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드리게스큰낮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드리게스큰낮도마뱀붙이는 꼬리까지 최대 40cm에 달했던 거대한 도마뱀붙이류 중 하나이다. 회색 또는 회갈색 바탕에 검은색 점박이 무늬가 있었으며, 곤충 등의 무척추동물과 과육, 꽃가루 등을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로드리게스섬과 인접한 섬에 분포했으나, 서식지 파괴와 고양이, 쥐 등의 유입으로 인해 멸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00년 이후 절멸한 파충류 - 델쿠르큰도마뱀붙이
    델쿠르큰도마뱀붙이는 1986년 발견된 표본으로 알려진 멸종된 도마뱀붙이 종으로, 2023년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뉴칼레도니아 종으로 확인되어 새로운 속 'Gigarcanum'에 배치되었으며, 마오리족 전설 속 거대 도마뱀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19세기 중반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1500년 이후 절멸한 파충류 - 로드리게스낮도마뱀붙이
    로드리게스낮도마뱀붙이는 멸종된 대형 도마뱀붙이류로, 로드리게스섬과 주변 섬에서 서식하며 곤충, 과일 등을 먹고,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았으나 서식지 파괴와 포식으로 1917년 이후 멸종되었다.
  • 1842년 기재된 파충류 - 능구렁이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능구렁이는 굵은 띠 모양의 검은색 반문이 있는 뱀으로, 평지나 낮은 산지의 물가에서 야행성으로 활동하며 물고기, 개구리 등을 먹는다.
  • 1842년 기재된 파충류 - 오클랜드녹색도마뱀붙이
    오클랜드녹색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 북섬 특정 지역에 서식하며 녹색을 띠는 16cm 크기의 도마뱀붙이의 일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위협으로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낮도마뱀붙이속 - 바버낮도마뱀붙이
    바버낮도마뱀붙이는 미국의 파충류학자 토머스 바버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진 낮도마뱀붙이속의 일종으로, 마다가스카르 앙카라트라 산맥 고지대에서 발견되는 중간 크기의 육상 도마뱀붙이이며, 곤충과 무척추동물을 먹고 암컷은 돌 밑에 알을 낳아 번식한다.
  • 낮도마뱀붙이속 - 공작낮도마뱀붙이
    공작낮도마뱀붙이(Phelsuma quadriocellata)는 밝은 녹색 바탕에 붉은 반점과 검은 반점을 가진 도마뱀붙이의 일종이며, 세 개의 아종으로 분류되고, 식물이 풍부한 테라리움에서 사육하며 곤충을 먹는다.
로드리게스큰낮도마뱀붙이
멸종 정보
상태멸종 (EX)
상태 기준IUCN 3.1
마지막 관찰1841년
분류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뱀목
아목도마뱀붙이아목
도마뱀붙이과
아과도마뱀붙이아과
낮도마뱀붙이속
로드리게스큰낮도마뱀붙이 (Phelsuma gigas)
명명자리에나르(Liénard), 1842
이명Gecko gigas Liénard, 1842
Gekko newtoni Günther, 1877
Phelsuma gigas — Kluge, 1993
이미지 정보
로드리게스큰낮도마뱀붙이

2. 형태

로드리게스큰낮도마뱀붙이의 뼈


로드리게스큰낮도마뱀붙이는 알려진 도마뱀붙이류 중 가장 큰 종 중 하나였다.[6][3] 꼬리까지 포함한 전체 길이는 최대 40cm에 달했다. 몸 색깔은 회색 또는 회갈색이었고, 등에는 불규칙한 검은색 점박이 무늬가 있었다. 꼬리에는 검은색 또는 짙은 회색 줄무늬가 있었다. 혀는 분홍색이었고, 배 부분(옆구리)은 옅은 노란색이었다. 이 종을 처음 기술하는 데 사용된 표본은 유실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골격만 남아 있다.

3. 습성

르구아는 이 도마뱀붙이를 "회색을 띄며 (굉장히) 못생긴" 야행성 도마뱀으로 묘사했다. 크기와 길이는 사람의 팔과 비슷하며, 고기 맛은 괜찮고 라탄야자나무를 좋아한다고 기록했다.[7][4] 로드리게스큰낮도마뱀붙이는 다양한 곤충과 같은 무척추동물을 잡아먹었다. 또한, 다른 낮도마뱀붙이속의 도마뱀붙이들처럼 부드럽고 달콤한 과육, 꽃가루, 꽃꿀을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 분포 및 서식지

로드리게스큰낮도마뱀붙이(''Phelsuma gigas'')는 로드리게스섬과 그 주변의 섬들에 분포했다. 마지막으로 확인된 것은 1842년으로, Ile aux Fregates|일오프레가트섬fra 근처의 작은 섬에서 채집된 기록이다.

이 도마뱀붙이는 로드리게스섬의 숲 속 나무에서 주로 서식하는 수목성 동물이었다. 그러나 인간에 의한 산림 벌채로 서식지가 파괴되었고, 외부에서 유입된 고양이, 특히 검은쥐의 포식 활동으로 인해 결국 멸종에 이르게 되었다.

5. 멸종

로드리게스큰낮도마뱀붙이는 로드리게스섬과 주변 섬들의 숲에 서식했던 수목성 도마뱀붙이였다. 마지막 기록은 1842년 일오프레가트섬(Ile aux Fregates) 인근의 작은 섬에서 수집된 것이다. 이 종은 인간에 의한 산림 벌채로 서식지가 파괴되고, 사람이 들여온 고양이검은쥐에게 잡아먹히면서 결국 멸종에 이르렀다.

참조

[1] 간행물 Phelsuma gigas https://dx.doi.org/1[...]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1
[2] 웹사이트 Phelsuma gigas www.reptile-database[...]
[3] 논문 The Extinct Reptiles of Rodriguez https://archive.org/[...]
[4] 서적 Lost Land of the Dodo: an Ecological History of Mauritius, Réunion & Rodrigues T. & A. D. Poyser
[5] 웹사이트 Phelsuma gigas www.reptile-database[...]
[6] 논문 The Extinct Reptiles of Rodriguez https://archive.org/[...]
[7] 서적 Lost Land of the Dodo: an Ecological History of Mauritius, Réunion & Rodrigues T. & A. D. Poys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