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몬 호세 벨라스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몬 호세 벨라스케스는 베네수엘라의 정치가이자 역사가, 언론인이었다. 1916년 타치라 주에서 태어났으며, 베네수엘라 중앙대학교에서 사회 정치학 박사 및 법학 학위를 받았다.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엘 나시오날의 회장을 역임했고, 베네수엘라 정치사에 관한 여러 저서를 남겼다. 마르코스 페레스 히메네스 독재 기간 동안 투옥되었으며, 이후 국회의원, 정부 요직을 거쳐 1993년 대통령에 취임하여 1994년까지 재임했다. 2014년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네수엘라의 작가 - 비센테 살리아스
비센테 살리아스는 베네수엘라의 의사이자 독립운동가로, 의학 발전 기여, 1810년 혁명 참여, 애국 협회 창립 기여, 제1공화국 수립 참여, 그리고 스페인 군에 의해 처형된 인물이다. - 베네수엘라의 언론인 - 로물로 베탕쿠르
베네수엘라의 대통령이자 민주행동당 창립자인 로물로 베탕쿠르는 석유 산업 개혁과 OPEC 창립을 주도하고 민주주의 수호에 힘썼다. - 베네수엘라의 언론인 - 비센테 살리아스
비센테 살리아스는 베네수엘라의 의사이자 독립운동가로, 의학 발전 기여, 1810년 혁명 참여, 애국 협회 창립 기여, 제1공화국 수립 참여, 그리고 스페인 군에 의해 처형된 인물이다.
라몬 호세 벨라스케스 | |
---|---|
기본 정보 | |
![]() | |
직함 | 베네수엘라의 대통령 |
임기 시작 | 1993년 6월 5일 |
임기 종료 | 1994년 2월 2일 |
전임 | 옥타비오 레파게 (대행) |
후임 | 라파엘 칼데라 |
직함 2 | 베네수엘라 통신부 장관 |
임기 시작 2 | 1969년 |
임기 종료 2 | 1971년 |
직함 3 | 베네수엘라 대통령 비서실장 |
임기 시작 3 | 1959년 |
임기 종료 3 | 마누엘 만티야 |
출생일 | 1916년 11월 28일 |
출생지 | 산후안데콜론, 타치라, 베네수엘라 합중국 |
사망일 | 2014년 6월 24일 |
사망지 | 카라카스, 베네수엘라 |
배우자 | 리히아 베탕쿠르 마리뇨 (1948년 결혼, 2008년 사망) |
모교 | 베네수엘라 중앙 대학교 |
정당 | 민주 행동 |
![]() | |
이름 | |
스페인어 이름 | Ramón José Velásquez |
스페인어 전체 이름 | Ramón José Velásquez Mujica |
2. 초기 생애 및 교육
벨라스케스는 타치라 주에서 태어나 산크리스토발 시몬 볼리바르에서 초등 교육을 마쳤고, 카라카스의 리세오 안드레스 벨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베네수엘라 중앙대학교에서 1942년 사회 정치학 박사 학위, 1943년 법학 학위를 받았다.
2. 1. 출생 및 가정 환경
벨라스케스는 1916년 11월 타치라 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신문 기자이자 교정원이었던 라몬 벨라스케스 오르도녜스와 교육자 레지나 무히카였다. 그는 고향에서 부모에게 가정 교육을 받으며 초등 교육을 마쳤고, 산크리스토발 시몬 볼리바르에서 초등 교육을 마쳤다. 1935년 그는 카라카스로 가서 리세오 안드레스 벨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벨라스케스는 베네수엘라 중앙대학교에서 고등 교육을 받았으며, 1942년 사회 정치학 박사 학위, 1943년 법학 학위를 받았다.2. 2. 학력
벨라스케스는 베네수엘라 중앙대학교에서 고등 교육을 받았다. 1942년 사회 정치학 박사 학위, 1943년 법학 학위를 취득했다.[1]3. 언론 및 저술 활동
벨라스케스는 1941년 울티마스 노티시아스의 기자로 활동했다.[1] 1964년부터 1968년, 1979년부터 1981년까지 두 차례 엘 나시오날의 회장을 역임했다. 베네수엘라 정치사에 관한 여러 책을 저술하여, 생전에 베네수엘라 최고의 역사가로 평가받았으며, 국립 역사 아카데미 회장을 지냈다.
3. 1. 언론 활동
벨라스케스는 1941년 울티마스 노티시아스의 기자가 되었다.[1]1964년부터 1968년, 1979년부터 1981년까지 두 차례 엘 나시오날의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베네수엘라의 정치사에 관한 수많은 책을 저술했으며, 생전에 베네수엘라 최고의 역사가로 여겨졌다. 그는 국립 역사 아카데미 회장이었다.
3. 2. 저술 활동
벨라스케스는 1941년 ''울티마스 노티시아스''의 기자가 되었다.[1]벨라스케스는 ''엘 나시오날''의 회장을 두 차례(1964-1968년/1979-1981년) 역임했다.
그는 베네수엘라의 정치사에 관한 수많은 책을 저술했으며, 생전에 베네수엘라 최고의 역사가로 여겨졌다. 그는 국립 역사 아카데미 회장이었다.
3. 3. 주요 저서
- 《코로. 베네수엘라의 뿌리》 (1962)
- 《산 크리스토발. 조국이 시작되는 곳》 (1972)
- 《노란 자유주의의 몰락. 안토니오 파레데스의 시대와 드라마》 (1972)
- 《20세기 베네수엘라 정치 진화의 양상》 (1976)
- 《후안 비센테 고메스의 가상적인 고백》 (1978)
- 《넘버 인디비주얼》 (1981)
- 《영웅과 역사》 (1981)
- 《영웅의 발자취》 (1988)
- 《두 번째 의도와 함께. 독재 시대의 보고서 1951-1955》 (1990)
- 《베네수엘라의 추억》 (1990)
- 《타치라의 독일인》 (1993)
- 《호아킨 크레스포》 (2005)
- 《20세기의 추억》 (2005)
- 《카우디요, 역사가, 그리고 민중》 (2013)
4. 정치 경력
마르코스 페레스 히메네스 독재 시절, 벨라스케스는 ''독재의 흑서''(Libro negro de la dictadura) 편찬에 참여한 혐의로 1년 동안 투옥되었다. 이 책은 독재 시대의 범죄를 폭로하는 데 기여했다.[2]
1958년 베네수엘라가 민주주의로 전환되면서, 벨라스케스는 선거를 통해 타키라 주 출신 베네수엘라 상원 의원으로, 이후 미란다 주 출신 베네수엘라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2]
로물로 베탕쿠르 정부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냈으며, 라파엘 칼데라 대통령 재임 기간에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통신부 장관을 지냈다. 1984년부터 1987년까지 국가 개혁 위원회(COPRE) 위원장을, 1989년부터 1993년까지 "콜롬비아와의 국경 문제에 관한 대통령 위원회"(COPAF) 의장을 역임했다.[2] 사망 당시 그는 뉴욕에 본부를 둔 인권 재단(Human Rights Foundation)의 이사였다.[3]
4. 1. 민주화 운동
마르코스 페레스 히메네스 독재 시절, 벨라스케스는 ''독재의 흑서''(Libro negro de la dictadura) 편찬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1년 간 투옥되었다. 이 책은 독재 시대의 범죄를 폭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4. 2. 정부 요직
마르코스 페레스 히메네스의 독재 기간 동안 벨라스케스는 ''독재의 흑서''(Libro negro de la dictadura) 편찬에 참여한 혐의로 1년 동안 투옥되었다. 이 책의 자료들은 독재 시대의 범죄를 폭로하는 데 기여했다.1958년 베네수엘라가 민주주의로 전환되면서 벨라스케스는 타키라 주 출신 베네수엘라 상원 의원으로, 이후 미란다 주 출신 베네수엘라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2]
그는 로물로 베탕쿠르 정부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근무했다. 그 후, 그는 국회 의원으로 활동했다. 라파엘 칼데라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벨라스케스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통신부 장관을 지냈다. 1984년부터 1987년까지 그는 국가 개혁 위원회(COPRE)의 위원장을 역임했다.[2] 1989년부터 1993년까지 그는 "콜롬비아와의 국경 문제에 관한 대통령 위원회"(COPAF)의 의장을 맡았다. 사망 당시 그는 뉴욕에 본부를 둔 인권 재단(Human Rights Foundation)의 이사였다.[3]
4. 3. 대통령 재임 (1993-1994)
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 대통령 탄핵으로 촉발된 위기 속에서, 1993년 국회는 라몬 호세 벨라스케스를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벨라스케스는 1993년 6월 5일부터 1994년 2월 2일까지 헌법상 임기를 마쳤다.[2] 국가적으로 존경받는 인물이었기에 그의 대통령 임명에는 전반적인 합의가 있었다.1993년 8월, 열대 폭풍 브렛으로 최소 70명이 사망하자 벨라스케스는 긴급 회의를 소집했다.[4] 카라카스와 주변 지역에 산사태가 발생한 후, 약 1,400명의 노동자와 자원봉사자, 적십자 자원봉사자, 800명의 소방관이 구조 작업에 투입되었다.[5][6] 피해자들은 푸에르테 티우나 육군 기지에 임시 수용되었고,[6] 추가 산사태 위협으로 막혔던 많은 도로는 잔해와 진흙 제거 후 재개통되었다.[7]
벨라스케스 정부는 "나르코인돌토" 사건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 사건은 대통령 개인 비서실이 마약 밀매범 래리 토바 아쿠냐의 석방을 위해 대통령이 부당하게 서명한 문서를 획득한 사건이다. Banco Latino의 파산과 그에 따른 외화 유출, 테헤리아스 참사 역시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발생했다.
벨라스케스 정부는 국회 위임 법률에 따라 부가가치세를 도입했다.
4. 3. 1. 주요 정책 및 사건
마르코스 페레스 히메네스 독재 시절, 벨라스케스는 ''독재의 흑서''(Libro negro de la dictadura) 편찬에 참여하여 1년 간 투옥되었다. 이 책은 독재 시대의 범죄를 폭로하는 데 기여했다.[2]1958년 베네수엘라 민주화 이후, 벨라스케스는 선거에서 타키라 주 베네수엘라 상원 의원, 이후 미란다 주 베네수엘라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2] 로물로 베탕쿠르 정부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냈고, 라파엘 칼데라 정부에서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통신부 장관을 역임했다. 1984년부터 1987년까지 국가 개혁 위원회(COPRE) 위원장,[2] 1989년부터 1993년까지 "콜롬비아와의 국경 문제에 관한 대통령 위원회"(COPAF) 의장을 맡았다.[3]
1993년 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 대통령 탄핵 이후, 국회는 벨라스케스를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그는 1993년 6월 5일부터 1994년 2월 2일까지 재임하며 헌법상의 임기를 마쳤다.[2] 1993년 8월, 열대 폭풍 브렛으로 최소 70명이 사망하자 긴급 회의를 소집했다.[4] 약 1,400명의 노동자와 자원봉사자, 적십자 자원봉사자, 800명의 소방관이 구조 작업에 투입되었다.[5][6] 피해자들은 푸에르테 티우나 육군 기지에 임시 수용되었고,[6] 산사태 위협으로 막혔던 도로는 잔해와 진흙 제거 후 재개통되었다.[7]
벨라스케스 정부는 마약 밀매범 래리 토바 아쿠냐 석방 과정에서 대통령 개인 비서실이 부당하게 서명한 문서를 획득한 "나르코인돌토" 사건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Banco Latino의 파산과 외화 유출, 테헤리아스 참사도 그의 재임 기간 중 발생한 사건이다.
벨라스케스 정부는 국회 위임 법률에 따라 부가가치세를 도입했다.
4. 3. 2. 내각 (1993-1994)
부처 | 장관 | 재임 기간 |
---|---|---|
내무부 | 카를로스 델가도 차펠린 | 1993년 ~ 1994년 |
외무부 | 페르난도 오초아 안티치 | 1993년 ~ 1994년 |
재무부 | 카를로스 라파엘 실바 | 1993년 ~ 1994년 |
국방부 | 이반 다리오 히메네스 산체스 | 1993년 |
라다메스 무뇨스 레온 | 1993년 | |
라파엘 몬테로 레베테 | 1993년 ~ 1994년 | |
개발부 | 구스타보 페레즈 미하레스 | 1993년 ~ 1994년 |
교통 통신부 | 호세 도밍고 산탄데르 | 1993년 ~ 1994년 |
교육부 | 엘리자베스 야부르 데 칼데라 | 1993년 ~ 1994년 |
법무부 | 페르민 마르몰 레온 | 1993년 ~ 1994년 |
광업 탄화수소부 | 알리리오 파라 | 1993년 ~ 1994년 |
환경부 | 아달베르토 가발돈 아수아헤 | 1993년 ~ 1994년 |
농업부 | 히람 가비리아 | 1993년 ~ 1994년 |
노동부 | 루이스 오라시오 비바스 | 1993년 ~ 1994년 |
보건 사회 지원부 | 파블로 풀리도 무스체 | 1993년 ~ 1994년 |
도시 개발부 | 헨리 자타 시니어 | 1993년 ~ 1994년 |
가족 청소년부 | 테레사 알바네즈 | 1993년 ~ 1994년 |
공화국 대통령 비서실 | 라몬 에스피노사 | 1993년 ~ 1994년 |
조정 기획실 | 에르난 안솔라 히메네스 | 1993년 ~ 1994년 |
CVG | 프란시스코 라일리세 | 1993년 ~ 1994년 |
5. 개인사 및 사망
라몬 호세 벨라스케스는 1948년에 베네수엘라 영부인(1993년 ~ 1994년)을 역임한 리히아 베탄코르트 마리뇨(1920년 – 2008년 7월 14일)와 결혼했다. 2014년 6월 24일, 벨라스케스는 97세의 나이로 자연사했다. 그는 2014년 5월 21일에 전 대통령 하이메 루신치가 사망한 지 5주 후에 사망했다.
6. 서훈
수상 내역 |
---|
참조
[1]
웹사이트
Opinión y análisis 2011 - Ramón J. Velásquez, democrata infatigable
http://www.analitica[...]
2012-05-31
[2]
웹사이트
Ramón José Velásquez Mújica
http://www.cidob.org[...]
[3]
웹사이트
Board and International Council
http://humanrightsfo[...]
The Human Rights Foundation
2014-06-24
[4]
뉴스
100 Killed as a Tropical Storm Batters Venezuela
https://www.nytimes.[...]
2015-09-04
[5]
뉴스
Bret leaves at least 70 dead in Venezuela
1993-08-08
[6]
뉴스
Una tormenta tropical causa la muerte a 100 personas en Venezuela
http://elpais.com/di[...]
2015-08-12
[7]
뉴스
Rains Over, Fear of Mudslides Remains; Cholera, Dengue Alert
1993-08-09
[8]
서적
Nuestra cultura gastronómica: Origen, influencias y mestizajes
https://books.google[...]
Fundación Venezuela Positiva
[9]
웹사이트
Cabot Prize winners by name
http://www.journalis[...]
[10]
웹사이트
D. Ramón J. Velásquez
http://avelengua.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