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3-1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3-14 시즌은 FC 우랄과 FC 톰 톰스크의 승격으로 시작되었으며, PFC CSKA 모스크바가 우승을 차지했다. CSKA 모스크바의 세이두 둠비아가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FC 로스토프는 러시아 컵에서 우승했다. 시즌 중 감독 교체와 경기 중단 등의 사건이 있었고, 안지 마하치칼라는 최하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14 축구 리그 - 세리에 A 2013-14
세리에 A 2013-14는 유벤투스의 우승, 로마와 나폴리의 뒤를 이은 시즌으로, 사수올로의 첫 참가, 임모빌레의 득점왕 등극, 그리고 파르마의 재정 문제로 인한 UEFA 대회 출전권 박탈 등의 특징을 보였다. - 2013-14 축구 리그 - 분데스리가 2013-14
분데스리가 2013-14는 FC 바이에른 뮌헨의 압도적인 우승과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의 득점왕 등극, 그리고 1. FC 뉘른베르크와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의 강등과 함부르크 SV의 잔류로 마무리된 독일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의 49번째 시즌이다.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컵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컵은 러시아 축구 클럽들이 참가했던 컵 대회로, 2003년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가 우승했다.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2-13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2-13은 16개 팀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된 러시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의 21번째 시즌으로, CSKA 모스크바가 우승했고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 규정 변경 및 경기 중단 사건 등이 있었다.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시즌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2-13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2-13은 16개 팀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된 러시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의 21번째 시즌으로, CSKA 모스크바가 우승했고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 규정 변경 및 경기 중단 사건 등이 있었다.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시즌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9-20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9-20 시즌은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어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와 FC 오렌부르크가 강등되었다.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3-14 | |
---|---|
기본 정보 | |
대회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시즌 | 2013-14 |
결과 | |
우승 | CSKA 모스크바 (5회) |
강등 | 안지 마하치칼라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톰 톰스크 볼가 니즈니노브고로드 |
유럽 대회 진출 | |
UEFA 챔피언스리그 | CSKA 모스크바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UEFA 유로파리그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디나모 모스크바 크라스노다르 로스토프 |
통계 | |
경기 수 | 240 |
총 득점 | 613 |
평균 득점 | 2.55 |
득점왕 | 세이두 둠비아(18골) |
최다 점수차 홈 승리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5–0 로스토프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6–1 볼가 |
최다 점수차 원정 승리 | 볼가 0–5 디나모 모스크바 |
최다 득점 경기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6–2 루빈 카잔 |
평균 관중 | 11,499 |
시즌 정보 | |
이전 시즌 | 2012-13 |
다음 시즌 | 2014-15 |
2. 역사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2012-13 시즌에서 우랄 스베르들롭스크 오블라스트와 톰 톰스크가 각각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하며 러시아 프리미어리그로 승격하였다. 우랄 스베르들롭스크 오블라스트는 1996 시즌 이후 17시즌 만에, 톰 톰스크는 2시즌 만에 프리미어리그로 복귀하였다.
2013-14 시즌 동안 여러 팀에서 감독 교체가 있었다. 특히,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는 루치아노 스팔레티 감독을 해임하고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감독을 선임했으나, CSKA 모스크바에게 역전 우승을 허용했다. 루빈 카잔은 12년간 팀을 이끌었던 구르반 베르디예프 감독을 해임했다.[59]
팀 | 떠나는 감독 | 사유 | 날짜 | 당시 순위 | 새로 부임하는 감독 | 날짜 | 당시 순위 |
---|---|---|---|---|---|---|---|
테레크 그로즈니 | Станисла́в Черче́сов|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ru | 계약 만료 | 2013년 5월 26일 | 프리시즌 | Юрий Красножан|유리 크라스노잔ru | 2013년 5월 26일[1] | 프리시즌 |
톰 톰스크 | Серге́й Передняя|세르게이 페레드냐ru | 계약 만료 | 2013년 6월 1일 | 프리시즌 | Анатолий Давыдов|아나톨리 다비도프ru | 2013년 6월 25일[2] | 프리시즌 |
쿠반 크라스노다르 | Леанід Кучук|레오니드 쿠추크be | 계약 만료 | 2013년 6월 10일[3] | 프리시즌 | Игорь Осинькин|이고르 오신킨ru (임시 감독) | 2013년 6월 10일 | 프리시즌 |
암카르 페름 | Рустем Хузин|루스템 후진ru | 계약 만료 | 2013년 6월 17일[4] | 프리시즌 | Станисла́в Черче́сов|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ru | 2013년 6월 20일[5] | 프리시즌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Slaven Bilić|슬라벤 빌리치hr | 상호 합의 | 2013년 6월 17일 | 프리시즌 | Леанід Кучук|레오니드 쿠추크be | 2013년 6월 18일[6] | 프리시즌 |
안지 마하치칼라 | Guus Hiddink|거스 히딩크nl | 사임 | 2013년 7월 22일 | 12위 | René Meulensteen|르네 뮬렌스틴nl | 2013년 7월 22일[7] | 12위 |
쿠반 크라스노다르 | Игорь Осинькин|이고르 오신킨ru (임시 감독) | 임시 감독 종료 | 2013년 7월 31일 | 5위 | Dorinel Munteanu|도리넬 문테아누ro | 2013년 7월 31일[8] | 5위 |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 Павел Гусев|파벨 구세프ru | 사임 | 2013년 8월 1일 | 15위 | Олег Василенко|올레크 바실렌코ru | 2013년 8월 1일[9] | 15위 |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 Гаджи Гаджиев|가즈히 가즈히예프ru | 사임 | 2013년 8월 8일[10] | 14위 | Александр Цыганков|알렉산드르 치간코프ru (임시 감독, 2013년 8월 29일부터 정식 감독) | 2013년 8월 8일[11][12] | 14위 |
안지 마하치칼라 | René Meulensteen|르네 뮬렌스틴nl | 해고 | 2013년 8월 8일 | 13위 | Гаджи Гаджиев|가즈히 가즈히예프ru | 2013년 8월 8일[10] | 13위 |
크라스노다르 | Славољуб Муслин|슬라볼류브 무슬린sr | 상호 합의 | 2013년 8월 9일[13] | 11위 | Алег Конанаў|알레흐 코나나우be | 2013년 8월 11일[14] | 11위 |
톰 톰스크 | Анатолий Давыдов|아나톨리 다비도프ru | 해고 | 2013년 9월 15일[15] | 16위 | Василий Баскаков|바실리 바스카코프ru | 2013년 9월 15일 | 16위 |
쿠반 크라스노다르 | Dorinel Munteanu|도리넬 문테아누ro | 해고 | 2013년 10월 12일 | 10위 | Віктар Ганчарэнка|빅토르 곤차렌코be | 2013년 10월 12일[16] | 10위 |
테레크 그로즈니 | Юрий Красножан|유리 크라스노잔ru | 사임 | 2013년 10월 28일[17] | 14위 | Вайт Талгаев|바이트 탈가예프kk (임시 감독) | 2013년 10월 29일[18] | 14위 |
테레크 그로즈니 | Вайт Талгаев|바이트 탈가예프kk (임시 감독) | 임시 감독 종료 | 2013년 11월 7일 | 15위 | Рашид Рахимов|라시드 라히모프ru | 2013년 11월 7일[19] | 15위 |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 Олег Василенко|올레크 바실렌코ru | 상호 합의 | 2013년 11월 27일 | 14위 | Александр Тарханов|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ru | 2013년 11월 27일[20] | 14위 |
루빈 카잔 | Gurban Berdiýew|쿠르반 베르디예프tk | 해고 | 2013년 12월 20일[21] | 11위 | Владимир Маминов|블라디미르 마미노프ru | 2014년 1월 10일 | 11위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Luciano Spalletti|루치아노 스팔레티it | 해고 | 2014년 3월 11일[22] | 2위 | Серге́й Семак|세르게이 세마크ru (임시 감독) | 2014년 3월 11일[22] | 2위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Валерий Карпин|발레리 카르핀ru | 상호 합의 | 2014년 3월 18일[23] | 3위 | Дмитрий Гунько|드미트리 군코ru (임시 감독, 2014년 4월 2일부터 정식 감독) | 2014년 3월 18일[23] | 3위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Серге́й Семак|세르게이 세마크ru (임시 감독) | 임시 감독 종료 | 2014년 3월 20일[24] | 2위 | André Villas-Boas|안드레 빌라스-보아스pt | 2014년 3월 20일[24] | 2위 |
볼가 니즈니노브고로드 | Юрій Калитвинцев|유리 칼리트빈체프uk | 사임 | 2014년 3월 28일[25] | 14위 | Андрей Талалаев|안드레이 탈랄라예프ru | 2014년 3월 29일[26] | 14위 |
디나모 모스크바 | Dan Petrescu|단 페트레스쿠ro | 상호 합의 | 2014년 4월 8일[27] | 4위 | Никола́й Ко́вардаев|니콜라이 코바르다예프ru (임시 감독) | 2014년 4월 8일[27] | 4위 |
암카르 페름 | Станисла́в Черче́сов|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ru | 상호 합의 | 2014년 4월 8일[28] | 7위 | Константин Парамонов|콘스탄틴 파라모노프ru (임시 감독) | 2014년 4월 8일[28] | 7위 |
디나모 모스크바 | Никола́й Ко́вардаев|니콜라이 코바르다예프ru (임시 감독) | 임시 감독 종료 | 2014년 4월 10일[29] | 4위 | Станисла́в Черче́сов|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ru | 2014년 4월 10일[29] | 4위 |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 Александр Цыганков|알렉산드르 치간코프ru | 사임 | 2014년 5월 5일[30] | 14위 | Владимир Кухлевский|블라디미르 쿠흐레프스키ru (임시 감독) | 2014년 5월 5일[31] | 14위 |
2013-14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에는 16개 팀이 참가했다. 각 팀은 다른 모든 팀과 홈, 원정으로 두 번씩 경기를 치러 총 30경기를 소화했다.
최종 업데이트: 2014년 5월 5일
3. 참가 팀 및 경기장
지난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에서 전국 축구 리그(FNL)로 강등된 팀은 모르도비야 사란스크와 알라니야 블라디캅카스이다. 이 두 팀은 FNL 챔피언인 우랄과 FNL 준우승팀인 톰 톰스크로 대체되었다. 톰 톰스크는 강등 후 바로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고, 우랄은 16시즌 만에 최상위 리그에 복귀했다.팀 소재지 전년도 성적 CSKA 모스크바 모스크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우승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상트페테르부르크 2위 안지 마하치칼라 마하치칼라 3위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모스크바 4위 쿠반 크라스노다르 크라스노다르 5위 루빈 카잔 카잔 6위 디나모 모스크바 모스크바 7위 테레크 그로즈니 그로즈니 8위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모스크바 9위 크라스노다르 크라스노다르 10위 암카르 페름 페름 11위 볼가 니즈니 노브고로드 니즈니 노브고로드 12위 로스토프 로스토프나도누 13위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사마라 14위 우랄 스베르들로프스크 오블라스트 예카테린부르크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우승 톰 톰스크 톰스크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2위
3. 1. 참가 팀
2013-14 시즌에는 총 16개 팀이 참가했다.
지난 시즌 이후 모르도비야 사란스크와 알라니야 블라디캅카스가 전국 축구 리그로 강등되었다. 이 두 팀은 FNL 챔피언인 우랄과 FNL 준우승팀인 톰 톰스크로 대체되었다. 톰 톰스크는 곧바로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고, 우랄은 16시즌 만에 최상위 리그에 복귀했다.
팀 | 소재지 | 감독 | 주장 | 키트 제조사 | 유니폼 스폰서 |
---|---|---|---|---|---|
암카르 | 페름 | 콘스탄틴 파라모노프 (임시 감독) | 드미트리 벨로루코프 | 푸마 | 모스크바 은행 |
안지 | 마하치칼라 | 가지 가지예프 | 알렉산드루 에푸레아누 | 나이키 | Energy Standard Group |
CSKA | 모스크바 | 레오니트 슬루츠키 | 이고르 아킨페예프 | 아디다스 | 러시아 그리드 |
디나모 | 모스크바 |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 | 블라디미르 그라나트 | 아디다스 | VTB |
크라스노다르 | 크라스노다르 | 알레흐 코나나우 | 알략산드르 마르티노비치 | 카파 | Westa |
크릴리야 소베토프 | 사마라 | 블라디미르 쿠클레프스키 (임시 감독) | 이반 타라노프 | 나이키 | 사마라주 |
쿠반 | 크라스노다르 | 빅토르 곤차렌코 | 알렉산드르 벨레노프 | 아디다스 | RGMK |
로코모티프 | 모스크바 | 레오니트 쿠추크 | 길레르미 | 푸마 | RZD |
로스토프 | 로스토프나도누 | 미오드라그 보조비치 | 스티페 플레티코사 | 조마 | TNS Energo |
루빈 | 카잔 | 블라디미르 마미노프 | 올레그 쿠즈민 | 푸마 | TAIF |
스파르타크 | 모스크바 | 드미트리 군코 | 드미트리 콤바로프 | 나이키 | 루코일 |
테레크 | 그로즈니 | 라시드 라키모프 | 리즈반 우치예프 | 아디다스 | AK |
톰 | 톰스크 | 바실리 바스카코프 | 세르게이 오멜리안추크 | 나이키 | 로스네프트 |
우랄 | 예카테린부르크 | 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 | 데니스 투마시안 | 아디다스 | TMK |
볼가 | 니즈니노브고로드 |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 안드레이 카랴카 | 아디다스 | 스베르방크 |
제니트 | 상트페테르부르크 |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 콘스탄틴 지랴노프 | 나이키 | 가스프롬 |
팀 | 소재지 | 전년도 성적 |
---|---|---|
CSKA 모스크바 | 모스크바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우승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상트페테르부르크 | 2위 |
안지 마하치칼라 | 마하치칼라 | 3위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모스크바 | 4위 |
쿠반 크라스노다르 | 크라스노다르 | 5위 |
루빈 카잔 | 카잔 | 6위 |
디나모 모스크바 | 모스크바 | 7위 |
테레크 그로즈니 | 그로즈니 | 8위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모스크바 | 9위 |
크라스노다르 | 크라스노다르 | 10위 |
암카르 페름 | 페름 | 11위 |
볼가 니즈니 노브고로드 | 니즈니 노브고로드 | 12위 |
로스토프 | 로스토프나도누 | 13위 |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 사마라 | 14위 |
우랄 스베르들로프스크 오블라스트 | 예카테린부르크 |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우승 |
톰 톰스크 | 톰스크 | 2위 |
팀 | 떠나는 감독 | 사유 | 날짜 | 순위 | 새로 부임하는 감독 | 날짜 | 순위 |
---|---|---|---|---|---|---|---|
테레크 그로즈니 |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 | 계약 만료 | 2013년 5월 26일 | 프리시즌 | 유리 크라스노잔 | 2013년 5월 26일[1] | 프리시즌 |
톰 톰스크 | 세르게이 페레드냐 | 계약 만료 | 2013년 6월 1일 | 프리시즌 | 아나톨리 다비도프 | 2013년 6월 25일[2] | 프리시즌 |
쿠반 크라스노다르 | 레오니드 쿠추크 | 계약 만료 | 2013년 6월 10일[3] | 프리시즌 | 이고르 오신킨 (임시 감독) | 2013년 6월 10일 | 프리시즌 |
암카르 페름 | 루스템 후진 | 계약 만료 | 2013년 6월 17일[4] | 프리시즌 |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 | 2013년 6월 20일[5] | 프리시즌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슬라벤 빌리치 | 상호 합의 | 2013년 6월 17일 | 프리시즌 | 레오니드 쿠추크 | 2013년 6월 18일[6] | 프리시즌 |
안지 마하치칼라 | 거스 히딩크 | 사임 | 2013년 7월 22일 | 12위 | 르네 뮬렌스틴 | 2013년 7월 22일[7] | 12위 |
쿠반 크라스노다르 | 이고르 오신킨 (임시 감독) | 임시 감독 종료 | 2013년 7월 31일 | 5위 | 도리넬 문테아누 | 2013년 7월 31일[8] | 5위 |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 파벨 구세프 | 사임 | 2013년 8월 1일 | 15위 | 올레크 바실렌코 | 2013년 8월 1일[9] | 15위 |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 가즈히 가즈히예프 | 사임 | 2013년 8월 8일[10] | 14위 | 알렉산드르 치간코프 (임시 감독, 2013년 8월 29일부터 정식 감독) | 2013년 8월 8일[11][12] | 14위 |
안지 마하치칼라 | 르네 뮬렌스틴 | 해고 | 2013년 8월 8일 | 13위 | 가즈히 가즈히예프 | 2013년 8월 8일[10] | 13위 |
크라스노다르 | 슬라볼류브 무슬린 | 상호 합의 | 2013년 8월 9일[13] | 11위 | 알레흐 코나나우 | 2013년 8월 11일[14] | 11위 |
톰 톰스크 | 아나톨리 다비도프 | 해고 | 2013년 9월 15일[15] | 16위 | 바실리 바스카코프 | 2013년 9월 15일 | 16위 |
쿠반 크라스노다르 | 도리넬 문테아누 | 해고 | 2013년 10월 12일 | 10위 | 빅토르 곤차렌코 | 2013년 10월 12일[16] | 10위 |
테레크 그로즈니 | 유리 크라스노잔 | 사임 | 2013년 10월 28일[17] | 14위 | 바이트 탈가예프 (임시 감독) | 2013년 10월 29일[18] | 14위 |
테레크 그로즈니 | 바이트 탈가예프 (임시 감독) | 임시 감독 종료 | 2013년 11월 7일 | 15위 | 라시드 라히모프 | 2013년 11월 7일[19] | 15위 |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 올레크 바실렌코 | 상호 합의 | 2013년 11월 27일 | 14위 | 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 | 2013년 11월 27일[20] | 14위 |
루빈 카잔 | 쿠르반 베르디예프 | 해고 | 2013년 12월 20일[21] | 11위 | 블라디미르 마미노프 | 2014년 1월 10일 | 11위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루치아노 스팔레티 | 해고 | 2014년 3월 11일[22] | 2위 | 세르게이 세마크 (임시 감독) | 2014년 3월 11일[22] | 2위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발레리 카르핀 | 상호 합의 | 2014년 3월 18일[23] | 3위 | 드미트리 군코 (임시 감독, 2014년 4월 2일부터 정식 감독) | 2014년 3월 18일[23] | 3위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세르게이 세마크 (임시 감독) | 임시 감독 종료 | 2014년 3월 20일[24] | 2위 |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 2014년 3월 20일[24] | 2위 |
볼가 니즈니노브고로드 | 유리 칼리트빈체프 | 사임 | 2014년 3월 28일[25] | 14위 |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 2014년 3월 29일[26] | 14위 |
디나모 모스크바 | 단 페트레스쿠 | 상호 합의 | 2014년 4월 8일[27] | 4위 | 니콜라이 코바르다예프 (임시 감독) | 2014년 4월 8일[27] | 4위 |
암카르 페름 |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 | 상호 합의 | 2014년 4월 8일[28] | 7위 | 콘스탄틴 파라모노프 (임시 감독) | 2014년 4월 8일[28] | 7위 |
디나모 모스크바 | 니콜라이 코바르다예프 (임시 감독) | 임시 감독 종료 | 2014년 4월 10일[29] | 4위 |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 | 2014년 4월 10일[29] | 4위 |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 알렉산드르 치간코프 | 사임 | 2014년 5월 5일[30] | 14위 | 블라디미르 쿠흐레프스키 (임시 감독) | 2014년 5월 5일[31] | 14위 |
최종 업데이트: 2014년 5월 5일
3. 2. 경기장 위치
2013-14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에는 16개 팀이 참가했다. 각 팀은 다른 모든 팀과 두 번씩(홈, 원정) 경기를 치러 총 30경기를 소화했다.
지난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에서 전국 축구 리그로 강등된 팀은 모르도비야 사란스크와 알라니야 블라디캅카스이다. 이 두 팀은 FNL 챔피언인 우랄과 준우승팀인 톰 톰스크로 대체되었다. 톰 톰스크는 바로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고, 우랄은 16시즌 만에 최상위 리그에 복귀했다.
팀 | 소재지 | 전년도 성적 |
---|---|---|
CSKA 모스크바 | 모스크바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우승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상트페테르부르크 | 2위 |
안지 마하치칼라 | 마하치칼라 | 3위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모스크바 | 4위 |
쿠반 크라스노다르 | 크라스노다르 | 5위 |
루빈 카잔 | 카잔 | 6위 |
디나모 모스크바 | 모스크바 | 7위 |
테레크 그로즈니 | 그로즈니 | 8위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모스크바 | 9위 |
크라스노다르 | 크라스노다르 | 10위 |
암카르 페름 | 페름 | 11위 |
볼가 니즈니 노브고로드 | 니즈니 노브고로드 | 12위 |
로스토프 | 로스토프나도누 | 13위 |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 사마라 | 14위 |
우랄 스베르들로프스크 오블라스트 | 예카테린부르크 |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우승 |
톰 톰스크 | 톰스크 |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2위 |
4. 리그 순위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CSKA 모스크바 (C) | 30 | 20 | 4 | 6 | 49 | 26 | +23 | 64 | UEFA 챔피언스 리그 2014-15 조별 리그 진출 |
2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30 | 19 | 6 | 5 | 63 | 32 | +31 | 63 | UEFA 챔피언스 리그 2014-15 3차 예선 진출 |
3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30 | 17 | 8 | 5 | 51 | 23 | +28 | 59 | UEFA 유로파리그 2014-15 플레이오프 진출 |
4 | 디나모 모스크바 | 30 | 15 | 7 | 8 | 54 | 37 | +17 | 52 | UEFA 유로파리그 2014-15 3차 예선 진출 |
5 | 크라스노다르 | 30 | 15 | 5 | 10 | 46 | 39 | +7 | 50 | UEFA 유로파리그 2014-15 2차 예선 진출 |
6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30 | 15 | 5 | 10 | 46 | 36 | +10 | 50 | |
7 | 로스토프 | 30 | 10 | 9 | 11 | 40 | 40 | 0 | 39 | UEFA 유로파리그 2014-15 플레이오프 진출1 |
8 | 쿠반 크라스노다르 | 30 | 10 | 8 | 12 | 40 | 42 | -2 | 38 | |
9 | 루빈 카잔 | 30 | 9 | 11 | 10 | 36 | 30 | +6 | 38 | |
10 | 암카르 페름 | 30 | 9 | 11 | 10 | 36 | 37 | -1 | 38 | |
11 | 우랄 스베르들로프스크 오블라스트 | 30 | 9 | 7 | 14 | 28 | 46 | -18 | 34 | |
12 | 테레크 그로즈니 | 30 | 8 | 9 | 13 | 27 | 33 | -6 | 33 | |
13 | 톰 톰스크 | 30 | 8 | 7 | 15 | 23 | 39 | -16 | 31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FNL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
14 |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 30 | 6 | 11 | 13 | 27 | 46 | -19 | 29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FNL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
15 | 볼가 니즈니 노브고로드 | 30 | 6 | 3 | 21 | 22 | 65 | -43 | 21 | FNL 강등 |
16 | 안지 마하치칼라 | 30 | 3 | 11 | 16 | 25 | 42 | -17 | 20 | FNL 강등 |
2013-14 시즌은 FNL 2012-13 우승팀 우랄 스베르들로프스크 오블라스트와 2위 톰 톰스크가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여 총 16개 팀이 참가했다. 각 팀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30경기를 치렀다. 우랄 스베르들로프스크 오블라스트는 17시즌 만에, 톰 톰스크는 2시즌 만에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다.
전년도 우승팀 CSKA 모스크바는 주전 선수들의 부상과 혼다 케이스케의 이적에도 불구하고, 리그 재개 후 둠비아 세이두의 활약에 힘입어 10연승을 기록하며 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전년도 2위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는 2시즌 연속 2위에 머물렀다. 2014년 3월 루치아노 스팔레티 감독이 해임되고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감독이 취임했으나, 디나모 모스크바전에서 제니트 서포터의 난입 및 폭동으로 경기가 중단되고 몰수패 처리되면서[32][33] CSKA 모스크바에게 역전을 허용했다.
3위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는 3시즌 만에, 5위 크라스노다르는 처음으로 유럽 클럽 대항전에 진출했다. 로스토프는 러시아 컵 우승으로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획득했다.1
안지 마하치칼라는 최하위로 FNL로 강등되었다. 루빈 카잔은 12년간 팀을 이끌었던 구르반 베르디예프 감독이 해임되는 등 부진을 겪으며 6시즌 만에 유럽 클럽 대항전 진출에 실패했다.
CSKA 모스크바의 둠비아 세이두가 18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순위는 1. 승점, 2. 승리 수, 3. 해당 팀 간의 상대 전적으로 결정된다.1 러시아 컵 2013-14 우승.
4. 1. 순위 변동
팀 \ 라운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SKA 모스크바 | 6 | 3 | 3 | 3 | 3 | 1 | 1 | 1 | 3 | 4 | 4 | 5 | 6 | 5 | 4 | 4 | 4 | 4 | 5 | 5 | 5 | 4 | 3 | 3 | 3 | 3 | 3 | 3 | 1 | 1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4 | 9 | 10 | 5 | 4 | 5 | 2 | 2 | 1 | 1 | 1 | 1 | 1 | 1 | 1 | 1 | 1 | 2 | 1 | 2 | 2 | 2 | 2 | 2 | 1 | 1 | 1 | 1 | 2 | 2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8 | 6 | 8 | 4 | 5 | 2 | 3 | 4 | 4 | 3 | 2 | 2 | 2 | 2 | 2 | 2 | 2 | 1 | 2 | 1 | 1 | 1 | 1 | 1 | 2 | 2 | 2 | 2 | 3 | 3 |
디나모 모스크바 | 7 | 4 | 11 | 6 | 6 | 8 | 10 | 6 | 8 | 7 | 7 | 7 | 5 | 6 | 5 | 5 | 7 | 5 | 4 | 4 | 4 | 5 | 4 | 4 | 4 | 4 | 4 | 4 | 4 | 4 |
크라스노다르 | 13 | 11 | 7 | 10 | 11 | 10 | 7 | 8 | 5 | 6 | 5 | 4 | 4 | 4 | 6 | 6 | 6 | 6 | 6 | 6 | 6 | 6 | 6 | 6 | 6 | 6 | 6 | 5 | 5 | 5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3 | 1 | 1 | 1 | 2 | 4 | 5 | 3 | 2 | 2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5 | 5 | 5 | 5 | 5 | 6 | 6 | 6 |
로스토프 | 2 | 5 | 2 | 2 | 1 | 3 | 4 | 5 | 6 | 8 | 8 | 9 | 9 | 11 | 11 | 9 | 9 | 8 | 10 | 8 | 8 | 8 | 8 | 8 | 8 | 8 | 8 | 9 | 7 | 7 |
쿠반 크라스노다르 | 11 | 7 | 4 | 7 | 9 | 7 | 8 | 10 | 10 | 10 | 10 | 10 | 11 | 8 | 8 | 8 | 8 | 10 | 9 | 9 | 10 | 10 | 10 | 9 | 9 | 9 | 9 | 7 | 8 | 8 |
루빈 카잔 | 12 | 8 | 5 | 8 | 7 | 9 | 6 | 7 | 9 | 9 | 9 | 8 | 8 | 10 | 9 | 10 | 10 | 9 | 8 | 11 | 9 | 9 | 9 | 10 | 10 | 10 | 10 | 10 | 9 | 9 |
암카르 페름 | 1 | 2 | 6 | 9 | 8 | 6 | 9 | 9 | 7 | 5 | 6 | 6 | 7 | 7 | 7 | 7 | 5 | 7 | 7 | 7 | 7 | 7 | 7 | 7 | 7 | 7 | 7 | 8 | 10 | 10 |
우랄 스베르들로프스크 오블라스트 | 9 | 14 | 15 | 12 | 12 | 13 | 13 | 13 | 13 | 14 | 14 | 15 | 14 | 15 | 13 | 14 | 14 | 14 | 15 | 15 | 13 | 15 | 12 | 12 | 13 | 11 | 12 | 12 | 12 | 11 |
테레크 그로즈니 | 15 | 13 | 13 | 15 | 14 | 14 | 14 | 15 | 16 | 16 | 16 | 14 | 13 | 13 | 14 | 15 | 15 | 15 | 14 | 14 | 15 | 13 | 14 | 13 | 11 | 12 | 11 | 11 | 11 | 12 |
톰 톰스크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5 | 13 | 13 | 13 | 15 | 14 | 15 | 13 | 13 | 13 | 13 | 13 | 14 | 12 | 13 | 14 | 14 | 14 | 14 | 13 | 13 | 13 |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 14 | 15 | 14 | 14 | 10 | 12 | 12 | 11 | 12 | 12 | 12 | 12 | 12 | 12 | 10 | 11 | 11 | 11 | 11 | 10 | 11 | 11 | 11 | 11 | 12 | 13 | 13 | 14 | 14 | 14 |
볼가 니즈니노브고로드 | 10 | 12 | 9 | 11 | 13 | 11 | 11 | 12 | 11 | 11 | 11 | 11 | 10 | 9 | 12 | 12 | 12 | 12 | 12 | 12 | 12 | 14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안지 마하치칼라 | 5 | 10 | 12 | 13 | 15 | 15 | 15 | 14 | 14 | 15 | 15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5. 경기 결과
2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측 서포터의 폭동으로 인해 후반 중반(2-4)에 경기가 중단되었다. 몰수 경기가 되었으므로 0-3이 되었다.
6. 승강 플레이오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하위 2개 팀은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FNL)로 자동 강등된다. 13위 톰 톰스크는 FNL 4위 우파와, 14위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는 FNL 3위 토르페도 모스크바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1차전은 2014년 5월 18일, 2차전은 22일에 진행되었다.
토르페도 모스크바와 우파는 2014-15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 우파는 첫 승격이며,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8시즌 만에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한다. 톰 톰스크와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는 2014-15 시즌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로 강등된다.
7. 시즌 기록
2013-14 시즌에는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2012-13 시즌 우승팀 우랄 스베르들롭스크 오블라스트와 2위 톰 톰스크가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여 총 16개 팀이 참가했다. 우랄 스베르들롭스크 오블라스트는 1996 시즌 이후 17시즌 만에, 톰 톰스크는 2시즌 만에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다.
전년도 우승팀 CSKA 모스크바는 주전 선수들의 부상과 혼다 케이스케의 AC 밀란 이적에도 불구하고, 둠비아의 활약에 힘입어 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전년도 2위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는 루치아노 스팔레티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해임되고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감독이 부임했으나, 29라운드 디나모 모스크바전에서 서포터 난입 및 폭동으로 인한 몰수패를 당하며[55][56][57][58] 2시즌 연속 2위에 머물렀다.
3위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와 5위 크라스노다르는 유럽 클럽 대항전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 로스토프는 아르템 쥬바의 활약과 러시아 컵 우승에 힘입어 7위를 기록했다.
안지 마하치칼라는 주전 선수들의 대거 이탈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로 강등되었지만, UEFA 유로파 리그 2013-14에서는 16강에 진출했다. 루빈 카잔은 구르반 베르디예프 감독이 해임되고[59] 6시즌 만에 유럽 클럽 대항전 진출에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