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나 필립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나 필립손은 스웨덴의 가수, 배우로, 1982년 데뷔하여 멜로디페스티발렌에 여러 차례 참가했다. 1980년대 후반 "마이 네임" 앨범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2004년 "Det gör ont"으로 멜로디페스티발렌에서 우승하여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스웨덴 대표로 참가했다. 2000년대에도 꾸준히 앨범을 발매하고 공연 활동을 이어갔으며, 2024년에는 록세트의 새로운 여성 보컬로 합류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자 - 프레디 (가수)
핀란드의 가수, 작곡가, 방송인인 프레디는 1960년대 포크 가수로 데뷔하여 핀란드에서 20개 이상의 톱 10 히트곡을 기록하고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핀란드 대표로 두 번 참가했으며, 자신의 토크쇼를 진행하는 등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자 - 프랑코 바티아토
프랑코 바티아토는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실험적인 음악과 철학적 깊이를 더한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한 이탈리아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영화감독이다.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4 참가자 - 토셰 프로에스키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수 토셰 프로에스키는 아로마니아인 출신으로 발칸 반도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 유니세프 친선 대사로 활동, 인도주의적 활동으로 테레사 수녀 상을 받았으나 2007년 교통사고로 사망 후 마케도니아 명예 시민 칭호를 받았다.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4 참가자 - 사키스 루바스
그리스의 대표적인 팝 가수이자 배우, 방송 진행자인 사키스 루바스는 1991년 데뷔 후 플래티넘 앨범들을 발매하며 그리스 최고 스타로 자리매김했고,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그리스 대표로 참가하거나 진행을 맡았으며, 영화 출연 및 TV 프로그램 진행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다. - 스웨덴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자 - ABBA
ABBA는 아그네타 팰츠코그, 아니-프리드 륀그스타, 비요른 울바에우스, 베니 안데르손으로 구성된 스웨덴 팝 그룹으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우승과 세계적인 히트곡들을 통해 1970년대에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2016년 활동을 재개하여 새로운 음반 발매 및 콘서트를 개최하는 등 지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 스웨덴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자 - 말레나 에른만
스웨덴의 메조소프라노 성악가인 말레나 에른만은 오페라와 콘서트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멜로디페스티발렌 우승 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스웨덴 대표로 참가했고, 궁정 가수로 임명받았으며, 기후 운동가 그레타 툰베리의 어머니이다.
레나 필립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레나 필립손 |
원어 이름 | Maria Magdalena Filipsson |
출생일 | 1966년 1월 19일 |
출생지 | 베틀란다, 스웨덴 |
직업 | 가수 싱어송라이터 방송인 |
활동 시기 | 1984년–현재 |
웹사이트 | lenaphilipsson.se |
![]() | |
음악 정보 | |
장르 | 팝 슐라거 |
악기 | 보컬 키보드 |
레이블 | Sony |
관련 활동 | 유니버설 뮤직 그룹 |
2. 경력
필립손은 1982년 스웨덴의 "뉴 페이스(New Faces)"에 참가하면서 경력을 시작했다. 1984년 싱글 "Boy/You Open My Eyes"를 발매하고, 멜로디페스티발렌(1986년, 1987년, 1988년)에 출전했다. 1989년 앨범 마이 네임(My Name)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91년에는 여성 첩보원을 소재로 한 컨셉 앨범과 쇼 "Agent 006"을 발표했다. 2001년 "레나 필립손 쇼(Lena Philipsson Show)"는 2년 반 동안 스웨덴 전역에서 매진되었다. 2004년에는 데트 괴르 온트(Det gör ont)로 멜로디페스티발렌에서 우승하여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4에 스웨덴 대표로 참가, "It Hurts"를 불렀으나 공동 5위를 차지했다. 앨범 "데트 괴르 온트 엔 스툰드 포 낫텐 멘 잉게트 포 단(Det gör ont en stund på natten men inget på dan)"는 9일 만에 골드를 기록했다.
2005년 앨범 "야그 옹라르 잉게팅(Jag ångrar ingenting)"은 발매 하루 만에 3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2006년 멜로디페스티발렌 사회를 맡았으나, 일부 농담으로 논란이 있었다. 2007년 베스트 앨범 "Lena 20 år"를 발매하고, 오룹과 함께 스톡홀름에서 쇼를 개최, 11만 3천 명 이상이 관람했다. 2008년 말, 레나와 오룹은 듀엣 앨범 "Dubbel"을 발매했다. 2024년, 록세트의 새 여성 보컬로 발표되어 2025년부터 공연 예정이다.[3]
1990년대 초, 필립손은 록세트, 제리 윌리엄스와 함께 스웨덴 우표에 등장하기도 했다.
2. 1. 초기 활동 (1982-1990)
필립손은 베틀란다에서 태어났다. 1982년 스웨덴의 신인 발굴 프로그램 "뉴 페이스(New Faces)"에 참가했다. 1984년 싱글 "Boy/You Open My Eyes"를 발매하며 데뷔했고, 1986년, 1987년, 1988년 멜로디페스티발렌에 참가했다. 1987년에는 러시아 작곡가 이고르 니콜라예프(Igor Nikolaev)와 함께 "Aquarius 99"를 발표했다. 1989년에는 "Standing in My Rain", "Why", "Leave a Light" 등의 히트곡이 포함된 앨범 마이 네임(My Name)을 발매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2] 1980년대에는 미국 가수 마이클 볼튼과 TV에서 듀엣을 불렀다.2. 2. 전성기 (1991-2003)
1991년, 필립손은 여성 첩보원을 소재로 한 컨셉 앨범 및 쇼인 "Agent 006"을 발표했다. 1990년대 초 스웨덴에서 그녀의 명성은 계속 높아졌으며, 1997년까지 앨범을 꾸준히 발표했다.[2] 2001년에는 "레나 필립손 쇼(Lena Philipsson Show)"를 개최하여 2년 반 동안 스웨덴 전역에서 매진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무대 복귀를 알렸다.[2]2. 3. 멜로디페스티발렌 우승과 유로비전 참가 (2004)
2004년, 필립손은 네 번째로 멜로디페스티발렌에 데트 괴르 온트(Det gör ont)(아파요)로 참가했다.[2] 준결승을 통과하여 2004년 3월 20일에 우승했고,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4에서 스웨덴 대표로 "It Hurts"(It Hurts|잇 허츠영어, 데트 괴르 온트(Det gör ont) 영어 버전)를 불렀다.[2] 토마스 에릭손이 작곡한 이 곡은 업템포와 디스코풍을 결합했다. 필립손은 짧은 분홍색 드레스와 하이힐을 신고, 마이크 스탠드를 애로스미스의 스티븐 타일러와 비슷하게 활용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여 스웨덴 언론에서 화제가 되었다.
대회 우승 후보 3위였지만, 공동 5위를 차지했다.[2] 앨범 "데트 괴르 온트 엔 스툰드 포 낫텐 멘 잉게트 포 단(Det gör ont en stund på natten men inget på dan)"는 발매 9일 만에 골드 기록을 달성했고, "Det gör ont"가 메인 싱글이었다. "딜리리움", "레나 앤섬(Lena Anthem)", "포 가탄 댓 야그 보르(På gatan där jag bor)" 등의 싱글도 인기를 얻었다.
스웨덴 라디오 프로그램 "트랙스(Tracks)"는 필립손을 2004년 최고 여성 아티스트, 최고 스웨덴 아티스트, 올해의 아티스트로 선정했으며, "Det gör ont"는 최고의 노래로 선정되었다.
2. 4. 지속적인 활동과 변화 (2005-현재)
2005년, 필립손은 새 앨범 "야그 옹라르 잉게팅(Jag ångrar ingenting)"을 발표했다. 이 앨범은 스웨덴에서 발매된 지 하루 만에 3만 장 이상 판매되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2] 같은 해 11월에는 신곡과 히트곡, 인터뷰를 담은 TV 특집 방송이 방영되었다.2006년 1월, 필립손은 멜로디페스티발렌 2006의 사회를 맡았다. 하지만 가족 쇼에 적합하지 않은 농담으로 인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2]
2007년 초, 필립손은 자신의 히트곡을 모은 베스트 앨범 "Lena 20 år"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신곡 "Jag måste skynda mig på"도 포함되었다. 앨범 발매와 함께 필립손은 오룹과 함께 스톡홀름의 차이나 티에테른(China Teatern)에서 쇼를 개최했다. 이 쇼는 11만 3천 명 이상이 관람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2008년 초에는 예테보리에서 새로운 공연이 열렸다. 2008년 말에는 스웨덴 전역을 순회 공연했다. 또한 필립손과 오룹은 듀엣 앨범 "Dubbel"을 녹음하여 11월에 발매했다.[2]
2024년 5월 2일, 록세트의 설립자 페르 게슬레는 필립손을 마리 프레드릭손을 대신할 새로운 여성 보컬로 발표했다. 록세트는 2025년 2월부터 남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유럽을 순회 공연할 예정이다.[3]
3. 멜로디페스티발렌 참가 기록
필립손은 멜로디페스티발렌(Melodifestivalen)에 가수로 네 번, 작곡가로 두 번, 총 여섯 번 참가했다.[3]
가수로는 1986년 "Kärleken är evig"(사랑은 영원하다)로 2위, 1987년 "Dansa i neon"(네온 속에서 춤을)으로 5위, 1988년 "Om igen"(다시 한번)으로 2위, 2004년 "Det gör ont"(아프다)로 우승을 차지했다.
작곡가로는 1991년 페르닐라 발그렌(Pernilla Wahlgren)이 부른 "Tvillingsjäl"(소울메이트), 1999년 아르빙가르나(Arvingarna)가 부른 "Det svär jag på"(맹세컨대)를 통해 참가했다.[3]
3. 1. 가수로 참가
필립손은 스웨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예선인 멜로디페스티발렌(Melodifestivalen)에 가수로 네 번 참가했다.연도 | 곡명 | 한국어 번역 | 순위 |
---|---|---|---|
1986년 | "Kärleken är evig" | 사랑은 영원하다 | 2위 |
1987년 | "Dansa i neon" | 네온 속에서 춤을 | 5위 |
1988년 | "Om igen" | 다시 한번 | 2위 |
2004년 | "Det gör ont" | 아프다 | 우승 |
3. 2. 작곡가로 참가
필립손은 멜로디페스티발렌(Melodifestivalen)에 작곡가로 두 번 참가했다.연도 | 곡명 | 가수 | 결과 |
---|---|---|---|
1991년 | "Tvillingsjäl" (소울메이트) | 페르닐라 발그렌(Pernilla Wahlgren) | - |
1999년 | "Det svär jag på" (맹세컨대) | 아르빙가르나(Arvingarna) | 3위 |
4. 음반 목록
레나 필립손은 여러 장의 정규 앨범, 컴필레이션 앨범, 싱글을 발매했다. 대표적인 정규 앨범으로는 카를레켄 에르 에비(1986), 단사 이 네온(1987), 마이 네임(1989), 데 괴르 온트 엔 스툰드 포 낫텐 멘 잉게트 포 단(2004), 야그 옹라르 잉게팅(2005) 등이 있다. 컴필레이션 앨범으로는 레나 필립손 컬렉션 1984-2001(2001), 레나 20 아르(2007) 등이 있다. 주요 싱글로는 카를레켄 에르 에비(1986), 단사 이 네온(1987), 옴 이겐(1988), 데 괴르 온트(2004) 등이 있다.
4. 1. 정규 앨범
각주:
5. 기타 활동 및 특이사항
레나 필립손은 초기에 직접 무대 의상을 제작했다.[2] 1980년대에는 미국의 가수 마이클 볼튼과 TV에서 듀엣으로 공연하기도 했다.[2] 1990년대 초, 필립손은 록세트, 제리 윌리엄스와 함께 스웨덴 우표에 등장한 세 명의 팝스타 중 한 명이었다.[2]
참조
[1]
웹사이트
Lena Philipsson
http://www.discogs.c[...]
Discogs
2021-07-27
[2]
웹사이트
Biography: Lena Philipsson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0-04-03
[3]
뉴스
Roxette frontman reveals replacement for late Marie Fredriksson as the band makes a major announcement
https://7news.com.au[...]
Seven Network
2024-05-02
[4]
웹사이트
Julgalan
http://www.lenaphi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