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흐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흐족은 폴란드, 마소비아, 비스와 등 다양한 민족을 포함하는 서슬라브족의 일파이다. 이들은 폴란드 지역, 포모제 지역, 기타 지역에 걸쳐 거주했으며, 실론스크인, 포모제인, 오보트리티인, 벨레티인 등으로 세분된다. 폴란드 전설에 따르면, 레흐는 폴란드의 건국자로 묘사되며, 체흐, 루스와 함께 정착지를 찾아 떠돌다 그니에즈노에 정착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레흐어군은 폴란드어, 포메라니아어, 폴라비아어를 포함하며, 레흐라는 이름은 폴란드에서 흔히 사용되는 이름으로, 폴란드 역사와 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흐족 - 카슈브인
    카슈브인은 폴란드 북부 포메라니아 지역에 거주하며 포모제인을 기원으로 하는 서슬라브계 소수민족으로, 독일인의 동방 식민 운동에도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폴란드와 독일 등의 지배를 거쳐 현재 폴란드 내 50만 명 이상이 거주하고, 폴란드 정부의 보호 아래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보존하고 있다.
  • 레흐족 - 포모제인
    포모제인은 6세기경에 형성되어 켈트족, 게르만족, 슬라브족의 영향을 받았으며, 12세기에는 폴란드, 덴마크, 신성 로마 제국의 침략을 받고 독일화 과정을 거치면서 동화된 서슬라브족 부족이다.
레흐족
개요
이름레흐족
다른 이름폴란드족
언어레흐어군
거주 지역폴란드
역사
기원원시 슬라브족
분열폴란드인
카슈브인
실롱크인
문화
언어폴란드어
카슈브어
실레시아어
민족
주요 민족폴란드인
카슈브인
실롱크인

2. 레흐족에 속하는 민족

레흐족에 속하는 민족은 다음과 같다.


  • 폴라비아인 (†)
  • 라디미체인[19] (†)
  • 뱌티치인[19] (†)
  • 오보트리티인 (†)
  • 본토오보트리티인
  • 바그리인
  • 바르나비인
  • 폴라비인
  • Linonen
  • Travnjane
  • 드레바니인
  • 벨레티인 (†)
  • 루티치인
  • 키시니인
  • 키르치파니인
  • 톨렌시아인
  • 레다리아인
  • 우크리인
  • 라니인
  • 헤벨리인
  • 볼리니아인
  • 프리사니인
  • 소르브인
  • 루지치아니
  • 베네디

2. 1. 폴란드 지역

부족 이름설명
폴란인 (폴인)
마소비아인
비스와인
고플라인
렌디아인
실론스크인
Bieżuńczanie
Bobrzanie
Dziadoszanie
Golęszyce
Lubuszanie
Opolanie
Ślężanie
Trzebowianie
포모제인
카슈브인
슬로빈치인 (†)
프리사니인 (†)
볼리니아인 (†)


2. 2. 포모제 지역

2. 3. 기타 지역


  • 폴란인
  • 마소비아인
  • 비스와인
  • 고플라인
  • 렌디아인
  • 실론스크인
  • * Bieżuńczanie
  • * Bobrzanie
  • * Dziadoszanie
  • * Golęszyce
  • * Lubuszanie
  • * Opolanie
  • * Ślężanie
  • * Trzebowianie
  • 포모제인
  • * 카슈브인
  • * 슬로빈치인 (†)
  • * 프리사니인 (†)
  • * 볼리니아인 (†)
  • 폴라비아인 (†)
  • 라디미체인[19] (†)
  • 뱌티치인[19] (†)
  • 오보트리티인 (†)
  • * 본토오보트리티인
  • * 바그리인
  • * 바르나비인
  • * 폴라비인
  • * Linonen
  • * Travnjane
  • * 드레바니인
  • 벨레티인 (†)
  • * 루티치인
  • ** 키시니인
  • ** 키르치파니인
  • ** 톨렌시아인
  • ** 레다리아인
  • * 우크리인
  • * 라니인
  • * 헤벨리인
  • * 볼리니아인
  • * 프리사니인

3. 역사

폴란드 전설에 따르면, 미에슈코 1세는 동부 레히트 부족이 거주하는 영토의 2/3 이상을 다스린 아버지로부터 공작위를 물려받았다. 그는 오데르강 동쪽의 레히트족(폴라니, 마조비아, 포메라니아인, 비스툴란, 실레지아인)을 하나의 국가인 폴란드로 통합했다. 그의 아들인 볼레스와프 1세 용감공은 브로츠와프, 코워브제크, 크라쿠프에 주교구를 세웠고, 그니에즈노에 대주교구를 세웠다. 볼레스와프는 보헤미아, 모라비아, 키예프 루스, 루사티아를 상대로 성공적인 전쟁을 수행했으며, 서부 포메라니아인에게 폴란드에 조공을 바치도록 강요했다. 죽기 직전인 1025년 볼레스와프는 폴란드 최초의 국왕이 되었다.

3. 1. 리메스 작소니아이

약 810년경 현재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에 설정된 작센과 레히틱 오보트리테 사이의 국경인 ''리메스 작소니아이''

4. 레흐어군

서슬라브족은 폴란드인, 포메라니아인,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소르브인, 폴라비아인의 조상 민족이다. 북부의 레히틱어군은 폴란드어, 멸종 위기에 놓인 포메라니아어, 사어인 폴라비아어를 포함하며, 실레지아어도 이 그룹에 속한다. 소르브어는 폴라비아 지역 남부에 위치하며, 오늘날 상부 및 하부 루사티아에서 보존되어 있고, 레히틱어군과 체코-슬로바키아어군 사이에 위치한다.[5]

5. 레흐(Lech)라는 이름

마체이 미에호비타의 ''폴란드 연대기''에 묘사된 전설적인 통치자 레흐


레흐 또는 레셰크, 레스트코, 레슈코, 레스텍, 레호스와프는 폴란드에서 매우 인기 있는 이름이었다. 레흐는 피아스트 왕조의 레스트코, 레셰크 1세 백공, 레셰크 2세 흑공, 마조비아 공작 레셰크, 라치부르츠의 레셰크와 같은 구성원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남자 이름이었다. 대폴란드 중심부에 있는 그니에즈노의 가장 오래된 부분은 Wzgórze Lechapl(''레흐의 언덕'')와 Góra Królewskapl(''왕의 언덕'')로 알려져 있다.

갈루스 아노니무스가 1112년에서 1118년 사이에 완성한 ''폴란드 공작들의 행적''에서 언급된 레스트코[6][7][8]는 기원전 870-880년경에 태어난 시모비트의 아들이자 폴란드의 두 번째 전설적인 공작이었다. 10세기 독일 왕국의 연대기인 코르베의 비두킨트가 쓴 ''Res gestae saxonicae sive annalium libri tres''는 미에슈코 1세가 현재 폴란드에 살았던 '리치카비키'라는 부족을 다스렸으며 "레스토비치"(렌디안과 동일시)로 알려졌다고 언급했다.

빈센티 카들루베크는 1190년에서 1208년 사이에 쓰여진 ''폴란드 왕과 공작의 연대기''에서 중세 폴란드 전체를 묘사하기 위해 여러 번 ''Lechitae''(레치테스), ''lechiticus''(레치틱) 및 ''Lechia''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0][11] ''대폴란드 연대기'' 1273년에는 카시미르 1세 재건왕을 "폴란드의 왕은 레치테스를 의미한다"고 묘사했다.[12] "폴란드인"과 "레치테스"라는 두 이름 모두 중세 폴란드에서 적절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Laesir는 폴란드 비스와 강 근처에 사는 Ljachar족을 지칭하는 고대 노르드어 용어이다."[13]

5. 1. 폴란드 연대기에서의 레흐



레흐 또는 레셰크, 레스트코, 레슈코, 레스텍, 레호스와프는 폴란드에서 매우 인기 있는 이름이었다. 대폴란드 중심부에 있는 그니에즈노의 가장 오래된 부분은 ''Wzgórze Lechapl''(레흐의 언덕)와 ''Góra Królewskapl''(왕의 언덕)로 알려져 있다.

갈루스 아노니무스가 1112년에서 1118년 사이에 완성한 ''폴란드 공작들의 행적''에서 언급된 레스트코는[6][7][8] 기원전 870-880년경에 태어난 시모비트의 아들이자 폴란드의 두 번째 전설적인 공작이었다. 10세기 독일 왕국의 연대기인 코르베의 비두킨트가 쓴 ''Res gestae saxonicae sive annalium libri tres''는 미에슈코 1세가 현재 폴란드에 살았던 ''리치카비키''라는 부족을 다스렸으며 "레스토비치"-역사학자들이 렌디안과 동일시한 레스텍의 부족-으로 알려졌다고 언급했다.

빈센티 카들루베크는 1190년에서 1208년 사이에 쓰여진 ''폴란드 왕과 공작의 연대기''에서 중세 폴란드 전체를 묘사하기 위해 여러 번 ''Lechitae''(레치테스), ''lechiticus''(레치틱) 및 ''Lechia''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0][11] ''대폴란드 연대기'' 1273년에는 카시미르 1세 재건왕을 "폴란드의 왕은 레치테스를 의미한다"고 묘사했다.[12]

5. 2. 레히아(Lechia)

마체이 미에호비타의 ''폴란드 연대기(Chronica Polonorum)''에 묘사된 전설적인 통치자 레흐의 모습.

빈센티 카들루베크는 1190년에서 1208년 사이에 쓰여진 ''폴란드 왕과 공작의 연대기(Chronica seu originale regum et principum Poloniae)''에서 중세 폴란드 전체를 묘사하기 위해 ''Lechitae''(레치테스), ''lechiticus''(레치틱), ''Lechia''라는 이름을 여러 번 사용했다.[10][11] 1273년 ''대폴란드 연대기(Chronicle of Greater Poland)''에서는 카시미르 1세 재건왕을 "폴란드의 왕은 레치테스를 의미한다"고 묘사했다.[12] "폴란드인"과 "레치테스"라는 두 이름은 중세 폴란드에서 모두 적절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폴란드 국가를 지칭하는 ''Lechia''라는 이름의 다양한 형태는 여러 유럽 언어와 중앙 아시아 및 중동의 일부 언어에 남아 있다. 예를 들어 루마니아어로는 "Lehia", 페르시아어로는 "Lahestân/لهستان"(페르시아어에서 차용하여 아르메니아어로는 "Lehastan", 오스만 튀르크어로는 "Lehistan")가 있다.

6. 전설

폴란드 문학에서 레흐는 폴란드의 전설적인 건국자 이름이다. 레흐, 체흐, 루스 세 형제가 폴란드(레히아), 보헤미아(체코)와 루스(루테니아)를 세웠다는 전설이 있으며, 레흐는 그니에즈노의 건국자였다.

세 형제가 정착할 곳을 찾아 탐험하다 늙은 참나무와 독수리가 있는 언덕을 발견하고, 레흐가 그곳에 그니에즈노를 세웠다는 전설과 레흐와 체흐 두 형제만 등장하는 전설의 변형은 프라하의 코스마스가 처음 기록했다는 내용 등이 전해진다.

6. 1. 레흐, 체흐, 루스 전설

레흐는 폴란드 문학에서 폴란드의 전설적인 건국자의 이름이기도 하다. 이 전설은 레흐, 체흐, 루스 세 형제에 대해 묘사하는데, 이들은 각각 세 개의 슬라브 민족, 즉 폴란드 (''레히아''로도 알려짐), 보헤미아 (''체히'', 현재의 체코)와 루스 (''루테니아'')를 세웠다고 한다. 이 전설에서 레흐는 그니에즈노의 건국자였다.

Lech, Czech i Ruspl 세 형제가 정착할 곳을 찾기 위해 황야를 탐험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그들은 늙은 참나무와 그 위에 독수리가 있는 언덕을 보았다. 레흐는 '이 하얀 독수리를 내 백성의 상징으로 삼고, 이 참나무 주위에 요새를 지을 것이다. 그리고 독수리 둥지(폴란드어: ''gniazdo'') 때문에 나는 이곳을 그니에즈노(현대: 그니에즈노)라고 부를 것이다.'라고 말했다. 다른 형제들은 그들의 백성을 위한 장소를 찾기 위해 더 멀리 갔다. 체흐는 남쪽으로 가 체코를 건국했고, 루스는 동쪽으로 가 루스를 건설했다.

레흐와 체흐 두 형제만 등장하는 전설의 다른 판본은 프라하의 코스마스가 처음 기록했다. 이 전설은 1273년에 라틴어로 쓰인 ''크로니카 비엘코폴스카''( "대 폴란드 연대기")와 1314년에 체코어로 쓰인 달리밀 연대기에도 묘사되어 있다.

6. 2. 프라하의 코스마스의 연대기

레흐는 폴란드 문학에서 폴란드의 전설적인 건국자의 이름이기도 하다. 세 형제 레흐, 체흐, 루스의 전설은 폴란드(레히아로도 알려짐), 보헤미아(체히, 현재의 체코)와 루스(루테니아)를 세웠다고 묘사한다. 이 전설에서 레흐는 그니에즈노의 건국자였다.

두 형제 레흐와 체흐만 등장하는 전설의 변형은 프라하의 코스마스가 처음 기록했다. 이 전설은 1273년에 라틴어로 쓰인 ''크로니카 비엘코폴스카''( "대 폴란드 연대기")와 1314년에 체코어로 쓰인 달리밀 연대기에 묘사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Język polski 1978
[2] 서적 Morkinskinna: The Earliest Icelandic Chronicle of the Norwegian Kings (1030–1157)
[3] 서적 Annales seu cronicae incliti Regni Poloniae
[4] 서적 The making of the Russian nation Greenwood Press 1977
[5]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 900-c.1024 2000
[6] 서적 Gesta Principum Polonorum: The Deeds of the Princes of the Poles Budapest 2003
[7] 서적 Khronika u Deianiia Kniazei ili Pravitelei Polskikh Moscow 1961
[8] 서적 Historiarum Poloniae et Magni Ducatus Lithuaniae Scriptorum Quotquot Ab Initio Reipublicae Polonae Ad Nostra Usque Temporar Extant Omnium Collectio Magna Warsaw 1769
[9] 논문 The three books of the deeds of the Saxons, by Widukind of Corvey, translated with introduction, notes, and bibli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949
[10] 웹사이트 Text of "Chronica seu originale regum et principum Poloniae" in Latin http://kpbc.umk.pl/d[...] 2011-01-04
[11] 간행물 Monumenta Poloniae historica Lwów 1872
[12] 서적 Kronika wielkopolska PWN, Warszawa 1965
[13] 서적 Morkinskinna: The Earliest Icelandic Chronicle of the Norwegian Kings (1030–1157)
[14] 서적 Studia nad Kroniką wielkopolską Poznańskie Towarzystwo Przyjaciół Nauk, Poznań 1952
[15] 서적 Die alttschechische Reimchronik des sogenannten Dalimil Munich: Sagner 1981
[16] 서적 Język polski 1978
[17] 서적 Morkinskinna: The Earliest Icelandic Chronicle of the Norwegian Kings (1030–1157)
[18] 서적 Annales seu cronicae incliti Regni Poloniae
[19] 서적 The making of the Russian nation Greenwood Press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