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포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포(rapport)는 상호 간의 신뢰, 이해, 공감, 존중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심리적 유대감을 의미한다. 라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신체 언어를 맞추고, 시선 접촉을 유지하며, 대화 속도와 리듬을 조절하는 기술이 사용된다. 긍정적인 태도, 개인적인 정보 공유, 공통 관심사 언급 등 언어적 행동도 라포 형성에 기여한다. 라포는 지역 사회 연구, 파트너십, 교사-학생 관계, 직원 신뢰 확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온라인 소통에서는 기술적 어려움과 친밀감 부족으로 인해 라포 형성이 더 어려울 수 있다. 라포 연구는 설문 조사, 관찰, 자동화된 계산적 탐지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언어적 의사소통 - 난타
    난타는 사물놀이 리듬을 기반으로 주방 도구를 사용하여 연주하는 한국의 비언어극으로, 해외 데뷔 성공 이후 세계적인 공연으로 성장하여 다양한 볼거리와 관객 참여를 특징으로 한다.
  • 비언어적 의사소통 - 눈맞춤
    눈맞춤은 시선을 이용하여 사회적, 정서적 정보를 전달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중요한 형태로서, 감정 및 의도 전달, 유혹의 요소로 작용하며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만, 시민적 무관심이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같은 어려움으로 인해 회피되기도 하고,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되거나 스포츠 경기에서 신호 전달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기호학 - 기표와 기의
    기표와 기의는 소쉬르가 제시한 기호의 두 요소로, 기표는 감각으로 인지 가능한 형태, 기의는 기표가 나타내는 개념이나 의미를 뜻하며, 이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기호학 - 행위자 연결망 이론
    행위자 연결망 이론은 1980년대 프랑스에서 개발된 사회학 이론으로,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과학 기술 혁신 및 지식 창출 과정을 이해하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의사소통 - 번역
    번역은 출발어 텍스트를 목표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직역과 의역 등의 방식을 통해 완역 또는 축약역으로 나뉘며, 기계 번역과 인간 번역의 차이, 그리고 문화와 사상의 교류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의사소통 -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은 인간과 컴퓨터 간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설계, 구현, 평가하는 학제간 분야로, 사용자 중심 설계 원칙을 통해 사용성, 효율성, 접근성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며, 인공지능, 감정 컴퓨팅,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그리고 보안 상호작용 등의 새로운 연구 영역이 발전하고 있다.
라포르
정의
라포르친밀하고 조화로운 관계
프랑스어rapporter (가져오다, 되돌려주다)
심리학적 측면
주요 특징상호 이해
공감
신뢰
긍정적 감정
관계 형성비언어적 행동 (미러링, 몸짓 일치)
언어적 행동 (경청, 공감 표현)
공유된 경험
관계 개선적극적 경청
공감적 반응
개방적 의사소통
공동 목표 설정
긍정적 피드백
라포르의 중요성
대인 관계원활한 의사소통
협력 증진
갈등 감소
신뢰 구축
상담 및 치료치료 동맹 형성
내담자 참여 증진
치료 효과 향상
교육학습 분위기 조성
학생 참여 증진
교사-학생 관계 개선
비즈니스협상 성공률 향상
고객 만족도 증진
팀워크 강화
관광긍정적인 관광 경험
관광객 간의 협력 증진
즐거운 단체 활동 경험
라포르 형성 기법
미러링상대방의 행동, 자세, 목소리 등을 따라 하는 것
페이싱상대방의 말과 행동을 따라가며 리듬을 맞추는 것
백트래킹상대방이 한 말을 요약하거나 반복하여 확인하는 것
앵커링특정 감정이나 경험을 촉발하는 단어, 행동, 감각 등을 활용하는 것
시각적 라포르시선 맞추기, 미소, 부드러운 표정 등
추가 정보
비판적 관점라포르 형성은 조작이나 속임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 존재
연구라포르의 본질과 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진행

2. 라포의 형성

라포 형성은 지역 사회 기반 연구 전략 개선, 파트너 관계 찾기,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 개선, 고용주가 직원에 대한 신뢰를 얻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12]

2. 1. 기본 원칙

라포르(rapport)는 프랑스어로, 환자와 의사 간의 심리적 신뢰 관계를 의미한다. 라포 형성을 위한 기술은 상대방과 몸짓, 자세 등을 맞추거나, 눈을 맞추고, 호흡을 같이 하는 것 등이 있다. 심리학자들은 이를 촉진적인 인간관계라고 부른다.[4][9][10]

라포 형성을 위한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 자신과 상대를 편안하게 하고, 가벼운 대화로 시작한다.
  • 상대방의 얼굴 표정, 신체 반응, 목소리 등 비언어적 행동을 잘 읽고 적절하게 반응한다.
  • 상대방이 거리를 두면 기다리고 천천히 다가간다.
  • 상대방이 비유를 사용하면 그 비유를 그대로 사용해 반응한다.
  • 상대를 공감하고 존중하며, 일치하는 점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 상대방에게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을 표현하고, 상대방이 느끼는 그대로 표현하도록 돕는다.
  • 다른 생각에 잠기지 않고, 상대방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행동을 피한다.
  • 다른 사람과 결부시키지 않는다.


라포 형성은 시간이 걸리는 과정이다. 외향적인 사람들내향적인 사람들보다 라포 형성을 더 쉽게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외향성이 사회적 환경에서 자신감과 능숙함을 증가시켜 라포 형성 과정을 가속화하기 때문이다.[13]

조율(거울 효과)은 다른 사람과 리듬을 맞추거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을 닮는 것을 의미한다.[14]

  • 감정적 조율: 상대방의 감정 상태에 공감하며, 주요 단어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질문하고, 이해와 공감을 보여준다.
  • 자세 조율: 상대방의 자세와 에너지의 일반적인 메시지를 반영하여 신체 언어의 톤을 맞춘다. (직접적인 모방은 조롱으로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톤과 속도 조율: 상대방 목소리의 톤, 속도, 억양, 음량을 맞춘다.


상호 간의 친밀감을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서로에게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4] 이러한 주의는 다른 사람을 바라보거나,[9] 적절한 순간에 고개를 끄덕이거나, 신체적 근접성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7] 또한, 미소짓거나 고개를 끄덕이는 등의 비언어적 행동의 상호작용이나 상대방에 대한 개인적인 세부 정보 공유를 통해 주의를 보여줄 수 있다.[4][9]

공통점 찾기는 의도적으로 상대방과 공통점을 찾아 친밀감[15]과 신뢰를 구축하는 기법이다. 이는 공유하는 관심사, 싫어하는 것, 경험 등을 언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개인적인 세부 정보를 공유하거나 개인적인 선호도나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대화자들은 공통점을 형성하고 친밀도를 높일 수 있다.[9]

"긍정적 자아 관리" 또는 긍정성을 통해 라포를 형성할 수도 있다.[16] 우리는 긍정적으로 보이고 싶어하는 "자아"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의 "자아"를 관리하고 격려하며 부정적인 영향을 줄임으로써 다른 사람들과 라포를 형성할 수 있다.[16]

2. 2. 구체적인 방법

라포르를 형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4]

  • 상대방과 자세, 몸짓 등 신체 언어를 맞추거나,[4] 시선 접촉을 유지하고,[9] 말하는 속도, 용어, 호흡 리듬을 맞춘다.[10]
  • 가벼운 대화 등으로 시작하여 자신과 상대를 편안하게 한다.
  • 상대방의 얼굴 표정, 신체 반응, 목소리 등 비언어적 행동을 잘 읽고 적절한 반응을 보인다.
  • 상대방이 거리를 두면 기다리고 천천히 다가간다.
  • 상대방이 비유를 사용하면 그 비유를 그대로 사용하여 반응한다.
  • 상대방을 공감하고 존중하며 일치하는 점을 찾으려 노력한다.
  • 상대방에게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을 표현하고, 상대방이 어떤 것이든 느끼는 그대로 표현하도록 한다.
  • 다른 생각에 잠기지 않고, 상대방의 주의를 산만하게 할 일을 피한다.
  • 다른 사람과 결부시키지 않는다.

조율다른 사람과 리듬을 맞추거나, 그들의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행동을 닮는 것을 의미하며, "거울 효과"라고도 불린다.

  • 감정적 조율: 상대방의 감정 상태에 공감하고, 주요 단어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질문하며, 더 잘 이해하고 공감을 보여주는 것이다.[14]
  • 자세 조율: 상대방의 자세와 에너지의 일반적인 메시지를 반영하여 신체 언어의 톤을 맞춘다. (직접적인 모방은 조롱으로 비칠 수 있다.)
  • 톤과 속도 조율: 상대방 목소리의 톤, 속도, 억양, 음량을 맞춘다.

주의 기울이기상호 간의 친밀감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게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의미한다.[4]

  • 다른 사람을 바라보는 것[9]과 같은 비언어적 주의를 보인다.
  • 적절한 순간에 고개를 끄덕인다.
  • 신체적 근접성을 통해 주의를 나타낸다.[7]
  • 미소짓거나 고개를 끄덕이는 등 비언어적 행동의 상호작용을 한다.[4]
  • 상대방에 대한 개인적인 세부 정보의 상호 공유를 통해 상대방의 요구에 대한 지식과 주의를 나타낸다.[9]

공통점 찾기친밀감[15]과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상대방과 공통점을 찾는 기법이다.

  • 공유하는 관심사, 싫어하는 것, 경험 등을 언급한다.
  • 개인적인 세부 정보를 공유하거나 개인적인 선호도나 정보를 자기 공개함으로써 공통점을 형성하고 친밀도를 높인다.[9]

긍정성"긍정적 자아 관리"(positive face management)를 의미한다.[16] 긍정적으로 보이고 싶어하는 욕구, 즉 "자아"를 관리하고, 필요할 때는 격려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줄임으로써 다른 사람들과 라포를 형성한다.[16]

3. 라포의 유지

라포 형성 외에도 라포를 해칠 수 있는 요소들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스펜서-오티[17]와 라지두[18]는 대화 참여자들이 라포를 유지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여섯 가지 요소(GAAFFE 트리거)를 제시했다. 이들은 대화 참여자들이 이러한 트리거들에 대한 해석이나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다면 라포가 훼손될 수 있으며, 이는 감정적 반응이나 평가적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3. 1. GAAFFE 트리거

스펜서-오티[17]의 이전 라포 관리 연구를 바탕으로, 그녀와 라지두[18]는 라포를 해치지 않기 위해 대화 참여자들이 고려해야 할 여섯 가지 요소 또는 민감성을 확인했다. 두 사람은 이를 GAAFFE 트리거라고 부르며, GAAFFE는 각 요소들의 약어이다.

라포 트리거

  • 목표(Goals): 각 사람이 달성하고자 하는 것.

  • 자율성(Autonomy): 각 사람이 편안하게 느끼는 자율성 또는 지시의 수준.

  • 주의(Attention): 각 사람이 편안하게 느끼는 주의나 연결의 수준.

  • 체면(Face): 각 사람이 보여지기를 원하는 존중과 감사.

  • 공정성(Fairness): 각 사람이 경험하기를 원하는 공정한 대우.

  • 윤리 원칙(Ethical Principles): 윤리적 행동 기준의 준수.


저자들은 대화 참여자들이 이러한 트리거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해석이나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다면 라포가 영향을 받고 일반적으로 훼손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감정적 반응 및/또는 평가적 반응과 같은 일종의 라포 반응으로 이어질 것이다.

4. 라포의 이점

대인 관계에서 신뢰를 형성하면 원활한 상호 작용, 협업 향상, 대인 관계 결과 개선 등 많은 이점이 있다.[5][6][7] 구체적인 내용은 의료, 교육, 비즈니스, 사회적 관계 등 영역에 따라 다르다.

의료 분야에서 의료 제공자와 환자 간의 신뢰 관계는 "치료적 동맹" 또는 "치료적 관계"라고 불리며, 협력 수준을 나타내고 치료 결과나 환자의 치료 순응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5][19]

교육 분야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신뢰 관계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 수업 지속, 해당 분야 수업 재수강 가능성을 예측하고, 때로는 수업 결과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7] 일부 학자들은 교사-학생 간 신뢰 관계가 효과적인 교사가 되기 위한 필수 요소이거나, 대인 관계를 관리하고 긍정적이고 친사회적인 신뢰 분위기를 조성하여 불안감을 줄이는 능력이라고 주장한다.[20] 학생 간의 신뢰 관계는 교사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지만, 수업 중 불안감 감소, 지지적인 수업 문화, 수업 토론 참여 증가를 예측하는 지표가 된다.[7] 개별 면담을 통해 의도적으로 신뢰 관계를 구축하면 학생 참여도와 교실에서의 편안함 수준이 높아진다.[21]

협상에서 신뢰 관계는 상호 이익이 되는 결과를 얻는 데 도움이 된다.[6] 협상 당사자들이 서로를 신뢰하고 협력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협상에서의 대인 관계는 특히 교착 상태에서 비윤리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22]

우정과 연애 관계와 같은 사회적 관계에서[23] 신뢰 관계를 구축하면 신뢰를 형성하고 친밀감을 높이며 특정 오해를 없앨 수 있다.[24] 신뢰 관계는 대인 관계에서 만족감을 형성하고 허용 가능한 행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23] 우정과 연애 관계는 다른 영역과 겹칠 수 있다.

5. 라포와 기술

라포르를 형성하기 위한 기술로는 상대와 몸짓 언어(자세, 동작 등)를 같이 하거나 눈길을 맞추고, 호흡을 같이하는 것 등이 있다. 심리학자들은 이를 촉진적인 인간관계라고 한다.

라포르 형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자신과 상대를 편안하게 하고, 가벼운 대화 등으로 시작한다.
  • 상대의 얼굴 표정, 신체 반응, 목소리 등 비언어적 행동을 잘 읽고 적절하게 반응한다.
  • 상대가 거리를 유지하고 피하면 기다리고 천천히 다가간다.
  • 상대가 비유를 사용하여 말하면 그 비유를 그대로 사용하여 반응한다.
  • 상대를 공감하고 존중하며 일치하는 점을 찾으려 노력한다.
  • 상대에게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을 표현하고, 상대가 어떤 것이든 느끼는 그대로 표현하도록 한다.
  • 다른 생각에 잠기지 않고, 상대의 주의를 산만하게 할 일을 피한다.
  • 다른 사람과 결부시키지 않는다.


라포르(rapport)는 원래 환자와 의사 사이의 심리적 신뢰 관계를 뜻하는 프랑스어이다.

5. 1. 온라인 라포 구축의 어려움

21세기에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은 비즈니스 운영 방식과 관계 형성 방식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25] 코로나19 시대에 원격 근무 및 원격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신뢰 관계 구축 방식이 변화했다. 온라인 채널을 통해서만 소통하는 것은 신뢰 관계 구축에 어려움을 준다.[26] 이러한 어려움에는 화상 통화 및 다이렉트 메시지 중단을 야기하는 기술적 문제, 사용자의 집에서 발생하는 방해와 주의 산만, 친밀감 부족과 서로를 관찰하는 능력 부족, 시선 접촉 부족, 단조로운 상호 작용 및 "현존 압박" 등이 있다.[27]

6. 라포 연구

라포가 위에서 언급된 이점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더 잘 연구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 주요 접근 방식 중 하나를 채택한다. 참가자에게 제공되는 자기 보고 설문 조사,[7] 외부 관찰자의 제3자 관찰,[4] 그리고 컴퓨터 비전과 기계 학습을 사용하는 어떤 형태의 자동화된 계산적 탐지[9]이다.

자기 보고 설문 조사는 일반적으로 대인 관계 상호 작용이 끝난 후에 질문 세트를 제공하여 참가자에게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반추하고 그 관계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도록 요청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리커트 척도를 사용한다.[6][7] 이것이 가장 일반적인 접근 방식이지만, 자기 보고 데이터의 신뢰성 부족(예: 참가자의 단일 상호 작용에 대한 반추와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더 광범위하게 구분하는 문제)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20]

제3자 관찰자는 그러한 상호 작용의 특정 부분(종종 "슬라이스"라고 함)에 대한 라포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4][9] 최근의 다른 연구는 컴퓨터 비전, 기계 학습 및 인공 지능의 기술을 사용하여 쌍(dyad) 구성원 간의 라포 수준을 계산적으로 탐지한다.[9]

화상 회의를 하는 남성

참조

[1] 웹사이트 Rapport – Definition http://www.merriam-w[...] Merriam Webster 2011-03-22
[2] 서적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Wordsworth Editions
[3] 서적 Communication & Conflict Resolution Skills Kendall Hunt Publishing Company 2010-12-06
[4] 학술지 The Nature of Rapport and Its Nonverbal Correlates http://www.justineca[...] 1990
[5] 학술지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6-item Working Alliance Psychotherapy https://liu.diva-por[...] 2014
[6] 학술지 Rapport in Conflict Resolution: Accounting for How Face-to-Face Contact Fosters Mutual Cooperation in Mixed-Motive Conflict 2000
[7] 학술지 Instructor–Student and Student–Student Rapport in the Classroom 2010
[8] 학술지 Does getting along matter? Tourist-tourist rapport in guided group activities https://www.scienced[...] 2021-12-01
[9] 서적 Intelligent Virtual Agents Springer 2014
[10] 웹사이트 Body Language in Negotiation Can Build Rapport—Without Saying a Word https://www.pon.harv[...] 2022-06-23
[11] 학술지 Face Management Theory: Modern Conceptualizations and Future Directions http://www.inquiries[...] 2015
[12] 서적 Proceedings of the 18th ACM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 Social Computing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15-02-28
[13] 학술지 The Extravert Advantage: How and When Extraverts Build Rapport With Other People https://journals.sag[...] 2015-11
[14] 서적 Arnold and Bogg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for Canadian nurses
[15] 웹사이트 Camaraderie https://www.merriam-[...] 2022-11-27
[16] 학술지 (Im)Politeness, Face and Perceptions of Rapport: Unpackaging their Bases and Interrelationships 2005
[17] 서적 Culturally Speaking. Culture, Communication and Politeness Theory Continuum
[18] 서적 Making Working Relationships Work. The TRIPS Toolkit for handling relationship challenges and promoting rapport Castledown
[19] 학술지 Rapport: A key to treatment success 2005-11-01
[20] 학술지 Further Validation of the Learning Alliance Inventory: The Roles of Working Alliance, Rapport, and Immediacy in Student Learning 2015
[21] 학술지 Intentionally Building Rapport With Students https://doi.org/10.1[...] 2011-10-01
[22] 학술지 The Dark Side of Rapport: Agent Misbehavior Face-to-Face and Online https://repository.u[...] 2011
[23] 서적 Communicating to Connect—Interpersonal Communication for Today Social Sciences LibreTexts 2022-11-27
[24] 학술지 Rapport and friendship in ethnographic research https://doi.org/10.1[...] 1989-01-01
[25] 서적 Online Communication: Linking Technology, Identity, & Culture https://www.taylorfr[...]
[26] 학술지 Selfie consents, remote rapport, and Zoom debriefings: collecting qualitative data amid a pandemic in four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https://gh.bmj.com/c[...] 2021-01-01
[27] 학술지 Using internet video calls in qualitative (longitudinal) interviews: some implications for rapport https://doi.org/10.1[...] 2017-11-02
[28] 학술지 座談会/催眠療法の現状と展望 至文堂 1992-04
[29] 서적 図解 NLP コーチング術 秀和システム 2007-04-16
[30] 학술지 メンタライゼーションの観点から見た初期の治療同盟 https://www.tiu.ac.j[...] 東京国際大学大学院臨床心理学研究科 2020-03-31
[31] 서적 日本の救貧制度 勁草書房 1960-01
[32] 웹사이트 rapport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2010-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