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나오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나오호는 필리핀 민다나오섬에 위치한 호수로, 수력 발전 잠재력이 크고 마라나오족의 신화와 전설이 깃든 곳이다. 1965년 술탄 알론토 호로 이름이 변경되었다가 1972년에 폐지되었다. 1950년대부터 아구스강을 이용한 수력 발전소 건설이 시작되어 민다나오 지역 전력의 70%를 생산했으나, 댐 건설로 인한 수위 변화와 조류 오염 등의 환경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17종의 고유종 물고기가 서식했으나, 과도한 어획, 오염, 외래종 유입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놓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호수 - 탈호
    필리핀 루손섬 탈 화산의 칼데라 호수인 탈호는 칼데라 내 화산섬과 화구들을 품고 있으며 33차례의 분화 기록과 독특한 생태계를 지니고 있지만, 외래종 유입과 화산 활동, 환경 논란 등의 문제에 직면한 관광지이다.
  • 필리핀의 호수 - 베이호
    라구나 데 바이는 필리핀 최대의 담수호로, 메트로 마닐라와 칼라바르손 지역에 걸쳐 어업, 운송, 농업 관개 등 다목적으로 활용되지만, 오염 문제에 직면하여 라구나호 개발청을 중심으로 환경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라나오호
지도 정보
라나오 호수-아구스 강 유역 지도
라나오 호수-아구스 강 유역 지도
기본 정보
센티널-2 사진
센티널-2 사진
호수 종류고대 호수, 지구대 호수
위치라나오델수르 주
유입4개의 지류
유출아구스 강
유역 면적1678 km2
길이33 km
20 km
면적334 km2
평균 깊이60.3 m
최대 깊이112 m
수량21.28 km3
해안선 길이115 km
표고700 m
호숫가 도시바콜로드칼라위
발린동
바양
비니다얀
부아디포소분통
디차안라마인
가나시
룸바탄
룸바야나게
마달룸
마담바
마란타오
마라위
마시우
물론도
포오나바야바오
탐파란
타라카
투가야

2. 역사

1965년, 라나오 호는 공화국 법 제4260호에 의해 '술탄 알론토 호'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4] 1972년 공화국 법 제6434호에 의해 폐지되었다.[5]

2006년 10월, 민다나오 주립 대학교의 연구 결과 라나오 호에서 대규모 조류 오염이 발견되었다.[8] 처음에는 열악한 하수 처리 및 농업 폐기물 관리가 오염의 원인으로 여겨졌으나, 농무부와 어업 및 수산 자원국은 무분별한 벌목과 광범위한 토지 사용 및 농업으로 인한 토양 침식이 조류 오염을 유발한 문제라고 밝혔다.[2]

2. 1. 수력 발전 개발과 영향

이 호수는 700m의 고도로 인해 훌륭한 수력 발전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1950년 필리핀 국립 전력 공사(NAPOCOR)는 아구스 강 시스템을 따라 아구스 I – 아구스 VII이라는 일련의 수력 발전소 건설을 시작하여 민다나오 주민들이 사용하는 전기의 70%를 생산했다.[1][2] 1978년, 아구스 강 입구에 마라위 호 규제 댐(MLRD)이 건설되었고, 곧이어 5개의 발전소(아구스 I, II, IV, V, VII)가 가동되었다.[17] 특히 아구스 I은 강이 아닌 마라위 시 중심부의 호수 해안선에 직접 위치해 있다.[1][17] 아구스 I의 건설은 호수를 사실상 저수지로 만들어 마라나오 족 사이에서 상당한 반발을 불러일으켰지만, MLRD는 하류 4개 댐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1]

1990년 10월, 아구스 I 건설이 완료되면서 마라나오 족은 공개 시위를 벌였고, 이로 인해 NAPOCOR의 아구스 I 건설을 방해하려는 라나오 호 보호 운동(SALAM)이 시작되었다.[1][17] SALAM은 댐이 매우 부자연스러운 아구스의 인공적인 대체 출구 역할을 하여 호수 수위가 9m나 변동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SALAM과 NAPOCOR 간의 갈등으로 아퀼리노 피멘텔 주니어에 의해 아구스 1 태스크 포스가 창설되었고, 그 결과 발전소 가동일이 1992년 1월 14일로 연기되었다.[1] 아구스 I 가동 이후 두 달 동안,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라나오 호 유역을 보호 구역으로 선포[6]하고 SALAM과 NAPOCOR 대표가 모두 참여하는 정책 그룹인 라나오 호 유역 보호 및 개발 위원회(LLWPDC)를 설립했다.[1][17]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NAPOCOR는 그 이후로 마라나오 족에게 어떤 주요 양보도 하지 않았다.[1] SALAM과 마라나오 족은 환경 파괴로부터 라나오 유역을 계속 보호하고 있다.

2. 2. 방사모로 유기 법과 라나오호

1965년, 라나오 호는 공화국 법 제4260호에 의해 '술탄 알론토 호'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4] 1972년 공화국 법 제6434호에 의해 폐지되었다.[5]

이 호수는 해발 700m의 고도로 인해 훌륭한 수력 발전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1950년 필리핀 국립 전력 공사(NAPOCOR)는 아구스 강 시스템을 따라 아구스 I – 아구스 VII이라는 일련의 수력 발전소 건설을 시작하여 민다나오 주민들이 사용하는 전기의 70%를 생산했다.[1][2] 1978년, 아구스 강 입구에 마라위 호 규제 댐(MLRD)이 건설되었고, 곧이어 5개의 발전소(아구스 I, II, IV, V, VII)가 가동되었다.[17] 특히 아구스 I은 강이 아닌 마라위 시 중심부의 호수 해안선에 직접 위치해 있다.[1][17] 아구스 I의 건설은 호수를 사실상 저수지로 만들어 마라나오 족 사이에서 상당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1] 1990년 10월, 아구스 I의 건설이 완료되면서 마라나오 족은 공개 시위를 벌였고, 이로 인해 NAPOCOR의 아구스 I 건설을 방해하려는 라나오 호 보호 운동(SALAM)이 시작되었다.[1][17]

방사모로 유기 법 제13조 제22항은 이 호수를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 지역의 방사모로 자치구 관할로 포함하지 않으며, 마라나오 족의 일부는 이 호수를 방사모로 유기 법에 포함시키려 했다.[7]

3. 지리 및 물리적 특성

라나오호는 두 개의 산맥 사이의 분지와 대규모 화산의 붕괴로 인한 구조 운동 화산 댐에 의해 형성되었다. 최대 수심은 122m이고 평균 수심은 60.3m이다. 유역은 북쪽으로 갈수록 얕아지고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진다.[2]

이 호수는 라마인강, 타라카강, 가타강, 마시우강의 네 강으로부터 물이 공급된다. 유일한 출구는 아구스강으로, 마리아 크리스티나 폭포와 티나고 폭포의 두 수로를 통해 북서쪽 일리간만으로 흘러든다.

3. 1. 섬

라나오 호수에는 다음 네 개의 섬이 있다.

  • 발루트마이토 섬
  • 발루트마슬라 섬
  • 누사 섬
  • 살루간 섬

4. 생물 다양성

라나오 호수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특히 17종의 고유종 잉어과 물고기(대부분 ''Puntius''속이었으나 현재는 ''Barbodes''속)와 거의 고유종인 ''B. tumba''가 서식(또는 서식했었음)하는 것으로 유명하다.[9] 이 물고기들은 널리 퍼져있는 ''B. Binotatus''종에서 파생된 종 복합체로 추정된다.[10][11]

이 호수에는 물새류도 많이 서식하며,[2] 민물 게의 일종인 ''Sundathelphusa wolterecki'' (Parathelphusidae)는 이 호수 지역의 고유종이다.[16]

4. 1. 고유종 멸종 위기

이 호수는 17종의 고유종 잉어과 어류인 ''Barbodes''(대부분은 이전에는 ''Puntius''에 속했음)와 거의 고유종인 ''B. tumba''의 서식지였다(또는 서식지이다).[9] 이 물고기들은 널리 퍼진 일반적인 잉어, ''B. Binotatus''에서 파생된 종 복합체로 추정된다.[10][11] 이것은 필리핀이 고립되면서 10,000년에서 20,000년 동안 순다랜드에서 이주하여 종분화한 물고기의 폭발적인 진화율을 나타낸다.

그러나 1992년 조사에서는 고유종/거의 고유종 물고기 3종만 발견되었고,[12] 2008년에는 2종(고유종인 ''B. lindog''와 거의 고유종인 ''B. tumba'')만 발견되었다.[9] 2020년에는 고유종 15종이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고, ''B. lindog''와 ''B. sirang''은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13] 과도한 어획, 오염, 그리고 외래종과의 경쟁이 멸종의 원인으로 여겨진다.[9][11][12][14][15] 이 호수는 또한 많은 물새류의 서식지이며,[2] 민물 게 ''Sundathelphusa wolterecki'' (Parathelphusidae)는 호수 지역의 고유종이다.[16]

라나오 호수의 18종의 고유종/거의 고유종 잉어과 물고기는 다음과 같다(''B. binotatus''도 서식하지만, 널리 퍼진 종이다):[17]

학명지역 이름(마라나오어)비고
Barbodes amaruspait; dipura
Barbodes baoulanbaolan
Barbodes clemensibagangan
Barbodes disaDiza
Barbodes flavifuscustumba
Barbodes herrei
Barbodes katolokatolo
Barbodes lanaoensiskundur
Barbodes lindoglindog
Barbodes manalakmanalak
Barbodes pachycheilusBongkaong
Barbodes palaemophagusbitungu
Barbodes palatapalata**
Barbodes resimusbagangan sa erungan
Barbodes sirangsirang; Tumaginting
Barbodes trastras
Barbodes truncatulusbitungu
Barbodes tumbatumba



참고:


  • — 라나오 호수의 가장 큰 토종 종

  • * — 상업적 가치가 높은 종


기타 토종 종:[11]

  • ''Ophicephalus striatus'' (aruan)
  • ''Anguilla celebensis'' (kasili)


''Anguilla celebensis''는 역사적으로 호수에 존재했으며, 다른 물고기들이 접근할 수 없는 지하 수로를 통해 바다에서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10][11] 그러나 1990년 이후 어부 조사에서는 거의 보고되지 않아, 이 종이 존재하지만 극도로 희귀하다는 것을 시사한다.[11]

외래종:[11]

  • ''Hypseleotris agilis'' (katolong)
  • ''Glossogobius giuris'' (kadurog)
  • ''Glossogobius celebius'' (kadurog)
  • ''Oreochromis mossambicus'' (tilapia)
  • ''Oreochromis niloticus'' (tliapia)
  • ''Trichogaster pectoralis'' (gourami)
  • ''Anabas testudineus'' (popoyo)
  • ''Chanos chanos'' (bangus)
  • ''Clarias macrocephalus'' (katipa)
  • ''Clarias batrachus'' (katipa)


2008년 어획량 조사에서 ''Hypseleotris agilis''(잠자는 망둥어)가 무게 기준으로 잡힌 물고기의 66.6%를 차지했다. ''G. giuris''와 ''G. celebius''를 포함한 망둥어는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고유종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간주된다.[11]

4. 2. 기타 생물

이 호수는 17종의 고유종 잉어과 물고기속인 ''Barbodes''(대부분은 이전에는 ''Puntius''에 속했음)와 거의 고유종인 ''B. tumba''의 서식지였다(또는 서식지이다).[9] 이 물고기들은 널리 퍼진 일반적인 잉어, ''B. Binotatus''에서 파생된 종 복합체로 추정된다.[10][11] 이것은 필리핀이 고립되면서 10,000년에서 20,000년 동안 순다랜드에서 이주하여 종분화한 물고기의 폭발적인 진화율을 나타낸다.

그러나 1992년 조사에서는 고유종/거의 고유종 물고기 3종만 발견되었고,[12] 2008년에는 2종(고유종인 ''B. lindog''와 거의 고유종인 ''B. tumba'')만 발견되었다.[9] 2020년에는 고유종 15종이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고, ''B. lindog''와 ''B. sirang''은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13] 과도한 어획, 오염, 그리고 외래종과의 경쟁이 멸종의 원인으로 여겨진다.[9][11][12][14][15] 이 호수는 또한 많은 물새류의 서식지이며,[2] 민물 게 ''Sundathelphusa wolterecki'' (Parathelphusidae)는 호수 지역의 고유종이다.[16]

라나오 호수의 18종의 고유종/거의 고유종 잉어과 물고기는 다음과 같다(''B. binotatus''도 서식하지만, 널리 퍼진 종이다):[17]

학명비고
Barbodes amarus Herrepait; dipura
Barbodes baoulan Herrebaolan
Barbodes clemensi Herrebagangan
Barbodes disa HerreDiza
Barbodes flavifuscus Herretumba
Barbodes herrei (Fowler, 1934)
Barbodes katolo Herrekatolo
Barbodes lanaoensis Herrekundur
Barbodes lindog Herrelindog
Barbodes manalak Herremanalak
Barbodes pachycheilus HerreBongkaong
Barbodes palaemophagus Herrebitungu
Barbodes palata Herrepalata
Barbodes resimus Herrebagangan sa erungan
Barbodes sirang Herresirang; (Tumaginting)
Barbodes tras Herretras
Barbodes truncatulus Herrebitungu
Barbodes tumba Regantumba


  • — 라나오 호수의 가장 큰 토종 종

  • * — 상업적 가치가 높은 종


기타 토종 종:[11]

  • ''Ophicephalus striatus'' (aruan)
  • ''Anguilla celebensis'' (kasili)


''Anguilla celebensis''는 역사적으로 호수에 존재했으며, 다른 물고기들이 접근할 수 없는 지하 수로를 통해 바다에서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10][11] 그러나 1990년 이후 어부 조사에서는 거의 보고되지 않아, 이 종이 존재하지만 극도로 희귀하다는 것을 시사한다.[11]

외래종:[11]

  • ''Hypseleotris agilis'' (katolong)
  • ''Glossogobius giuris'' (kadurog)
  • ''Glossogobius celebius'' (kadurog)
  • ''Oreochromis mossambicus'' (tilapia)
  • ''Oreochromis niloticus'' (tliapia)
  • ''Trichogaster pectoralis'' (gourami)
  • ''Anabas testudineus'' (popoyo)
  • ''Chanos chanos'' (bangus)
  • ''Clarias macrocephalus'' (katipa)
  • ''Clarias batrachus'' (katipa)


2008년 어획량 조사에서 ''Hypseleotris agilis''(잠자는 망둥어)가 무게 기준으로 잡힌 물고기의 66.6%를 차지했다. ''G. giuris''와 ''G. celebius''를 포함한 망둥어는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고유종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간주된다.[11]

5. 문화

라나오호는 마라나오족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이들의 신화와 전설이 깃든 곳이다.[2][18]

5. 1. 마라나오족의 신화와 전설

라나오호는 마라나오족의 많은 중요한 신화와 전설의 고향이다. 마라나오 신화는 호수의 형성에 대해 설명한다.[2][18] 오래전, 현재 호수가 있는 곳에는 번영한 만타폴리 술탄국이 있었다. 이 정체의 사람들은 많은 분야의 발달로 인해 인구가 증가했다. 인구와 권력의 갑작스러운 증가로 인해 ''세방안''(동쪽)과 ''세드판''(서쪽) 사이의 균형이 깨졌다. 이 문제는 곧 대천사 디아바라일의 주의를 끌게 되었다. 그 후, 디아바라일은 천국으로 가서 알라에게 이 소식을 알렸다. 알라의 목소리인 소호라는 디아바라일에게 지구 아래 일곱 지역과 하늘의 일곱 지역으로 가서 천사들을 소환하라고 조언했다. 소호라는 또한 알라가 완전히 ''바라하나''(일식)를 확립하면 만타폴리를 그 위치에서 제거하여 세계의 중심으로 옮길 것이라고 말했다. 천사들이 소환되고 바라하나가 만들어지자 만타폴리는 곧 지구의 중심으로 순간 이동되었고, 이전 위치에는 거대한 구멍이 남았다. 그 구멍은 결국 물로 채워져 깊고 푸른색의 호수로 변했다. 디아바라일은 물의 조수를 보고 즉시 알라에게 보고하기 위해 천국으로 갔다. 그는 알라에게 물이 사람들을 익사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들은 알라는 디아바라일에게 네 바람(앙인 타우판, 앙인 베사르, 앙인 다랏, 앙인 사르사르)을 소환하여 과도한 물을 날려 보내고 이 물이 흘러갈 출구를 만들라고 명령했다. 세 번의 시도 끝에 바람이 성공했고, 아구스강이 형성되었다.[2][19]

6. 환경 문제

라나오 호는 수력 발전 잠재력이 커서, 1950년 필리핀 국립 전력 공사(NAPOCOR)는 아구스 강을 따라 아구스 I – 아구스 VII 수력 발전소를 건설하여 민다나오 주민들이 사용하는 전기의 70%를 생산했다.[1][2] 1978년에는 아구스 강 입구에 마라위 호 규제 댐(MLRD)이 건설되었고, 이후 5개의 발전소(아구스 I, II, IV, V, VII)가 가동되었다.[17] 특히 아구스 I은 강이 아닌 마라위 시 중심부의 호수 해안선에 직접 위치해 있다.[1][17]

아구스 I 건설은 호수를 저수지로 만들어 마라나오 족의 반발을 샀다.[1] 1990년 10월, 건설 완료와 함께 마라나오 족은 공개 시위를 벌였고, NAPOCOR의 건설을 방해하려는 라나오 호 보호 운동(SALAM)이 시작되었다.[1][17] SALAM과 NAPOCOR 간의 갈등으로 아퀼리노 피멘텔 주니어는 아구스 1 태스크 포스를 창설했고, 발전소 가동일은 1992년 1월 14일로 연기되었다.[1] 가동 이후,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라나오 호 유역을 보호 구역으로 선포[6]하고, SALAM과 NAPOCOR 대표가 모두 참여하는 라나오 호 유역 보호 및 개발 위원회(LLWPDC)를 설립했다.[1][17]

방사모로 유기 법 제13조 제22항은 이 호수를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 지역의 방사모로 자치구 관할로 포함하지 않아, 마라나오 족 일각에서는 호수를 방사모로 유기 법에 포함시키려 했다.[7]

6. 1. 조류 오염

2006년 10월, 민다나오 주립 대학교의 연구 결과 라나오 호에서 대규모 조류 오염이 발견되었다.[8] 처음에는 열악한 하수 처리 및 농업 폐기물 관리가 오염의 원인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농무부와 어업 및 수산 자원국은 무분별한 벌목과 광범위한 토지 사용 및 농업으로 인한 토양 침식이 조류 오염을 유발한 문제라고 밝혔다.[2]

참조

[1] 웹사이트 About Lake Lanao https://web.archive.[...]
[2] 간행물 Lake Lanao http://ranaw.com/ind[...] 2008-08-02
[3] 웹사이트 The Tragedy of Lake Lanao, Southeast Asia's Only Ancient Lake https://www.esquirem[...] 2021-08-31
[4] 간행물 Republic Act No. 4260 https://elibrary.jud[...]
[5] 간행물 Republic Act No. 6434 https://elibrary.jud[...]
[6] 간행물 Proclamation No. 871, s. 1992 https://www.official[...] 2021-06-19
[7] 뉴스 Maranaos Seek Amendment of Bangsamoro Law https://www.manilati[...] 2019-07-14
[8] 뉴스 Contaminated Lake Lanao in Danger https://www.mindanew[...] 2006-10-14
[9] 논문 The Status of Lake Lanao Endemic Cyprinids (''Puntius'' Species) and Their Conservation 2014
[10] 논문 The Fishes of Lake Lanao: A Problem in Evolution https://www.jstor.or[...] 1933
[11] 학위논문 The status and life history traits of endemic, native and introduced species in Lake Lanao, Philippines https://ir.library.o[...] Oregon State University 2011-06-02
[12] 서적 Endangered Species Handbook https://awionline.or[...] Animal Welfare Institute 2005
[13] 웹사이트 European Bison Recovering, 31 Species Declared Extinct – IUCN Red List https://www.iucn.org[...] 2020-12-10
[14] 서적 Conservation Biology: For the Coming Decade Chapman & Hall 1998
[15] 서적 Extinctions in Near Time: Causes, Contexts, and Consequences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1999
[16] 논문 A New Species of Riverine Crab of the Genus ''Sundathelphusa'' Bott, 1969 (Crustacea: Brachyura: Gecarcinucidae) from Northeastern Luzon, Philippines https://philjournals[...] 2010
[17] 학술회의 Lake Lanao: Its Past and Present Status https://repository.s[...] 1997-10-21
[18] 웹사이트 How the Angels Built Lake Lanao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Legend of Lake Lanao (Maranaw Legend) https://www.slidesha[...] 2014-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