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돈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돈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용으로, 헤스페리데스 정원의 황금 사과를 지키는 역할을 했다. 다양한 문헌에 따르면, 라돈은 포르키스와 케토의 자손, 티폰과 에키드나의 자손, 또는 땅에서 태어난 존재로 묘사된다. 헤라클레스의 열두 과업 중 하나에서 헤라클레스에게 죽임을 당하거나, 아틀라스에게 사과를 가져오도록 하는 역할로 등장한다. 라돈은 때때로 드라코 자리로 여겨지며, 유헤메리즘적으로는 황금 양털을 지키는 인간 목자로 해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라클레스 - 헤르쿨라네움
    헤르쿨라네움은 이탈리아 에르콜라노에 위치한 고대 로마 도시로, 오스칸족이 건설한 후 로마의 무니키피움이 되었으나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묻혀 1709년에 발견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파피루스의 빌라 등 다양한 유적을 통해 고대 로마 도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 헤라클레스 - 헤라클레스의 기둥
    헤라클레스의 기둥은 헤라클레스의 과업과 관련된 상징으로, 지브롤터 해협, 아틀란티스, 항해의 한계, 스페인 국장, 예술 작품 등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 드래곤 - 스마우그
    스마우그는 J. R. R. 톨킨의 소설 《호빗》에 등장하는 용으로, 에레보르의 보물을 차지하고 데일 마을을 파괴하지만, 호수 마을 공격 후 바르드에게 죽임을 당한다.
  • 드래곤 - 피톤
    피톤은 그리스 신화에서 가이아의 아들로 델포이 신탁소를 지키던 거대한 뱀 괴물이며, 아폴론에게 죽임을 당한 후 아폴론이 신탁을 내리게 되었고, 대지의 정령 정복 과정으로 해석되거나 점치는 영으로 언급되며, "python"의 어원이기도 하다.
  • 전설의 뱀 - 피톤
    피톤은 그리스 신화에서 가이아의 아들로 델포이 신탁소를 지키던 거대한 뱀 괴물이며, 아폴론에게 죽임을 당한 후 아폴론이 신탁을 내리게 되었고, 대지의 정령 정복 과정으로 해석되거나 점치는 영으로 언급되며, "python"의 어원이기도 하다.
  • 전설의 뱀 - 케찰코아틀
    케찰코아틀은 "귀중한 뱀" 또는 "케찰-깃털 뱀"을 뜻하는 나와틀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고대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 숭배받던 깃털 달린 뱀의 신이자 종교적, 정치적 상징으로, 바람, 통치, 사제, 금성과 관련되어 현대 대중 매체, 항공, 고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라돈 (신화)
기본 정보
라돈 그림
헤스페리데스의 라돈을 묘사한 그림
그리스어Λάδων
로마자 표기Ládōn
역할
괴물
가계
부모티폰
에키드나
포르키스
케토
가이아
형제자매케르베로스
오르토스
키메라
히드라
네메아의 사자
콜키스의 용
스핑크스
아이톤
프로메테우스의 독수리
신화
주요 임무헤스페리데스의 황금 사과 지키기
죽음헤라클레스에게 죽음
관련 장소헤스페리데스 정원
추가 정보헤라클레스의 12가지 과업 중 11번째 과업에서 헤라클레스에게 죽임을 당함. 헤라클레스는 라돈을 죽이고 황금 사과를 훔침. 이후, 라돈은 별자리가 됨.

2. 가계

라돈은 여러 문헌에서 다양한 부모를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는 포르키스케토의 자손으로,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 주석에서는 티폰의 아들로 언급된다.[1][2] "페이사드로스"는 라돈이 땅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했다.[3] 아폴로도로스는 티폰과 에키드나의 자식이라고 했으며,[4] 히기누스[5]와 아테네의 페레퀴데스도 같은 부모 관계를 언급한다.[6] 체체스의 『킬리아데스』에서는 티폰의 아들로 불린다.[7] 프톨레마이오스 헤파이스티온의 『신사』에서는 네메아의 사자의 형제였다고 한다.[8]

2. 1.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라돈은 포르키스케토의 마지막 자손이었다.[1]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 주석(스코리아)에서는 헤시오도스가 라돈을 티폰의 아들이라고 칭했다고 인용한다.[2] 같은 스콜리온은 "페이사드로스"가 라돈을 땅에서 태어났다고 불렀다고 주장한다.[3] 신화학자 아폴로도로스는 라돈을 괴물 티폰과 에키드나의 자식이라고 불렀으며,[4] 히기누스[5]와 아테네의 페레퀴데스도 같은 부모 관계를 언급한다.[6] 체체스의 『킬리아데스』에서도 라돈은 티폰의 아들로 불린다.[7]

프톨레마이오스 헤파이스티온의 『신사』에 따르면, 포티오스가 그의 『비블리오테카』에 기록한 바와 같이, 라돈은 네메아의 사자의 형제였다.[8]

2. 2. 티폰과 에키드나의 자식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라돈은 포르키스케토의 마지막 자손이었다.[1] 하지만,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에 대한 스코리아는 헤시오도스가 그를 티폰의 아들로 칭했다고 인용한다.[2] 아폴로도로스는 라돈을 괴물 티폰과 에키드나의 자식이라고 부르며,[4] 이러한 부모 관계는 히기누스[5]와 아테네의 페레퀴데스에 의해 반복된다.[6] 마찬가지로 라돈은 체체스의 『킬리아데스』에서 티폰의 아들로 불린다.[7]

2. 3. 기타 전승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라돈은 포르키스케토의 마지막 자손이었다.[1]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에 대한 스코리아는 헤시오도스가 라돈을 티폰의 아들이라 칭했다고 인용한다.[2] 같은 스콜리온은 "페이사드로스"가 라돈을 땅에서 태어났다고 불렀다고 주장한다.[3] 아폴로도로스는 라돈을 괴물 티폰과 에키드나의 자식이라고 불렀고,[4] 이러한 부모 관계는 히기누스[5]와 아테네의 페레퀴데스에[6] 의해 반복된다. 체체스의 『킬리아데스』에서도 라돈은 티폰의 아들로 불린다.[7]

프톨레마이오스 헤파이스티온의 『신사』에 따르면, 포티오스가 그의 『비블리오테카』에 기록한 바와 같이, 라돈은 네메아의 사자의 형제였다.[8]

3. 신화 속 역할

라돈은 헤스페리데스 정원의 나무를 칭칭 감고 황금 사과를 지키는 뱀과 같은 이었다. 헤라클레스는 열한 번째 과업을 수행하면서 라돈을 죽였다.[9]

나무를 감고 있는 용(라돈)의 이미지는 원래 근동 및 미노아의 자료에서 헬레네인들이 채택했는데, 현존하는 그리스 화병 그림에서 익숙하게 나타난다. 2세기 CE에 파우사니아스는 올림피아의 보물 창고에서 헤라클레스와 뱀이 감긴 헤스페리데스의 사과 나무를 묘사한 삼나무로 만든 고대 신상을 보았다.[10]

디오도루스 시켈로스는 라돈을 유헤메리즘으로 해석하여, 황금 양털을 가진 양떼를 지키는 인간 목자라고 언급하며, "그러나 이러한 문제에 관해서는 각자가 자신의 믿음에 맞는 의견을 형성할 특권을 가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11]

히기누스가 저술했다고 여겨지는 ''천문학''에 따르면, 라돈은 드라코 자리로, 제우스가 별들 사이에 배치했다.[12] 라돈은 서 셈족 뱀 로탄, 또는 후르족 뱀 일루얀카의 그리스 버전이다. 그는 아리스토파네스의 ''개구리'' (475행의 지나가는 언급)에서 백 개의 머리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목소리로 말할 수 있다.

3. 1. 헤라클레스의 과업

라돈은 헤스페리데스 정원의 나무를 칭칭 감고 황금 사과를 지키는 뱀과 같은 이었다. 헤라클레스는 열한 번째 과업을 수행하면서 활과 화살로 라돈을 죽이고 사과를 가져갔다.[9] 다음날, 이아손아르고호콜키스에서 지하 세계로 돌아오는 여정에서 지나가다가, 네 명의 헤스페리데스 중 하나인 "빛나는" 에글레의 슬픔을 듣고, 아직 경련을 일으키는 라돈을 보았다.[9]

다른 버전의 신화에서는 라돈은 죽지 않고, 헤라클레스가 대신 티탄 신 아틀라스에게 사과를 가져오도록 했다. 동시에 헤라클레스는 아틀라스의 자리를 대신하여 하늘을 떠받들었다.

3. 2. 아르고호 원정대

이아손아르고호콜키스에서 지하 세계로 돌아오는 길에 네 명의 헤스페리데스 중 하나인 "빛나는" 에글레의 슬픔을 듣고, 아직 경련을 일으키는 라돈을 보았다.[9]

3. 3. 다른 전승

신화의 다른 버전에서는 라돈은 죽지 않고, 헤라클레스가 대신 티탄 신 아틀라스에게 사과를 가져오도록 한다. 동시에 헤라클레스는 아틀라스의 자리를 대신하여 하늘을 떠받든다.[9]

나무를 감고 있는 용(라돈)의 이미지는 원래 근동 및 미노아의 자료에서 헬레네인들이 채택했는데, 현존하는 그리스 화병 그림에서 익숙하게 나타난다. 2세기 CE에 파우사니아스는 올림피아의 보물 창고에서 헤라클레스와 뱀이 감긴 헤스페리데스의 사과 나무를 묘사한 삼나무로 만든 고대 신상을 보았다.[10]

디오도루스 시켈로스는 라돈을 유헤메리즘으로 해석하여, 황금 양털을 가진 양떼를 지키는 인간 목자라고 언급하며, "그러나 이러한 문제에 관해서는 각자가 자신의 믿음에 맞는 의견을 형성할 특권을 가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11]

히기누스가 저술했다고 여겨지는 ''천문학''에 따르면, 라돈은 드라코 자리로, 제우스가 별들 사이에 배치했다.[12] 라돈은 서 셈족 뱀 로탄, 또는 후르족 뱀 일루얀카의 그리스 버전이다. 그는 아리스토파네스의 ''개구리'' (475행의 지나가는 언급)에서 백 개의 머리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목소리로 말할 수 있다.

4. 해석 및 상징

라돈은 헤스페리데스 정원의 나무를 칭칭 감고 황금 사과를 지키는 뱀과 같은 이었다. 헤라클레스의 열한 번째 과업을 수행하면서, 헤라클레스는 활과 화살로 라돈을 죽이고 사과를 가져갔다. 다음날, 이아손아르고호콜키스에서 지하 세계로 돌아오는 여정에서 지나가다가, 헤스페리데스 중 하나인 "빛나는" 에글레의 슬픔을 듣고, 아직 경련을 일으키는 라돈을 보았다.[9] 다른 버전에서는 라돈은 죽지 않고, 헤라클레스가 아틀라스에게 사과를 가져오도록 하고, 헤라클레스는 아틀라스 대신 하늘을 떠받든다.

나무를 감고 있는 용(라돈)의 이미지는 원래 근동 및 미노아의 자료에서 헬레네인들이 채택했으며, 현존하는 그리스 화병 그림에서 익숙하게 나타난다. 2세기 파우사니아스는 올림피아의 보물 창고에서 헤라클레스와 뱀이 감긴 헤스페리데스의 사과 나무를 묘사한 삼나무 신상을 보았다.[10]

4. 1. 유헤메리즘적 해석

디오도루스 시켈로스는 라돈을 유헤메리즘으로 해석하여, 황금 양털을 가진 양떼를 지키는 인간 목자라고 언급하며, "그러나 이러한 문제에 관해서는 각자가 자신의 믿음에 맞는 의견을 형성할 특권을 가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11]

4. 2. 별자리

히기누스가 저술했다고 여겨지는 ''천문학''에 따르면, 라돈은 용자리로, 제우스가 별들 사이에 배치했다.[12] 라돈은 서 셈족 뱀 로탄, 또는 후르족 뱀 일루얀카의 그리스 버전이다. 아리스토파네스의 ''개구리'' (475행의 지나가는 언급)에서 라돈은 백 개의 머리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목소리로 말할 수 있다고 묘사된다.

4. 3. 다양한 머리 개수

히기누스가 저술했다고 여겨지는 ''천문학''에 따르면, 라돈은 드라코 자리로, 제우스가 별들 사이에 배치했다.[12] 라돈은 서 셈족 뱀 로탄, 또는 후르족 뱀 일루얀카의 그리스 버전이다. 아리스토파네스의 ''개구리'' (475행의 지나가는 언급)에서 라돈은 백 개의 머리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목소리로 말할 수 있다고 묘사된다.

참조

[1] 서적 p. 64 https://books.google[...]
[2] 서적 fr. 391 Merkelbach-West
[3] 간행물 FGrHist 16F8
[4] 서적 p. 149 https://books.google[...]
[5] 서적 p. 149 https://books.google[...]
[6] 서적 p. 28 https://books.google[...]
[7] 서적 2.36.360 (p. 54) https://books.google[...]
[8] 서적 Bibliotheca 190 (Harry, p. 54)
[9] 서적 Argonautica 4
[10] 서적 Graeciae Descriptio 6.19.8
[11]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4.26.2
[12] 서적 De Astronomica 2.6.1 https://topostext.or[...]
[13]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298頁
[14] 서적 『ラルース ギリシア・ローマ神話大事典』858頁
[15]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241頁
[16]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297頁
[17] 서적 신통기
[18] 서적 비블리오테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