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플라스-P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플라스-P는 유럽 우주국(ESA)이 2007년에 제안한 유로파 목성계 임무의 일환으로, 목성과 그 위성계를 연구하기 위해 계획되었으나 2017년에 취소된 탐사 계획이다. 최초에는 유로파 착륙을 목표로 하였으나, 이후 가니메데로 변경되어 가니메데 궤도선과 착륙선을 별도로 발사하는 방안이 논의되었다. 가니메데의 대기, 얼음 표면, 거주 가능성 및 생물학적 지표를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VEEGA 궤도를 사용할 예정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로파 목성계 임무 - 라플라스 - 유로파 클리퍼
유로파 클리퍼는 NASA에서 주관하며 2024년 10월 14일에 발사된 목성의 위성 유로파 탐사선으로, 유로파의 거주 가능성 조사 및 향후 착륙 지점 선정에 필요한 자료 수집을 목표로 2030년 4월 목성 도착 후 44회의 근접 비행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할 예정이다. - 유로파 목성계 임무 - 라플라스 - 목성 가니메데 궤도선
- 취소된 우주 탐사선 - LUNAR-A
LUNAR-A는 일본의 달 탐사 프로젝트로, 달 표면에 침투체를 투입하여 내부 구조를 조사하려 했으나 개발 지연과 예산 문제로 2007년 계획이 중단되었다. - 취소된 우주 탐사선 - 유로파 궤도선
유로파 궤도선은 NASA에서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계획했던 유로파 탐사 임무로,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유로파의 얼음 껍질 두께 측정, 표면 지형 및 자기장 분석 등을 목표로 했으나 취소되었으며, 후속 유로파 탐사 계획에 영향을 주었다. - 가니메데 (위성) - 목성 가니메데 궤도선
- 가니메데 (위성)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의 목성 탐사선으로, 목성과 위성들의 대기, 표면, 내부 구조, 자기장을 탐사하며, 특히 가니메데의 해양층과 자기장 상호 작용을 상세히 조사하고, 유로파에서 생명체 관련 화학 물질과 얼음 지각 두께를 측정할 예정이다.
라플라스-P | |
---|---|
개요 | |
이름 | 라플라스-P |
원어명 | Лаплас — П (러시아어) |
영어 이름 | Laplace-P |
다른 이름 | 유로파 착륙선 (2009–2011) |
임무 | |
임무 유형 | 궤도선 및 착륙선을 이용한 탐사 |
운영 기관 | 러시아 연방 우주국 |
임무 기간 | 10년 이상 |
웹사이트 | 러시아 연방 우주국 라플라스-P 임무 웹사이트 |
우주선 정보 | |
우주선 종류 | 해당 없음 |
우주선 버스 | 해당 없음 |
제조사 | 해당 없음 |
발사 질량 | 궤도선: 착륙선: |
발사 후 질량 | 해당 없음 |
착륙 질량 | 해당 없음 |
건조 질량 | 궤도선: 착륙선: |
탑재 질량 | 궤도선: 착륙선: |
크기 | 해당 없음 |
전력 | 해당 없음 |
발사 정보 | |
발사 예정일 | 2026년 (제안됨) |
발사체 | 앙가라-A5와 KVTK 상단 로켓 (제안됨) |
발사 장소 | 해당 없음 |
발사 계약자 | 해당 없음 |
착륙 예정일 | 해당 없음 |
착륙 장소 | 해당 없음 |
궤도 정보 | |
기준 궤도 | 해당 없음 |
궤도 방식 | 해당 없음 |
궤도 장반축 | 해당 없음 |
궤도 이심률 | 해당 없음 |
궤도 경사 | 해당 없음 |
궤도 주기 | 200일 |
궤도 승교점 경도 | 해당 없음 |
궤도 근지점 인수 | 해당 없음 |
궤도 평균 근점 이각 | 해당 없음 |
궤도 평균 운동 | 해당 없음 |
궤도 반복 | 해당 없음 |
궤도 속도 | 해당 없음 |
궤도 기준 시점 | 해당 없음 |
궤도 회전 수 | 해당 없음 |
행성 | 목성 |
착륙 정보 (가니메데) | |
착륙 목표 | 가니메데 |
도착 예정일 | 2030년 (제안됨) |
위치 | 해당 없음 |
근지점 | 해당 없음 |
원지점 | 해당 없음 |
경사 | 해당 없음 |
행성 | 해당 없음 |
통신 정보 | |
전송 대역 | 해당 없음 |
전송 주파수 | 해당 없음 |
전송 대역폭 | 해당 없음 |
전송 용량 | 해당 없음 |
전송 범위 | 해당 없음 |
전송 TWTA | 해당 없음 |
전송 EIRP | 해당 없음 |
전송 HPBW | 해당 없음 |
2. 역사
유로파 착륙선은 원래 2007년 유럽 우주국(ESA)이 제안한 유로파 목성계 임무 - 라플라스의 일부로 계획되었다.[17][6] 이 임무는 2020년대에 발사되어 목성과 그 위성계를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특히 착륙선은 유로파의 얼음 층 아래에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바다 또는 내부 해양을 탐사할 예정이었다.[18][7] 임무 계획에 따르면, 궤도선은 유로파 궤도에 진입하기 전에 다른 목성 위성들을 여러 차례 근접 비행하도록 되어 있었다.[17][6]
그러나 2011년, 목성의 강력한 방사선대가 탐사선에 미칠 유해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 착륙선의 목표 지점이 유로파에서 가니메데로 변경되었다.[15][2] 가니메데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이며, 위성 내부에 지구의 모든 바다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물을 포함할 수 있는 내부 해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9][20][21][8][9]
변경된 계획에 따라 궤도선은 최대 50kg의 과학 장비를 탑재하고 가니메데를 13번, 칼리스토를 4번 근접 비행하며, 착륙선(라플라스-P)은 최대 70kg의 과학 장비를 실을 예정이었다.[22][23][10][11]
하지만 라플라스-P 임무는 베네라-D 임무에 더 많은 예산을 배정하기 위해 2017년에 최종적으로 취소되었다.[5]
3. 계획
라플라스-P 탐사는 목성을 향해 궤도선(코드명 LP1)과 착륙선(코드명 LP2)을 별개로 발사하는 이중 임무로 계획되었다.[2][12][15][24] 궤도선은 가니메데 주위를 돌고, 착륙선은 가니메데 표면에 연착륙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임무 이름의 'P'는 러시아어로 착륙을 의미하는 посадка|포사트카rus에서 따왔다.
예정된 궤도는 금성과 지구의 중력을 이용하는 VEEGA(Venus-Earth-Earth Gravity Assist) 경로였다.[13][25] 궤도선과 착륙선 모두 각각 약 50kg의 과학 장비를 탑재할 예정이었다.[2][15] 동력원으로는 착륙선은 RTG를 사용하고, 궤도선은 RTG 또는 태양 전지를 사용할 계획이었다.[2][15]
만약 착륙선이 유럽 우주국(ESA)의 JUICE 임무와 함께 발사될 경우, JUICE가 궤도선 역할을 대신 수행하므로 러시아의 궤도선은 제외될 수도 있었다.[2] 이 경우 러시아 궤도선의 목표였던 착륙 지점 표면 지도화는 JUICE가 담당하게 된다. 착륙선의 주요 목표는 가니메데 표면에 대한 원격 탐사 및 현장 조사를 수행하는 것이었다.[14]
원래 이 임무는 2007년 유럽 우주국(ESA)이 제안한 유로파 목성 시스템 임무의 일환으로 유로파 착륙을 목표로 했었다.[6] 그러나 2011년, 목성의 강력한 방사선 벨트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착륙 목표지가 가니메데로 변경되었다.[2] 가니메데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이며, 지구의 모든 바다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물을 포함할 수 있는 내부 해양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8][9]
그러나 라플라스-P 계획은 러시아의 베네라-D 임무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하기 위해 2017년에 최종적으로 취소되었다.[5]
3. 1. 기술적 어려움
가니메데 표면의 방사선 조건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13][25] 하지만 달인 가니메데의 중력 변수(GM = 9887.8 km3/s2)는 유로파보다 커서 궤도에서 착륙선을 내려보내는 것이 기술적으로 더 어렵다.[13][25]
4. 탐사 목표
라플라스-P 탐사의 초기 목표는 2007년 유로파 목성계 임무 - 라플라스의 일부로 제안되었으며, 목성과 그 위성계를 연구하는 것이었다. 특히 유로파의 얼음 아래에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바다를 착륙선을 통해 직접 탐사할 계획이었다.[17][18][6][7]
그러나 2011년, 목성의 강력한 방사선 환경이 탐사선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주요 목표가 유로파에서 가니메데로 변경되었다.[15][2] 가니메데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이며, 표면 아래에 지구의 모든 바닷물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양의 물로 이루어진 내부 해양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천체이다.[19][20][21][8][9] 가니메데 표면의 방사선 환경은 유로파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화하다는 장점도 있었다.[13]
변경된 계획에 따라 라플라스-P는 가니메데 궤도선(LP1)과 착륙선(LP2)으로 구성된 이중 임무로 구상되었다. 두 탐사선은 함께 발사되어 목성계에 도착한 후, 궤도선은 가니메데 주위를 돌며 표면을 정밀하게 지도화하고, 착륙선은 가니메데 표면에 연착륙하여 현장 탐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5][24][2][12][14] 라플라스-P의 'P'는 러시아어로 착륙을 의미하는 'posadka'에서 유래했다.
궤도선은 가니메데를 13번, 칼리스토를 4번 근접 비행하며 탐사를 수행하고, 약 50kg의 과학 장비를 탑재할 예정이었다.[22][10][11] 착륙선의 주요 임무는 가니메데 표면에 대한 원격 및 현장 조사를 통해 대기, 얼음 표면의 특성을 파악하고, 거주 가능성을 평가하며 생물학적 지표를 탐색하는 것이었다.[2][14] 착륙선 역시 약 50kg의 과학 장비를 탑재할 계획이었다.[2] 초기 유로파 착륙선 구상 단계에서는 최대 70kg의 장비 탑재가 고려되기도 했다.[10][11]
탐사선은 금성과 지구의 중력을 이용하는 VEEGA(Venus-Earth-Earth Gravity Assist) 궤적을 따라 목성으로 향할 예정이었다.[25][13] 착륙선은 RTG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궤도선은 RTG 또는 태양 전지를 사용할 계획이었다.[15][2] 만약 착륙선이 유럽 우주국(ESA)의 JUICE 임무와 함께 발사된다면, 러시아의 궤도선은 생략될 수도 있었다.[2]
가니메데는 유로파보다 착륙하기 어렵다는 기술적 과제도 안고 있었다. 가니메데의 중력 매개변수(''GM'' = 9887.8 km3/s2)가 커서 궤도에서 표면으로 착륙선을 내려보내는 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25][13]
이 탐사 계획은 2017년 베네라-D 임무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취소되었다.[5]
참조
[1]
웹사이트
РФ планирует доставить свои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е аппараты к Юпитеру к 2032 году
http://tass.ru/kosmo[...]
TASS
2016-07-05
[2]
논문
Advanced Russian Mission Laplace-P to Study the Planetary System of Jupiter: Scientific Goals, Objectives, Special Features and Mission Profile
https://link.springe[...]
Solar System Research
2017-12
[3]
웹사이트
Russia funds a proposal to land on Jupiter's moon Ganymede
http://www.russiansp[...]
2016-08-11
[4]
웹사이트
Russia may land probe on Jupiter's moon Ganymede with Europe's JUICE Mission
http://www.space.com[...]
SPACE.com
2013-06-19
[5]
뉴스
Вице-президент РАН: сроки реализации лунной программы сдвинулись ради проекта «ЭкзоМарс»
https://tass.ru/opin[...]
2017-07-15
[6]
간행물
Europa Lander: Mission Concept and Science Goals
http://meetingorgani[...]
[7]
웹사이트
Report on the Europa Lander Workshop
http://www.lpi.usra.[...]
2009-02-09
[8]
뉴스
NASA's Hubble Observations Suggest Underground Ocean on Jupiter's Largest Moon
http://www.nasa.gov/[...]
2015-03-12
[9]
뉴스
Ganymede May Harbor 'Club Sandwich' of Oceans and Ice
http://www.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4-05-01
[10]
문서
International Workshop "Europa lander: science goals and experiments"
http://www.iki.rssi.[...]
2009-02-09
[11]
웹사이트
International Workshop “Europa lander: science goals and experiments”
http://www.st-gateru[...]
2009-02-09
[12]
저널
Gravity assist maneuvers of a spacecraft in Jupiter system
2014-05
[13]
보고서
To the Adaptive Multibody Gravity Assist Tours Design in Jovian System for the Ganymede Landing
https://issfd.org/IS[...]
[14]
저널
Advanced Russian Mission Laplace-P to Study the Planetary System of Jupiter: Scientific Goals, Objectives, Special Features and Mission Profile
https://ui.adsabs.ha[...]
Solar System Research, Volume 51, Issue 7, pp.555-562
[15]
웹인용
Russia funds a proposal to land on Jupiter's moon Ganymede
http://www.russiansp[...]
2015-08
[16]
웹인용
Russia may land probe on Jupiter's moon Ganymede with Europe's JUICE Mission
http://www.space.com[...]
SPACE.com
2013-06-19
[17]
저널
Europa Lander: Mission Concept and Science Goals
http://meetingorgani[...]
European Planetary Science Congress
[18]
웹인용
Report on the Europa Lander Workshop
http://www.lpi.usra.[...]
2009-02-09
[19]
뉴스
NASA’s Hubble Observations Suggest Underground Ocean on Jupiter's Largest Moon
http://www.nasa.gov/[...]
2015-03-12
[20]
뉴스
Jupiter moon Ganymede could have ocean with more water than Earth – NASA
http://rt.com/usa/24[...]
2015-03-13
[21]
뉴스
Ganymede May Harbor 'Club Sandwich' of Oceans and Ice
http://www.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4-05-01
[22]
문서
International Workshop "Europa lander: science goals and experiments"
http://www.iki.rssi.[...]
2009-02-09
[23]
웹사이트
International Workshop “Europa lander: science goals and experiments”
http://www.st-gateru[...]
2009-02-09
[24]
저널
Gravity assist maneuvers of a spacecraft in Jupiter system
http://link.springer[...]
2014-05
[25]
저널
TO THE ADAPTIVE MULTIBODY GRAVITY ASSIST TOURS DESIGN IN JOVIAN SYSTEM FOR THE GANYMEDE LANDING
https://dnnpro.ou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