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리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브리크는 2006년 설립된 웹사이트로, 잔혹한 콘텐츠를 포함한 다양한 영상을 제공했다. 사담 후세인 처형 장면 유출로 주목받았으며, 반 코란 영화 '피트나' 호스팅으로 논란이 일었다. 이후 이슬람 국가의 참수 영상 금지, 크라이스트처치 모스크 총기 난사 사건 관련 차단 조치를 겪었다. 2021년 운영을 중단하고 ItemFix.com으로 리디렉션되었다. 공동 창립자인 헤이든 휴이트는 정보의 중립성을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민 저널리즘 - 시민기자
시민 기자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정보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저널리즘 형태이다. - 시민 저널리즘 - 모바일 신문
모바일 신문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미디어 웹사이트의 모바일 버전을 통해 뉴스를 전달하며 시민 저널리즘을 활성화하지만, 품질 및 전문성 문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영국의 웹사이트 - 오픈스트리트맵
오픈스트리트맵(OSM)은 전 세계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세계 지도로, 오픈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ODbL)에 따라 배포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 영국의 웹사이트 - 매치스패션
매치스패션은 1987년 런던에서 시작된 영국의 패션 소매업체로, 온라인 시장 진출 후 사모 펀드에 매각되었으나, 2024년 행정 절차를 겪었다. - 오락 웹사이트 - 나탈리 (웹사이트)
나탈리는 2005년에 설립된 콘텐츠 제공업체인 나타샤 주식회사가 운영하는 웹사이트로, 음악 뉴스 사이트로 시작하여 사업을 확장했으며 2014년 KDDI에 인수되었다. - 오락 웹사이트 - 야후! 재팬
야후! 재팬은 1996년 설립된 일본의 포털 사이트이며, 검색, 뉴스, 쇼핑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2019년 Z 홀딩스로 사명을 변경한 후 네이버 라인과 경영 통합을 발표했다.
라이브리크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서비스 지역 | 전 세계 |
설립일 | 2006년 10월 31일 |
창립자 | 헤이든 휴잇을 포함한 여러 공동 창립자 |
URL | LiveLeak (Itemfix로 리디렉션) |
상업 여부 | 비상업적 |
종류 | 동영상 공유 |
등록 | 선택 사항 |
위치 (도시) | 런던 |
위치 (국가) | 영국 |
소유주 | 없음 |
현재 상태 | 폐쇄/비활성 |
해산일 | 2021년 5월 5일 |
2. 역사
라이브리크는 2006년 10월 잔혹 사이트인 Ogrish.com을 통합하며 설립되었다. 라이브리크는 전쟁, 테러, 범죄, 사고, 재해 등 현실에서 발생한 사건을 있는 그대로 게시하는 것을 표방하는 뉴스 사이트의 일종이지만, 그 중에는 일반적으로 잔혹하고 엽기적이라고 여겨지는 기사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2. 1. 초기 활동과 논란
라이브리크는 2007년 사담 후세인 처형 장면이 촬영되어 유출되면서 처음으로 주목받았다. 백악관 대변인 토니 스노우는 현역 미국 군인들의 소식을 접할 수 있는 곳으로 라이브리크를 언급하기도 했다.[9]
2007년 7월 30일, BBC 프로그램 ''파노라마''는 11세 아이들 사이의 거리 폭력 영상이 라이브리크를 포함한 웹사이트에 게시되는 문제점을 지적했다.[10] 공동 창립자 헤이든 휴이트는 "모두 삭제할 수 없다"고 답하며 "이 모든 일이 일어나고 있고, 이것이 현실이며, 계속될 것이고, 우리는 이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11]
2. 2. 피트나 사건과 검열 논란
라이브리크는 2008년 3월 네덜란드 정치인 헤이르트 빌더르스가 제작한 반코란 영화 ''피트나''를 호스팅하면서 다시 한 번 주목을 받았다. 휴이트(헤이르트 빌더르스)에 대한 개인적인 위협이 최고조에 달해 라이브리크는 48시간 동안 ''피트나''를 삭제했다.[12] 2008년 3월 30일, 휴이트의 가족과 안전에 대한 조치가 개선된 후 ''피트나''는 다시 게시되었다.[12] 그러나 저작권 침해 주장에 따라 이 비디오는 곧 다시 삭제되었다.[12]2. 3. 콘텐츠 파트너십 및 운영 중단
2014년 3월 24일, 라이브리크는 Ruptly와 콘텐츠 파트너십을 체결했다.[13]2014년 8월 19일, 이슬람 국가(IS) 테러리스트들이 미국 언론인 제임스 폴리를 참수하는 영상을 유튜브 등 여러 사이트에 게시했다. U.S. News & World Report의 보도 이후, 유튜브와 페이스북은 관련 영상을 삭제하고 제재를 가했지만, 당시 해당 콘텐츠를 허용했던 라이브리크로 수요가 몰렸다.[14] 이에 대응하여 라이브리크의 공동 창립자 헤이든 휴이트는 IS가 제작한 모든 참수 영상을 금지하는 정책을 발표했다.[15][12] 다만, 참수 장면은 없지만 폴리의 처형 이후 상황을 담은 원본 비디오는 역사적 관련성을 이유로 계속 게시했다.
2019년 3월 30일, 호주 통신사 텔스트라 등은 크라이스트처치 모스크 총기 난사 사건 비디오 확산을 막기 위해 4chan, 8chan 등과 함께 라이브리크를 차단했다.[17] 라이브리크는 해당 비디오를 게시하지 않았고, 업로드되는 즉시 삭제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0년 6월 초, 라이브리크는 일시적으로 로그인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유튜브, 데일리모션 등 외부 동영상 서비스의 비디오만 제공했다. 2020년 6월 14일부터는 다시 로그인하여 라이브리크 자체 호스팅 비디오를 볼 수 있게 되었다.
2021년 5월 5일, 라이브리크는 운영을 중단하고 과도한 폭력이나 끔찍한 내용의 미디어 업로드를 금지하는 ItemFix.com으로 리디렉션되었다.[7]
3. 창립자 헤이든 휴이트
헤이든 휴이트는 라이브리크 창립의 핵심 인물이다. 2008년 5월 19일 '더 뉴 프리덤 넷' 블로그 인터뷰에서 그는 라이브리크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답변하며, 동종 사이트의 문제점(접속 차단, 클레임 다발)을 인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18]
휴이트는 "정부나 기업이 관여하면 반드시 정보에 편향이 발생"하며, "중립성을 확보하려면 모든 정보에 대해 누구나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19] 2007년 7월 30일 BBC ''파노라마'' 프로그램에서 라이브리크에 게시된 폭력적인 비디오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휴이트는 "모두 삭제할 수 없다"고 답하며 "이 모든 일이 일어나고 있고, 이것이 현실이며, 계속될 것이고, 우리는 이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11]
2008년 3월에는 네덜란드 정치인 헤이르트 빌더르스가 제작한 반코란 영화 ''피트나''를 라이브리크에서 호스팅하면서 휴이트에 대한 개인적인 위협이 최고조에 달했고, 이로 인해 48시간 동안 ''피트나''를 삭제하기도 했다.[12] 2014년 제임스 폴리 참수 영상 사건 이후에는 라이브리크의 콘텐츠 정책을 업데이트하여 이슬람 국가가 제작한 모든 참수 영상을 금지했다.[15][12]
4. 한국에서의 관점
라이브리크는 표현의 자유와 검열, 정보의 중립성, 그리고 잔혹한 현실 보도에 대한 윤리적 문제 등 다양한 논쟁거리를 제공했다. 특히, IS 참수 영상이나 크라이스트처치 모스크 총기 난사 사건 영상 등은 한국 사회에도 큰 충격을 주었으며, 온라인 플랫폼의 콘텐츠 규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극단적인 폭력 콘텐츠의 유통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플랫폼 사업자의 책임을 강화하고 불법 유해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라이브리크 창립자 헤이든 휴이트는 "정부나 기업이 관여하면 반드시 정보의 편향이 발생"하며, "중립성을 확보하고 싶다면 모든 정보에 대해 누구나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19]
참조
[1]
서적
Hate on the Net: Extremist Sites, Neo-fascism On-line, Electronic Jihad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17-08-21
[2]
웹사이트
Company Overview of LiveLeak
https://www.bloomber[...]
S&P Global Market Intelligence
2017-08-21
[3]
웹사이트
LiveLeak, the internet’s font of gore and violence, has shut down
https://www.theverge[...]
2024-11-20
[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Hayden Hewitt, co-Founder of LiveLeak.com
https://web.archive.[...]
2008-05-19
[5]
뉴스
Blair and Bush's latest weapon of war: YouTube
https://web.archive.[...]
2007-01-13
[6]
웹사이트
LiveLeak's reign of gory terror is over after 15 years
https://www.yahoo.co[...]
2024-11-20
[7]
웹사이트
LiveLeak, the internet's font of gore and violence, has shut down
https://www.theverge[...]
2021-05-15
[8]
웹사이트
LiveLeak is finally dead after 15 years
https://mashable.com[...]
2022-04-20
[9]
웹사이트
LiveLeak Making Headlines, Enemies
https://mashable.com[...]
2021-07-15
[10]
간행물
Panorama: Children's Fight Club
http://www.bbc.co.uk[...]
BBC
2007-07-29
[11]
뉴스
Web child fight videos criticised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7-29
[12]
웹사이트
Q&A: The Man Behind LiveLeak, The Islamic State's Favourite Site For Beheading Videos
https://www.business[...]
2017-03-11
[13]
간행물
Ruptly Video News Agency and LiveLeak.com announce content partnership
http://www.prlog.org[...]
Ruptly
2014-03-24
[14]
뉴스
LiveLeak Bans Future Islamic State Beheading Videos
https://web.archive.[...]
2014-08-22
[15]
웹사이트
Statement From Liveleak Regarding IS Beheading Videos which might be upcoming
https://archive.toda[...]
2015-08-28
[16]
웹사이트
Telcos block access to websites continuing to host Christchurch terror footage
https://www.sbs.com.[...]
2024-11-20
[17]
잡지
4chan, 8chan, LiveLeak and Others Blocked by Australian Internet Companies over Mosque Massacre Video
https://www.newsweek[...]
2019-03-19
[18]
뉴스
Pilot On Line "Defense Department blocks YouTube, MySpace, other sites."
http://hamptonroads.[...]
[19]
웹사이트
The New Freedom.Net "Interview with Hayden Hewitt, co-Founder of LiveLeak.com"
http://www.thenewf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