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우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우레아는 이탈리아의 대학 학위 제도로, 학사, 석사, 박사 학위에 해당한다. 중세 시대에는 학사 학위와 박사 학위가 모두 수여되었으나, 20세기에는 라우레아 학위를 받기 위해 4~6년의 대학 과정을 이수하고 논문을 완성해야 했다. 라우레아 졸업생은 '도토레' 또는 '도토레사'로 불리며, 1980년대 중반 도토라토 디 리체르카(박사 학위)가 도입되기 전까지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높은 학위였다. 볼로냐 프로세스 이후 라우레아는 학사, 석사, 박사 과정으로 개편되었으며, 학사 학위에 해당하는 라우레아 트리엔날레, 석사 학위에 해당하는 라우레아 마지스트랄레, 박사 학위에 해당하는 도토라토 디 리체르카로 구분된다.

2. 역사적 배경

박사 학위#이탈리아

중세 초기 이탈리아 대학은 학사와 박사 학위를 모두 수여했다. 그러나 중세 후기와 1500년 이후에는 이탈리아 대학의 학사 학위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11] 당시 학생들은 대학에서 공부하지 않고도 박사 시험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대학에서 수년간 공부해야 하는 규정을 무시하고 중간 과정 없이(''per saltum'') 학위를 받는다는 비판을 야기했다.[12]

2. 1. 초기 역사

중세 초기에 이탈리아 대학은 학사와 박사 학위를 모두 수여했다. 그러나 이탈리아 대학의 학사 학위는 중세 후기에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1500년 이후에는 전혀 기록되지 않았다.[11] 학생들은 대학에서 공부하지 않고도 박사 시험을 볼 수 있었다. 중간 과정 없이(''per saltum'') 학위를 받는 것에 대한 비판이 있었는데, 대학에서 수년간 공부해야 하는 규정을 뛰어넘었기 때문이다.[12]

2. 2. 20세기

라우레아 학위를 받기 위해서는 학부생들이 4년에서 6년 간의 대학 과정을 이수하고[13] 논문을 완성해야 했다.

''Laureati''(라우레아토의 복수형)는 관습적으로 ''dottore''(남자의 경우) 또는 ''dottoressa''(여자의 경우)로 불리며, 이는 ''doctor''의 직함을 박사 학위 소지자로 제한하는 많은 국가들의 관습과 대조적이다.

1980년대 중반 dottorato di ricerca (박사 학위 수준 교육)가 도입될 때까지 ''laurea''는 이탈리아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높은 학업 학위였으며, 엔리코 페르미,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줄리오 나타, 카를로 루비아, 조르조 파리시와 같은 노벨상 수상자들은 라우레아 학위를 최고 학위로 소지하였다.

3. 볼로냐 프로세스로 인한 개혁

1999년 볼로냐 과정에 따라 이탈리아의 대학 학위 시스템은 크게 개편되었다. 기존의 '라우레아'는 학부 및 대학원 과정으로 분리되었으며, 이는 미국영연방 국가와의 교환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학생들의 국제 교류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15][5]

볼로냐 프로세스 이전에는 유럽 대학들이 학사와 석사 과정을 통합한 마스터 과정을 운영했으나, 이후 이탈리아에서는 3년제 학사 과정(라우레아 트리엔날레), 2년제 석사 과정(라우레아 마지스트랄레), 3년제 박사 과정(돗또라또 디 리체르까)으로 학위 과정이 분리되었다.

3. 1. 첫 번째 주기: 라우레아 트리엔날레

볼로냐 과정에 따라 1999년에 개편된 첫 번째 주기 학위인 라우레아 트리엔날레(Laurea triennale)는 학사 학위와 동등하며, 180 ECTS 학점을 이수해야 한다.[15] 이전 ''라우레아''보다 간단한 학사 수준 과정으로 구성되며, 표준적인 졸업 기간은 3년이다. 이탈리아의 고등학교(scuola secondaria superiore 또는 Lyceum)는 5년 과정으로 19세에 졸업한다.

''라우레아 트리엔날레'' 학위를 받으려면 논문을 제출해야 하지만, 이전 ''라우레아''에서 요구했던 것보다 덜 까다로운, 일반적으로 연구 논문이 아닌 논문을 제출하면 된다. 졸업생은 법적으로 'dottore'(약칭 dr. 또는 dott.), 즉 박사 칭호를 받는다.

3. 2. 두 번째 주기: 라우레아 마지스트랄레

''Laurea magistrale''(과거 2002년~2006년에는 Laurea Specialistica)는 석사 학위에 해당하는 2단계 과정 학위이다. 이 학위를 취득하려면 Laurea 이후 2년 과정(120 ECTS 학점)을 이수하고, 150~250페이지 분량의 실험 논문을 제출해야 한다.[16]

일부 분야(특히 의학, 법학, 공학, 건축학)에서는 ''Laurea magistrale a ciclo unico''가 수여된다. 이는 5년 또는 6년 과정의 2단계 과정(석사 학위) 학위(300 또는 360 ECTS)로, 영국의 학석사 통합 학위처럼 입학을 위해 이전의 1단계 과정 학위(학사 학위)가 필요하지 않다.[16]

''Laurea magistrale''은 이탈리아의 ''Master''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이탈리아의 ''Master''는 석사 학위가 아니라 1년 과정의 디플로마(60 ECTS)로, 더 실용적인 교육을 제공하지만, 더 높은 수준의 학습(예: 박사 과정)에는 접근할 수 없다. 이는 대학원 수료증 또는 대학원 디플로마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 I 레벨 마스터 (''Master di I livello'', 전문석사, 학사후연구원): 라우레아 트리엔날레 이후에 취득할 수 있는 디플로마이다.
  • II 레벨 마스터 (''Master di II livello'', 전문박사, 석사후연구원): 라우레아 마지스트랄레 이후에 취득할 수 있으며, 추가 연구(예: 박사) 또는 전문적인 성취를 추구하는 데 유용하다.


I 레벨 마스터는 두 번째 주기이고, II 레벨 마스터는 세 번째 주기이다.

졸업생은 법적으로 ''dottore magistrale''(dr. mag. 또는 dott. mag.로 약칭) 또는 Magistral Doctor라는 칭호를 받는다. 그러나 이 칭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졸업생은 단순히 "doctor"로 불린다.

3. 3. 세 번째 주기: 돗또라또 디 리체르까

Dottorato di ricerca(철학 박사와 동등)는 라우레아 마지스트랄레를 취득한 후에만 가능한 세 번째 주기 학위이다. 1980년대 중반[17]에 도입되었으며, 3/4년의 박사 과정과 실험 연구, 혁신적인 논문의 최종 심사로 구성된다.

Dottorato는 자금 부족으로 인해 매우 적은 수의 직위만 제공되어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 실제로 2010년까지 이탈리아 공화국은 학술 임용에 ''dottorato di ricerca''를 요구하지 않았다. 2000년대 초반에 ''dottorato di ricerca''에 대한 자금 미지원 직위가 제공되어 해당 학위에 대한 접근성이 넓어졌다.

박사(PhD) 외 다른 세 번째 주기 학위로는 ''Diploma di Specializzazione''이 있으며, 이는 2년(법학, ''Diploma di Specializzazione in Professioni legali'') 또는 3-6년(의학, 전공에 따라 다름) 과정의 학습 및 연구 활동을 통해 취득할 수 있다.[18] ''Diploma di Specializzazione'' 과정에 등록하려면 Laurea magistrale (각각 법률 또는 의학) 학위가 필요하다. ''Diploma di Specializzazione in Professioni legali''는 판사직에 지원할 때 필요하며,[19] 특정 진료 과목의 ''Specializzazione''는 전문의 (Specialist Medical Doctor)로 인정받기 위해 필요하다.[20]

참조

[1] 학술지 How to Get a Degree in Fifteen Days: Erasmus' Doctorate of Theology from the University of Turin 1998
[2] 서적 The Universities of the Italian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1
[3] 서적 Shaping Human Science Discipline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8-09
[4] 웹사이트 Decreto Interministeriale del 9 luglio 2009 - Atti Ministeriali MIUR http://attiministeri[...]
[5] 웹사이트 Qti http://www.quadrodei[...] 2015-02-05
[6] 웹사이트 Decreto Ministeriale del 16 marzo 2007 - Atti Ministeriali MIUR http://attiministeri[...]
[7] 웹사이트 Decreto Presidente Repubblica 11 luglio 1980, n. 382 http://www.edscuola.[...] 2015-02-05
[8] 웹사이트 ECTS - Il Sistema Universitario Italiano http://www.crui.it/c[...] 2015-02-05
[9] 웹사이트 Ministero della Giustizia. Magistrato ordinario: come si diventa? http://www.giustizia[...] 2015-02-05
[10] 웹사이트 SSM - Scuole di Specializzazione in Medicina https://scuole-speci[...]
[11] 학술지 How to Get a Degree in Fifteen Days: Erasmus' Doctorate of Theology from the University of Turin 1998
[12] 서적 The Universities of the Italian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2001
[13] 서적 Shaping Human Science Disciplines https://books.google[...] 2018-09
[14] 웹인용 Decreto Interministeriale del 9 luglio 2009 - Atti Ministeriali MIUR http://attiministeri[...] 2021-12-01
[15] 웹인용 Qti http://www.quadrodei[...] 2015-02-05
[16] 웹인용 Decreto Ministeriale del 16 marzo 2007 - Atti Ministeriali MIUR http://attiministeri[...] 2021-12-01
[17] 웹인용 Decreto Presidente Repubblica 11 luglio 1980, n. 382 http://www.edscuola.[...] 2015-02-05
[18] 웹인용 ECTS - Il Sistema Universitario Italiano http://www.crui.it/c[...] 2015-02-05
[19] 웹인용 Ministero della Giustizia. Magistrato ordinario: come si diventa? http://www.giustizia[...] 2015-02-05
[20] 웹인용 SSM - Scuole di Specializzazione in Medicina https://scuole-spec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