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드 웨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드 웨지는 1985년 영국 노동당 의원 로빈 쿡의 초청으로 웨스트민스터 궁에서 열린 모임을 통해 결성된 영국의 좌파 문화 운동 단체이다. 러시아 구성주의 예술가 엘 리시츠키의 포스터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빌리 브래그, 폴 웰러, 지미 소머빌 등을 중심으로 콘서트와 언론 활동을 통해 노동당 캠페인을 지원했다. 1986년과 1987년에는 음악 및 코미디 투어를 진행했고, 닐 키녹 노동당 대표의 선거 팸플릿을 출판하기도 했다. 1987년 총선에서 보수당이 승리한 후 자금 지원 중단으로 1990년 공식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압력 단체 - 록 어게인스트 섹시즘
    록 어게인스트 섹시즘은 현재 정보 부족으로 정의하기 어려우나, 여성주의, 성차별주의, 섹시즘, 미투 운동 등과 관련된 사회 운동의 한 형태로 추정되며, 1990년대 초 페미니스트 펑크 운동인 라이엇 걸 운동과 연관될 수 있다.
  • 1990년 해체된 단체 - 제7전구군지역사령부
    제7전구군지역사령부는 2006년 개편된 미군 조직으로, 과거 제7군수사령부 등의 계보를 잇고 유럽 주둔 미군 지원, 군수 지원 체계 강화, 전투 장비 및 물자 관리, 한국 전쟁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 음악 단체 -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은 신라시대 음성서에 뿌리를 둔 한국 대표 국악 기관으로, 조선시대 장악원의 후신이며, 국악 공연, 연구, 교육, 국제 교류, 그리고 전국 국악원 운영을 통해 국악의 전승과 발전에 기여한다.
  • 음악 단체 - 국립국악관현악단
    국립국악관현악단은 1995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국악 관현악단으로, 국가적 행사와 기념 공연에 참여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관현악단으로서 예술감독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행정실의 지원을 받는다.
레드 웨지
기본 정보
레드 웨지 로고
레드 웨지 로고
활동 기간1985년 ~ 1986년
국가영국
장르팝 음악, 록 음악
레이블다양한 레이블
관련 인물빌리 브래그
폴 웰러
조니 마
스매시 히츠
커뮤니케이션 워커스 유니언
브리티시 레일
헌드레즈 오브 스투피드 피플
제프 스미스 (음악가)
톰 왓킨스 (음악 매니저)
배경
정치적 배경마거릿 대처 정부 하의 영국 정치 상황
목적젊은이들의 노동당 지지 장려 및 마거릿 대처 정부에 대한 반대
활동
주요 활동콘서트 투어
정치 캠페인 참여
홍보 활동
참여 음악가빌리 브래그
폴 웰러
조니 마
콤뮤나드
주디 츠키
제리 데머스
톰 로빈슨
하이 톤스
로버트 와 Wyatt
에디 리더
스틸츠킨스
프랭키 고즈 투 할리우드
레드 플래닛
마린 걸스
더 스타일 카운슬
필 콜린스
벤 와트
조박스
믹 존스
길레스 피터슨
스매시 히츠
커뮤니케이션 워커스 유니언
브리티시 레일
헌드레즈 오브 스투피드 피플
제프 스미스 (음악가)
톰 왓킨스 (음악 매니저)
영향
정치적 영향젊은층의 정치 참여 독려, 노동당 지지 확대에 기여
문화적 영향음악과 정치의 결합, 사회 참여적인 음악 문화 확산

2. 역사

빌리 브래그의 1985년 《Jobs for Youth》 투어가 레드 웨지의 원형이 되었으며, 폴 웰러, 더 커뮤나즈지미 서머빌 등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이들은 콘서트 개최, 미디어 출연 등 다양한 방식으로 노동당의 선거 유세를 지원하였다.

레드 웨지는 1985년 11월 21일 웨스트민스터궁에서 로빈 쿡 의원 등의 초대로 시작되었으며, 엘 리시츠키의 1919년 포스터 "백군을 붉은 쐐기로 타도하자"(Beat the Whites with the Red Wedge영어)에서 단체 이름을 따왔다.

1986년 1월과 2월에 첫 투어를 개최하였고, 매드니스, 더 더, 헤븐 17등 많은 가수들이 게스트로 참여했다. 같은 해 노동당 연례 컨퍼런스에서 레드 웨지의 노동당 지지는 찬사를 받았다.[2]

하우스마틴스,[2] 이스터하우스, 더 레스킨스 등은 참여를 거부하거나[3] 캠페인을 비판하기도 했다.

1987년 총선에서 보수당이 승리하자, 많은 구성원들이 흩어졌으며, 1990년에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2. 1. 결성

1985년 11월 21일, 빌리 브래그, 폴 웰러, 스트로베리 스위치블레이드, 커스티 맥콜이 노동당 의원 로빈 쿡의 초대로 웨스트민스터궁에서 모임을 가진 것을 계기로 결성되었다.[2] 단체 이름은 러시아 구성주의 예술가 엘 리시츠키1919년 포스터 "백군을 붉은 쐐기로 타도하자"에서 따왔다.[2] 초기에는 노동당 본부에서 사무실 공간을 사용하기도 했지만, 공산주의 조직이나 노동당의 공식 산하 단체는 아니었다.[2]

2. 2. 주요 활동

빌리 브래그, 폴 웰러, 더 커뮤나즈지미 서머빌을 중심으로 레드 웨지는 콘서트와 미디어 출연을 통해 노동당의 선거 유세를 지원했다.[2]

1986년 1월과 2월, 빌리 브래그를 필두로 스타일 카운슬, 더 커뮤나즈, 주니어 기스콤베, 로나 지, 제리 대머스가 함께 첫 번째 투어를 진행했다. 매드니스, 더 더, 헤븐 17, 바나나라마, 프리팹 스프라우트, 엘비스 코스텔로, 게리 켐프, 톰 로빈슨, 샤데이, 더 비트, 로이드 콜, 블로우 몽키스, 줄즈, 더 스미스 등이 게스트로 참여했다.[2] 1986년 노동당 연례 컨퍼런스에서 레드 웨지의 활동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빌리 브래그의 노래 "Island of No Return"은 포클랜드 전쟁에 대한 영국의 개입을 비판하며 주목받았다.[2]

1987년 총선 당시, 레드 웨지는 레니 헨리, 벤 엘튼, 로비 콜트레인, 크레이그 찰스, 필 주피터스, 마크 미워즈(허스트)와 해리 엔필드가 참여하는 코미디 투어와 더 더, 캡틴 센서블, 블로우 몽키스 등이 참여하는 음악 투어를 진행했다. 또한 노동당 대표 닐 키녹의 서문이 담긴 선거 팸플릿 "Move On Up"을 출판했다.

2. 3. 비판과 해산

1987년 총선에서 보수당이 승리하면서 많은 구성원들이 흩어졌다. 이후 몇 차례 추가 공연이 기획되었고 그룹의 잡지 'Well Red'가 계속 발행되었지만, 자금 지원이 중단되면서 1990년에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2]

일부 좌익 음악가들은 레드 웨지의 활동에 참여하지 않거나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3]

3. 참여 음악가



레드 웨지에 참여한 주요 음악가는 다음과 같다.

음악가역할 및 비고
빌리 브래그1985년 청년을 위한 일자리 투어가 레드 웨지의 원형이 됨.[2][3]
폴 웰러 (스타일 카운슬)[2][3]
지미 서머빌 (더 커뮤나즈)[2][3]
주니어 기스콤[3]
로나 지[3]
제리 대머스[3]
스트로베리 스위치블레이드[2]
커스티 맥콜[2]



1986년 1월과 2월에 열린 첫 번째 투어에는 위에 언급된 음악가들 외에도 다음과 같은 게스트들이 참여했다.[3]

게스트
매드니스
더 더
헤븐 17
바나나라마
프리팹 스프라우트
엘비스 코스텔로
게리 켐프
톰 로빈슨
사데
더 비트
로이드 콜
더 블로우 몽키스
줄즈
더 스미스



1987년 총선 당시에는 더 더, 캡틴 센서블, 더 블로우 몽키스 등이 참여한 투어가 한 번 더 조직되었다.[3]

4. 참여 코미디언

레니 헨리, 벤 엘튼, 로비 콜트레인, 크레이그 찰스, 필 주피터스, 마크 미워즈(허스트), 해리 엔필드가 참여했다.[3]

참조

[1] 서적 Walls Come Tumbling Down: The Music and Politics of Rock Against Racism, 2 Tone and Red Wedge Picador
[2] 웹사이트 Get Up Off Our Knees – An interview with Paul Heaton http://www.thepointh[...] 2017-10-29
[3] 웹사이트 Alliances between pop and politics are not new. The formation of Red Wedge, however, is distinctive in its close identification with the Labour Party http://banmarchive.o[...] 1986-06
[4] 서적 Walls Come Tumbling Down: The Music and Politics of Rock Against Racism, 2 Tone and Red Wedge Picad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