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디 빙 메모리얼 트로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이디 빙 메모리얼 트로피는 마리 에블린 모턴(레이디 빙)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북미 아이스하키 리그(NHL)의 상이다. 이 상은 가장 신사적인 플레이를 펼친 선수에게 수여되며, 1924-25 시즌에 처음 수여되었다. 프랭크 나이버가 초대 수상자였으며, 프랭크 보처가 7회로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뉴욕 레인저스와 디트로이트 레드윙스가 팀별 최다 수상(14회)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NHL 상 - 잭 애덤스 상
잭 애덤스 상은 NHL에서 뛰어난 지도력을 보여준 감독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NHL 감독 협회 추천 후보를 대상으로 투표를 통해 수상자를 결정하며 1974년부터 수여되었다. - NHL 상 - 윌리엄 M. 제닝스 트로피
윌리엄 M. 제닝스 트로피는 NHL에서 정규 시즌 최소 실점 팀의 골키퍼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뉴욕 레인저스 이사이자 미국 아이스하키 발전에 기여한 윌리엄 M. 제닝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으며, 패트릭 로이와 마르틴 브로듀어가 최다 수상, 몬트리올 캐나디언스가 최다 수상 팀이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레이디 빙 메모리얼 트로피 | |
---|---|
레이디 빙 메모리얼 트로피 | |
![]() | |
종목 | 아이스 하키 |
수여 대상 | 뛰어난 경기력과 함께 가장 모범적인 스포츠맨십과 신사적인 태도를 보여준 선수 |
후원 | 해당 없음 |
최초 수여 | 1924–25 NHL 시즌 |
최다 수상자 | 프랭크 부처 (7회) |
최근 수상자 | 제이콥 슬래빈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 |
웹사이트 | 레이디 빙 메모리얼 트로피 역사 |
2. 역사
이 트로피는 마리 에블린 모턴 (레이디 빙)을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다. 그녀는 제1대 비미 자작의 캐나다 총독 부인이었고, 비미 능선 전투에서 캐나다군을 지휘했으며 1921년부터 1926년까지 캐나다 총독을 지냈다. 열렬한 하키 팬이었던 레이디 빙은 1924–25년에 이 트로피를 NHL에 기증하기로 결정했다.[3]
프랭크 보처가 7회로 레이디 빙 메모리얼 트로피를 가장 많이 수상했으며, 웨인 그레츠키가 5회, 레드 켈리와 파벨 다추크가 4회, 바비 바우어, 알렉스 델베키오, 마이크 보시, 마르탱 생루이, 론 프랜시스가 각각 3회 수상했다.[7] 뉴욕 레인저스와 디트로이트 레드윙스는 이 상을 14번으로 가장 많이 수상한 팀이며, 그 뒤를 이어 토론토 메이플리프스가 9번, 시카고 블랙호크스와 보스턴 브루인스가 8번, 로스앤젤레스 킹스가 6번 수상했다.[7] 애덤 오츠는 레이디 빙 트로피 결선에 진출했지만 수상하지는 못했다.
레이디 빙은 트로피의 첫 번째 수상자로 오리지널 오타와 세너터스의 프랭크 나이버를 선정했다. 시즌 말에 그녀는 나이버를 리도 홀로 초대하여 트로피를 보여주고, NHL이 가장 신사적인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이 트로피를 받아들일지 물었다. 나이버가 그렇게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하자, 레이디 빙은 그에게 트로피를 수여했다.[4][5]
뉴욕 레인저스의 프랭크 부처가 8년 동안 7번이나 이 상을 수상하자, 레이디 빙은 그에게 오리지널 트로피를 주어 보관하게 했다. 그리고 그녀는 1935–36년에 두 번째 트로피를 기증했다. 레이디 빙이 1949년에 사망하자 NHL은 또 다른 트로피를 수여하고 공식 명칭을 레이디 빙 기념 트로피로 변경했다.[3] 1962년, 오리지널 트로피는 부처의 집에서 발생한 화재로 소실되었다.[6]
3. 수상 기준 및 경향
1947–48 NHL 시즌의 버디 오코너, 1964–65 NHL 시즌의 바비 헐, 1966–67 NHL 시즌과 1967–68 NHL 시즌의 스탠 미키타, 1979–80 NHL 시즌의 웨인 그레츠키, 2000–01 NHL 시즌의 조 새키치는 같은 시즌에 레이디 빙 트로피와 리그 MVP인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를 모두 수상했다. 특히 미키타는 1966–67 시즌과 1967–68 시즌에 연속으로 하트, 아트 로스 트로피, 레이디 빙 트로피를 모두 수상한 유일한 선수이다. 그레츠키, 바비 헐, 마르탱 생루이도 이 세 개의 상을 수상했지만 같은 시즌은 아니었다. 바비 헐과 브렛 헐 부자는 하트와 레이디 빙 트로피를 모두 수상한 유일한 부자 조합이다.[8]
빌 퀘켄부시, 제이콥 슬라빈, 레드 켈리, 브라이언 캠벨만이 레이디 빙 트로피를 수상한 수비수이며, 켈리와 슬라빈은 여러 번 수상했다. 켈리는 수비수로서 3번(전체 4번)으로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켈리 이후 2012년 캠벨이 수상하기 전까지 58년 동안 수비수는 이 상을 받지 못했으며, 닉라스 리드스트롬은 2001년에 조 새키치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했다. 골키퍼는 이 상을 한 번도 수상한 적이 없다.
3. 1. 역대 수상자
시즌 | 수상자 | 팀 | 포지션 | 수상 횟수 | 출장 경기 수 | 페널티 시간 | 평균 |
---|---|---|---|---|---|---|---|
1924–25 | 프랭크 나이보어 | 오타와 세너터스 | C | 1 | 26 | 18 | 0.69 |
1925–26 | 프랭크 나이보어 | 오타와 세너터스 | C | 2 | 35 | 40 | 1.14 |
1926–27 | 빌리 버치 | 뉴욕 아메리칸스 | C | 1 | 43 | 40 | 0.93 |
1927–28 | 프랭크 보처 | 뉴욕 레인저스 | C | 1 | 44 | 15 | 0.34 |
1928–29 | 프랭크 보처 | 뉴욕 레인저스 | C | 2 | 44 | 8 | 0.18 |
1929–30 | 프랭크 보처 | 뉴욕 레인저스 | C | 3 | 42 | 16 | 0.38 |
1930–31 | 프랭크 보처 | 뉴욕 레인저스 | C | 4 | 44 | 20 | 0.46 |
1931–32 | 조 프라이모 |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C | 1 | 45 | 25 | 0.56 |
1932–33 | 프랭크 보처 | 뉴욕 레인저스 | C | 5 | 46 | 4 | 0.09 |
1933–34 | 프랭크 보처 | 뉴욕 레인저스 | C | 6 | 48 | 4 | 0.08 |
1934–35 | 프랭크 보처 | 뉴욕 레인저스 | C | 7 | 48 | 2 | 0.04 |
1935–36 | 엘윈 "닥" 롬네스 | 시카고 블랙호크스 | C | 1 | 48 | 6 | 0.13 |
1936–37 | 마티 배리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C | 1 | 47 | 6 | 0.13 |
1937–38 | 고디 드릴론 |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RW | 1 | 48 | 4 | 0.08 |
1938–39 | 클린트 스미스 | 뉴욕 레인저스 | C | 1 | 48 | 2 | 0.04 |
1939–40 | 바비 바우어 | 보스턴 브루인스 | RW | 1 | 48 | 2 | 0.04 |
1940–41 | 바비 바우어 | 보스턴 브루인스 | RW | 2 | 48 | 2 | 0.04 |
1941–42 | 실 앱스 |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C | 1 | 38 | 0 | 0.00 |
1942–43 | 맥스 벤틀리 | 시카고 블랙호크스 | C | 1 | 47 | 2 | 0.04 |
1943–44 | 클린트 스미스 | 시카고 블랙호크스 | C | 2 | 50 | 4 | 0.08 |
1944–45 | 빌 모시엔코 | 시카고 블랙호크스 | RW | 1 | 50 | 0 | 0.00 |
1945–46 | 토 블레이크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LW | 1 | 50 | 2 | 0.04 |
1946–47 | 바비 바우어 | 보스턴 브루인스 | RW | 3 | 58 | 4 | 0.07 |
1947–48 | 버디 오코너 | 뉴욕 레인저스 | C | 1 | 60 | 8 | 0.13 |
1948–49 | 빌 쿼켄부시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D | 1 | 60 | 0 | 0.00 |
1949–50 | 에드가 라프라데 | 뉴욕 레인저스 | C | 1 | 60 | 2 | 0.03 |
1950–51 | 레드 켈리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D | 1 | 70 | 24 | 0.34 |
1951–52 | 시드 스미스 |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LW | 1 | 70 | 6 | 0.09 |
1952–53 | 레드 켈리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D | 2 | 70 | 8 | 0.11 |
1953–54 | 레드 켈리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D | 3 | 62 | 18 | 0.29 |
1954–55 | 시드 스미스 |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LW | 2 | 70 | 14 | 0.20 |
1955–56 | 얼 라이블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C | 1 | 68 | 10 | 0.15 |
1956–57 | 앤디 헤븐턴 | 뉴욕 레인저스 | RW | 1 | 70 | 10 | 0.14 |
1957–58 | 카밀 헨리 | 뉴욕 레인저스 | LW | 1 | 70 | 2 | 0.03 |
1958–59 | 알렉스 델베키오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LW | 1 | 70 | 6 | 0.09 |
1959–60 | 돈 맥키니 | 보스턴 브루인스 | C | 1 | 70 | 28 | 0.40 |
1960–61 | 레드 켈리 |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C | 4 | 64 | 12 | 0.19 |
1961–62 | 데이브 케온 |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C | 1 | 64 | 2 | 0.03 |
1962–63 | 데이브 케온 |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C | 2 | 68 | 2 | 0.03 |
1963–64 | 케니 워럼 | 시카고 블랙호크스 | RW | 1 | 70 | 18 | 0.26 |
1964–65 | 바비 헐 | 시카고 블랙호크스 | LW | 1 | 61 | 32 | 0.52 |
1965–66 | 알렉스 델베키오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C | 2 | 70 | 16 | 0.23 |
1966–67 | 스탠 미키타 | 시카고 블랙호크스 | C | 1 | 70 | 12 | 0.17 |
1967–68 | 스탠 미키타 | 시카고 블랙호크스 | C | 2 | 72 | 14 | 0.19 |
1968–69 | 알렉스 델베키오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C | 3 | 72 | 8 | 0.11 |
1969–70 | 필 고예트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 | C | 1 | 72 | 16 | 0.22 |
1970–71 | 조니 부시크 | 보스턴 브루인스 | LW | 1 | 78 | 8 | 0.10 |
1971–72 | 진 라텔 | 뉴욕 레인저스 | C | 1 | 63 | 4 | 0.06 |
1972–73 | 길버트 페로 | 버펄로 세이버스 | C | 1 | 78 | 10 | 0.13 |
1973–74 | 조니 부시크 | 보스턴 브루인스 | LW | 2 | 76 | 8 | 0.11 |
1974–75 | 마르셀 디온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C | 1 | 80 | 14 | 0.18 |
1975–76 | 진 라텔 | 보스턴 브루인스 | C | 2 | 80 | 18 | 0.23 |
1976–77 | 마르셀 디온 | 로스앤젤레스 킹스 | C | 2 | 80 | 12 | 0.15 |
1977–78 | 로버트 "버치" 고링 | 로스앤젤레스 킹스 | C | 1 | 80 | 2 | 0.03 |
1978–79 | 밥 맥밀란 | 애틀랜타 플레임스 | C | 1 | 77 | 14 | 0.18 |
1979–80 | 웨인 그레츠키 | 에드먼턴 오일러스 | C | 1 | 79 | 21 | 0.27 |
1980–81 | 릭 케호 | 피츠버그 펭귄스 | RW | 1 | 80 | 6 | 0.08 |
1981–82 | 릭 미들턴 | 보스턴 브루인스 | RW | 1 | 75 | 12 | 0.16 |
1982–83 | 마이크 보시 | 뉴욕 아일랜더스 | RW | 1 | 79 | 20 | 0.25 |
1983–84 | 마이크 보시 | 뉴욕 아일랜더스 | RW | 2 | 67 | 8 | 0.12 |
1984–85 | 야리 쿠리 | 에드먼턴 오일러스 | RW | 1 | 73 | 30 | 0.41 |
1985–86 | 마이크 보시 | 뉴욕 아일랜더스 | RW | 3 | 80 | 14 | 0.18 |
1986–87 | 조 멀렌 | 캘거리 플레임스 | RW | 1 | 79 | 14 | 0.18 |
1987–88 | 마츠 나스런드 |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 LW | 1 | 78 | 14 | 0.18 |
1988–89 | 조 멀렌 | 캘거리 플레임스 | RW | 2 | 79 | 16 | 0.20 |
1989–90 | 브렛 헐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 | RW | 1 | 80 | 24 | 0.30 |
1990–91 | 웨인 그레츠키 | 로스앤젤레스 킹스 | C | 2 | 78 | 16 | 0.21 |
1991–92 | 웨인 그레츠키 | 로스앤젤레스 킹스 | C | 3 | 74 | 34 | 0.46 |
1992–93 | 피에르 투르겐 | 뉴욕 아일랜더스 | C | 1 | 83 | 26 | 0.31 |
1993–94 | 웨인 그레츠키 | 로스앤젤레스 킹스 | C | 4 | 81 | 20 | 0.25 |
1994–95 | 론 프랜시스 | 피츠버그 펭귄스 | C | 1 | 44 | 18 | 0.41 |
1995–96 | 폴 카리아 | 마이티 덕스 오브 애너하임 | LW | 1 | 82 | 20 | 0.24 |
1996–97 | 폴 카리아 | 마이티 덕스 오브 애너하임 | LW | 2 | 69 | 6 | 0.09 |
1997–98 | 론 프랜시스 | 피츠버그 펭귄스 | C | 2 | 81 | 20 | 0.25 |
1998–99 | 웨인 그레츠키 | 뉴욕 레인저스 | C | 5 | 70 | 14 | 0.20 |
1999–2000 | 파볼 데미트라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 | C | 1 | 71 | 8 | 0.11 |
2000–01 | 조 사키치 | 콜로라도 애벌런치 | C | 1 | 82 | 30 | 0.37 |
2001–02 | 론 프랜시스 |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 | C | 3 | 80 | 18 | 0.23 |
2002–03 | 알렉산더 모길니 |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RW | 1 | 73 | 12 | 0.16 |
2003–04 | 브래드 리차드 | 탬파베이 라이트닝 | C | 1 | 82 | 12 | 0.15 |
2004–05 | 2004–05 NHL 직장 폐쇄로 인해 시즌이 취소됨 | ||||||
2005–06 | 파벨 다추크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C | 1 | 75 | 22 | 0.29 |
2006–07 | 파벨 다추크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C | 2 | 79 | 20 | 0.25 |
2007–08 | 파벨 다추크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C | 3 | 82 | 20 | 0.24 |
2008–09 | 파벨 다추크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C | 4 | 81 | 22 | 0.27 |
2009–10 | 마르탱 생루이 | 탬파베이 라이트닝 | RW | 1 | 82 | 12 | 0.15 |
2010–11 | 마르탱 생루이 | 탬파베이 라이트닝 | RW | 2 | 82 | 12 | 0.15 |
2011–12 | 브라이언 캠벨 | 플로리다 팬서스 | D | 1 | 82 | 6 | 0.07 |
2012–13 | 마르탱 생루이 | 탬파베이 라이트닝 | RW | 3 | 48 | 14 | 0.29 |
2013–14 | 라이언 오릴리 | 콜로라도 애벌런치 | C | 1 | 80 | 2 | 0.03 |
2014–15 | 이르지 후들러 | 캘거리 플레임스 | RW | 1 | 78 | 14 | 0.18 |
2015–16 | 안제 코피타르 | 로스앤젤레스 킹스 | C | 1 | 81 | 16 | 0.20 |
2016–17 | 조니 고드로 | 캘거리 플레임스 | LW | 1 | 72 | 4 | 0.06 |
2017–18 | 윌리엄 칼슨 | 베가스 골든 나이츠 | C | 1 | 82 | 12 | 0.15 |
2018–19 | 알렉산더 바르코프 | 플로리다 팬서스 | C | 1 | 82 | 8 | 0.10 |
2019–20 | 네이선 맥키넌 | 콜로라도 애벌런치 | C | 1 | 69 | 12 | 0.17 |
2020–21 | 제이콥 슬라빈 |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 | D | 1 | 52 | 2 | 0.04 |
2021–22 | 카일 코너 | 위니펙 제츠 | LW | 1 | 79 | 4 | 0.05 |
2022–23 | 안제 코피타르 | 로스앤젤레스 킹스 | C | 2 | 82 | 4 | 0.05 |
2023–24 | 제이콥 슬라빈 |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 | D | 2 | 81 | 8 | 0.10 |
3. 2. 복수 수상자
여러 선수들이 레이디 빙 메모리얼 트로피를 여러 번 수상했다. 프랭크 보처가 7회로 가장 많이 수상했으며, 그 뒤를 이어 웨인 그레츠키가 5회, 레드 켈리와 파벨 다추크가 4회, 바비 바우어, 알렉스 델베키오, 마이크 보시, 마르탱 생루이, 론 프랜시스가 각각 3회 수상했다.[7]


선수 | 수상 횟수 | 팀 |
---|---|---|
프랭크 보처 | 7 | 뉴욕 레인저스 |
웨인 그레츠키 | 5 | 에드먼턴 오일러스, 로스앤젤레스 킹스, 뉴욕 레인저스 |
레드 켈리 | 4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파벨 다추크 | 4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바비 바우어 | 3 | 보스턴 브루인스 |
알렉스 델베키오 | 3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마이크 보시 | 3 | 뉴욕 아일랜더스 |
마르탱 생루이 | 3 | 탬파베이 라이트닝 |
론 프랜시스 | 3 | 피츠버그 펭귄스,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 |
3. 3. 팀별 수상 횟수
팀 | 수상 횟수 |
---|---|
뉴욕 레인저스 | 14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14 |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 9 |
시카고 블랙호크스 | 8 |
보스턴 브루인스 | 8 |
로스앤젤레스 킹스 | 6 |
4. 각주
이 트로피는 마리 에블린 모턴 (레이디 빙)을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으며, 그녀는 제1대 비미 자작의 캐나다 총독 부인이었고, 비미 능선 전투에서 캐나다군을 지휘했으며 1921년부터 1926년까지 캐나다 총독을 지냈다. 열렬한 하키 팬이었던 레이디 빙은 1924–25년에 이 트로피를 NHL에 기증하기로 결정했다.[3]
레이디 빙은 트로피의 첫 번째 수상자로 오리지널 오타와 세너터스의 프랭크 나이버를 선정했다. 시즌 말에 그녀는 나이버를 리도 홀로 초대하여 트로피를 보여주고, NHL이 가장 신사적인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이 트로피를 받아들일지 물었다. 나이버가 그렇게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하자, 레이디 빙은 나이버가 놀랍게도 그에게 트로피를 수여했다.[4][5]
뉴욕 레인저스의 프랭크 부처가 8년 동안 7번이나 이 상을 수상하자, 레이디 빙은 깊은 감명을 받아 그에게 오리지널 트로피를 주어 보관하게 했다. 그리고 그녀는 1935–36년에 두 번째 트로피를 기증했다. 레이디 빙이 1949년에 사망하자 NHL은 또 다른 트로피를 수여하고 공식 명칭을 레이디 빙 기념 트로피로 변경했다.[3] 1962년, 오리지널 트로피는 부처의 집에서 발생한 화재로 소실되었다.[6]
참조
[1]
웹사이트
Lady Byng Memorial Trophy history
http://www.legendsof[...]
Legendsofhockey.net
2007-08-20
[2]
웹사이트
Foppa shows the most Hart
http://sportsillustr[...]
SI.com
2007-08-01
[3]
웹사이트
Lady Byng Memorial Trophy history
http://www.nhl.com/i[...]
NHL.com
2007-08-20
[4]
서적
Champions: The Illustrated History of Hockey's Greatest Dynasties
Triumph Books
[5]
웹사이트
Frank Nighbor
http://www.legendsof[...]
[6]
문서
Boucher, p. 12.
[7]
간행물
Lady Byng Trophy
https://www.thecanad[...]
2019-09-08
[8]
웹사이트
Hart Memorial Trophy history
http://www.nhl.com/t[...]
NHL.com
2007-07-31
[9]
웹인용
Lady Byng Memorial Trophy history
http://www.legendsof[...]
Legendsofhockey.net
2007-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