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은 1898년 민스크에서 결성된 러시아 제국의 사회민주주의 정당이다. 1903년 당 대회에서 블라디미르 레닌을 중심으로 한 볼셰비키와 율리 마르토프가 이끄는 멘셰비키로 분열되었고, 이후 두 파벌은 당의 노선과 당원 자격을 두고 대립했다. 1905년 러시아 제1차 혁명 이후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1912년 레닌파가 프라하 협의회를 통해 독자적인 당 건설을 추진하면서 최종적으로 분열되었다. 이후 볼셰비키는 러시아 혁명을 주도하며 사회주의 국가 건설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8년 설립된 정당 - 미국 사회민주당
미국 사회민주당은 유진 V. 데브스를 중심으로 1897년에 결성되어 정치 조직을 통해 사회주의를 실현하려 했으나, 식민지 건설 시도에 대한 반발로 분열되었다. - 마르크스주의 정당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은 1920년대 외몽골 독립운동에서 시작되어 몽골 인민혁명을 주도, 몽골 인민공화국 건설에 기여했으며, 1990년 민주화 이후 다당제 체제에서 활동하며 사회민주주의 노선을 채택, 몽골 정치에서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대통령 선거와 총선에서 여러 차례 승리했으나, 급격한 좌경화와 부정선거 논란 등 격동의 역사를 겪었다. - 마르크스주의 정당 - 인도 공산당 (마르크스주의)
인도 공산당 (마르크스주의)는 1964년 인도 공산당 분열로 창당되어 소련 노선 대신 인도 상황에 맞춘 사회주의 발전을 추구하며 서벵골 주 등에서 장기간 집권한 인도의 공산주의 정당이다.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 8월 블록
8월 블록은 1912년 레프 트로츠키의 주도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 분파들을 통합하려던 시도였으나, 주요 분파들의 불참과 이념적 갈등으로 실패하고 트로츠키에 대한 정치적 비판의 근거로 활용되었다.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 이스크라
《이스크라》는 1900년부터 1905년까지 러시아에서 발행된 마르크스주의 신문으로, 블라디미르 레닌이 초기 편집을 주도하여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의 조직적 기반을 마련하고 정치적 자유와 사회주의 혁명을 옹호했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중앙위원회 | 가변적 |
창립일 | 1898년 3월 1일 |
해산일 | 1903년–1917년 |
합병 대상 | 노동계급 해방 투쟁 동맹 노동 해방 유대인 노동자 연맹 기타 소규모 마르크스주의 조직 |
후계 정당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볼셰비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멘셰비키) |
본부 | 페트로그라드 |
신문 | 이스크라 |
정치 성향 | 좌익 |
정치적 위치 | 중도좌파 ~ 극좌 |
이념 |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
내부 정파 | 볼셰비키 멘셰비키 |
국제 조직 | 제2인터내셔널 |
상징색 | 빨강 |
국가 | 러시아 |
가장 많은 의석수 (1907년 1월) | 65석 |
명칭 | |
러시아어 | Российская социал-демократическая рабочая партия (РСДРП) |
로마자 표기 | Rossiyskaya sotsial-demokraticheskaya rabochaya partiya (RSDRP) |
약칭 | эсдеки эсдек С Д |
별칭 | социал-демократы (sotsial-demokraty) |
역사 | |
주요 사건 | 1898년: 창당 1903년: 제2차 대의회에서 볼셰비키와 멘셰비키로 분열 1912년: 볼셰비키와 멘셰비키, 사실상 분리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 정권 장악 1918년: 러시아 공산당 (볼셰비키)로 개칭 |
2. 당의 창립 (1898년)
1890년대 러시아 제국의 산업화와 노동운동의 성장은 사회민주주의 (마르크스주의) 그룹들의 형성을 촉진했다. 이에 따라 전국적인 당의 창립이 점차 중요해졌다.
1898년 민스크에서 주요 사회민주주의 그룹들을 중심으로 당 창립 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는 당명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으로 결정하고, 이미 발행 중이던 키예프의 『라보차야 가제타(노동자 신문)』를 당 중앙 기관지로 지정했으며, 중앙위원회를 선출했다.[3]
1900년 레닌, 마르토프, 플레하노프 등이 중심이 되어 신문 『이스크라』를 창간했다. 1903년 브뤼셀에서 열린 제2차 당 대회에는 26개 조직을 대표하여 51표의 의결권을 가진 43명의 대의원이 참가했으며, 과반수는 『이스크라』 편집국을 중심으로 하는 그룹(이스크라파)이었다.
그러나 대회가 끝난 직후, 오흐라나(제정 러시아 비밀경찰)에 의한 대량 체포로 인해 중앙위원회는 해체되었고, 당은 실질적인 활동을 시작할 수 없었다.[3]
3. 볼셰비키와 멘셰비키의 분열 (1903년)
대회에서는 당의 강령과 규약을 정하고 중앙 기관을 선출했다. 중앙 기관은 러시아 국내에서 당을 실천적으로 지도하는 중앙 위원회, 국외에서 사상적으로 지도하는 중앙 기관지, 그리고 중앙 위원회와 당 평의회가 대립할 경우 조정을 하는 당 평의회, 이렇게 세 개의 기관으로 구성되었다. 『이스크라』는 중앙 기관지가 되었고, 이스크라파가 당을 지배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회 심의 과정에서 이스크라파는 분열되었다. 당원 자격을 규정하는 당 규약 제1조에 대한 심의에서, 레닌은 당의 조직적 활동에 참가하는 것을 당원의 조건으로 제시한 반면, 마르토프는 당에 대한 지지만을 조건으로 제시했다. 이 안건에 대해서는 마르토프의 안이 채택되었다.
하지만 중앙 기관지 『이스크라』 편집국 선거에서 레닌은 기존 편집국 구성원 6명 중 3명을 배제하고 플레하노프, 마르토프, 레닌 3인으로 편집국을 구성하는 안을 제시하여 채택되었다. 배제된 3명뿐만 아니라 마르토프도 이에 격렬하게 반발했고, 대회 후 다수파는 이 결정을 승인하고 소수파는 비판하며 상호 비판을 하게 되었다. 이것이 볼셰비키(다수파)와 멘셰비키(소수파) 분열의 시작이다.
대회 직후 레닌과 플레하노프가 『이스크라』 편집국을 장악했지만, 플레하노프가 멘셰비키 측으로 이동하면서 레닌은 편집국에서 탈퇴해야 했다. 『이스크라』는 멘셰비키의 기관지가 되어 볼셰비키를 비판했다. 레닌은 『한 걸음 더, 두 걸음 후퇴』 등의 저서로 대응했고, 1904년 말에는 분파의 중앙부로서 "다수파 제위원회 뷰로"를 창설, 1905년 1월에는 신문 『브페료드』를 창간했다.
3. 1. 분열의 배경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의 분열은 মূলত 이념 및 조직 노선을 둘러싼 핵심적인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1903년 제2차 당 대회에서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와 율리우스 마르토프가 이끄는 멘셰비키 두 파벌로 분열되었다.[6]
레닌은 중앙집권적이고 규율 있는 전위당을 강조하며, 당원은 당 조직에 직접 참여해야 한다는 엄격한 기준을 제시했다.[9] 그는 ''무엇을 할 것인가?''에서 "프롤레타리아트의 선봉대"를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정치적 자유를 위한 지하 투쟁과 프롤레타리아트의 계급 투쟁을 융합할 헌신적인 활동가들로 구성된, 훈련되고 중앙집중화된 당을 옹호했다.[4] 반면, 마르토프는 당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당 조직의 지시 아래 정기적인 개인적 지원을 제공하는 사람이면 당원이 될 수 있다는, 보다 폭넓은 대중 정당을 지향했다.[9]
이러한 당원 자격 정의를 둘러싼 논쟁은 초기에 마르토프의 안이 채택되는 듯했으나, 분트주의자와 경제주의자 회원들이 탈퇴하면서 레닌의 안이 다수파를 점하게 되었다.[9] 이 과정에서 '다수파'(볼셰비키)와 '소수파'(멘셰비키)라는 명칭이 유래했다.[6]
이후 재통합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조직적 차이뿐만 아니라 이념적 차이도 명확해졌다. 볼셰비키는 노동자와 농민의 지원을 통해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을 완수할 수 있다고 믿은 반면, 멘셰비키는 자유주의 부르주아지와의 협력을 통해 혁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4차 당 대회에서 형식적인 재통합이 이루어졌지만, 두 파벌 간의 견해차는 여전했다.[6]
3. 2. 분열의 전개 과정
1903년 제2차 당 대회에서 당은 볼셰비키와 멘셰비키 두 파벌로 갈라졌다. 이 분열은 당원 자격 정의 문제를 둘러싼 논쟁에서 비롯되었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당 조직에 직접 참여하는 사람만을 당원으로 인정하는 엄격한 정의를 주장한 반면, 율리우스 마르토프는 당을 지원하는 모든 사람에게 당원 자격을 부여하는 보다 포괄적인 정의를 제안했다. 마르토프의 안이 처음에는 채택되었으나, 분트주의자와 경제주의자 회원들이 탈퇴하면서 레닌의 안이 다수파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다수파'를 의미하는 볼셰비키와 '소수파'를 의미하는 멘셰비키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6]
대회 직후, 당 기관지 이스크라의 편집권을 둘러싼 권력 투쟁이 벌어졌다. 게오르기 플레하노프가 멘셰비키 측으로 이동하면서 레닌은 이스크라 편집국에서 탈퇴해야 했다. 이후 이스크라는 멘셰비키의 기관지가 되어 볼셰비키를 비판했다. 레닌은 한 걸음 더, 두 걸음 후퇴 등의 저서를 통해 멘셰비키를 비판하고 자신의 노선을 옹호했으며, 1904년 말에는 '다수파 제위원회 뷰로'를 창설하고 1905년 1월에는 신문 브페료드를 창간하여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해 나갔다.
4. 러시아 제1차 혁명과 양 파의 통합 시도 (1905-1907년)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으로 러시아 제1차 혁명이 시작되자, 멘셰비키는 혁명의 성격을 부르주아 혁명으로 규정하고 자유주의 세력과의 협력을 모색했다. 반면 볼셰비키는 노동자와 농민의 혁명적 동맹을 통한 사회주의 혁명을 목표로 했다.[3]
혁명 과정에서 노동자 대중의 통합 요구에 따라 1906년 4월 스톡홀름에서 통합 당 대회 (볼셰비키 관점에서는 제4차 당 대회)가 열렸으나, 멘셰비키가 다수파를 차지했다. 1907년 4월 런던에서 다시 통합 당 대회 (볼셰비키 관점에서는 제5차 당 대회)가 열렸고, 볼셰비키가 다수파가 되었으나, 두 차례의 통합 시도에도 불구하고 분열은 극복되지 못했다.[12]
1906년 제1차 국가 두마(의회) 선거에서 볼셰비키는 선거 보이콧 전술을 취했으나, 이후 입장을 바꿔 제2차 두마 선거에 참여했다.
5. 반동기 (1907-1912년)
1907년 스톨리핀의 반동 정치로 인해 제1차 혁명은 실패로 끝났고,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은 탄압을 받았다. 선거법 개정으로 노동자들의 의석 확보는 더욱 어려워져, 제3국회에서 사회민주노동당은 442석 중 19석을 얻는 데 그쳤다.
이 시기 당내에서는 분파 갈등이 심화되었다. 볼셰비키 내에서는 두마 의원 소환을 주장하는 소환주의와 당에 대한 종속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주의가 나타났고, 멘셰비키 내에서는 비합법적 지하 활동을 청산하자는 해산주의 논쟁이 벌어졌다. 레프 트로츠키는 당 통합을 위해 노력했으나, 레닌 파는 독자적인 당 건설을 추구하며 통합은 실패로 돌아갔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분파 투쟁 심화' 및 '트로츠키의 통합 노력' 참조)
5. 1. 분파 투쟁 심화
1905년 러시아 혁명 실패 후 차르의 탄압이 이어지면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 볼셰비키와 멘셰비키는 모두 분열을 겪었다. 이는 1908년 말과 그 직후 몇 년 동안 두드러졌다.[3]볼셰비키 내에서는 의회 활동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가진 두 그룹이 나타났다.
- 소환주의: 모든 두마 대표들을 즉시 소환하고, 당의 모든 합법적 활동을 보이콧하여 지하 및 불법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가 이끌었고, 막심 고리키가 지지했다.[3] 이들은 1909년 자체 기관지 《브페료드》를 창간하며 레닌파와 대립했다.
- 최후통첩주의: 두마 대표들에게 당 노선을 따르거나 즉시 사퇴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리 알렉신스키가 이끌었다.[3]
멘셰비키는 다음과 같이 분열되었다.
- 해산주의: 비합법적 지하 활동을 청산하고 합법적 활동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파벨 악셀로드, 표도르 단,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로즈코프, 니콜라이 치헤이제 등이 주요 인물이었다.[3]
- 당 유지파: 게오르기 플레하노프가 이끌었으며, 해산주의에 반대하며 불법 지하 활동과 합법적 활동을 모두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
이러한 분열 상황에서 레프 트로츠키를 중심으로 한 그룹은 당의 통일을 목표로 1908년 빈에서 《프라우다》를 창간했다.[3] 1910년 1월 파리에서 당 중앙위원회 총회가 열려 각 파 대표들이 분파 청산에 합의했으나, 이 합의는 지켜지지 않았다.[3]
5. 2. 트로츠키의 통합 노력
트로츠키를 중심으로 하는 그룹은 당의 통일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1908년에 빈에서 《프라우다》를 창간했다.[3] 1910년 1월 파리에서 당 중앙위원회 총회가 열렸고, 각 파의 대표들은 분파 청산에 합의했다.[3] 그러나 이 합의는 지켜지지 않았고, 레닌파는 독자적인 당 건설을 목표로 하는 움직임을 강화해 갔다.[3]6. 레닌 파의 독립 (1912년)
1912년 1월, 레닌의 볼셰비키 그룹은 프라하에서 회의를 열어 청산주의자, 최후통첩주의자, 소환주의자를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RSDLP)에서 추방했다. 이는 공식적으로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볼셰비키)이라는 별도의 당을 창설하는 결과를 낳았고, 멘셰비키는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멘셰비키)을 설립하여 활동을 계속했다.[8]
레온 트로츠키는 1912년 8월 빈 회의에서 모든 RSDLP 분파를 같은 당으로 재결합시키려 했지만, 볼셰비키에게 대체로 거부당했다.[8] 트로츠키를 중심으로 하는 그룹은 프라하 회의에 대항하여 당의 통일을 회복하려 했고, 1912년 8월에 파리에서 회의를 열었다. 여기에는 레닌파 이외의 모든 그룹이 참가하여 '8월 블록'을 형성했다. 그러나 '반 레닌' 이외의 공통점이 없는 임시 단체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끝났다.
7. 주요 분파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RSDLP)은 1898년 3월 민스크에서 유대 노동자 동맹, 키예프의 노동자 신문(라보차야 가제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노동계급 해방 투쟁 동맹 등 9명의 대표가 모여 창설되었다.[3] 이들은 나로드니키의 혁명적 포퓰리즘에 반대하고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기반한 강령을 채택했다. 하지만 창당 직후 대표 중 5명이 체포되면서 초기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3]
1903년 제2차 당 대회에서 당은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다수파)와 율리우스 마르토프가 이끄는 멘셰비키(소수파)로 분열되었다.[6] 이 분열은 당원 자격에 대한 정의와 혁명 전략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재통합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고, 1912년 볼셰비키는 별도의 당을 창설하기에 이른다.
1905년 러시아 혁명 실패 이후, 볼셰비키와 멘셰비키 모두 내부 분열을 겪었다. 멘셰비키는 합법 활동을 추구하는 '청산주의자'와 불법 활동을 유지하려는 '친당파'로 나뉘었고, 볼셰비키는 '최후통첩주의자', '소환주의자' 등으로 분열되었다.[3] 레온 트로츠키는 당의 통일을 추구하는 비분파 그룹을 이끌기도 했다.
1913년에는 국제주의자 그룹(Interdistrictites)이 등장했다. 또한, 지역 조직으로 라트비아 사회민주노동자당(Communist Party of Latvia)이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합류하였다.[12]
대회 | 개최지 | 대표 | 중앙위원회 선출 | 다수 파벌 | |
---|---|---|---|---|---|
제1차 | 민스크, 러시아 제국 | 9 | |||
제2차 | 브뤼셀, 벨기에 런던, 영국 | 51 | 멘셰비키 | ||
제3차 | 런던, 영국 | 51 | 볼셰비키 | ||
제4차 | 스톡홀름, 스웨덴 | 112 | 멘셰비키 | ||
제5차 | 런던, 영국 | 338 | 볼셰비키 |
7. 1. 볼셰비키 (다수파)
블라디미르 레닌을 중심으로 중앙집권적이고 규율 있는 전위당을 강조했다. 이들은 노동자와 농민의 혁명적 동맹을 통한 사회주의 혁명을 목표로 했다.[4]1903년 제2차 당 대회에서 당은 볼셰비키(''볼신스트보''—"다수"를 뜻하는 러시아어에서 유래)와 멘셰비키(''멘신스트보''—"소수"를 뜻하는 러시아어에서 유래) 두 파벌로 나뉘었다. 율리우스 마르토프가 이끈 멘셰비키가 실제로 더 큰 파벌이었지만, 당 기관지인 ''이스크라''(''불꽃'') 편집 위원 선출 투표에서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가 다수를 차지하면서 이 명칭이 붙여졌다.[6]
당원 자격에 대한 정의가 핵심 쟁점이었다. 마르토프는 당 강령을 수용하고 재정 지원과 함께 당 조직 중 하나의 지시 아래 정기적, 개인적 지원을 제공하는 사람을 당원으로 보았다. 반면 레닌은 당 강령을 수용하고 재정 지원과 함께 당 조직 중 하나에 개인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으로 더 엄격하게 정의했다.[9]
마르토프의 정의가 처음에는 승리했지만, 분트주의자와 경제주의자 회원들이 탈퇴하면서 레닌의 정의가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로써 중앙 지휘를 받고 엄격하게 훈련된 전문 혁명가 중심의 "다수파"(볼셰비키)와 "소수파"(멘셰비키)라는 파벌 명칭이 생겨났다.[9]
볼셰비키는 노동자, 농민의 지원을 받아 러시아에서 부르주아-민주주의 혁명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믿었다. 반면 멘셰비키는 자유주의 부르주아지의 협력을 통해 혁명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보았다. 두 파벌 모두 혁명이 "부르주아-민주주의"적이라는 데 동의했지만, 볼셰비키는 부르주아지의 참여 없이 혁명을 완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
1905년 러시아 혁명 실패 후 차르의 탄압 시기에 볼셰비키는 내부 분열을 겪었다. 청산주의자, 최후통첩주의자, 소환주의자 등의 분파가 등장했다. 레닌은 이들에 맞서 투쟁하며 당의 통일성을 유지하려 노력했다.[4]
1912년, 레닌의 볼셰비키 그룹은 프라하 회의에서 청산주의자, 최후통첩주의자, 소환주의자를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RSDLP)에서 추방하고,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볼셰비키)이라는 별도의 당을 창설했다. 멘셰비키는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멘셰비키)를 설립하여 활동을 이어갔다. 볼셰비키는 1917년 10월 혁명으로 권력을 잡고 1918년 당명을 전 러시아 공산당으로 변경했으며, 1921년 크론시타트 반란 이후 멘셰비키를 금지했다.[4]
7. 2. 멘셰비키 (소수파)
율리우스 마르토프를 중심으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에서 폭넓은 대중 정당을 지향했던 파벌이다. 이들은 부르주아 혁명 단계에서 자유주의 세력과의 협력을 모색했다.[6]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당원 자격에 대한 정의를 둘러싸고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와 의견이 갈렸다. 마르토프는 당의 강령을 받아들이고 재정적으로 지원하며, 당 조직의 지시 아래 정기적인 개인적 지원을 제공하는 사람을 당원으로 정의하고자 했다.[9] 이는 레닌의 더 엄격한 정의보다 폭넓은 참여를 허용하는 것이었다.초기 투표에서는 마르토프의 정의가 승리했지만, 분트주의자와 경제주의자 회원들이 탈퇴하면서 레닌의 주장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9] 이후 멘셰비키는 당내 소수파로 남았지만, 러시아 혁명 이전까지는 볼셰비키보다 더 큰 규모를 유지했다.[6]
시간이 지나면서 멘셰비키와 볼셰비키 사이에는 조직적 차이 외에 이념적 차이도 나타났다. 멘셰비키는 러시아의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에서 자유주의자들을 주요 동맹으로 보았던 반면, 볼셰비키는 농민과의 동맹을 통해 부르주아지의 참여 없이 혁명을 완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05년 러시아 혁명 이후, 멘셰비키는 게오르기 플레하노프가 이끄는 '친당 멘셰비키'와 파벨 악셀로드, 표도르 단 등이 이끄는 '청산주의자'로 분열되었다. 청산주의자들은 불법적인 지하 활동을 거부하고 합법적인 활동만을 추구했다.
1912년, 볼셰비키는 별도의 당을 창설하면서 멘셰비키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멘셰비키)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멘셰비키는 1921년 크론시타트 반란 이후 금지되었다.
7. 3. 기타 분파
1905년 러시아 혁명의 실패와 뒤이은 차르의 탄압으로 인해, 볼셰비키와 멘셰비키는 모두 분열을 겪었고, 이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RSDLP) 내에서 더 많은 분열을 야기했다. 1908년 말과 그 직후 몇 년 동안 이러한 분열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3]멘셰비키 내에서는 불법 지하 활동과 합법적 활동을 모두 유지하려 했던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중심의 '친당파'와, 합법적 활동만을 추구하며 불법 활동을 거부한 파벨 악셀로드, 표도르 단 등의 '청산주의자' 분파로 나뉘었다. 율리우스 마르토프는 정치적 동지 대부분이 청산주의 분파에 속했기에 형식적으로 청산주의자로 분류되기도 했다.[3]
볼셰비키는 세 갈래로 분열되었다. 블라디미르 레닌,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레프 카메네프가 이끄는 '프롤레타리' 그룹은 청산주의자, 최후통첩주의자, 소환주의자들에 맞서 격렬한 투쟁을 벌였다. 그리고리 알렉신스키가 이끈 '최후통첩주의자' 그룹은 RSDLP 두마(의회) 대표들에게 당 노선을 따르거나 즉각 사퇴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내려 했다.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와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가 이끌고 막심 고리키가 지지한 '소환주의자' 그룹은 모든 RSDLP 두마 대표들을 즉시 소환하고 RSDLP의 합법적 활동을 보이콧하며, 지하 및 불법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
레온 트로츠키는 RSDLP 내 모든 '분파주의'를 비판하고 당의 '통일'을 추구하며, 노동자와 농민의 현실 문제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비분파 그룹을 이끌었다.[3]
1913년에는 RSDLP에서 유래한 또 다른 분파인 국제주의자 그룹(Interdistrictites)이 등장했다.[3]
참조
[1]
뉴스
The Bolshevik-Menshevik Split
http://www.historyto[...]
History Today
2003-11-11
[2]
서적
Images of Otherness in Russia, 1547–1917
https://books.google[...]
Academic Studies Press
2023-04-25
[3]
서적
The Revolution of 1905
[4]
서적
Lenin Rediscovered: What is to be Done? in Context
Brill Academic Publishers
[5]
웹사이트
The Communist Club
http://www.alphabett[...]
[6]
웹사이트
Vladimir Lenin {{!}} Biography, Facts, & Ideolog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1-20
[7]
서적
The Making of Modern Georgia, 1918–2012: the First Georgian Republic and its Successors.
Taylor and Francis
2014
[8]
서적
Martov: a political biography of a Russian social democr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9]
웹사이트
1903: Organisational Rules of the Russian Social-Democratic Labour Party
http://www.marxists.[...]
2017-10-27
[10]
웹사이트
Badayev: The Bolsheviks in the Tsarist Duma
https://www.marxists[...]
2021-06-24
[11]
서적
Bolshevism: The Road to Revolution
Wellred Books
[12]
웹사이트
Lenin: The Second Conference of the R.S.D.L.P. (First All-Russia Conference)
http://www.marxists.[...]
2017-10-27
[13]
웹사이트
ロシア社会民主労働党 ろしあしゃかいみんしゅろうどうとう Российская социал‐демократическая рабочая партия Rossiyskaya sotsial-demokraticheskaya rabochaya partiya ロシア語 Russian Social Democratic Labor Party 英語
https://kotobank.jp/[...]
2018-07-22
[14]
웹사이트
労働解放団
https://kotobank.jp/[...]
2019-06-19
[15]
웹사이트
大辞林 第三版
https://kotobank.jp/[...]
2018-09-16
[16]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 ソビエト共産党#党名の変遷
https://kotobank.jp/[...]
2018-09-15
[17]
웹사이트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https://kotobank.jp/[...]
2018-09-15
[18]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
https://kotobank.jp/[...]
2018-09-15
[19]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https://kotobank.jp/[...]
2018-09-16
[20]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 イスクラ
https://kotobank.jp/[...]
2018-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