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비올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비올리는 이탈리아에서 유래된 파스타의 일종으로, 얇은 반죽 안에 다양한 재료로 속을 채워 넣은 음식이다. 14세기부터 문헌에 등장하며, 다양한 종류와 조리법으로 발전해왔다. 라비올리는 순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고기, 치즈, 채소 등 다양한 재료로 속을 채울 수 있다. 삶거나 수프, 소스와 함께 먹으며, 유럽과 미국, 그리고 다른 문화권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즐겨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몰타 요리 - 브레드 푸딩
    브레드 푸딩은 남은 빵을 재활용하여 만든 디저트로, 11세기 잉글랜드에서 유래되었으며, 계란과 우유가 추가되어 다양한 변형을 거쳐 여러 국가에서 즐겨 먹는 음식이다.
  • 몰타 요리 - 아욜리
    아욜리는 마늘과 올리브 오일을 주재료로 만든 소스로, 다양한 언어권에서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절구나 현대적인 기기를 사용하여 만들고 해산물, 수프 등 여러 요리에 곁들여 먹는 프로방스 요리이다.
  • 소를 넣은 파스타 - 토르텔리니
    토르텔리니는 이탈리아 볼로냐와 모데나 지역에서 기원한 파스타의 한 종류로, 고기나 치즈 등으로 속을 채워 육수에 넣어 조리하며, 토르텔로니보다 작은 형태이다.
  • 소를 넣은 파스타 - 슐루츠크라펜
    슐루츠크라펜은 이탈리아의 파스타 요리 중 하나이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카순지에이, 카손첼리, 차르손 등과 유사한 파스타 요리로 분류된다.
  • 키프로스 요리 - 아이란
    아이란은 요구르트에 물과 소금을 섞어 만든 중앙아시아 튀르크족의 전통 음료이며, 지역에 따라 제조법에 차이가 있다.
  • 키프로스 요리 - 그리스 샐러드
    그리스 샐러드는 토마토, 오이, 양파, 페타 치즈, 올리브 등을 올리브유, 소금, 오레가노로 드레싱하여 만든 그리스 요리이며, 그리스어로는 '시골 샐러드'를 의미한다.
라비올리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스카르포네 소스를 곁들인 라비올리
마스카르포네 소스를 곁들인 라비올리
종류파스타
주재료밀가루, 달걀, 물, 소
국가이탈리아
언어별 명칭
이탈리아어라비올리
단수라비올로 (raviolo)
발음
이탈리아어라비올리 (raviˈɔli)
라비올로 (raviˈɔlo)
라비올리 (ra.viˈɔ.li)
라비올리 (raˈvjɔ.li)

2. 어원

영어와 프랑스어는 14세기에 이탈리아어의 '라비올리'라는 단어를 빌려왔다.[2] 이 단어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다.[3] 어떤 경우에는 북부 이탈리아어 단어 'rava'( 순무)와 연결하기도 하는데, 이는 속을 순무로 만들었을 것이라는 추측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가장 초기의 레시피에는 심지어 사순절 요리에도 순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 다른 이론은 일종의 치즈(현대 이탈리아어 'robiola'와 관련)와 연결짓지만, 이 또한 그럴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2][4] 라비올리는 순무를 의미하는 라파에서 유래되었다. 얇게 썬 순무에 치즈를 끼워 넣은 중세 요리와 유사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3. 역사

라비올리는 14세기 프라토의 상인 프란체스코 다티니의 개인 편지에 언급되어 있다.[5] 14세기 중반 베네치아의 필사본 《요리책(Libro per cuoco)》에는 데친 녹색 허브를 잘게 썰어 달걀과 신선한 치즈를 섞고, "달콤하고 강한 향신료"로 간을 한 후 육수에 끓인 라비올리가 소개되어 있다.[6] 로마에서는 바르톨로메오 스카피가 1549년 교황 선거에 삶은 닭고기와 함께 라비올리를 제공했을 때 이미 널리 알려져 있었다.[7]

4. 제조법 및 종류

라비올리 만들기


리코타 치즈를 넣은 수제 라비올리 준비


전통적으로 라비올리는 집에서 만들어진다. 속은 준비되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로마라티움에서는 속을 리코타 치즈, 시금치, 육두구, 검은 후추로 만든다. 사르데냐에서는 라비올리에 리코타와 강판에 간 레몬 껍질을 채운다.[8]

현대식 라비올리는 기계로 대량 생산되기도 한다.[8] 라비올리는 순무를 의미하는 라파에서 유래되었다. 얇게 썬 순무에 치즈를 끼워 넣은 중세 요리와 유사했기 때문에 명명되었다.

삶아 먹거나, 수프로 만들어 먹는다. 토마토 소스크림 소스 등을 곁들이거나, 소스 종류도 다양하다. 채식주의자는 다진 고기 대신 시금치나 리코타 치즈를 채워 넣는다. 감자도 라비올리의 소로 자주 사용된다.

사르데냐 섬에서는 문어를 잘게 썰어 올리브 오일에 볶아 화이트 와인으로 풍미를 더하고, 올리브 오일에 볶은 아티초크 · 양파를 넣어 생크림을 넣고 삶은 라비올리를 넣고, 간 숭어알을 뿌린 요리가 있다.

속을 채운 파스타에는 이 외에도 원형의 "아놀리니(Anolini)", "아뇰로티(Agnolotti)", 둥글게 말아 작은 모자 모양으로 만든 "카펠레티(Cappelletti)", 원통형 안에 속을 채우는 카넬로니 등이 있다.

5. 세계의 라비올리

세계 각지에는 라비올리와 유사한 다양한 요리들이 존재한다.


  • 터키의 만티는 향신료를 넣은 고기로 속을 채우고 파프리카 소스와 요구르트를 곁들인다.
  • 중국에는 자오즈나 운톤과 같은 요리가 있다.
  • 인도의 구지아는 말린 과일, 설탕, 단 향신료 혼합물로 속을 채우고, 식물성 기름에 튀겨 달콤하게 만든다.
  • 유대교 요리에는 크레플라흐[12], 츠파티트로 속을 채운 칼소네스 등이 있다.
  • 쉬쉬바라크는 중동 지역에서 다진 쇠고기로 속을 채운 파스타를 뜨거운 요구르트에 넣어 조리한다.
  • 아르헨티나의 소렌티노스는 고기와 치즈로 속을 채우고 토마토와 고기 소스를 곁들인다.

5. 1. 유럽 및 아메리카

유럽과 미국에서 신선하게 포장된 라비올리는 몇 주간 보관할 수 있다. 통조림 라비올리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육군이 처음 개발했으며, 영국과 유럽에서는 하인즈(Heinz)와 부이토니(Buitoni)가, 미국에서는 셰프 보이아르디(Chef Boyardee)가 대중화시켰다. 통조림 라비올리는 소고기, 가공 치즈, 닭고기 또는 이탈리아산 소시지로 속을 채울 수 있으며, 토마토, 토마토-고기 또는 토마토-치즈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9] 토스트 라비올리(빵가루를 입혀 튀긴 라비올리)는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개발되었으며 인기 있는 전채 요리이자 간식이다.[9]

라비올리는 니스와 광범위한 코트다쥐르, 그리고 프랑스 남부 주변 지역의 요리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들의 내용물은 매우 다양하지만, 이 지역 특유의 재료는 남은 도브 고기를 사용하는 것이다.[10] 미니어처 치즈 라비올리인, 현지에서는 ''라비올 뒤 도피네''(raviole du Dauphiné)라고 불리는 것은 론-알프스 지역의 드롬 현, 특히 로망쉬르이제르(Romans-sur-Isère) 코뮌의 특산품이며, 종종 "그라탕" 형태로 제공된다.

할루미로 속을 채운 라비올리는 키프로스 요리의 전통 파스타 요리이다.[11] 닭고기 육수에 삶아, 갈아 놓은 할루미와 말린 민트를 얹어 제공된다.

5. 2. 기타 문화권

터키에서는 라비올리와 유사한 '''만티'''가 인기 있는 요리이다. 만티는 향신료를 넣은 고기로 속을 채우고 파프리카 소스와 요구르트를 곁들여 먹는다. 중국에는 '''자오즈'''나 운톤과 같이 라비올리와 비슷한 요리가 있다.

인도에서는 '''구지아'''라는 요리가 라비올리와 유사하다. 하지만 구지아는 말린 과일, 설탕, 단 향신료 혼합물로 속을 채우고, 식물성 기름에 튀겨 달콤하게 만든다. 인도 각 지역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속으로 사용한다.

유대교 요리에는 라비올리와 비슷한 요리가 많다. 아슈케나즈 유대 요리에는 달걀 파스타 반죽에 고기나 다른 재료를 넣어 싸서 닭고기 수프에 끓인 '''크레플라흐'''가 있다.[12] 사페드와 티베리아스 같은 이스라엘 도시에는 ''칼소네스''(발음은 ''칼존스'')라는 비슷한 요리가 있다. 칼소네스는 현지에서 만든 양젖 치즈인 '''츠파티트'''로 속을 채운 음식이다. 이 요리는 스페인 유대인과 이탈리아 유대인 공동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주한 유대인들이 시리아로 가져갔고, 그 후 이스라엘로 전해져 샤부옷의 주요 음식이 되었다.

'''쉬쉬바라크'''는 중동 지역의 비슷한 요리로, 다진 쇠고기로 속을 채운 파스타를 뜨거운 요구르트에 넣어 조리한다.

아르헨티나의 '''소렌티노스'''는 보통 고기와 치즈로 속을 채우고 토마토와 고기 소스를 곁들여 먹는 큰 라비올리이다.

6. 사진

레몬과 새우로 요리한 라비올리

참조

[1] 서적 Regional Cuisines
[2] 웹사이트 Home :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 2023-04-30
[3] 웹사이트 ravïòlo in Vocabolario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3-04-30
[4] 웹사이트 RAVIOLI : Définition de RAVIOLI https://www.cnrtl.fr[...] 2023-04-30
[5] 서적 Oxford Companion to Food
[6] 서적 Delizia
[7] 서적 Delizia
[8] 웹사이트 Pasta Madehow.com
[9] 서적 Oxford Companion to American Food
[10] 서적 Mediterranean Clay Pot Cooking
[11] 웹사이트 Ravioli (translated) http://foodmuseum.cs[...] 2019-10-15
[12] 웹사이트 Calsones (Cheese Ravioli) Recipe - Yedida and Elli Dabah https://asif.org/he/[...] 2024-07-10
[13] 사전 大辞林 第三版(ラビオリ〔ravioli〕) http://www.excite.co[...] 三省堂 2013-10-22
[14] 서적 食の世界地図 文芸春秋社
[15] 서적 파스타 랜덤하우스 2010
[16] 서적 민희, 파스타에 빠져 이탈리아를 누비다 푸른숲 2009
[17] 서적 Regional Cuisines
[18] 서적 스파게티가 있는 풍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