 서북부 (고양시, 파주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기방송[3], 광주시 일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기동부방송, 경기도 동북부 (남양주시, 구리시, 하남시, 가평군, 양평군, 여주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동방송[3], 경기도 동북부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리방송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방송은 LG헬로비전 나라방송과 경쟁 관계에 있다.[3]4. 과거 계열사
4. 1. 서울특별시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서초방송은 서울 서초구 일원을 서비스 지역으로 하며,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68길 56이다. 경쟁 방송국은 HCN이다.5. 본점 및 지점 현황
딜라이브의 본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03길 9 (삼성동, 제일빌딩)에 위치하고 있다.
- 강동케이블티브이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34길 15 (송파동)에 있다.
- 송파케이블티브이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34길 15 (송파동)에 있다.
- 중랑케이블티브이와 노원케이블티브이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 244 (상봉동)에 있다.
- 중앙케이블티브이, 마포케이블티브이, 용산케이블티브이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83길 13-26 (원효로1가)에 있다.
- 경동케이블티브이는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 1298, 4층 (평내동, 혜림빌딩)에 있다.
- 구로금천케이블티브이는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29길 38, 403호 (구로동, 에이스테크노테크노타워3차)에 있다.
- 동서울케이블티브이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고산자로 284 (행당동, 성동샤르망)에 있다.
- 북부케이블티브이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21 (하월곡동, 서주빌딩)에 있다.
- 서서울케이블티브이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경기대로 58, 5층 (충정로2가, 경기빌딩)에 있다.
- 우리케이블티브이는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로22번길 29 (의정부동)에 있다.
- 경기케이블티브이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고봉로 26-14, A동 5층 (장항동, 양우로데오랜드)에 있다.
6. 논란
2012년 상반기 C&M이 당시 CJ E&M 계열 채널을 일부 감축한다고 발표하자, CJ E&M 측은 tvN, 올'리브, 엠넷, 채널CGV, XTM(현 OCN Movies) 등 자사 계열 채널들을 C&M에 전부 송출 중단한다고 통보하였다. 그러나 C&M이 CJ E&M을 상대로 법정 소송을 제기하면서, 2012년 아날로그 채널 개편 때 수퍼액션, OCN Thrills(현 OCN Movies 2)와 투니버스를 송출 중단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사례는 아름방송네트워크에서 지상파 계열 PP들을 한꺼번에 제외했던 사례(MBC 라이프(현 MBC ON), SBS CNBC(현 SBS Biz), KBS 프라임(현 KBS N 라이프, 이후 케이블 PP 대역은 KBS W(현 KBS 스토리)를 없애 버렸던 사례)와 유사하게 전개되었지만, 논란은 일단락되었다. 이보다 앞선 2011년 6월에는 리얼TV와의 송출권 분쟁도 있었다.
참조
[1]
문서
중계유선방송 운영사
[2]
문서
딜라이브강남케이블티브이
[3]
문서
딜라이브경기동부케이블티브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방통위, '2023년도 방송평가' 결과 발표
[주간 트렌드 리포트] 삼성전자 3분기 실적 분석, 국감 마지막 날, 말 말 말 – 바이라인네트워크
케이블사업자 투자·운영비용 절감할 HFC 네트워크 진화 해법은 – 바이라인네트워크
[넷플릭스의 3대 경쟁력] ③ 적과의 동침도 OK…과감한 제휴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