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땡땡의 모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땡땡의 모험》은 벨기에 만화가 에르제(본명: 조르주 레미)가 1929년 시작한 만화 시리즈이다. 젊은 벨기에 기자 땡땡과 그의 애견 밀루가 세계 각지를 돌아다니며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29년 벨기에 신문 《20세기 신문》의 어린이 부록 《20세기 어린이 신문》에 연재를 시작했으며, 8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3억 5천만 부 이상 발행되었다. 초기 작품들은 식민주의, 인종차별 등의 논란을 겪었으나, 1991년과 2011년에 각각 TV 애니메이션과 영화로 제작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책 - 퀵과 플륍크
    퀵과 플륍크는 에르제가 르 프티 방티엠에 연재한 벨기에 만화 시리즈로, 브뤼셀을 배경으로 두 소년의 일상을 유머러스하게 그린 작품이며, 에르제 사후 채색되어 재발행되었다.
  • 에르제 - 퀵과 플륍크
    퀵과 플륍크는 에르제가 르 프티 방티엠에 연재한 벨기에 만화 시리즈로, 브뤼셀을 배경으로 두 소년의 일상을 유머러스하게 그린 작품이며, 에르제 사후 채색되어 재발행되었다.
  • 에르제 - 장충런
    장충런은 중국 화가이자 조각가로서 벨기에 만화가 에르제에게 영향을 주어 《푸른 연꽃》 배경 묘사에 기여하고 작품 등장인물 모델이 되었으며, 문화대혁명 이후 재평가받고 프랑스 시민권을 취득하여 후학 양성에 힘썼다.
  • 땡땡의 모험 - 장충런
    장충런은 중국 화가이자 조각가로서 벨기에 만화가 에르제에게 영향을 주어 《푸른 연꽃》 배경 묘사에 기여하고 작품 등장인물 모델이 되었으며, 문화대혁명 이후 재평가받고 프랑스 시민권을 취득하여 후학 양성에 힘썼다.
  • 땡땡의 모험 - 벨기에 만화 센터
    벨기에 만화 센터는 빅토르 오르타가 설계한 아르누보 양식 건물에 위치한 만화 박물관으로, 벨기에 만화의 역사와 예술성을 기리고 대표 만화가들의 작품 전시, 만화 서점, 도서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2023년에는 마르크 슬린 박물관 컬렉션 일부를 통합할 예정이다.
땡땡의 모험 - [영화]에 관한 문서
주요 등장인물
땡땡의 모험 주요 등장인물
땡땡, 스노위, 아독 선장, 캘큘러스 교수, 톰슨과 톰프슨, 비앙카 카스타피오레
주인공땡땡
조력자스노위 ()
주요 조연아독 선장
캘큘러스 교수 ()
톰슨과 톰프슨 ()
비앙카 카스타피오레
기본 정보
장르모험
소년
추리
작가에르제
화가에르제
봅 드 무어
에드가 피에르 자코브
출판사카스테르만
연재 잡지르 프티 벵티엠
르 스와르
땡땡 (잡지)
연재 시작1929년
연재 종료1976년
단행본 권수25권 ( 24권)
로마자 표기Les Aventures de Tintin
작품 목록
제목소비에트의 땡땡 (1930)
콩고의 땡땡 (1931)
아메리카의 땡땡 (1932)
파라오의 시가 (1934)
푸른 연꽃 (1936)
부러진 귀 (1937)
검은 섬 (1938)
오토카 왕의 지팡이 (1939)
황금 발톱을 가진 게 (1941)
별똥별 (1942)
유니콘호의 비밀 (1943)
레드 라캄의 보물 (1944)
일곱 개의 수정 구슬 (1948)
태양의 죄수 (1949)
검은 황금의 나라 (1950)
달 탐험 계획 (1953)
달 탐험 (1954)
캘큘러스 사건 (1956)
홍해의 상어 (1958)
티베트의 땡땡 (1960)
카스타피오레의 보석 (1963)
시드니행 714편 (1968)
땡땡과 카르파스 (1976)
땡땡과 알파 아트 (1986)
제작 관련
원작자에르제
글 작가에르제
그림 작가에르제
봅 드 무어
에드가 P. 자코브
자크 마르탱
로저 를루
채색 담당에드가 P. 자코브
조제트 보조
파니 로드웰
(모두 크레딧 없음)
주요 캐릭터 팀땡땡
스노위 ()
아독 선장
캘큘러스 교수 ()
톰슨과 톰프슨 ()
비앙카 카스타피오레
기타 정보
특징양식

2. 역사

에르제는 고향 브뤼셀에 있던 로마 가톨릭 계열의 보수적인 신문인 『20세기 신문』(Le Vingtième Siècle프랑스어)에서 일하며, 어린이용 부록 잡지인 『20세기 어린이 신문』(Le Petit Vingtième프랑스어)의 편집과 삽화가를 겸임했다. 1929년 1월 10일, 『20세기 신문』 편집장 노르베르트 발레즈의 기획으로 시작된 땡땡의 모험 시리즈는 전 세계에 파견되는 벨기에인 소년 기자를 주인공으로 한 어린이 만화였다. 초기 3작품은 발레즈가 주제와 무대를 결정했지만, 이후에는 에르제가 구상과 플롯을 짜게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의 혼란기를 거쳐 1983년 사망할 때까지 평생에 걸쳐 계속되었다.

잡지 연재 후, 수정 작업을 거쳐 카스텔만(Casterman)사에서 단행본으로 출판되었다. 초기에는 흑백 작품이었지만, 1942년 시리즈 제10작품 『비밀의 유성』 단행본부터 컬러 작품이 되었고, 과거 작품들도 순차적으로 컬러화되었다 (『땡땡, 소비에트로 가다』는 제외). 원작은 프랑스어지만, 8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고, 시리즈 전 세계 발행 부수는 3억 5천만 부가 넘는다.[12]

1940년 5월, 제2차 세계 대전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나치 독일이 벨기에를 침공했다. 에르제는 잠시 프랑스로 피신했지만, 결국 점령된 조국으로 돌아갔다.[4] 정치적 이유로 나치 당국은 Le Vingtième Siècle프랑스어을 폐간하여 에르제는 실직했다.[4] 그는 벨기에의 주요 신문인 Le Soir프랑스어에서 삽화가로 일하게 되었고, 1940년 10월 17일, 어린이 잡지 Le Soir Jeunesse프랑스어의 편집자가 되어 새로운 땡땡 모험을 제작하기 시작했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점령하 벨기에의 새로운 억압적인 정치적 분위기 속에서, 에르제는 게슈타포에 체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 땡땡의 모험을 정치적으로 만들 수 없었다. 해리 톰슨이 지적했듯이, 땡땡의 기자 역할은 끝나고 탐험가 역할로 대체되었다.[4]

1944년 9월, 연합군이 브뤼셀을 해방시키면서 Le Soir프랑스어는 폐간되었다.[4] 1946년, 에르제는 레이몽 르블랑의 초청을 받아 새로운 잡지인 땡땡(Tintin)에서 땡땡의 모험 연재를 재개했다.[15]

1950년, 에르제는 에르제 스튜디오(Studios Hergé)를 설립하여 땡땡의 모험 제작 과정을 효율화했다.[4] 스튜디오는 땡땡 잡지를 위해 8개의 새로운 땡땡 시리즈를 제작했고, 두 개의 오래된 땡땡 시리즈를 컬러로 재편집했다. 에르제 스튜디오는 1983년 에르제 사망 시까지 추가 출판물을 계속해서 발매했다. 1986년, 미완성 24번째 작품인 《땡땡과 알파아트》가 출시되었고, 스튜디오는 해산되었으며, 자산은 에르제 재단(Hergé Foundation)으로 이전되었다.[4]

최초의 일본어판은 1968년에 주부의 친구사에서 阪田寛夫 번역으로 『모험 땡땡』이라는 시리즈명으로 출판되었으나, 거의 주목받지 못하고 중단되었다. 1983년부터 복음관서점에서 가와구치 케이코 번역으로 『땡땡의 모험 여행』이라는 시리즈명으로 출판되었고, 2011년에 『땡땡의 모험』으로 변경되었다.[12] 2007년 12월, 시리즈 전 24작품이 간행되었다. 일본 복음관서점판은 2011년 12월 시점에서 하드커버판이 약 107만 부, 페이퍼백판이 약 26만 부를 발행했다.[13]

2. 1. 르 방티엠 시에클(Le Vingtième Siècle) 시대 (1929-1939)

에르제(Hergé)는 브뤼셀에 기반을 둔 보수적인 벨기에 신문인 Le Vingtième Siècle|20세기 신문프랑스어에서 삽화가로 일했다. 노르베르트 발레즈(Norbert Wallez) 신부가 운영하는 이 신문은 파시스트적 관점을 전파했다.[1] 발레즈는 에르제에게 Le Petit Vingtième|작은 20세기프랑스어라는 새로운 목요일 청소년판 편집자 직을 맡겼다.[2]

Le Petit Vingtième


에르제는 땡땡을 미국으로 보내고 싶었지만, 발레즈는 그에게 어린이를 위한 반사회주의 선전으로 모험을 소련으로 설정하라고 명령했다. 그 결과, ''소련에 간 땡땡''은 1929년 1월부터 1930년 5월까지 Le Petit Vingtième|작은 20세기프랑스어에 연재되었다.[4] 발레즈는 파리 북역에서 홍보 스턴트를 기획했고, 그 후 이야기를 책으로 출판했다.[5] 이 이야기의 인기는 판매 증가로 이어졌고, 발레즈는 에르제에게 두 명의 조수를 배정했다.[6]

발레즈의 지시에 따라 6월에 그는 벨기에 콩고에 대한 식민지 정서를 고취하기 위해 고안된 두 번째 이야기 ''콩고에 간 땡땡''의 연재를 시작했다. 콩고인들을 어린아이 같은 바보로 묘사한 가부장적인 스타일로 쓰여진 이 작품은 후대에 인종차별주의로 비난받았지만, 당시에는 논란이 없었고 인기가 많았으며, 판매 증진을 위한 추가적인 홍보 스턴트도 열렸다.[7]

세 번째 모험인 ''미국에 간 땡땡''은 1931년 9월부터 1932년 10월까지 연재되었으며, 에르제는 마침내 자신의 선택에 따라 시나리오를 다룰 수 있게 되었고, 이 작품을 사용하여 신문의 극우 이데올로기에 맞춰 반자본주의적이고 반소비주의적인 의제를 추진했다.[8]

2. 2. 르 수아르(Le Soir) 시대 (1940-1945)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벨기에를 점령하면서 《20세기 신문》이 폐간되자, 에르제는 독일 관리 하에 있던 신문 《르 수아르》로 옮겨 연재를 계속했다.[4] 전쟁 중에는 정치적인 내용을 피하고, 땡땡의 역할은 기자에서 탐험가로 바뀌었다.[4]

《르 수아르》 및 《르 수아르 주네스》에 연재된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연재 기간비고
금가위 게1940년-1941년《르 수아르 주네스》 창간호부터 연재. 전시 통제 하의 종이 부족으로 폐간되면서 《르 수아르》 본지로 이동.
금가위 게 (나머지)1941년-1944년《르 수아르》에서 일간 연재.
7개의 수정구1944년연재 중 벨기에 해방으로 중단.


2. 3. 르 주르날 드 땡땡(Le Journal de Tintin) 시대 (1946-1983)

종전 후, 에르제는 레지스탕스 출신 레이몽 르블랑의 지원을 받아 땡땡이라는 이름의 새 만화 잡지를 창간하고 연재를 재개했다.[15] 1950년, 에르제는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분업 시스템을 도입, 땡땡의 모험 제작 과정을 효율화했다. 에르제 사망 후, 미완성 24번째 작품 《땡땡과 알파아트》가 1986년에 출판되었다.

3. 등장인물

땡땡의 모험 시리즈에는 주인공 땡땡과 그의 조력자들 외에도 다양한 조연, 악당들이 등장한다.


  • '''조연'''

장중인(Tchang Tchong-Jen): 중국인 소년. 푸른 연꽃에서 땡땡에게 구조된 후 친구가 된다. 티베트에 간 땡땡에서 다시 등장한다.
비앙카 카스타피오레(Bianca Castafiore): 세계적인 오페라 가수. 오토카 왕국의 지휘봉에서 처음 등장하여 여러 편에 등장한다. 해독 선장은 그녀를 싫어한다.
알카사르 장군(Général Alcazar): 남아메리카 산 테오도로스 공화국의 혁명가이자 독재자. 잃어버린 귀걸이에서 처음 등장하여 여러 편에 등장한다.
네스토르(Nestor): 물랭사르 성의 집사. 유니콘호의 비밀에서 처음 등장하여 해독 선장을 섬긴다.
올리베이라(Oliveira): 포르투갈의 잡화상. 파라오의 시가에서 처음 등장하여 땡땡을 돕는다.
벤 칼리시 에자브(Emir Ben Kalish Esab): 케메드국의 수장. 타는 물의 나라에서 처음 등장한다.
아브달라(Abdallah): 케메드국 수장의 아들. 타는 물의 나라에서 처음 등장한다.
세라팽 랑피옹(Séraphin Lampion): 보험 외판원. 해바라기 사건에서 처음 등장하여 여러 편에 등장한다.
슈트(Szut): 비행기 조종사. 홍해의 상어에서 처음 등장하여 땡땡을 돕는다.

  • '''악당'''

로베르토 라스타포풀로스(Roberto Rastapopoulos): 땡땡의 숙적. 국제적인 범죄 조직의 두목이다. 파라오의 시가에서 처음 등장하여 여러 편에 등장한다.
앨런 톰슨(Allan Thompson): 라스타포풀로스의 심복. 파라오의 시가에서 처음 등장하여 여러 편에 등장한다.
뮬러 박사(Docteur Müller): 위조지폐 조직, 반체제 조직 등 여러 범죄에 연루된 악당. 검은 섬의 비밀에서 처음 등장하여 여러 편에 등장한다.
보리스 시종장 / 요르겐 대령(Colonel Boris / Colonel Jorgen): 실다비아 왕국의 시종장이자 스파이. 오토카르 왕의 지팡이에서 처음 등장하여 여러 편에 등장한다.
스폰츠 대령(Colonel Sponsz): 보르두리아의 군인. 해바라기 사건에서 처음 등장하여 여러 편에 등장한다.
J.M. 도슨(J.M.Dawson): 상하이 조계의 경시총감. 푸른 연꽃에서 처음 등장하여 여러 편에 등장한다.
바비 스마일즈(Bobby Smiles): 갱 보스. 땡땡, 미국으로에 등장한다.

3. 1. 주요 등장인물

주인공 땡땡과 밀루

  • '''땡땡(Tintin)'''은 만화의 중심 인물로, 젊은 벨기에인 기자이다. 위험한 상황에서 기지를 발휘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소비에트에 간 땡땡'에서는 '르 프티 벵티엠(소년 20세기)'의 탐방 기자로 나타났다. '틴틴', '탱탱', '탕탕'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20]
  • '''밀루(Milou, 영어:Snowy 스노위)'''는 땡땡과 모험을 같이 하는 흰 강아지로 폭스 테리어종이다. 강아지이지만 땡땡과 대화를 할 수 있다. 뼈다귀와 술을 매우 좋아한다. 위험에 처한 땡땡 일행을 도와준다.
  • '''아독 선장(Capitaine Haddock)'''은 땡땡의 가장 친한 친구이다. '황금 집게발 달린 게'에서 처음 등장한 뒤 계속 나왔다. 라캄의 보물에서 물랭사르 성을 구매하고 그의 조상 프랑수아 아독 경(François de Hadoque프랑스어)으로부터 물려받은 보물을 찾아 부자가 되었다. 술과 담배를 매우 좋아하며, 과거 선장이었기 때문에 늘 욕설을 입에 달고 살지만 악의는 없다. 해군 장교 모자를 아끼고 자주 쓰고 다닌다. 정확한 명칭은 영어로 Captain Archibald Haddock이다.
  • '''해바라기 박사(Tryphon Tournesol)'''는 라캄의 보물에서 먼저 등장하였으며 귀가 잘 안 들려서 동문서답을 잘 한다. 젊을 때 가라테, 이종격투기 등의 무술을 익혔다. 늘 전자 복사선 연구를 한다고 추를 들고 다닌다. 땡땡, 아독 선장과 같이 달에 간 적이 있다. 아독 선장, 땡땡과 같이 물랭사르 성에 산다. 정확한 영어 명칭은 Professor Cuthbert Caculus다.
  • '''뒤퐁과 뒤뽕(Dupond et Dupont)'''[21]은 쌍둥이 형사[22]로 인터폴 소속이다. '콩고에 간 땡땡'에서는 1쪽에 딱 한 번만 등장하고, '파라오의 시가'편부터 자세히 나온다. 이후 '티베트에 간 땡땡'과 '시드니행 714편'을 제외한 19개 작품에 등장한다. 형사지만 매우 어리숙하고 실수를 많이 하여 땡땡 일행을 곤란하게 만들기도 한다. 모델은 에르제의 아버지와 작은아버지다. 영어로는 Mr. Thomson and Thompson이라고 한다.
  • '''네스토(Nestor)'''는 물랭사르 성의 집사이다. 유니콘호의 비밀에서 처음 등장했다. 과거 르와조 형제의 시중을 들었으나 아독 선장이 성주가 된 이후로 그의 시중을 들고 있다. 자기 일에 충실하다.
  • '''세라팽 랑피옹(Seraphin Lampion)'''은 몽다스 보험 회사의 보험 외판원으로, '해바라기 사건'에서 처음 등장한 이후로 아독 선장에게 보험을 들라고 귀찮게 한다.
  • '''비앙카 카스타피오레(Bianca Castafiore)'''는 오페라 여가수로 별명은 "밀라노나이팅게일(혹은 종달새)"이다. '오토카 왕국의 지휘봉'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땡땡 일행에 우호적이다. 그녀의 노래와 극성스러운 성격, 그리고 아독 선장의 이름을 매번 다르게 불러 그를 귀찮게 한다.
  • '''라스타포풀로스(Roberto Rastapopoulos)'''는 땡땡의 모험에 등장하는 악당이다. 파라오의 시가에서 처음 등장하였으며 국제 마약, 노예 조직의 두목이다. 영화 제작자이기도 하다. '시드니행 714편'에서 외계인들에 의해 UFO를 타고 어디론가 가버린다.

3. 2. 악당


  • 로베르토 라스타포풀로스(Roberto Rastapopoulos)

땡땡의 숙적이다. 국제적인 범죄 조직의 두목으로, 대머리에 큰 코, 왼쪽 눈에는 안경을 쓴 것이 특징이다.[1] 표면적으로는 영화 제작자, 선박왕, 미디어 재벌 등 다양한 신분으로 위장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마약 밀수, 노예 매매, 무기 밀매 등 온갖 범죄를 저지른다.[1] 『파라오의 시가』에서 처음 등장한 이후 여러 사건에 관여하며 땡땡을 괴롭힌다.[1] 『홍해의 상어』에서는 가라앉는 모터보트에서 소형 잠수정으로 탈출하는 등 번번이 체포를 피했지만,[1] 『시드니행 714편』에서는 자금 부족으로 카레이다스의 비행기를 납치할 정도로 몰락하고, 결국 부하들과 함께 UFO에 납치된다.[1]

  • 앨런 톰슨(Allan Thompson)

라스타포풀로스의 심복으로, 선원으로 일하며 마약 밀수, 노예 매매 등 다양한 범죄에 가담한다.[2] 땡땡 일행, 특히 해독 선장과 여러 번 대결한다.[2] 『파라오의 시가』에서 처음 등장하여 라스타포풀로스의 마약 밀수 계획에 가담했고,[2] 『금가위 게』에서는 화물선 칼라부잔호의 1등 항해사로 선장 해독을 알코올 중독으로 만들어 배를 조종하며 마약 밀수를 하다 땡땡에게 체포된다.[2] 『홍해의 상어』에서는 노예 매매에 가담하고, 『시드니행 714편』에서는 라스타포풀로스와 함께 카레이다스 납치 계획에 가담하는 등[2] 끝까지 악행을 멈추지 않는다.

  • 뮬러 박사(Docteur Müller)

위조지폐 조직, 반체제 조직 등 여러 범죄에 연루된 악당이다.[3] 『검은 섬의 비밀』에서 위조지폐 조직원으로 처음 등장하여 땡땡에게 체포되었고,[3] 『타는 물의 나라』와 『홍해의 상어』에서는 중동 국가 케메드에서 반체제 조직원으로 활동하며 땡땡을 위협한다.[3] 처음에는 신사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재등장하면서 거친 성격으로 변한다.[3]

  • 보리스 시종장 / 요르겐 대령(Colonel Boris / Colonel Jorgen)

실다비아 왕국의 시종장이자 스파이로, 왕위 찬탈을 노리는 인물이다.[4] 『오토카르 왕의 지팡이』에서 실다비아 왕권의 상징인 지팡이를 탈취하려다 땡땡에게 저지당하고,[4] 『달을 향하여』와 『달 세계 탐험』에서는 요르겐이라는 이름으로 실다비아의 로켓 계획에 관련된 음모에 가담하여 달 로켓을 탈취하려다 볼프와의 싸움 중 사망한다.[4]

4. 작품 목록

《땡땡의 모험》 시리즈는 1929년부터 1986년까지 총 24권이 정식 출판되었다.[14] 작가 에르제가 사망하면서 마지막 24번째 작품인 《땡땡과 알파아트》는 미완성 유고작으로 남았다.[14]

처음 1권부터 9권까지는 흑백으로 출판되었으나, 10권 《신기한 별똥별》부터 컬러로 출판되기 시작했다. 이후 흑백 작품들도 순차적으로 컬러화되었다. 단, 첫 번째 작품인 《소비에트에 간 땡땡》은 오랫동안 컬러화되지 않다가 2017년에야 컬러판이 나왔다.

정식 시리즈 외에도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원작으로 한 《땡땡과 상어 호수》가 1972년에 출판되었다.

《땡땡의 모험》 정식 출판 목록
권 번호제목연재 기간흑백 단행본컬러 단행본비고
1소비에트에 간 땡땡1929–193019302017에르제는 1973년까지 이 책의 재출판을 허용하지 않았다. 2017년 컬러판으로 출시되었다.
2콩고에 간 땡땡1930–193119311946에르제는 컬러로, 그리고 고정된 62페이지 형식으로 재출판했다. 10권이 최초로 컬러로 출판되었다.
3미국에 간 땡땡1931–193219321945
4파라오의 시가1932–193419341955
5푸른 연꽃1934–193519361946
6부러진 귀1935–193719371943
7검은 섬1937–193819381943, 1966
8오토카 왕국의 지휘봉1938–193919391947
9황금 집게발 달린 게1940–194119411943
10신기한 별똥별1941–19421942
11유니콘호의 비밀1942–1943194311권부터 15권까지는 전쟁과 협력자의 변화로 에르제에게 중간기를 의미하는 책들이다.
12라캄의 보물19431944
13일곱개의 수정구슬1943–19461948
14태양의 신전1946–19481949
15검은 황금의 나라1939-1940
1948–1950
1950, 1971
16달 탐험 계획1950–1952195316권부터 23권까지(그리고 4, 7, 15권의 개정판)는 에르제 스튜디오의 작품이다.
17달나라에 간 땡땡1952–19531954
18해바라기 사건1954–19561956
19노예선1956–19581958
20티베트에 간 땡땡1958–19591960
21카스타피오레의 보석1961–19621963
22시드니행 714편1966–19671968
23땡땡과 카니발 작전1975–19761976
24땡땡과 알파아트19862004에르제의 미완성 작품으로 사후에 출판되었다.


4. 1. 한국어판 출판 목록 (솔 출판사 기준)

1948–19501950, 197116달 탐험 계획1950–1952195316권부터 23권까지(그리고 4, 7, 15권의 개정판)는 에르제 스튜디오의 작품이다.17달나라에 간 땡땡1952–1953195418해바라기 사건1954–1956195619노예선1956–1958195820티베트에 간 땡땡1958–1959196021카스타피오레의 보석1961–1962196322시드니행 714편1966–1967196823땡땡과 카니발 작전1975–1976197624땡땡과 알파아트19862004에르제의 미완성 작품으로 사후에 출판되었다.25땡땡과 상어 호수1972Tintin et le lac aux requins프랑스어 영화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5. 논란과 비평

땡땡의 모험 시리즈는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지만,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초기 작품들에서는 식민주의와 인종차별적인 묘사가 나타났으며, 반유대주의적인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작가 에르제의 정치적 입장이 작품에 반영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에르제는 노르베르트 발레즈의 기획으로 땡땡의 모험 시리즈를 시작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혼란기를 거쳐 1983년 사망할 때까지 작품 활동을 계속했다.[1] 초기에는 흑백 작품이었지만, 1942년 시리즈 제10작품 『비밀의 유성』부터 컬러 작품이 되었고, 이전 작품들도 순차적으로 컬러화되었다(단, 『땡땡, 소비에트로 가다』는 제외).[1] 땡땡의 모험 시리즈는 8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고, 전 세계 발행 부수는 3억 5천만 부가 넘는다.[1]
게재지

잡지명기간내용
『20세기 어린이 신문』(Le Petit Vingtième)1929년-1940년『땡땡, 소비에트로 가다』 연재 시작. 『불타는 나라』 연재 중 나치 독일의 벨기에 전투(벨기에 점령)로 인해 폐간.
『르 쑤아르 주네스』(Le Soir-Jeunesse)1940년-1941년『금가위 게』 연재. 전시 통제하의 종이 부족으로 폐간.
『르 쑤아르』(Le Soir)1941년-1944년『금가위 게』 연재. 벨기에 해방과 함께 나치 협력자 혐의로 추방.
『땡땡 잡지(Tintin (magazine))1946년-1976년『7개의 수정구』 재연재 및 완결. 이후 시리즈 계속.


5. 1. 식민주의와 인종차별

에르제는 푸른 연꽃을 제작하면서부터 땡땡이 방문하는 나라와 사람들에 대해 깊이 조사하기 시작했다. 그는 조사와 사진 자료를 통해 땡땡의 세계를 현실적으로 묘사하려 했으며, 심지어 가상의 국가를 만들어 특정 정치 문화를 반영하기도 했다.

하지만 에르제가 살았던 시대의 문화적 영향으로 인해 군주제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5. 2. 반유대주의

《별똥별》에서는 유대인 금융가를 부정적으로 묘사하여 반유대주의 논란이 있었다.[1]

5. 3. 정치적 입장

에르제의 정치적 입장은 그의 작품 활동 시기에 따라 변화를 겪었다. 초기 작품에서는 반공주의, 식민주의 옹호 등 보수적인 성향을 드러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려 노력했다.

에르제는 작품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철저한 조사를 했다. 특히 『푸른 연꽃』부터는 독자들에 대한 책임감을 느껴 땡땡이 방문하는 국가와 사람들에 대해 깊이 연구했다.[1] 그는 사진 자료를 참고하고, 허구의 국가를 만들 때는 특정 정치 문화까지 설정하는 등 현실적인 세계를 구축하려 노력했다.[2]

에르제는 군주제를 "합법적인 정부 형태"로 보았고, 민주주의적 가치는 상대적으로 덜 강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 그가 창조한 가상의 국가 '실다비아'는 발칸 반도에 위치하며, 알바니아를 모델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실다비아는 이웃 국가 보르두리아의 위협을 받는데, 이는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과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나치 독일의 체코슬로바키아오스트리아 침략과 유사한 상황이다.[5]

6. 한국에서의 소개 및 영향

한국에서는 1968년에 주부의 친구사에서 《모험 땡땡》이라는 제목으로 처음 소개되었다. 『검은 섬 탐험』(검은 섬의 비밀), 『신기한 운석』(비밀의 유성), 『유니콘 호의 비밀』(수수께끼의 유니콘호) 세 작품이 阪田寛夫의 번역으로 출판되었으나,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후속 출판은 이루어지지 않았다.[23]

1983년부터 복음관서점에서 가와구치 케이코 번역으로 『땡땡의 모험 여행』이라는 제목으로 다시 출판되기 시작했다.[12] 복음관서점판은 『검은 섬의 비밀』부터 시작하여, 전후편으로 구성된 『파라오의 시가』와 『푸른 연꽃』을 별도로 출판하는 등, 2007년 12월까지 『땡땡과 피카로들』, 『땡땡과 알파아트』를 포함한 시리즈 전 24작품을 간행하였다. 2011년에는 제목을 『땡땡의 모험』으로 변경하였다.[12] 2011년 12월 기준으로 복음관서점판은 하드커버판 약 107만 부, 페이퍼백판 약 26만 부가 발행되었다.[13]

1990년대 초반에는 진주의 코스모스 출판사에서 세 권의 한국어판이 출간되기도 했다.[23] 2000년에는 솔 출판사에서 전집이 출간되었다.[24]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여러 방송사를 통해 방영되었다. 대교방송에서는 《소년기자 틴틴》, MBC에서는 《틴틴의 대모험》, EBS에서는 1999년에 《틴틴의 대모험》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투니버스에서는 《틴틴 - 위험한 휴가》(땡땡과 상어호수)와 《태양의 신전》이 방영되었다. 월간 만화잡지 《보물섬》 창간호부터 〈땡땡 - 모험 시리즈〉로 연재되기도 했다.

7. 각색

《땡땡의 모험》은 만화책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영화, 연극, 뮤지컬,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엘르제는 1929년 1월 10일 『20세기 신문』의 어린이용 부록 잡지 『20세기 어린이 신문』에 《땡땡, 소비에트로 가다》를 연재하며 땡땡의 모험 시리즈를 시작했다. 초기 3작품은 편집장 노르베르트 발레즈가 주제와 무대를 결정했지만, 이후 엘르제가 구상과 플롯을 담당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혼란기를 거치며, 엘르제는 1983년 사망할 때까지 평생에 걸쳐 이 작품을 연재했다.[17]

원작은 프랑스어지만, 8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 출판되었으며, 전 세계 발행 부수는 3억 5천만 부가 넘는다. 현지 출판사의 의뢰로 『검은 섬의 비밀』처럼 현지 상황에 맞춰 수정 및 변경된 리메이크판이 제작되기도 했다.[17] 잡지에 약 1년간 주간 연재된 후, 카스텔만(Casterman)사에서 단행본으로 출판되었다. 초기에는 흑백이었지만, 1942년 시리즈 제10작품 『비밀의 유성』부터 컬러 작품이 되었고, 이전 작품들도 순차적으로 컬러화되었다(『땡땡, 소비에트로 가다』 제외).[17]

2007년 5월 14일,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드림웍스는 《땡땡의 모험》을 모션 캡처를 이용한 풀 디지털 3D 애니메이션으로 영화화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실사화의 한계를 느낀 스필버그 감독이 CG로 제작하기로 결정한 결과였다. 스필버그는 피터 잭슨과 공동으로 2009년 1월부터 촬영을 시작하여, 2011년 1편 틴틴: 유니콘호의 비밀을 개봉하였다. 제이미 벨이 땡땡 역, 앤디 서키스가 해독 선장 역, 다니엘 크레이그가 악당 해적 붉은 라캄 역의 목소리 연기를 맡았고, 음악은 존 윌리엄스가 맡았다.[17]

7. 1. 애니메이션

벨비전 스튜디오(Belvision Studio)는 《태양의 신전》과 《땡땡과 상어 호수》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다.[1] 1991년 프랑스 엘립스 애니메이션과 캐나다 넬바나 애니메이션 회사가 합작하여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땡땡의 모험》을 제작했는데, 이 시리즈는 원작에 매우 충실하여 호평을 받았다.

1957년 벨비전 스튜디오는 《에르제의 땡땡 모험》(Les aventures de Tintin d'après Hergé프랑스어)을 제작했다.[4] 이 작품은 에르제의 원작 10권을 바탕으로 각 5분 분량의 에피소드 103개로 구성된 연속극이었다. 애니메이션 품질은 제한적이었고, 대부분 이야기가 원작과 크게 달랐다.[4]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캐나다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 넬바나와 프랑스 엘립스(Ellipse)는 캐나다-프랑스 합작으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땡땡의 모험》(Les Aventures de Tintin프랑스어)을 제작했다. 이 시리즈는 "소비에트", "콩고", "알파아트"를 제외한 에피소드를 애니메이션화했다. 1998년 NHK 위성 제2텔레비전에서 방송되었고, VHS는 1997년 7월 22일 애스믹에서 발매되었다. 카툰 네트워크에서는 2010년부터 HD 리마스터 버전이 방송되었고, DVD는 2011년 11월 4일 TC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되었다.

2011년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은 3D 입체영화 《틴틴: 유니콘호의 비밀》을 제작했다.

7. 2. 영화

장-피에르 탈보가 땡땡 역을 맡은 실사 영화 《땡땡과 황금 양털(1961)과 《땡땡과 푸른 오렌지(1964)가 1960년대에 제작되었다. 두 영화 모두 원작 만화가 아닌 오리지널 스토리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1]

최초의 땡땡 만화 각색 영화는 1947년작 《황금 집게발 게》로, 스톱 모션 인형 애니메이션이었다.[1] 이후 벨비전 스튜디오(Belvision Studio)에서 제작한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땡땡과 태양의 신전(1969)과 《땡땡과 상어 호수(1972)가 개봉되었다.[1]

2011년에는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피터 잭슨 제작의 3D 모션 캡처 애니메이션 영화 《땡땡의 모험: 유니콘호의 비밀》이 개봉되었다. 황금 집게발 게, 유니콘의 비밀, 붉은 랙햄의 보물 세 편의 원작을 바탕으로 제작된 이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했다.[1] 제이미 벨이 땡땡, 앤디 서키스가 해독 선장, 다니엘 크레이그가 붉은 랙햄의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1]

7. 3. 연극 및 뮤지컬

에르제는 자크 반 멜케베케(Jacques Van Melkebeke)와 협력하여 두 편의 연극을 제작했다. ''땡땡 인디아: 푸른 다이아몬드의 비밀''(1941)은 땡땡이 도난당한 푸른 다이아몬드를 찾는 내용이고, ''불록 씨의 실종''(1941~1942)은 땡땡과 톰슨, 톰슨 형사가 실종된 백만장자의 재산을 노리는 사기꾼을 밝혀내는 이야기이다. 이 연극들은 브뤼셀의 Théâtre Royal des Galeries|왕립 갈레리 극장프랑스어에서 공연되었으나, 대본은 분실되었다.[1]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 제프리 케이스(Geoffrey Case)가 각색한 두 편의 땡땡 연극이 런던 웨스트엔드의 아츠 극장(Arts Theatre)에서 공연되었다. ''땡땡의 위대한 미국 모험''은 ''땡땡 미국에서''(1976~1977)를, ''땡땡과 검은 섬''은 ''검은 섬''(1980~81)을 바탕으로 한다. ''땡땡과 검은 섬''은 이후 순회 공연을 가졌다.[1]

1980~81년 런던 웨스트엔드의 아츠 극장(Arts Theatre)에서 유니콘 극단(Unicorn Theatre Company)이 공연한 ''땡땡과 검은 섬''


''일곱 개의 수정 구슬''과 ''태양의 죄수''를 바탕으로 한 뮤지컬 Kuifje – De Zonnetempel (De Musical)|땡땡 – 태양의 신전 (뮤지컬)nl이 2001년 벨기에 앤트워프에서 초연되었다. 이후 2002년에는 Tintin – Le Temple du Soleil – Le Spectacle Musical|땡땡 - 태양의 신전 - 뮤지컬프랑스어샤를루아에서 공연되었다.[1]

런던의 영 빅(Young Vic) 극단은 ''티베트에서의 땡땡''을 뮤지컬로 각색한 ''에르제의 땡땡 모험''(2005~2006)을 바비칸 예술센터(Barbican Arts Centre)에서 공연했다. 이 공연은 2007년 런던 웨스트엔드의 플레이하우스 극장(Playhouse Theatre)에서 재공연된 후 순회 공연을 가졌다.[1]

7. 4. 비디오 게임

여러 편의 《땡땡의 모험》 비디오 게임이 출시되었다. 땡땡은 1989년 프랑스 게임 회사인 인포그램 엔터테인먼트(Infogrames Entertainment, SA)에서 횡스크롤 게임인 달나라를 향해(Tintin on the Moon)를 출시하면서 비디오 게임에 등장하기 시작했다.[1] 같은 회사는 1995년에 슈퍼 NES와 메가 드라이브/세가 제네시스용으로 티베트에서라는 플랫폼 게임을 출시했다.[1] 인포그램의 또 다른 플랫폼 게임인 태양의 죄수는 그 이듬해 슈퍼 NES,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Microsoft Windows), 그리고 게임보이 컬러(Game Boy Color)용으로 출시되었다.[1]

2001년에는 인포그램이 윈도우와 플레이스테이션용으로 출시한 땡땡: 모험의 목적지(Tintin: Destination Adventure)에서 땡땡이 3D로 등장했다.[1] 그 후 2011년 10월에는 2011년 영화와 연계된 땡땡의 모험: 유니콘의 비밀이라는 액션 어드벤처 게임이 유비소프트(Ubisoft)에 의해 출시되었다.[1] 2020년에는 5th Planet 게임즈에서 땡땡 매치(Tintin Match)라는 매치 3 모바일 게임이 출시되었다.[5] 2023년에는 미크로이드(Microids)에서 ''땡땡 기자: 파라오의 시가(Tintin Reporter: Cigars of the Pharaoh)''라는 어드벤처 게임이 출시되었다.[6]

참조

[1] 웹사이트 The Adventures of Tintin go digital – Tintin in the Congo in English http://en.tintin.com[...] 2015-06-03
[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Michael Turner and Leslie Lonsdale-Cooper http://www.tintinolo[...] Tintinologist 2004-07-10
[3] 웹사이트 Casterman Makes Tragic Changes to Tintin: Hyslop's Handlettering vs. "Pretty" Computer Font https://www.kimadria[...] 2012-10-22
[4] 웹사이트 Mille sabords tintin games. https://parallel-you[...]
[5] 웹사이트 Tintin Match, the match-3 puzzler based on the popular series, is available now for iOS and Android https://www.pocketga[...] 2020-08-31
[6] 웹사이트 Tintin Reporter: Cigars of the Pharaoh launches in 2023 for PS5, Xbox Series, PS4, Xbox Series, Switch, and PC https://www.gematsu.[...] 2022-08-22
[7] 뉴스 Moulinsart changes its name and presents its future projects for 2022 and 2023 https://www.tintin.c[...] 2022-05-20
[8] 웹사이트 Tintin Shop Singapore http://sg.asia-city.[...] Asia City Online Ltd 2014-09-22
[9] 웹사이트 TINTIN / A Brussels Airlines aircraft in Tintin colours http://en.tintin.com[...] 2015-03-16
[10] 뉴스 Brussels attacks: how Tintin became a symbol of solidarity on Twitter https://www.standard[...] 2016-03-24
[11] 뉴스 Belgium Football Association unveils new Tintin-inspired kit for summer European Championship https://news.sky.com[...]
[12] 웹사이트 福音館書店|タンタンの冒険ラインナップ https://www.fukuinka[...]
[13] 뉴스 大人の女性が「タンタンの冒険」原作にハマる最大の理由とは? http://jp.ibtimes.co[...]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1-12-08
[14] 서적 Tintin et l'Alph-Art 1986
[15] 문서 나치스 독일의 침략으로 인해 중단된 작품
[16] 웹사이트 ビーカー教授 http://www.tintin.co[...]
[17] 웹사이트 国内タンタン・ショップ一覧 http://www.tintin.co[...]
[18] 서적 チベット 創元社 2003
[19] 문서 땡땡의 모험 (보물섬 연재분) 솔 출판사
[20] 웹사이트 땡땡 http://navercast.nav[...]
[21] 문서 듀퐁 형제의 발음 표기
[22] 문서 듀퐁 형제의 쌍둥이 여부
[23] 문서 땡땡의 모험 한국어 제목
[24] 문서 땡땡의 모험 총 권수
[25] 웹사이트 http://query.nytim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