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나토 루지에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나토 루지에로는 이탈리아의 외교관, 정치인, 기업인이다. 1930년 나폴리에서 태어나 나폴리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외무 공무원이 되었으며, 브라질, 모스크바, 워싱턴 D.C. 등지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했다. 이후 피아트, ENI 등 민간 기업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1987년 이탈리아 총선거 이후 외무 장관을 역임했다. 세계 무역 기구 사무총장을 거쳐,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정권에서 외무 장관을 지냈으나 6개월 만에 사임했다. 그는 강인한 협상가로 '록키'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사망 당시 씨티그룹에서 근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보장 수훈자 - 에르하르트 밀히
    에르하르트 밀히는 독일 군인이자 정치가로, 나치당에서 활동하며 루프트바페 창설에 기여했으나, 전쟁 범죄 혐의로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서보장 수훈자 - 우메다 히로유키
    우메다 히로유키는 한국어와 일본어 비교 연구 및 한국어 교육에 기여한 일본의 언어학자로, 도쿄외국어대학 연구소장과 레이타쿠 대학 학장을 역임하고 NHK 강사로 활동했으며, 한국어 교육 공로로 옥관문화훈장을 수훈받았다.
  • 세계 무역 기구 사무총장 - 마이크 무어
    마이크 무어는 뉴질랜드 최연소 국회의원, 총리, WTO 사무총장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국제 무역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도하 개발 라운드 시작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국제 기구에서 활동하며 저술 활동도 활발히 했다.
  • 세계 무역 기구 사무총장 - 파스칼 라미
    파스칼 라미는 프랑스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비서실장, 세계 무역 기구 사무총장, 파리 평화 포럼 회장 등을 역임하며 국제기구 및 기업에서 활동하고 있다.
  • 나폴리 대학교 동문 - 조르조 나폴리타노
    조르조 나폴리타노는 이탈리아 공산당 출신의 정치인으로, 이탈리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이탈리아 최초의 공산당 출신 대통령이자 재선된 대통령으로 기록되었다.
  • 나폴리 대학교 동문 - 루이지 디 마이오
    1986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오성운동을 거쳐 부총리 겸 장관을 역임한 루이지 디 마이오는 정계 은퇴 후 유럽 연합의 걸프 지역 특별 대표로 선출되었다.
레나토 루지에로

2. 생애

1930년 4월 9일 나폴리에서 태어나 1953년 나폴리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고 외무 공무원으로 경력을 시작했다.[2] 그는 외교관으로서 브라질, 모스크바, 워싱턴 D.C. 등에서 근무했으며, 유럽 공동체 관련 업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1985년 시고넬라 위기와 같은 민감한 외교 사안을 다루었으며, 강인한 협상 능력으로 "록키" 루지에로라는 별명을 얻었다.[2] 외교관으로서 최고위직인 외무 차관(1985-1987)을 역임했다.[8]

1987년 정계에 입문하여 사회당 소속으로 여러 정부(고리아, 데 미타, 안드레오티 내각)에서 외무부 장관을 지냈다. 1995년부터 1999년까지는 세계 무역 기구(WTO)의 사무총장으로 활동하며 국제 무역 자유화를 이끌었다. 공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피아트[9], 에니 등 민간 기업에서도 활동했다.[2]

2001년에는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2기 정부에서 다시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나, 그의 친유럽적 성향이 연립 정부 내 북부 동맹의 입장과 충돌하면서 임명 6개월 만에 사임했다.[10] 이후 로마노 프로디[9] 유럽 위원회 위원장의 고문(2006-2008)을 지냈으며, 씨티그룹의 임원 및 빌더버그 그룹 운영 위원으로 활동했다.[3] 2013년 8월 4일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30년 4월 9일 나폴리에서 태어났다. 1953년 나폴리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고 외무 공무원이 되었다.[2]

2. 2. 외교 경력

1953년 나폴리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고 외무 공무원이 되었다.[2] 1955년에 외교관으로 정식 임명되어 브라질 상파울루에 있는 이탈리아 영사관에서 첫 근무를 시작했다. 이후 1959년 1월에는 모스크바 주재 이탈리아 대사관으로, 1962년에는 워싱턴 주재 이탈리아 대사관으로 자리를 옮겨 근무했다.

1964년 이탈리아로 돌아와 외무성 정치국에서 일했으며, 1966년에는 베오그라드 주재 이탈리아 대사관에서 고문으로 활동했다. 1969년부터는 브뤼셀에 있는 EEC 이탈리아 상주 대표부에 파견되어 유럽 관련 업무에 깊이 관여하기 시작했다. 1970년 7월에는 유럽 위원회 프랑코 마리아 말파티 위원장의 비서실장을 맡았고, 말파티 위원장이 1972년 6월 사임하자 후임인 만숄트 위원장의 정치 고문을 잠시 지낸 뒤, 1973년부터 1977년까지 유럽 위원회 지역 정책 총국에서 근무했다. 1977년에는 로이 젠킨스 유럽 위원회 위원장의 대변인으로서 유럽 통화 제도 창설 협상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1978년부터 1980년 사이에는 로마로 돌아와 총리와 두 명의 외무 장관 밑에서 외교 고문으로 활동하며 이탈리아의 유럽 통화 제도 가입 협상 등을 이끌었다. 1980년에는 대사로 승진하여 1984년까지 유럽 공동체 주재 이탈리아 상임 대표로 다시 브뤼셀에서 근무했다. 1984년 이탈리아로 복귀하여 경제 국장(1984-1985)을 지냈고, 1985년부터 1987년까지는 이탈리아 외교관으로서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자리인 외무 차관을 역임했다.[8] 외무 차관 시절인 1985년에는 시고넬라 위기와 같은 복잡하고 어려운 외교적 상황을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그는 강인하고 뛰어난 협상 능력으로 인해 "록키" 루지에로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2]

외교관 경력을 마친 후에는 피아트나 에너지 회사 에니와 같은 민간 기업에서도 활동했으며,[2] 2013년 사망 당시에는 대사 직함을 유지하며 씨티그룹에서 일했고, 빌더버그 그룹의 운영 위원회 위원이기도 했다.[3]

2. 3. 정치 경력

1987년 총선거 이후 정계에 입문하여, 사회당 소속으로 조반니 고리아 총리가 이끄는 내각에서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치리아코 데 미타와 줄리오 안드레오티가 이끄는 정부에서도 연이어 외무부 장관직을 맡아 1991년 4월 12일까지 재직했다.

공직에서 물러난 후 1991년부터 1995년까지는 피아트 그룹[9]의 국제 관계 책임자로 일했으며, 이탈리아 및 유럽의 여러 기업에서 관리직과 컨설팅 업무를 수행했다. 1995년에는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세계 무역 기구(WTO)의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어 1999년까지 활동하며 전기 통신, 정보 기술(IT), 금융 서비스 분야의 세계적인 자유화를 추진하는 데 기여했다. WTO 사무총장 임기를 마친 후에는 이탈리아의 국영 에너지 기업인 에니(Eni)의 사장(1999년 9월 임명) 및 국제 담당 부사장, 슈뢰더 솔로몬 스미스 바니(Schroder Salomon Smith Barney)의 이탈리아 지사장 등을 역임했다.

2001년 6월 11일, 실비오 베를루스코니가 이끄는 두 번째 내각에서 다시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루지에로는 특정 정당에 소속되지 않은 상태였고 국제 사회에서 높은 명망을 지니고 있었기에, 그의 임명은 이탈리아 정계에서 다소 의외의 결정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그의 친유럽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정책 방향은 연립 정부의 일원이었던 북부 동맹의 강경한 지역주의 노선과 충돌을 빚었다. 결국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임명된 지 불과 6개월 만에 장관직에서 사임했다[10].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로마노 프로디[9] 유럽 위원회 위원장의 고문으로 활동했다. 이후 스위스에 머물며 시티 그룹의 사장 겸 시티 그룹 유럽 투자 은행의 부사장직을 맡았고, 이탈리아에서는 유니크레딧(UniCredit) 은행의 국제 자문 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2013년 8월 4일, 83세로 사망했다[7].

2. 4. 기업 경력

루지에로는 외무 공무원 경력을 마친 후, 피아트와 에너지 회사 에니 등 민간 기업에서 경력을 이어갔다.[2] 그는 이탈리아와 유럽의 여러 기업에서 관리직 및 컨설팅 직을 역임했으며, 1991년부터 1995년까지는 피아트 그룹의 국제 관계를 담당했다.[9]

1999년 세계 무역 기구 사무총장 임기를 마친 뒤에는 같은 해 9월 에니의 사장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국제 부사장직을 수행했다. 또한 투자 은행인 슈뢰더 솔로몬 스미스 바니의 이탈리아 사장을 지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유럽 위원회 위원장 로마노 프로디의 고문을 맡았다.[9] 이후 씨티그룹의 사장 겸 씨티그룹 유럽 투자 은행의 부사장으로 활동하며 스위스에 머물렀고, 이탈리아에서는 유니크레딧의 국제 자문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그는 영향력 있는 국제 회의체인 빌더버그 그룹의 운영 위원회 위원이기도 했다.[3] 2013년 사망 당시까지 씨티그룹에서 근무했다.[3]

2. 5. 외무부 장관 재임 (2001)

2001년 6월 11일, 베를루스코니 2기 정권에서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루지에로는 국제 사회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고 특정 정당에 소속되지 않은 독립적인 인물이었기 때문에, 그의 임명은 정계에서 의외의 인사로 여겨졌다. 그러나 임명된 지 불과 6개월 만에 사임했는데, 이는 그의 친유럽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정책 방향이 연립 정부 내 북부 동맹이 내세우는 지역주의 노선과 충돌했기 때문이다.[10]

2. 6. 은퇴 이후

1991년 4월 12일 첫 외무 장관직에서 물러난 후, 1991년부터 1995년까지는 피아트 그룹[9]의 국제 관계를 담당했으며, 이탈리아와 유럽의 여러 기업에서 관리직 및 컨설팅 직책을 맡았다. 1995년에는 제네바에 본부를 둔 세계 무역 기구(WTO)의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어 1999년까지 재직했다. 이 기간 동안 전기 통신, 정보 기술(IT), 금융 서비스 분야의 세계적인 자유화를 추진하는 데 힘썼다. WTO 사무총장 임기를 마친 후에는 에니(Eni)의 사장(1999년 9월 임명) 및 국제 부사장, 슈뢰더 솔로몬 스미스 바니의 이탈리아 사장 등을 역임했다.

2001년 6월 11일, 루지에로는 베를루스코니 2기 정권에서 다시 외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높은 국제적 위상과 정당으로부터의 독립성을 고려할 때 이는 정계에서 다소 의외의 인사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그의 친유럽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정책 방향은 연립 정부 내 북부 동맹의 강경한 지역주의 노선과 충돌을 빚었고, 결국 임명된 지 불과 6개월 만에 장관직에서 사임하게 되었다[10].

이후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유럽 위원회 위원장이었던 로마노 프로디[9]의 고문으로 활동했다. 또한 스위스에 머물며 시티 그룹의 사장 겸 시티 그룹 유럽 투자 은행의 부사장을 지냈고, 이탈리아에서는 유니크레딧의 국제 자문 위원회 위원장을 맡는 등 국제 금융계에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2013년 8월 4일, 83세를 일기로 사망했다[7].

2. 7. 사망

2013년 사망 당시 루지에로는 대사였으며 씨티그룹에서 근무했다. 그는 빌더버그 그룹의 운영 위원회 위원이었다.[3]

3. 수상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1등급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1등급 / 카발리에 그란 크로체 - 1985년 10월 3일[4]

일본 정부로부터 서보 훈장을 수여받았다.[5]

4.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E' morto l'ex ministro Renato Ruggiero: guidò la Farnesina sotto il governo Berlusconi http://www.repubblic[...] Repubblica.it 2013-08-05
[2] 웹사이트 Berlusconi cabinet http://vipsgov.chez.[...] VIPS 2013-06-09
[3] 웹사이트 Former Steering Committee Members http://www.bilderber[...] Bilderberg Group 2014-02-08
[4] 웹사이트 Italian President of the Republic website (in Italian) https://www.quirinal[...]
[5] 웹사이트 L'Harmattan web site (in French) http://www.editions-[...]
[6] 웹사이트 WTO | director-general https://www.wto.org/[...]
[7] 웹사이트 Renato Ruggiero, WTO Director-General, 1995 to 1999 https://www.wto.org/[...] World Trade Organization 2024-11-03
[8] 웹사이트 Profilo di Renato Ruggiero http://www.esteri.go[...] Sito del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2019-11-19
[9] 웹사이트 Renato Ruggiero http://www.treccani.[...] Sito dell'Enciclopedia Italiana 2019-11-19
[10] 서적 Sussidiarietà e sviluppo: paradigmi per l'Europa e per l'Italia Vita e pensiero, Milano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