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는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있는, 폰차트레인 호수를 가로지르는 총 연장 38.42km의 교량이다. 19세기 초 페리 서비스에서 시작되어 1948년 어니스트 M. 로엡 주니어의 구상으로 건설이 시작되었다. 1956년 2차선 다리가 개통되었으며, 1969년 평행 2차선 다리가 추가로 건설되었다. 건설 이후 통행료를 징수해 왔으며,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인해 피해를 입었으나, 구조적인 큰 손상은 없었다. 코즈웨이는 한때 세계에서 물 위에 있는 가장 긴 다리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으나, 현재는 '물 위를 지나는 최장 다리(연속)'으로 분류된다. 2013년에는 미국 토목 학회에 의해 국가 역사 토목 공학 랜드마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코즈웨이 |
위치 | 메테리와 맨더빌, 루이지애나주, 미국 |
통행량 | 약 43,000대 |
이미지 | |
![]() | |
구조 및 설계 | |
종류 | 저층 트레슬 교량, 중앙 경간 도개교 |
차선 | 코즈웨이 대로 4차선 |
길이 | 38.442 km (23.875 마일) |
높이 | 15 피트 (4.6 m) |
관리 및 통행료 | |
관리 | 코즈웨이 위원회 |
통행료 | 6.00 달러 (남행) |
개통 및 폐쇄 | |
개통일 | 남행: 1956년 8월 30일 북행: 1969년 5월 10일 |
2. 역사
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 건설에 대한 아이디어는 19세기 초 만데빌의 설립자 버나드 드 마리니가 페리 서비스를 운영하던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1920년대에는 인공 섬을 만들어 다리로 연결하자는 제안도 있었다. 현대적인 코즈웨이 건설은 1948년 어니스트 M. 로엡 주니어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면서 본격화되었고, 그의 노력으로 루이지애나 주 의회는 코즈웨이 위원회를 설립했다.[6][7]
첫 번째 2차선 코즈웨이는 총 길이 약 38.40km로 1956년에 4600만달러의 비용으로 개통되었으며[8], 1964년에는 바지선 충돌로 버스가 추락해 6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9] 이후 교통량 증가에 따라 1969년에는 원래 다리보다 약 0.02km 더 긴 평행한 두 번째 2차선 다리가 3000만달러의 비용으로 개통되었다.[8]
코즈웨이는 개통 이후 통행료를 징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으며, 징수 방식과 요금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99년에는 남쪽 해안의 교통 체증 완화를 위해 북쪽 방향 통행료 징수를 중단하고 남쪽 방향 통행료만 징수하기 시작했으며, 2017년에는 안전 개선을 위해 통행료가 인상되었다.[10]
코즈웨이 개통은 뉴올리언스까지의 이동 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호수 북쪽 해안 지역 사회의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 지역을 뉴올리언스 대도시권의 일부로 편입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전에는 세인트 태머니 교구 주민들이 동쪽의 마에스트리 다리(U.S. Route 11)나 포트 파이크 다리(U.S. Route 90) 또는 서쪽의 U.S. Route 51을 이용해야 했다.[11]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 발생 당시, 코즈웨이는 일부 피해를 입었지만 구조적인 손상은 거의 없었다.[12] 반면 I-10 트윈 스팬 다리가 심각하게 손상되면서, 코즈웨이는 북쪽 지역에서 뉴올리언스로 진입하는 주요 복구 경로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코즈웨이는 허리케인 발생 후 비상 교통을 위해 신속하게 재개통되었고, 이후 일반 대중에게도 개방되었다.
이 다리는 그 역사적, 공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 미국 토목 학회에 의해 국가 역사 토목 공학 랜드마크로 지정되었다.[13]
2. 1. 초기 역사와 건설 배경
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 건설 구상은 19세기 초 만데빌의 창립자인 버나드 드 마리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당시 페리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이 서비스는 1930년대 중반까지 운영되었다. 1920년대에는 여러 개의 다리로 연결된 인공 섬을 만들자는 제안이 나왔다. 이 계획은 섬에 주택 부지를 만들어 판매함으로써 자금을 조달할 예정이었다.현대적인 코즈웨이 건설 계획은 1948년 어니스트 M. 로엡 주니어가 구체적인 구상을 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의 적극적인 활동과 비전 제시를 통해 루이지애나 주 의회는 현재의 코즈웨이 위원회를 설립하게 되었다. 다리 건설을 위해 루이지애나 브리지 컴퍼니가 설립되었고, 이 회사는 제임스 E. 월터스 시니어에게 프로젝트 총괄 책임을 맡겼다.[6] 어니스트 M. 로엡 주니어는 조카인 어니스트 M. 로엡 3세(어니스트 M. 로엡 & 컴퍼니 사장)의 도움을 받아 다리 건설을 계획했다.[7]
2. 2. 최초의 코즈웨이 건설 (1956년)
현대적인 코즈웨이는 1948년 어니스트 M. 로엡 주니어가 프로젝트를 구상하면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그의 노력으로 루이지애나 주 의회는 현재의 코즈웨이 위원회를 만들었다. 다리 건설을 위해 루이지애나 브리지 컴퍼니가 설립되었으며, 이 회사는 제임스 E. 월터스 시니어에게 프로젝트 지휘를 맡겼다.[6] 어니스트 M. 로엡은 조카 어니스트 M. 로엡 3세(Ernest M. Loëb & Company의 사장)의 도움을 받아 다리 건설을 계획했다.[7]
최초의 코즈웨이는 2차선으로 건설되었으며, 총 길이는 약 38.40km에 달했다. 1956년에 개통되었고, 총 건설 비용은 4600만달러였다. 이 비용에는 다리 본체뿐만 아니라 북쪽 끝의 접근 도로 3개와 남쪽 끝의 긴 도로 구간 건설 비용도 포함되었다.[8]
2. 3. 1964년 바지선 충돌 사고
1964년 6월 16일, 바지선이 다리에 충돌하여 구멍을 냈고, 이 사고로 버스 한 대가 호수로 추락하여 6명이 사망했다.[9]2. 4. 두 번째 코즈웨이 건설 (1969년)
원래 다리보다 약 0.02km 더 긴 평행 2차선 다리가 1969년 5월 10일에 개통되었으며, 총 비용은 3000만달러였다.[8]2. 5. 통행료 징수 방식 변화
코즈웨이는 건설 이후 통행료 다리로 운영되어 왔다. 1999년까지는 양방향으로 통행료를 징수했으나, 남쪽 해안의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북쪽 방향 통행료 징수는 폐지되었다. 1999년 5월부터 자동차 표준 통행료는 기존 양방향 1.5달러에서, 북쪽 해안에서 남쪽 방향으로 가는 차량에 대해서만 3USD를 징수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 발생 이후, 코즈웨이는 2005년 9월 19일부터 비상 교통과 일반 대중에게 통행료 없이 개방되었다가 그해 10월 중순부터 다시 통행료 징수를 시작했다.
2017년에는 다리의 안전 개선을 목적으로 통행료가 다시 인상되었다. 통행료는 기존 현금 3달러, 톨 태그(Toll Tag) 2달러에서 현금 5달러, 톨 태그 3달러로 변경되었다.[10]
2. 6. 허리케인 카트리나 피해와 복구
2005년 8월 29일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발생했을 때, 코즈웨이도 영향을 받았다. 당시 수집된 비디오 영상은 다리의 피해 상황을 보여주었다. 폭풍 해일은 코즈웨이 아래에서는 I-10 트윈 스팬 다리 인근만큼 높지 않았으며, 피해는 주로 회차로(turnaround) 구간에 집중되었다.[12] 코즈웨이 자체는 구조적 기초에 손상을 입지 않았으며, 이는 허리케인이나 다른 자연 현상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피해를 거의 입지 않은 코즈웨이의 특징을 보여준다. 기존의 광섬유 케이블 설비가 트레이에서 이탈했지만, 광 시간 영역 반사율 측정기(OTDR) 분석 결과 케이블 자체는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한편, I-10 트윈 스팬 다리는 허리케인으로 인해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12] 이로 인해 코즈웨이는 북쪽 지역에 머물던 복구 팀이 뉴올리언스로 진입하는 핵심 경로로 사용되었다. 코즈웨이는 2005년 9월 19일에 비상 교통을 위해 우선 재개통되었고, 이후 일반 대중에게도 개방되었다. 이 기간 동안 통행료는 일시적으로 면제되었으나, 같은 해 10월 중순부터 다시 징수되기 시작했다.
3. 특징
(내용 없음 -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3. 1. 루이지애나 주의 다른 장대 교량과의 비교
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는 루이지애나에 있는 총 길이가 약 8.05km 이상인 7개의 고속도로 교량 중 하나이다. 다른 긴 교량들은 다음과 같다.교량 이름 | 위치 (도로) | 비고 |
---|---|---|
만착 습지 다리 | I-55 | 루이지애나에서 가장 긴 고속도로 교량 |
아차팔라야 분지 다리 | I-10 | |
루이지애나 1번 고속도로 다리 | LA 1 | |
보닛 카레 스필웨이 다리 | I-10 | |
차카훌라 습지 다리 | U.S. 90 | |
I-10 트윈 스팬 | I-10 | 레이크 폰차트레인 횡단 |
라브랑치 습지 다리 | I-310 |
마에스트리 다리도 거의 약 8.05km에 근접하지만, 총 길이는 약 약 7.72km로 약간 부족하다. 루이지애나에는 또한 약 9.33km 길이의 노포크 서던 레이크 폰차트레인 다리가 있는데, 이는 미국에서 가장 긴 철도 다리 중 하나이다.
만착 습지 다리의 남쪽 끝(레이크 폰차트레인의 서쪽 가장자리)은 I-10 보닛 카레 스필웨이 다리의 서쪽 끝(레이크 폰차트레인의 남서쪽 가장자리)과 연결되고, 라브랑치 습지 다리의 북쪽 끝은 I-10 보닛 카레 스필웨이 다리의 동쪽 끝과 연결된다. 따라서 이 세 개의 다리는 사실상 하나의 연속된 교량으로 볼 수 있으며, 이 연속된 고가도로의 총 운전 거리는 약 61.15km 이상이다.
3. 2. 기네스 세계 기록 논쟁
수십 년 동안 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는 ''기네스 세계 기록''에 의해 세계에서 물 위에 있는 가장 긴 다리로 등재되었다. 2011년 7월 중국의 자오저우만 대교가 ''기네스 세계 기록''에 의해 '물 위에 있는 가장 긴 다리'로 선정되었다.[4] 당시 미국에서는 이전 기록 보유자인 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의 지지자들이 ''기네스 세계 기록''에서 코즈웨이를 최장 교량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에 동의하지 않아 논란이 일었다.[14] 지지자들은 다리의 물리적인 길이, 즉 물 위에 있는 다리의 길이를 기준으로 이 주장을 펼쳤으며, 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의 길이가 38.28km에 달하므로 가장 긴 다리라고 결론을 내렸다. 자오저우만 대교는 물 위를 25.9km만 지난다. 그러나 ''기네스 세계 기록''은 육교와 해저 터널과 같은 총체적인 구조물을 포함하는 측정 기준을 사용하여 자오저우만 대교의 길이가 42.6km라고 밝혔다.[4] 2011년 7월의 이 논란 이후 ''기네스 세계 기록''은 물 위의 다리에 대해 연속 길이와 총체적 길이의 두 가지 범주를 만들었다. 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는 이후 ''물 위를 지나는 최장 다리(연속)''[3]가 되었고, 자오저우만 대교는 ''물 위를 지나는 최장 다리(총체적)''[4]가 되었다.2015년 12월 현재, 전체 길이를 포함하여 2011년에 완공된 중화인민공화국에 있는 자오저우만 대교의 41.58km가 세계 최장의 해상 교량으로 여겨지지만, 하나의 다리로서의 길이는 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가 세계 최장이며 기네스북에도 등재되어 있다.[15] 하지만 2016년 터널을 포함한 전체 길이 50km의 강주아오 대교가 개통되면서 이 기록은 갱신되었다.

4. 사회적, 경제적 의의
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의 건설은 폰차트레인 호 북쪽 해안 지역과 뉴올리언스를 직접 연결하며 중요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에는 호수를 크게 우회해야 했던 교통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북부 해안 지역 사회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교통망 개선은 해당 지역이 뉴올리언스 대도시권으로 통합되는 과정을 가속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4. 1. 뉴올리언스 대도시권 확장
코즈웨이 개통은 뉴올리언스까지의 운전 시간을 최대 50분까지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는 폰차트레인 호수 북쪽 해안에 위치한 작은 지역 사회들의 경제적 발전을 촉진했으며, 이 지역들을 뉴올리언스 대도시권의 일부로 편입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코즈웨이가 건설되기 이전, 세인트 태머니 교구 주민들이 뉴올리언스로 가기 위해서는 슬라이델 근처에 있는 U.S. Route 11의 마에스트리 다리나 U.S. Route 90의 포트 파이크 다리를 이용해야 했다. 또는 서쪽으로 만착을 통과하는 U.S. Route 51을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었다.[11]4. 2. 교통망 개선
코즈웨이가 개통되기 전, 세인트 태머니 교구 주민들이 뉴올리언스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U.S. Route 11의 마에스트리 다리나 U.S. Route 90의 포트 파이크 다리를 이용해야 했다. 이 두 다리는 모두 슬라이델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또는 서쪽으로 만착을 통과하는 U.S. Route 51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었다.[11]코즈웨이의 개통은 이러한 교통 상황을 크게 개선했다. 뉴올리언스까지의 운전 시간이 최대 50분까지 단축되었으며, 이는 북쪽 해안 지역 사회의 경제적 발전에 기여하고 해당 지역을 뉴올리언스 대도시권의 일부로 편입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1]
5. 기술적 의의
(내용 없음)
5. 1. 미국 토목 학회(ASCE)의 국가 역사 토목 공학 랜드마크 지정 (2013년)
이 다리는 2013년 미국 토목 학회에 의해 국가 역사 토목 공학 랜드마크로 지정되었다.[13]참조
[1]
웹사이트
Causeway lighting project cost double expectations
http://www.nola.com/[...]
2007-02-22
[2]
웹사이트
The Causeway website
http://www.thecausew[...]
2013-03-21
[3]
웹사이트
Longest bridge over water (continuous)
http://www.guinnessw[...]
2019-02-01
[4]
웹사이트
Longest bridge over water (aggregate length)
http://www.guinnessw[...]
2019-02-01
[5]
웹사이트
PILE RESTORATION OF THE LAKE PONTCHARTRAIN CAUSEWAY
http://www.madconcor[...]
2008-12-19
[6]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Lake Pontchartrain Causeway
http://louisianacivi[...]
2012-01-14
[7]
웹사이트
Life and Times of Ernest M Loeb III
http://files.usgwarc[...]
[8]
뉴스
Safety Improvements {{!}} Causeway Bridge
http://www.thecausew[...]
2017-05-19
[9]
뉴스
6 Die in Lake Pontchartrain as Bus Plunges Off Bridge Hit by Barges
https://www.nytimes.[...]
1964-06-17
[10]
뉴스
Toll Tags {{!}} Causeway Bridge Tolls & Fees
http://www.thecausew[...]
2017-05-19
[1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Lake Pontchartrain Causeway
http://louisianacivi[...]
2012-01-14
[12]
서적
Hurricane Katrina: Performance of Transportation Systems
http://www.asce.org/[...]
ASCE, TCLEE
[13]
뉴스
Lake Pontchartrain Causeway named National Historic Civil Engineering Landmark
https://www.nola.com[...]
2013-11-09
[14]
뉴스
Causeway refuses to relinquish 'world's longest bridge' title to China
http://www.nola.com/[...]
2011-06-30
[15]
뉴스
China builds world's longest bridge
http://www.telegraph[...]
The Telegraph
2011-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