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런던 요금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런던 요금 구역은 1980년대 초 런던 교통국에 의해 도입된 요금 체계로, 런던의 대중교통 요금을 구역별로 구분하여 부과한다. 1981년 버스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1983년 트래블카드 출시와 함께 1~5구역으로 정비되었다. 현재는 1~6구역의 시내 구역과 7, 8, 9 구역 및 B, C, G, W 구역과 같은 시외 구역으로 나뉘어 런던 지하철, DLR, 런던 오버그라운드 등의 운임에 적용된다. 오이스터 카드를 사용하면 현금보다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피크 및 오프피크 시간에 따라 요금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런던의 교통 - 오이스터 카드
    오이스터 카드는 2003년 도입된 런던의 비접촉식 스마트카드로,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선불 및 정기권 기능으로 사용되며, 런던 교통국에서 발급 및 관리한다.
  • 런던의 교통 - 산탄데르 사이클
    산탄데르 사이클은 2010년 런던에서 시작된 자전거 공유 시스템으로, 12,000대 이상의 자전거와 800개 이상의 정류장을 갖추고 런던 시민과 방문객들에게 교통 수단을 제공하며 확장과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런던 요금 구역
개요
명칭런던 요금 구역
운영TfL
시스템 유형대중교통 요금 구역
구역 수1–9존 (2008년 1월 2일 이후)
상세 정보
적용 지역그레이터 런던 및 주변 지역 (예: 왓퍼드, 오이스터 카드 사용 가능 지역)
관련 교통 수단런던 지하철
도클랜즈 경전철
런던 오버그라운드
엘리자베스 선
대부분의 런던 버스 노선
내셔널 레일 (그레이터 런던 내)
주요 기능요금 계산
티켓 유효성 검사
결제 방법오이스터 페이 카드
컨택트리스 결제
트래블카드
종이 티켓 (일부 경우)
역사
도입1981년 (철도), 1983년 (지하철)
이전 구역 체계A, B, C, D, E 구역 (1981년 이전)
구역 목록
구역1존
2존
3존
4존
5존
6존
7존
8존
9존
참고7, 8, 9존은 2008년 1월 2일 추가됨
7존은 왓퍼드 지역을 포함
기타
관련 항목트랜스포트 포 런던
오이스터 페이 카드
런던 지하철
트래블카드
프리페이

2. 역사

1980년대 초, 런던 교통부는 요금 단순화와 승차권 구매 과정 간편화를 위해 요금 구역을 도입했다. 버스 운행에서 차장 제도를 폐지하여 승객 탑승 시간을 단축하고 운행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1]

1981년 10월 4일, 첫 요금 구역이 도입되어 그레이터런던 전역은 균일 요금 버스 구역으로 나뉘었다. 런던 지하철의 경우, 현재 1구역에 해당하는 지역은 '시티'와 '웨스트엔드' 두 구역으로 나뉘었다. 1982년 3월 21일, 나머지 런던 지하철 구간에도 요금 구역이 설치되었으나, 1983년 트래블카드 도입 전까지는 명칭이 없었다. 트래블카드 출시와 함께 시티와 웨스트엔드는 1구역, 나머지 지역은 2~5구역으로 구분되었다. 이후 원 데이 트래블카드(1984), 캐피탈카드(1985), 원 데이 캐피탈카드(1986) 등 다양한 승차권 상품이 요금 구역을 기준으로 출시되었다. 1991년 1월에는 5구역에서 6구역이 분리 신설되었다.[1]

2. 1. 요금 구역 도입 이전

요금 구역 도입 이전에는 그레이터런던의 철도 승차권 요금을 '역과 역' 기준으로 삼고, 이동 거리에 따라 가격을 매겼다. 이를 1회권과 왕복권, 시즌 승차권에 적용하였다. 1980년대 초, 그레이터런던 의회의 런던 교통부는 요금을 수정하면서 요금 구역을 도입했다. 구역을 신설한 이유는 요금을 단순화하고 승차권 구매 과정을 간편하게 만들기 위해서였다. 버스 운행에서 이 요금 구역 체계는 필수가 되었는데, 기사 대신 승차권을 판매하는 차장을 둘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었다. 이는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는 데 걸리는 시간, 나아가 운행 시간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는 점도 큰 해결거리였다.

최초의 구역은 1981년 10월 4일에 도입되었다. 그레이터런던 전역은 균일 요금이 적용되는 버스 구역으로 나뉘었다. 런던 지하철에서는 현재 1구역에 해당하는 지역이 "시티"와 "웨스트 엔드"라는 두 개의 중첩된 구역으로 나뉘었다. 1982년 3월 21일에는 다른 모든 런던 지하철역까지의 요금이 3마일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조정되어 사실상 구역이 생성되었지만, 5개의 번호가 매겨진 구역을 포괄하는 트래블카드 상품이 출시된 1983년까지는 구역으로 명명되지 않았다. 시티와 웨스트 엔드는 1구역이 되었고, 나머지 그레이터런던은 2, 3, 4, 5 구역 안에 포함되었다. 구역을 사용하여 원 데이 트래블카드(1984), 캐피털카드(1985), 원 데이 캐피털카드(1986) 등의 상품이 추가로 출시되었다. 1991년 1월에는 5구역에서 6구역이 분리 신설되었다.

2. 2. 요금 구역 도입과 발전

요금 구역 도입 이전에는 그레이터런던의 철도 승차권 요금을 '역과 역' 기준으로 삼고, 이동 거리에 따라 가격이 매겨졌다. 이를 1회권과 왕복권, 시즌 승차권에 적용하였다. 1980년대 초, 런던 교통부는 수차례에 걸쳐 요금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요금 구역을 도입하게 되었다. 구역을 신설한 이유는 요금을 단순화하고 승차권 구매 과정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버스 운행에서 이 요금 구역 체계는 필수로 등극했는데, 기사를 대신해 승차권을 판매해주는 차장을 둘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었다. 이는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는 데 걸리는 시간, 나아가 운행 시간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는 점도 큰 해결거리였다.[1]

1981년 10월 4일, 첫 요금 구역이 도입되었다. 그레이터런던 전역을 동일 요금이 적용되는 버스 구역으로 나눈 것이었다. 지금의 1구역에 해당하는 런던 지하철 구간은 '시티'와 '웨스트엔드'라는 두 중복 구역으로 나뉘었다. 1982년 3월 21일에는 나머지 런던 지하철 구간에도 3마일 간격으로 요금 구역이 설치 적용되었다. 다만 별다른 명칭은 붙여지지 않다가 1983년 트래블카드가 다섯 개로 번호를 매긴 요금 구역을 도입하고 나서야 '트래블카드 존'이라는 이름이 생기게 되었다. 당시 트래블카드의 구역 기준에서 시티와 웨스트엔드는 1구역이 되었으며 나머지 그레이트런던 지역들은 2, 3, 4, 5구역에 속하게 되었고, 이후에 나온 승차권 상품인 원 데이 트래블카드 (1984년), 캐피탈카드 (1985년), 원 데이 캐피탈카드 (1986년)도 이 요금 구역을 표준으로 삼게 되었다. 1991년 1월에는 5구역에서 6구역이 분리 신설되었다.[1]

3. 런던 시내 요금 구역

그레이터런던은 1구역에서 6구역까지 여섯 개의 시내 요금 구역으로 나뉜다. 1구역은 센트럴런던에 해당하며 찌그러진 원 모양이다. 2~6구역은 1구역 바깥을 고리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다. 4, 5, 6구역은 에식스 주, 허트퍼드셔 주, 서리 주 일부 지역까지 포함한다.

각 구역에 해당하는 런던 구는 다음과 같다.

구역이너런던아우터런던런던 외곽
1시티오브런던, 캠든, 해크니, 이즐링턴, 켄징턴 첼시, 램버스, 서더크, 타워햄리츠
2캠든, 그리니치, 해크니, 해머스미스 풀럼, 이즐링턴, 켄징턴 첼시, 램버스, 서더크, 타워햄리츠, 원즈워스, 웨스트민스터브렌트, 얼링, 하운즐로, 뉴햄
3캠든, 그리니치, 해크니, 이즐링턴, 램버스, 서더크, 원즈워스바닛, 브렌트, 크로이든, 얼링, 해링게이, 하운즐로, 머튼, 뉴햄, 리치먼드어폰템스, 월섬포리스트
4그리니치, 루이셤바킹 대거넘, 바닛, 벡슬리, 브렌트, 브롬리, 크로이든, 얼링, 엔필드, 해링게이, 하운즐로, 머튼, 뉴햄, 레드브리지, 리치먼드어폰템스, 서튼, 월섬포리스트, 킹스턴어폰템스에핑포리스트 (에식스 주)
5바킹 대거넘, 바닛, 벡슬리, 브롬리, 크로이든, 얼링, 엔필드, 해로, 힐링던, 킹스턴어폰템스, 리치먼드어폰템스, 서튼, 월섬포리스트에핑포리스트 (에식스 주), 엡솜 유얼 (서리 주)
6벡슬리, 브롬리, 크로이든, 엔필드, 해로, 헤이버링, 힐링던, 하운즐로, 킹스턴어폰템스, 리치먼드어폰템스엠브리지 (서리 주), 에핑포리스트 (에식스 주), 엡솜 유얼 (서리 주), 허츠미어 (허트퍼드셔 주), 레이게이트 밴스테드 (서리 주), 탠드리지 (서리 주), 스리리버스 (허트퍼드셔 주)


3. 1. 1구역

런던 지하철 1구역


1구역은 최초로 설정된 구역으로, 서클 선의 순환 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런던의 가장 중심부에 해당하며, 1구역을 통과하는 경로는 같은 거리의 1구역을 통과하지 않는 경로에 비해 높은 요금이 설정되어 있다. 1구역은 남북 약 9.7km, 동서 약 6.4km 크기이다.

1구역은 센트럴런던에 해당하며, 대부분의 런던 중심부 지역, 주요 관광지, 내셔널 레일의 터미널 역 등을 포함한다.

이너런던
시티오브런던, 캠든, 해크니, 이즐링턴, 켄징턴 첼시, 램버스, 서더크, 타워햄리츠, 웨스트민스터


3. 2. 2~6구역

2구역은 캠든, 그리니치, 해크니, 해머스미스 풀럼, 이즐링턴, 켄징턴 첼시, 램버스, 서더크, 타워햄리츠, 원즈워스, 웨스트민스터, 브렌트, 얼링, 하운즐로, 뉴햄을 포함한다. 1983년 5월 22일에 피카딜리 서커스에서 약 3.22km에서 약 8.05km 범위에 설정된 구역이다.[1]

3구역은 캠든, 그리니치, 해크니, 이즐링턴, 램버스, 서더크, 원즈워스, 바닛, 브렌트, 크로이든, 얼링, 해링게이, 하운즐로, 머튼, 뉴햄, 리치먼드어폰템스, 월섬포리스트를 포함한다.[1]

4구역은 그리니치, 루이셤, 바킹 대거넘, 바닛, 벡슬리, 브렌트, 브롬리, 크로이든, 얼링, 엔필드, 해링게이, 하운즐로, 머튼, 뉴햄, 레드브리지, 리치먼드어폰템스, 서튼, 월섬포리스트, 킹스턴어폰템스, 에핑포리스트 (에식스 주)를 포함한다.[1]

5구역은 바킹 대거넘, 바닛, 벡슬리, 브롬리, 크로이든, 얼링, 엔필드, 해로, 힐링던, 킹스턴어폰템스, 리치먼드어폰템스, 서튼, 월섬포리스트, 에핑포리스트 (에식스 주), 엡솜 유얼 (서리 주)를 포함한다.[1]

6구역은 벡슬리, 브롬리, 크로이든, 엔필드, 해로, 헤이버링, 힐링던, 하운즐로, 킹스턴어폰템스, 리치먼드어폰템스, 엠브리지 (서리 주), 에핑포리스트 (에식스 주), 엡솜 유얼 (서리 주), 허츠미어 (허트퍼드셔 주), 레이게이트 밴스테드 (서리 주), 탠드리지 (서리 주), 스리리버스 (허트퍼드셔 주)를 포함한다.[1]

구역이너런던아우터런던런던 외곽
2캠든, 그리니치, 해크니, 해머스미스 풀럼, 이즐링턴, 켄징턴 첼시, 램버스, 서더크, 타워햄리츠, 원즈워스, 웨스트민스터브렌트, 얼링, 하운즐로, 뉴햄
3캠든, 그리니치, 해크니, 이즐링턴, 램버스, 서더크, 원즈워스바닛, 브렌트, 크로이든, 얼링, 해링게이, 하운즐로, 머튼, 뉴햄, 리치먼드어폰템스, 월섬포리스트
4그리니치, 루이셤바킹 대거넘, 바닛, 벡슬리, 브렌트, 브롬리, 크로이든, 얼링, 엔필드, 해링게이, 하운즐로, 머튼, 뉴햄, 레드브리지, 리치먼드어폰템스, 서튼, 월섬포리스트, 킹스턴어폰템스에핑포리스트 (에식스 주)
5바킹 대거넘, 바닛, 벡슬리, 브롬리, 크로이든, 얼링, 엔필드, 해로, 힐링던, 킹스턴어폰템스, 리치먼드어폰템스, 서튼, 월섬포리스트에핑포리스트 (에식스 주), 엡솜 유얼 (서리 주)
6벡슬리, 브롬리, 크로이든, 엔필드, 해로, 헤이버링, 힐링던, 하운즐로, 킹스턴어폰템스, 리치먼드어폰템스엠브리지 (서리 주), 에핑포리스트 (에식스 주), 엡솜 유얼 (서리 주), 허츠미어 (허트퍼드셔 주), 레이게이트 밴스테드 (서리 주), 탠드리지 (서리 주), 스리리버스 (허트퍼드셔 주)



런던 지하철 2구역 지도

4. 시외 구역

런던교통공사는 대런던 외곽의 일부 노선에 대해 7, 8, 9 외에 추가 구역을 운영하고 있다. 2013년 1월 기준으로, 9개 요금 구역 외부에 내셔널 레일에서 오이스터 카드 선불 결제가 가능하고, 열차 운영 회사가 요금을 설정하는 역이 8개 있었다. 이 역들은 에식스 주와 하트퍼드셔 주에 있으며, B, C, G, W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역들은 노선도에서 1~9 요금 구역 외부에 표시되지만, '특별 요금' 오이스터 선불 결제 구역에는 포함된다.[2]

오이스터 카드는 사용 가능하지만, 공식 요금 구역 외부에 있는 모든 역(스트랫퍼드 인터내셔널 제외)은 상한액 계산을 위해 9~14번 비밀 구역으로 지정된다.[4] 또한, 오이스터 카드는 사용할 수 없지만 비접촉식 결제 카드는 사용할 수 있는 더 외곽의 역들이 있다. 이 역들은 구역별 요금 및 상한액이 없으며, 개별 역을 기준으로 상한액이 적용되고 요금 데이터에서 16 구역으로 분류된다.[5]

4. 1. 7, 8, 9구역

런던교통공사 소속 교통수단 중 일부는 그레이터런던 시외에서 운행되며, 이 노선에는 7, 8, 9구역이 추가로 적용된다. 이 구역들은 버킹엄셔와 허트퍼드셔까지 뻗어 있으며, 그레이트런던 바깥에 위치한 TfL 노선의 모든 역을 포함한다. 다만 셰필드 역과 와트퍼드 정션 역은 제외된다. 2~6구역과는 달리 런던 주변을 완전히 띠 형태로 두르고 있지는 않다.

2013년 1월 기준으로 오이스터 카드 선불권이 적용되고 철도 기업이 요금을 설정하는 내셔널 레일 소속 철도역이 그레이터런던 시외에 총 여덟 곳 있었다. 이들 역은 에식스 주와 허트퍼드셔 주에 위치해 있으며, B구역, C구역, G구역, W구역이 추가로 신설되어 적용되고 있다. 노선도상에서는 1~9구역과는 별도의 요금 구역으로 표시되지만, 오이스터 선불카드의 '특별운임' 구간에는 포함된다.[14]

2016년 1월, 오이스터 카드와 비접촉 카드 시스템이 웨스트서섹스 크롤리개트윅 공항까지 확장되어, 해당 노선의 이전 역들 (홀리, 솔퍼즈, 얼스우드, 레드힐, 머스덤)에 적용되기 시작했다.[15]

4. 2. B, C, G, W 구역

2013년 1월 기준으로 오이스터카드 선불권이 적용되고 철도 기업이 요금을 설정하는 내셔널 레일 소속 철도역이 그레이터런던 시외에 총 여덟 곳이 있었다. 이들 역은 에식스 주와 허트퍼드셔 주에 위치해 있으며, 이들에 대해서는 B구역, C구역, G구역, W구역을 추가로 신설해 적용하고 있다. 노선도 상에서는 1-9구역과는 별도의 요금 구역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오이스터 선불카드의 '특별운임' 구간에는 포함되어 있다.[14]

2016년 1월, 오이스터 카드와 비접촉 카드 시스템이 웨스트서섹스 크롤리개트윅 공항까지 확장되어, 해당 노선의 이전 역들 (홀리, 솔퍼즈, 얼스우드, 레드힐, 머스덤)에 적용되기 시작했다.[15]

4. 3. 개트윅 공항 확장

2016년 1월, 오이스터 카드와 비접촉 카드 시스템이 웨스트서섹스 크롤리개트윅 공항까지 확장되어, 해당 노선의 이전 역들 (홀리, 솔퍼즈, 얼스우드, 레드힐, 머스덤)에 적용되기 시작했다.[15]

5. 운임

런던 지하철, DLR, 런던 오버그라운드의 운임은 런던 교통국이 설정한 구역을 기반으로 계산된다. 출발역, 경유역, 도착역의 구역에 따라 운임이 달라지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운임 예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운임 예시

런던 지하철, DLR, 런던 오버그라운드의 운임은 런던 교통국이 설정한 구역을 기반으로 하며, 출발역, 경유역, 도착역의 구역에 따라 운임이 계산된다. 예를 들어, 출발역과 도착역이 모두 6구역이라도 3구역을 경유하지 않으면 도착할 수 없는 경우, 경유하는 모든 구역을 운임 계산에 포함하므로 3-6구역의 운임이 적용된다.[7] 1구역을 경유하지 않아도 갈 수 있는 일부 노선은 실제로 이용한 노선에 관계없이 1구역을 경유한 운임으로 계산되는 경우가 있다. 1구역을 경유하는 것이 가장 짧지만 1구역을 경유하지 않아도 갈 수 있는 노선을 오이스터 카드로 이용하는 경우, 환승 시 분홍색 환승 전용 리더에 터치하면 경유역이나 노선이 증명되어 1구역을 포함하지 않는 요금이 적용된다.[7]

환승 전용 오이스터 카드 리더. 터치는 선택 사항이다.


런던 지하철, DLR, 런던 오버그라운드를 이용할 때의 성인 요금표 예시 (할인, 어린이 요금, 단체 할인 등도 있음)[7]
구역현금[7]오이스터 카드 (PAYG: 이용한 만큼 차감)트래블 카드
피크[8]오프피크[9]1일 상한(피크)1일 상한(오프피크)1일 (종일[10])1일 (오프피크[11])7일[12]1개월[12]1년[12]
1구역만4.5파운드2.1파운드2.1파운드8.4파운드7파운드8.8파운드7.3파운드30.4파운드116.8파운드1216GBP
1-2구역4.5파운드2.8파운드2.1파운드8.4파운드7파운드8.8파운드7.3파운드30.4파운드116.8파운드1216GBP
1-3구역4.5파운드3.2파운드2.7파운드10.6파운드7.7파운드11파운드8파운드35.6파운드136.8파운드1424GBP
1-4구역5.5파운드3.8파운드2.7파운드10.6파운드7.7파운드11파운드8파운드43.6파운드167.5파운드1744GBP
1-5구역5.5파운드4.6파운드3파운드15.8파운드8.5파운드16.4파운드8.9파운드51.8파운드199파운드2072GBP
1-6구역5.5파운드5파운드3파운드15.8파운드8.5파운드16.4파운드8.9파운드55.6파운드213.6파운드2224GBP
1-7구역6.7파운드5.5파운드3.9파운드19.6파운드11.6파운드20.4파운드12.1파운드60.4파운드232파운드2416GBP
1-8구역7.8파운드6.7파운드3.9파운드19.6파운드11.6파운드20.4파운드12.1파운드71.2파운드273.5파운드2848GBP
1-9구역7.8파운드6.7파운드3.9파운드19.6파운드11.6파운드20.4파운드12.1파운드79파운드303.4파운드3160GBP
2구역만4.5파운드1.6파운드1.5파운드8.4파운드7파운드8.8파운드7.3파운드23파운드88.4파운드920GBP
2-3구역4.5파운드1.6파운드1.5파운드10.6파운드7.7파운드11파운드8파운드23파운드88.4파운드920GBP
2-4구역4.5파운드2.3파운드1.5파운드10.6파운드7.7파운드11파운드8파운드25.2파운드96.8파운드1008GBP
2-5구역5.5파운드2.7파운드1.5파운드15.8파운드8.5파운드16.4파운드8.9파운드30.2파운드116파운드1208GBP
2-6구역5.5파운드2.7파운드1.5파운드15.8파운드8.5파운드16.4파운드8.9파운드38파운드146파운드1520GBP
2-7구역5.5파운드3.9파운드2.7파운드19.6파운드11.6파운드20.4파운드12.1파운드39.4파운드151.3파운드1576GBP
2-8구역6.7파운드4.5파운드2.7파운드19.6파운드11.6파운드20.4파운드12.1파운드53.6파운드205.9파운드2144GBP
2-9구역6.7파운드4.5파운드2.7파운드19.6파운드11.6파운드20.4파운드12.1파운드53.6파운드205.9파운드2144GBP


참조

[1] 문서 Stations can be assigned to one or two fare zones
[2] 웹사이트 London Rail and Tube services map http://www.tfl.gov.u[...]
[3] 웹사이트 Getting to Gatwick Airport with Oyster and contactless https://web.archive.[...] 2016-12-15
[4] 웹사이트 Freedom of Information request https://tfl.gov.uk/c[...]
[5] 웹사이트 National Rail fares, caps and Travelcards beyond Zone 9 https://tfl.gov.uk/f[...]
[6] 문서 ヒースロー空港などでは2013年11月現在使用不可。
[7] 문서 紙の切符
[8] 문서 平日6:30-9:29と16:00-18:59に改札を入場した場合に適用。ただし、16:00-18:59の間にゾーン1の外側からゾーン1まで乗車する場合はオフピーク料金が適用。
[9] 문서 平日の9:30-15:59と19:00以降に改札を入場した場合に適用。16:00-18:59の間であっても、ゾーン1の外側からゾーン1まで乗車する場合にも適用。
[10] 문서 平日初電から次の日の午前4時30分まで有効。紙の切符のみの発券。
[11] 문서 平日9:30以降、土日祝日の終日、次の日の午前4時30分まで有効。
[12] 문서 ロンドン交通局の窓口で購入する場合はオイスターカードが必要。ナショナルレールの窓口で購入する場合は紙の切符。
[13] 문서 하나의 역은 한두 개의 구역에 배정된다.
[14] 웹사이트 London Rail and Tube services map http://www.tfl.gov.u[...]
[15] 웹인용 Getting to Gatwick Airport with Oyster and contactless https://web.archive.[...] 2017-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