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더 (컴퓨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더는 운영 체제에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이다. 유닉스에서는 `execve()` 시스템 호출의 핸들러로, 실행 파일의 유효성 검사, 메모리 매핑, 레지스터 초기화 등을 수행한다. 윈도우에서는 `ntdll.dll`의 `LdrInitializeThunk` 함수가 로더 역할을 하며, DLL 구조 초기화, 실행 파일 유효성 검사, 힙 생성, DLL 로드 및 초기화 등의 작업을 처리한다. 로더는 동적 링커, 재배치 로더, 부트 로더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동적 프로그램 로딩을 지원하지 않는 일부 시스템에서는 로더가 존재하지 않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운영 체제 커널 - 커널 (컴퓨팅)
커널은 운영 체제의 핵심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 상호 작용을 관리하며 시스템 보안, 자원 관리, 하드웨어 추상화, 프로세스 스케줄링, 프로세스 간 통신, 다중 작업 환경 지원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모놀리식, 마이크로, 혼합형 커널 등으로 구현되며 가상화 및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운영 체제 커널 - 커널 패닉
커널 패닉은 운영 체제의 치명적인 오류로, 시스템 작동을 즉시 중단시키며, 하드웨어 고장, 소프트웨어 버그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 라이브러리 - 바이너리 재컴파일러
- 라이브러리 -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DLL)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프로그램 실행 시 필요한 코드와 데이터를 제공하며, 여러 프로그램에서 공유되어 메모리 효율성을 높이고 모듈성을 향상시키는 라이브러리 형식이다. - 컴퓨터에 관한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컴퓨터에 관한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고 사용하는 정보의 집합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통해 접근하며, 검색 및 갱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도로 구조화되어 있고, 관계형, NoSQL, NewSQL 등 다양한 모델로 발전해왔다.
로더 (컴퓨팅) | |
---|---|
개요 | |
![]() | |
종류 | 시스템 소프트웨어 |
하위 분류 | 운영 체제 |
기능 | 프로그램 및 라이브러리를 주 기억 장치에 로드 |
관련 용어 | 링커 동적 링커 오버레이 실행 파일 라이브러리 재배치 재배치 가능 코드 주소 지정 공간 세그먼트 페이지 가상 메모리 공유 라이브러리 위치 독립 코드 (PIC) 늦은 바인딩 플러그인 확장 바이너리 이미지 코어 덤프 디버거 API 시스템 콜 운영 체제 메모리 관리 소프트웨어 컴퓨터 |
설명 | |
주요 작업 | 실행 파일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및 프로그램 주소 공간을 계산한다. 실행 파일의 코드, 데이터 및 리소스를 메모리에 복사한다. 실행 파일 내의 모든 상대적 주소를 재배치한다. 프로그램 실행을 시작하기 위해 CPU의 프로그램 카운터를 진입점 주소로 설정한다. |
종류 | 절대 로더: 컴파일된 절대 주소에 프로그램을 로드한다. 재배치 가능 로더: 프로그램이 메모리의 사용 가능한 공간에 로드될 수 있도록 재배치를 수행한다. 동적 링커: 프로그램 실행 중에 공유 라이브러리를 로드하고 링킹한다. |
역사 |
2. 기능
로더는 운영체제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작업을 수행한다. 크게 정적 로더와 동적 로더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은 프로그램 실행 방식과 시점에 차이가 있다.
유닉스에서 로더는 `execve()` 시스템 호출에 대한 핸들러이다.[1] 유닉스 로더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7 이상에서 `ntdll.dll`에 포함된 `LdrInitializeThunk` 함수는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유효성 검사: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권한, 메모리 요구 사항 등을 확인한다.
- 메모리 매핑: 실행 가능한 객체를 디스크에서 주 기억 장치로 매모리 맵핑한다.
- 초기화: 명령줄 인수를 가상 메모리에 복사하고, 레지스터를 초기화하며, 프로그램 진입점으로 이동한다.
- 동적 링크: (필요한 경우)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공유 라이브러리를 로드하고 연결한다.
일부 운영 체제는 실행 파일의 주소를 조정하여 로딩 시작 주소의 변동을 보상하는 재배치 로더가 필요하다. 프로그램이 (가상) 주소 공간의 동일한 위치에 항상 로드되지 않고, 포인터가 프로그램의 기저 주소로부터의 오프셋이 아닌 절대 주소인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대표적인 예로 IBM의 OS/360(System/360 메인프레임용)과 이를 계승한 z/OS(z/Architecture 메인프레임용) 등이 있다.
OS/360 및 파생 시스템에서, (특권) 운영 체제 기능은 IEWFETCH[2]라고 불리며 OS Supervisor의 내부 구성 요소이다. 반면, (비특권) LOADER 응용 프로그램은 Linkage Editor의 기능과 함께 많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OS Supervisor 외부에 있다(물론 많은 Supervisor 서비스를 사용한다).
IEWFETCH는 고도로 전문화된 채널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DASD 미디어의 한 바퀴 회전 내에 전체 실행 파일을 로드하고 재배치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이전의 3,600 rpm 드라이브에서 최대 약 16.6 ms, 평균 8.3 ms). 트랙 크기를 초과하는 로드 모듈의 경우에도, 미디어 회전을 잃지 않고 전체 모듈을 로드하고 재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IEWFETCH는 또한 오버레이 구조를 통합하여 잠재적으로 매우 큰 실행 파일을 최소 메모리 모델(OS의 일부 버전에서는 44 KB, 88 KB 및 128 KB가 더 일반적임)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OS의 커널(Supervisor의 항상 상주하는 부분) 자체는 축소된 버전의 IEWFETCH와 호환되는 방식으로 형식이 지정된다. 일반 실행 파일과 달리, OS의 커널은 "분산 로드"된다. 즉, 커널의 일부는 메모리의 다른 부분에 로드된다. 특히 특정 시스템 테이블은 초기 64 KB 아래에 있어야 하며, 다른 테이블과 코드는 다른 곳에 있을 수 있다.
시스템의 Linkage Editor 응용 프로그램의 이름은 IEWL이다.[3] IEWL의 주요 기능은 로드 모듈(실행 프로그램)과 오브젝트 모듈(예: 어셈블러 및 컴파일러의 출력)을 라이브러리(고급 언어 "내장 함수")에 대한 "자동 호출"을 포함하여 IEWFETCH에 의해 가장 효율적으로 로드될 수 있는 형식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많은 수의 편집 옵션이 있지만, 일반적인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이 중 일부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로드 모듈 형식에는 초기 "텍스트 레코드"가 포함되고, 그 뒤에는 해당 텍스트 레코드에 대한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가 즉시 이어지며, 모듈의 끝까지 텍스트 레코드와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 쌍의 더 많은 인스턴스가 이어진다.
텍스트 레코드는 일반적으로 매우 크며,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는 작다. IEWFETCH의 세 개의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 버퍼는 260바이트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더 작은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는 분명히 가능하지만, 260바이트가 최대이며, IEWL은 필요한 경우 다음 텍스트 레코드 전에 추가 재배치 레코드를 삽입하여 이 제한을 준수하도록 한다).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 버퍼 내의 특수 바이트는 "비활성화 비트 스핀" 통신 영역으로 사용되며 고유한 값으로 초기화된다. 해당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에 대한 Read CCW는 프로그램 제어 인터럽트 비트를 설정한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특수 IOS 종료를 통해 채널이 해당 CCW에 액세스했을 때 알림을 받는다. 이 시점에서 프로세서는 "비활성화 비트 스핀" 루프(때로는 "세계에서 가장 짧은 루프"라고도 함)에 들어간다. 해당 바이트가 초기화된 값에서 변경되면 CPU는 비트 스핀을 종료하고, 재배치는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와 다음 텍스트 레코드 사이의 미디어 내 "갭" 동안 발생한다. 재배치가 다음 레코드 전에 완료되면 Read 다음에 오는 NOP CCW는 TIC로 변경되고 다음 버퍼를 사용하여 로드 및 재배치가 진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채널은 또 다른 특수 IOS 종료를 통해 IEWFETCH에 의해 다시 시작될 때까지 NOP CCW에서 중지된다. 세 개의 버퍼는 연속적인 원형 대기열에 있으며, 각 버퍼는 다음 버퍼를 가리키고, 마지막 버퍼는 첫 번째 버퍼를 가리키며, 로드 및 재배치가 진행됨에 따라 세 개의 버퍼가 지속적으로 재사용된다.
따라서 IEWFETCH는 실용적인 크기의 로드 모듈을 최소 시간에 로드하고 재배치할 수 있다.
2. 1. 유효성 검사
유닉스에서 로더는 `execve()` 시스템 호출에 대한 핸들러이다.[1] 유닉스 로더는 권한, 메모리 요구 사항 등 유효성 검사를 수행한다.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7 이상에서 로더는 `ntdll.dll`에 포함된 `LdrInitializeThunk` 함수이며, 실행 파일의 유효성을 검사한다.[1]
2. 2. 메모리 매핑
유닉스에서 로더는 `execve()` 시스템 호출에 대한 핸들러이다.[1] 유닉스 로더는 실행 가능한 객체를 디스크에서 주 기억 장치로 메모리 매핑하는 작업을 수행한다.[1]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7 이상에서 로더는 ntdll.dll에 포함된 `LdrInitializeThunk` 함수이다.
2. 3. 초기화
유닉스에서 로더는 `execve()` 시스템 호출에 대한 핸들러이다.[1] 유닉스 로더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유효성 검사 (권한, 메모리 요구 사항 등)
- 실행 가능한 객체를 디스크에서 주 기억 장치로 매모리 맵핑
- 명령줄 인수를 가상 메모리에 복사
- 레지스터 초기화 (예: 스택 포인터)
- 프로그램 진입점 (`_start`)으로 이동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7 이상에서 로더는 ntdll.dll에 포함된 `LdrInitializeThunk` 함수이며, 다음 작업을 수행한다.
- DLL 자체의 구조 초기화 (즉, 임계 구역, 모듈 목록)
- 로드할 실행 파일의 유효성 검사
- 힙 생성 (`RtlCreateHeap` 함수를 통해)
- 환경 변수 블록 및 PATH 블록 할당
- 실행 파일 및 NTDLL을 모듈 목록 (이중 연결 리스트)에 추가
- `BaseThreadInitThunk`와 같은 여러 중요한 함수를 얻기 위해 KERNEL32.DLL 로드
- 실행 파일의 가져오기 (즉,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를 재귀적으로 로드 (가져오기의 가져오기, 해당 가져오기 등 확인)
- 디버그 모드에서 시스템 중단점 발생
- DLL 초기화
- 가비지 수집
- 로더 함수에 주어진 컨텍스트 매개변수에 대해 `NtContinue` 호출 (즉, `RtlUserThreadStart`로 이동하여 실행 파일 시작)
2. 4. 진입점으로 이동
유닉스에서 로더는 `execve()` 시스템 호출에 대한 핸들러이다.[1] 유닉스 로더의 작업은 다음과 같다.- 유효성 검사(권한, 메모리 요구 사항 등)
- 실행 가능한 객체를 디스크에서 주 기억 장치로 메모리 맵핑
- 명령줄 인수를 가상 메모리에 복사
- 레지스터 초기화(예: 스택 포인터)
- 프로그램 진입점(`_start`)으로 이동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7 이상에서 로더는 ntdll.dll에 포함된 `LdrInitializeThunk` 함수이며, 다음 작업을 수행한다.
- DLL 자체의 구조 초기화(즉, 임계 구역, 모듈 목록)
- 로드할 실행 파일의 유효성 검사
- 힙 생성(`RtlCreateHeap` 함수를 통해)
- 환경 변수 블록 및 PATH 블록 할당
- 실행 파일 및 NTDLL을 모듈 목록에 추가(이중 연결 리스트)
- `BaseThreadInitThunk`와 같은 여러 중요한 함수를 얻기 위해 KERNEL32.DLL 로드
- 실행 파일의 가져오기(즉,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를 재귀적으로 로드(가져오기의 가져오기, 해당 가져오기 등 확인)
- 디버그 모드에서 시스템 중단점 발생
- DLL 초기화
- 가비지 수집
- 로더 함수에 주어진 컨텍스트 매개변수에 대해 `NtContinue` 호출(즉, `RtlUserThreadStart`로 이동하여 실행 파일 시작)
2. 5. 동적 링크 (동적 링커)
유닉스에서 로더는 `execve()` 시스템 호출에 대한 핸들러이다.[1]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7 이상에서 로더는 ntdll.dll에 포함된 `LdrInitializeThunk` 함수이다.동적 링킹 로더는 이미 로드되어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공유 라이브러리 (예: .so 파일, .dll 파일 또는 .dylib 파일)를 로드하고 연결하는 또 다른 유형의 로더이다.
이러한 공유 라이브러리는 여러 프로세스에서 공유될 수 있으며, 공유 코드의 단일 사본만 각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서 다른 (가상) 주소에 나타날 수 있다. 공유 라이브러리의 코드는 재배치가 가능해야 한다. 즉, 라이브러리는 자체 상대 주소 또는 코드 세그먼트 기준 상대 내부 주소만 사용해야 한다. 일부 프로세서는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체 상대 코드 참조를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를 가지고 있다.
동적 링커는 공유 라이브러리 (DLL 등)를 로드하고,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연결하는 로더이다.
3. 재배치 로더
일부 운영 체제는 실행 파일의 주소를 조정하여 로딩 시작 주소의 변동을 보상하는 재배치 로더가 필요하다. 재배치 로더가 필요한 운영 체제는 프로그램이 (가상) 주소 공간의 동일한 위치에 항상 로드되지 않고, 포인터가 프로그램의 기저 주소로부터의 오프셋이 아닌 절대 주소인 경우이다. 잘 알려진 예로는 IBM의 OS/360 (자사의 System/360 메인프레임용)과 이를 계승한 z/OS (z/Architecture 메인프레임용) 등이 있다.[2]
3. 1. OS/360 및 파생 시스템
OS/360 및 파생 시스템에서, (특권) 운영 체제 기능은 IEWFETCH[2]라고 불리며 OS Supervisor의 내부 구성 요소이다. 반면, (비특권) LOADER 응용 프로그램은 Linkage Editor의 기능과 함께 많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OS Supervisor 외부에 있다(물론 많은 Supervisor 서비스를 사용한다).IEWFETCH는 고도로 전문화된 채널 프로그램을 활용하며, DASD 미디어의 한 바퀴 회전 내에 전체 실행 파일을 로드하고 재배치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이전의 3,600 rpm 드라이브에서 최대 약 16.6ms, 평균 8.3ms). 트랙 크기를 초과하는 로드 모듈의 경우, 미디어 회전을 잃지 않고 전체 모듈을 로드하고 재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IEWFETCH는 또한 소위 오버레이 구조를 통합하여 잠재적으로 매우 큰 실행 파일을 최소 메모리 모델(OS의 일부 버전에서는 44KB, 88KB 및 128KB가 더 일반적임)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OS의 커널(Supervisor의 항상 상주하는 부분) 자체는 축소된 버전의 IEWFETCH와 호환되는 방식으로 형식이 지정된다. 일반 실행 파일과 달리, OS의 커널은 "분산 로드"된다. 커널의 일부는 메모리의 다른 부분에 로드된다. 특히 특정 시스템 테이블은 초기 64KB 아래에 있어야 하며, 다른 테이블과 코드는 다른 곳에 있을 수 있다.
시스템의 Linkage Editor 응용 프로그램의 이름은 IEWL이다.[3] IEWL의 주요 기능은 로드 모듈(실행 프로그램)과 오브젝트 모듈(예: 어셈블러 및 컴파일러의 출력)을 라이브러리(고급 언어 "내장 함수")에 대한 "자동 호출"을 포함하여 IEWFETCH에 의해 가장 효율적으로 로드될 수 있는 형식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많은 수의 편집 옵션이 있지만, 일반적인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이 중 일부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로드 모듈 형식에는 초기 "텍스트 레코드"가 포함되고, 그 뒤에는 해당 텍스트 레코드에 대한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가 즉시 이어지며, 모듈의 끝까지 텍스트 레코드와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 쌍의 더 많은 인스턴스가 이어진다.
텍스트 레코드는 일반적으로 매우 크며,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는 작다. IEWFETCH의 세 개의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 버퍼는 260바이트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더 작은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는 분명히 가능하지만, 260바이트가 최대이며, IEWL은 필요한 경우 다음 텍스트 레코드 전에 추가 재배치 레코드를 삽입하여 이 제한을 준수하도록 한다).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 버퍼 내의 특수 바이트는 "비활성화 비트 스핀" 통신 영역으로 사용되며 고유한 값으로 초기화된다. 해당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에 대한 Read CCW는 프로그램 제어 인터럽트 비트를 설정한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특수 IOS 종료를 통해 채널이 해당 CCW에 액세스했을 때 알림을 받는다. 이 시점에서 프로세서는 "비활성화 비트 스핀" 루프(때로는 "세계에서 가장 짧은 루프"라고도 함)에 들어간다. 해당 바이트가 초기화된 값에서 변경되면 CPU는 비트 스핀을 종료하고, 재배치는 재배치 및/또는 제어 레코드와 다음 텍스트 레코드 사이의 미디어 내 "갭" 동안 발생한다. 재배치가 다음 레코드 전에 완료되면 Read 다음에 오는 NOP CCW는 TIC로 변경되고 다음 버퍼를 사용하여 로드 및 재배치가 진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채널은 또 다른 특수 IOS 종료를 통해 IEWFETCH에 의해 다시 시작될 때까지 NOP CCW에서 중지된다. 세 개의 버퍼는 연속적인 원형 대기열에 있으며, 각 버퍼는 다음 버퍼를 가리키고, 마지막 버퍼는 첫 번째 버퍼를 가리키며, 로드 및 재배치가 진행됨에 따라 세 개의 버퍼가 지속적으로 재사용된다.
따라서 IEWFETCH는 실용적인 크기의 로드 모듈을 최소 시간에 로드하고 재배치할 수 있다.
4. 로더의 종류
로더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 역할과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재배치 로더: 일부 운영 체제에서는 프로그램이 항상 같은 위치에 로드되지 않기 때문에, 실행 파일의 주소를 조정하여 로딩 시작 주소의 변동을 보상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로더를 재배치 로더라고 한다. 대표적인 예로 IBM의 OS/360과 그 후속 운영 체제인 z/OS가 있다.
- 동적 링킹 로더: 이미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공유 라이브러리 (예: .so 파일, .dll 파일, .dylib 파일)를 로드하고 연결하는 로더이다.
4. 1. 부트 로더
시스템 기동 시에 실행되어 운영 체제(OS)를 읽어 들이고 실행하는 로더는 부트로더라고 불린다. 부트로더는 통상 컴퓨터가 재기동, 종료, 전원을 끄는 등의 동작을 할 때까지 커널(OS의 핵심 구성 요소)에 남아 있다. OS 중에는 커널을 페이징(주 기억 장치·보조 기억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할 수 있는 것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부트로더의 메모리 영역이 이동할 수 있다.4. 2. 정적 로더
일부 운영 체제는 실행 파일의 주소를 조정하여 로딩 시작 주소의 변동을 보상하는 재배치 로더가 필요하다. 재배치 로더가 필요한 운영 체제는 프로그램이 (가상) 주소 공간의 동일한 위치에 항상 로드되지 않고, 포인터가 프로그램의 기저 주소로부터의 오프셋이 아닌 절대 주소인 경우이다. 잘 알려진 예로는 IBM의 OS/360 (자사의 System/360 메인프레임용)과 이를 계승한 z/OS (z/Architecture 메인프레임용) 등이 있다.4. 3. 동적 로더
유닉스에서 로더는 `execve()` 시스템 호출에 대한 핸들러이다.[1]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7 이상에서 로더는 ntdll.dll에 포함된 `LdrInitializeThunk` 함수이다.동적 링킹 로더는 이미 로드되어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공유 라이브러리 (예: .so 파일, .dll 파일 또는 .dylib 파일)를 로드하고 연결하는 로더이다. 이러한 공유 라이브러리는 여러 프로세스에서 공유될 수 있으며, 공유 코드의 단일 사본만 각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서 다른 (가상) 주소에 나타날 수 있다. 공유 라이브러리의 코드는 재배치가 가능해야 한다. 즉, 라이브러리는 자체 상대 주소 또는 코드 세그먼트 기준 상대 내부 주소만 사용해야 한다. 일부 프로세서는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체 상대 코드 참조를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를 가지고 있다.
5. 로더가 없는 컴퓨터
스택 외에 RAM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이나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등에 내장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므로 로더를 갖지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exec
http://www.opengroup[...]
The Open Group
2008-06-23
[2]
서적
IBM OS MVT Supervisor
http://bitsavers.inf[...]
[3]
서적
IBM OS Linkage Editor and Loader
http://bitsavers.inf[...]
[4]
서적
systems programming
[5]
서적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シリーズ15 8086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丸善株式会社
1983-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