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다우-라마누잔 상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란다우-라마누잔 상수는 두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 가능한 정수의 개수와 관련된 수학 상수이다. 란다우의 정리에 따르면, x 미만의 두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 가능한 양의 정수의 개수 N(x)를 x/sqrt(log(x))로 나눈 값의 극한은 란다우-라마누잔 상수 b에 수렴하며, b는 약 0.764223653589220662990698731250092328116790541이다. 이 상수는 무한 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에드문트 란다우에 의해 극한 형태로 언급되었고,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은 N(x)를 적분으로 근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 무한대를 본 남자
무한대를 본 남자는 20세기 초 인도의 수학자 라마누잔의 삶을 그린 전기 영화로, 인종 차별과 결핵 속에서도 수학적 재능을 인정받아 G.H. 하디의 도움을 받아 수학적 업적을 이룬 과정을 그린다. -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 라마누잔-솔드너 상수
- 해석적 수론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해석적 수론 - 리만 제타 함수
리만 제타 함수는 복소수 s의 함수로, 실수부가 1보다 큰 영역에서 무한급수로 정의되고 s ≠ 1인 모든 복소수에서 유리형 함수로 해석적 연속이 가능하며 함수 방정식과 오일러 곱 공식을 만족하고, 영점 분포는 소수 분포와 관련이 있으며, 비자명 영점이 임계선 상에 있다는 리만 가설은 중요한 미해결 문제이다. - 수학 상수 - 허수 단위
허수 단위 i는 i² = −1을 만족하는 수로, 실수 체계에서는 정의되지 않는 음수의 제곱근을 나타내며 복소수 체계의 기본 구성 요소로서 복소평면에서 90° 회전하는 효과를 가지며 1, i, -1, -i를 주기적으로 순환하는 특징을 가진다. - 수학 상수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란다우-라마누잔 상수 | |
---|---|
기본 정보 | |
이름 | 란다우-라마누잔 상수 |
로마자 표기 | Randau-Ramanujan sangsu |
영어 이름 | Landau–Ramanujan constant |
분야 | 수학, 정수론 |
기호 | c |
값 | 0.76422365358922066299069873156009141988878872767309... (OEIS의 수열 A082710) |
수학적 성질 | |
정의 | 주어진 수 x보다 작은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는 정수의 개수의 점근적 행동을 나타내는 상수 |
발견 | 에드문트 란다우,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
추가 정보 | |
관련 주제 | 점근적 분석 제곱수의 합 |
2. 두 제곱수의 합
어떤 정수가 두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는지 판별하는 방법은 두 제곱수의 합 정리에 나와 있다. 이 정리에 따르면, 어떤 정수를 소인수분해했을 때 4로 나눈 나머지가 3인 소수들의 지수가 모두 짝수여야 한다. 예를 들어, 45 = 9 + 36은 두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 가능하다. 45의 소인수분해는 32 x 5인데, 3은 짝수 지수를 가지며, 5는 4로 나눈 나머지가 1이므로 지수가 홀수여도 된다.
2. 1. 두 제곱수의 합 정리
두 제곱수의 합 정리에 따르면, 어떤 정수가 두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되려면, 그 정수를 소인수분해했을 때 4로 나눈 나머지가 3인 소수들의 지수가 모두 짝수여야 한다. 예를 들어, 45 = 9 + 36은 두 제곱수의 합이다. 45를 소인수분해하면 32 × 5인데, 여기서 소수 3은 지수가 짝수이고, 소수 5는 4로 나눈 나머지가 1이므로 지수가 홀수여도 상관없다.2. 2. 란다우의 정리
두 제곱수의 합 정리에 따르면, 정수를 두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하려면, 그 정수를 소인수 분해했을 때 4로 나눈 나머지가 3인 소수들의 지수가 모두 짝수여야 한다. 예를 들어, 45 = 9 + 36과 같이 두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되는 수는 소인수분해하면 32 × 5가 되는데, 여기서 소수 3은 지수가 짝수이고, 소수 5는 4로 나눈 나머지가 1이므로 지수가 홀수여도 된다.란다우의 정리에 따르면, x 이하의 양의 정수 중 두 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수의 개수를 N(x)라고 할 때, 다음 극한이 성립한다.
:
여기서 b는 란다우-라마누잔 상수이다.
2. 3. 란다우-라마누잔 상수의 표현
란다우-라마누잔 상수는 무한 곱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3. 역사
이 상수는 에드문트 란다우와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각각 연구했다.[3] 란다우는 극한 형태로, 라마누잔은 를 적분으로 근사하는 형태로 접근했는데, 비례 상수는 같았고 오차 항은 천천히 증가했다.
3. 1. 란다우의 접근
이 상수는 에드문트 란다우가 극한 형태로 언급했으며,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은 를 적분으로 근사했는데, 비례 상수는 같고 오차 항은 천천히 증가했다.[3]3. 2. 라마누잔의 접근
이 상수는 란다우에 의해 위와 같은 극한 형태로 언급되었으며, 라마누잔은 를 적분으로 근사했는데, 비례 상수는 동일하고 오차 항은 천천히 증가했다.[3]참조
[1]
논문
Über die Einteilung der positiven ganzen Zahlen in vier Klassen nach der Mindestzahl der zu ihrer additiven Zusammensetzung erforderlichen Quadrate
1908
[2]
서적
letter to G.H. Hardy
1913-01-16
[3]
웹사이트
Landau–Ramanujan Constant
https://mathworld.w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