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만슈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만슈어는 스위스 남동부 그라우뷘덴 주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여러 방언의 집합체이다.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켈트어, 레토어, 게르만어의 영향을 받았다. 5가지 주요 방언(수르실반어, 수트실반어, 수르미란어, 푸테르어, 발라더어)으로 나뉘며, 1982년 표준어인 로만슈 그리슌이 제정되었으나 지역 방언 사용이 여전하다. 로만슈어는 1938년 스위스의 국가 언어로 인정되었고, 1996년에는 부분적 공용어 지위를 얻었다. 현재는 독일어와 이중 언어 사용자이며, 2000년 기준 약 35,000명이 로만슈어를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라우뷘덴주 - 무쏘 전쟁
    16세기 초 잔 자코모 메디치가 이끄는 밀라노 공국이 삼동맹을 침공하여 시작된 무쏘 전쟁은 여러 전투와 협상을 거쳐 삼동맹의 승리로 끝났으나, 스위스 내 종교적 갈등을 심화시켰다.
  • 그라우뷘덴주 - 십재판구 동맹
    십재판구 동맹은 1436년 토겐부르크 백작 사망 후 영토 분쟁 속에서 평민들이 결성한 동맹으로, 10개 관할 구역으로 이루어져 권리 보호와 공동 조약 참여를 목표로 스위스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나폴레옹 전쟁 이후 해체되어 그라우뷘덴주에 편입되었다.
  • 스위스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스위스의 언어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로망스어군 - 라딘어
    라딘어는 이탈리아 북부 라디니아 지역에서 쓰이는 레토로망스어군 언어로,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일부 지역에서는 공식 언어로 인정받지만, 소수 언어로서의 어려움도 겪고 있다.
  • 로망스어군 - 프리울리어
    프리울리어는 이탈리아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로, 로마 시대 이전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및 발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분류에 대한 학계 논쟁과 표준화 과정에서의 방언 보존 문제가 있다.
로만슈어
지도 정보
스위스 언어 지도
스위스에서 로망슈어가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지역
UNESCO에서 로망슈어가 위험 언어로 분류됨
로망슈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에서 확실히 위험한 언어로 분류됨
기본 정보
언어 이름로망슈어
고유 이름romontsch, rumantsch, rumauntsch, rumàntsch
발음IPA-rm|ʁoˈmɔntʃ||Roh-Sursilvan-Romontsch.ogg
IPA-rm|rʊˈmantʃ||Roh-vallader-rumantsch.ogg
IPA-rm|rʊˈmɛntʃ||Roh-putèr-rumauntsch.ogg
IPA-rm|rʊˈmaʊ̯ntʃ|
IPA-rm|rəˈmœntʃ|
민족로만슈족
국가스위스
지역그라우뷘덴주
주요 사용 인구 (2019년)40,074명
정기적 사용자 (2000년)60,000명
언어 코드 (IETF)참조
언어 코드 (ISO 639-1)rm
언어 코드 (ISO 639-2)roh
언어 코드 (ISO 639-3)roh
언어 코드 (Glottolog)roman1326
언어 코드 (Lingua)참조
문자라틴 문자
로망슈어 표기
위에서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안데르의 주택에 있는 수트실반어 비문, 사곤의 주택에 있는 수르실반어 비문, 스위스 국립공원의 로만슈 그리순어 표지판, 과르다의 발라더어 스그라피토.
언어 계통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이탈리아어파
어군로망스어군
하위 어군갈리아이탈리아어
세부 어군갈리아로망스어
세부 어군레토로망스어
세부 어군알프스 로망스어 또는 이탈리아 북부 로망스어
방언
방언수르실반어
투아치나 방언
발라더어
야우어 방언
푸테르어
수르미란어
수트실반어
표준어
표준어수르실반어
발라더어
푸테르어
수르미란어
수트실반어
로만슈 그리순
기타
공식 기관리아 루만차
스위스 연방 통계청 (2012년 기준)36,600명

2. 언어학적 특징

로만슈어는 로망스어족에 속하며, 특히 갈로-로망스어파와 관련이 깊다. 라틴어에서 유래한 어휘와 문법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11]

=== 음운론 ===

로만슈어의 음운 체계는 이탈리아어와 유사하지만, 모음의 수는 더 적다.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자음 체계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 모음 ====

로만슈어의 모음 체계는 방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전설 원순 모음 와 는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만 발견된다. 이들은 역사적으로 다른 방언에서는 원순화되지 않았으며, 최근 독일어 차용어에서만 발견된다. 지역 공용어인 룸안츠 그리슈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하인젠베르크의 거의 사멸된 수트실반 방언은 pl'à'ntarm "식물" 또는 "나무"와 같이 를 가지고 있지만, 이것은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 발견되는 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없다. 음소 의 정확한 구현은 방언에 따라 에서 까지 다양하다. / "책".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를 주변 음소 또는 와 별개의 음소가 아니라고 여기기도 한다.

단어 억양은 일반적으로 단어의 마지막 음절이나 그 앞 음절에 온다. 무성모음은 일반적으로 또는 와 같은 슈와로 축약되며, "노래"와 같다. 모음 길이는 예측 가능하다.


  • 무성모음은 짧다.
  • 폐음절(종지가 있는 음절)의 강세 모음은:
  • : 앞에서는 길다.
  • : 그 외에는 짧다.
  • 개음절의 강세 모음은:
  • : 무성 자음 앞에서는 짧다.
  • : 그 외에는 길다.


이중모음의 수는 방언에 따라 크게 다르다. 수르실반 방언은 11개의 이중모음과 4개의 삼중모음(, , , 및 )을 포함한다.

이중모음강세 내림강세 올림
폐쇄align=center |
중심화align=center |
개방



다른 방언은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푸테르는 , , 와 삼중모음이 없지만, 수르실반에는 없는 를 가지고 있다. 하강 이중모음의 두 번째 모음이 로 발음되는 "강화된 이중모음"이라는 현상은 한때 푸테르에서 흔했지만, 오늘날에는 수르미란에만 국한된다. strouschrm '거의 ~않다' > .

로만슈어


==== 자음 ====

로만슈어는 26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이 중 두 개는 일부 방언에서만, 다른 하나는 독일어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입술소리순치음치음, 치경음구개치경음치경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 n  ɲŋ 
파열음p b t d tɕ dʑ k ɡ 
파찰음  ts   
마찰음 f vs zʃ ʒ ç h
접근음     j  
설측음  l  ʎ  
전동음  r     



일부 방언, 특히 수르미란 방언에서 ŋ는 paungrm "빵"과 같이 어말에만 나타난다. 광범위한 표기에서는 구개 파열음 c와 ɟ로 전사되는 경우가 많다. 일부 방언, 특히 푸테르 방언에서 ç는 amihrm "친구"와 같이 어말에만 나타난다. h는 ʁ/halunc}} "갈고리"와 같은 독일어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수르실반의 일부 방언에서는 r가 {{IPAblinkrm로 발음되기도 한다.

유성 폐쇄음은 로만슈어에서 완전히 유성으로 발음된다. 이는 스위스 독일어와 대조적이다. 무성 폐쇄음은 무기음이다. 그러나 유성 폐색음은 어말에서 무성화된다. 예를 들어 buobrm "소년"은 로, chödrm "따뜻한"은 로, saungrm "피"는 로, clavrm "열쇠"는 로 발음된다.

==== 발음 ====

로만슈어는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며, 문자와 소리 간의 대응이 높은 편으로, 대부분 음소 문자를 따른다. 철자 표기는 방언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주로 24개의 문자가 사용된다.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WY는 외래어나 차용어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자음
표기IPA예시주석
"교회", "우물"
"바구니", "끈", , 및 자음 앞
, "축하하다" 및 앞
"모자", "설탕"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
"설탕"수르실반, 수트실반 및 수르미란에서
"안쪽", "바퀴"
"실", "불"
"새끼 고양이", "숲", , 및 유성 자음 앞
"오두막", "게임", "피", , , 및 앞; 다른 모음이 뒤따를 때 는 묵음;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 어말 (보통 무성화)
"선물을 주다", "찡그림" 및 앞 (다른 곳에는 나타나지 않음)
"글라루스", "얼음", , , , 및 앞
"눈", "음식", "빛", 및 어말 앞; 다른 모음이 뒤따를 때 는 묵음
"신경", "바구니"
(묵음) "주거", "오늘"대부분의 경우; , , 및 도 참조
"사기꾼", "취미"일부 감탄사 및 외래어에서
"친구"구 푸테르에서
"주", "2살짜리 암소"
"킬로그램", "작은 조각"푸테르와 발라데르를 제외하고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남.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는 및 앞에도 나타남
"빛", "꿀"
"노란색", "두더지"
"빵", "다리"아래를 제외하고
pang "빵"Surmiran에서만
"농부", "사과"
"네", "지폐"
또는 "세", "세"방언과 화자에 따라 치경 또는 연구개가 될 수 있음
"태양", "무언가"일반적으로 단어의 시작과 자음 뒤에; 항상 에서 그리고 항상 단어 끝에
"집", "테이블"일반적으로 모음 사이; 때때로 , , 또는 뒤에; 때때로 단어의 시작에
"찬장", "나비"무성 자음 앞; , , 또는 앞 단어의 시작에
"실수", "숟가락"유성 파열음 앞
"무딘", "잊다"모든 위치에서, 와 구별되지 않음
"버터", "일하다"어말을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와 구별되지 않음
"목장"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만 나타나며, 다른 방언에서는 에 해당
"모든", "모든"
"마을"⟨e⟩, ⟨i⟩ 앞; 다른 모음이 뒤따를 때 ⟨i⟩는 묵음;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는 에 해당
"이야기하다", "파업"
"해안", "채소"
pista da bowling "볼링장"외래어에서만 나타남
"정확히"주로 외래어와 고유 명사에 나타남
(원래 언어의 발음에 따라 다름) "하키"외래어에서만 나타남
"노래", "숨는 곳"



{| class=wikitable

|+ 모음

! 표기

! IPA

! 예시

! 주석

|-

| rowspan=2 |

|

| "열쇠", "목욕탕"

| 강세를 받는 음절에서

|-

| 또는

| "집", "노래", "노래", "노란색"

| 무강세 음절에서

|-

|

|

| "거친", "눈"

|

|-

| rowspan=2|

|

| "금", "농부"

| 대부분의 방언에서

|-

|

| "손"

| 푸테르에서

|-

| rowspan=3 |

|

| "빛", "창문"

| 강세를 받는 음절에서

|-

|

| "오두막", "인사"

| 강세를 받는 음절에서

|-

| 또는

| "노란색", "책"

| 무강세 음절에서

|-

|

| rowspan="2" |

| "배"

| 일반적으로 가 와 대조되는 단어만 악센트가 붙여 쓰임

|-

|

| "한 쌍"

| rowspan="2" | 일반적으로 가 와 대조되는 단어만 악센트가 붙여 쓰임

|-

|

|

| "한 쌍"

|-

|

| , , 또는

| "테이블", "의사"

| 정확한 발음은 방언에 따라 다름

|-

|

|

| "나", "사람들"

|

|-

|

| rowspan="2" |

| "너", "불을 지피다"

| 하지만 위의 및 참조

|-

|

| "더블베이스"

| 모음이 다음 모음과 이중모음을 형성하지 않음을 표시

|-

|

|

| "축제"

|

|-

|

|

| "하늘", "꿀"

|

|-

|

|

| "식초"

|

|-

|

|

| "이별"

|

|-

|

|

| "나"

| 로도 쓰임

|-

|

|

| "다리", "사과",

|

|-

|rowspan=3 |

|

| "시간"

| 푸테르에서

|-

|

| "바퀴"

| 발라데르에서

|-

|[ou̯]

|''nousrm'' "우리"

| Surmiran에서

|-

| rowspan="2" |

|

| "일하다", "독일어"

| rowspan="2" | 단어와 방언에 따라 다름

|-

|,

| "책", "책"

|-

|

|

| "네", "못"

|

|-

|

|

| "지폐"

|

|-

|

|

| "지폐"

|

|-

|

|

| "소년", "샤무아"

|

|-

|

|

| ''quairm'' "이것", frequaintrm "자주"

|

|-

|

|

| "이것"

|

|-

|

|

| "숲"

|

|-

|

|

| "치즈"

| rowspan="3" |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만

|-

|

| [y]

|

2. 1. 음운론

로만슈어의 음운 체계는 이탈리아어와 유사하지만, 모음의 수는 더 적다.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자음 체계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 모음 ==

로만슈어의 모음 체계는 방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전설 원순 모음 y와 ø는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만 발견된다. 이들은 역사적으로 다른 방언에서는 원순화되지 않았으며, 최근 독일어 차용어에서만 발견된다. 지역 공용어인 룸안츠 그리슈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하인젠베르크의 거의 사멸된 수트실반 방언은 pl'à'ntarm "식물" 또는 "나무"와 같이 œ를 가지고 있지만, 이것은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 발견되는 [ø]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없다. 음소 /o/의 정확한 구현은 방언에 따라 ʊ에서 o까지 다양하다: ''cudesch'' / ''cudisch'' "책".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를 주변 음소 또는 /u/와 별개의 음소가 아니라고 여기기도 한다.

단어 억양은 일반적으로 단어의 마지막 음절이나 그 앞 음절에 온다. 무성모음은 일반적으로 [ə] 또는 [ɐ]와 같은 슈와로 축약되며, ''c'''a'''nzun'' "노래"와 같다. 모음 길이는 예측 가능하다.


  • 무성모음은 짧다.
  • 폐음절(종지가 있는 음절)의 강세 모음은:
  • : /r/ 앞에서는 길다.
  • : 그 외에는 짧다.
  • 개음절의 강세 모음은:
  • : 무성 자음 앞에서는 짧다.
  • : 그 외에는 길다.


이중모음의 수는 방언에 따라 크게 다르다. 수르실반 방언은 11개의 이중모음과 4개의 삼중모음([ɪau], [ɪɛu], [uau], 및 [uɛi])을 포함한다.

이중모음강세 내림강세 올림
폐쇄[aɪ] [au] [ɛɪ] [ɛu] [uɪ] [ɪu]align=center |
중심화[iə]align=center |
개방[uɔ][uɛ] [ɪa] [ua]



다른 방언은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푸테르는 [au], [ɛu], [uɛ]와 삼중모음이 없지만, 수르실반에는 없는 [yə]를 가지고 있다. 하강 이중모음의 두 번째 모음이 [k]로 발음되는 "강화된 이중모음"이라는 현상은 한때 푸테르에서 흔했지만, 오늘날에는 수르미란에만 국한된다. strouschrm '거의 ~않다' > [ʃtrokʃ].

== 자음 ==

로만슈어는 26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이 중 두 개는 일부 방언에서만, 다른 하나는 독일어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입술소리순치음치음, 치경음구개치경음치경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 n  ɲŋ 
파열음p b t d tɕ dʑ k ɡ 
파찰음  ts   
마찰음 f vs zʃ ʒ ç h
접근음     j  
설측음  l  ʎ  
전동음  r     



일부 방언, 특히 수르미란 방언에서 ŋ는 paungrm "빵"과 같이 어말에만 나타난다. 광범위한 표기에서는 구개 파열음 c와 ɟ로 전사되는 경우가 많다. 일부 방언, 특히 푸테르 방언에서 ç는 amihrm "친구"와 같이 어말에만 나타난다. h는 ʁ/halunc}} "갈고리"와 같은 독일어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수르실반의 일부 방언에서는 r가 {{IPAblinkrm로 발음되기도 한다.

유성 폐쇄음은 로만슈어에서 완전히 유성으로 발음된다. 이는 스위스 독일어와 대조적이다. 무성 폐쇄음은 무기음이다. 그러나 유성 폐색음은 어말에서 무성화된다. 예를 들어 buobrm "소년"은 [buɔp]로, chödrm "따뜻한"은 [tɕøt]로, saungrm "피"는 [sɛuŋk]로, b/clav}} "열쇠"는 [klaf]로 발음된다.

== 발음 ==

로만슈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문자와 소리 간의 대응이 높은 편으로, 대부분 음소 문자를 따른다. 철자 표기는 방언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주로 24개의 문자가 사용된다.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WY는 외래어나 차용어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자음
표기IPA예시주석
[k]canaster "바구니", corda "끈", , 및 자음 앞
[ts]december, celebrar "축하하다" 및 앞
[tɕ]chapütscha "모자", zücher "설탕"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
[k]zucher "설탕"수르실반, 수트실반 및 수르미란에서
[d]dir "안쪽", rouda "바퀴"
[f]fil "실", fö "불"
[ɡ]gattegl "새끼 고양이", god "숲", , 및 유성 자음 앞
[dʑ]tegia "오두막", gö "게임", saung "피", , , 및 앞; 다른 모음이 뒤따를 때 는 묵음;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 어말 (보통 무성화)
[ɡ]schenghegiar "선물을 주다", ghigna "찡그림" 및 앞 (다른 곳에는 나타나지 않음)
[ɡl]Glaruna "글라루스", glatsch "얼음", , , , 및 앞
[ʎ]egl "눈", maglia "음식", glüsch "빛", 및 어말 앞; 다른 모음이 뒤따를 때 는 묵음
[ɲ]gnierv "신경", chavagna "바구니"
(묵음)habitaziun "주거", hoz "오늘"대부분의 경우; , , 및 도 참조
[h]haluncs "사기꾼", hobi "취미"일부 감탄사 및 외래어에서
[ç]amih "친구"구 푸테르에서
[j]jamna "주", muja "2살짜리 암소"
[k]kilo "킬로그램", tockin "작은 조각"푸테르와 발라데르를 제외하고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남.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는 및 앞에도 나타남
[l]lev "빛", miel "꿀"
[m]mellen "노란색", mül "두더지"
[n]paun "빵", punt "다리"아래를 제외하고
[ŋ]pang "빵"Surmiran에서만
[p]pur "농부", pom "사과"
[ku̯]quater "네", quint "지폐"
[r] 또는 [ʁ]trais "세", treis "세"방언과 화자에 따라 치경 또는 연구개가 될 수 있음
[s]sulegl "태양", qualchosa "무언가"일반적으로 단어의 시작과 자음 뒤에; 항상 에서 그리고 항상 단어 끝에
[z]casa "집", maisa "테이블"일반적으로 모음 사이; 때때로 , , 또는 뒤에; 때때로 단어의 시작에
[ʃ]scaffa "찬장", spler "나비"무성 자음 앞; , , 또는 앞 단어의 시작에
[ʒ]sbagl "실수", sdun "숟가락"유성 파열음 앞
[ʃ]schavet "무딘", schmancher "잊다"모든 위치에서, [ʒ]와 구별되지 않음
[ʒ]pischada "버터", travascher "일하다"어말을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ʃ]와 구별되지 않음
[ʃtɕ]pas-chüra "목장"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만 나타나며, 다른 방언에서는 에 해당
[t]tut "모든", tuot "모든"
[tɕ]vitg "마을"⟨e⟩, ⟨i⟩ 앞; 다른 모음이 뒤따를 때 ⟨i⟩는 묵음;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는 에 해당
[tʃ]tschintschar "이야기하다", tschöver "파업"
[v]riva "해안", verdüra "채소"
[v]pista da bowling "볼링장"외래어에서만 나타남
[ks]exact "정확히"주로 외래어와 고유 명사에 나타남
(원래 언어의 발음에 따라 다름)hockey "하키"외래어에서만 나타남
[ts]canzun "노래", zop "숨는 곳"



모음
표기IPA예시주석
[a]clav "열쇠", bagn "목욕탕"강세를 받는 음절에서
[ɐ] 또는 [ə]casa "집", canzun "노래", chanzun "노래", mellan "노란색"무강세 음절에서
[ai̯]zai "거친", naiv "눈"
[au̯]aur "금", paur "농부"대부분의 방언에서
[ɛ]maun "손"푸테르에서
[ɛ]lev "빛", fnestra "창문"강세를 받는 음절에서
[e]tegia "오두막", allegra "인사"강세를 받는 음절에서
[ə] 또는 [ɐ]mellen "노란색", cudesch "책"무강세 음절에서
[e]pér "배"일반적으로 [e]가 [ɛ]와 대조되는 단어만 악센트가 붙여 쓰임
pêr "한 쌍"일반적으로 [e]가 [ɛ]와 대조되는 단어만 악센트가 붙여 쓰임
[ɛ]pèr "한 쌍"
[ɛi̯], [ai̯], 또는 [ɔi̯]meisa "테이블", meidi "의사"정확한 발음은 방언에 따라 다름
[ɛu̯]jeu "나", glieud "사람들"
[i]ti "너", tizcher "불을 지피다"하지만 위의 및 참조
gïun "더블베이스"모음이 다음 모음과 이중모음을 형성하지 않음을 표시
[i̯a]fiasta "축제"
[ie̯]tschiel "하늘", miel "꿀"
[iu̯]ischiu "식초"
[i̯au̯]cumiau "이별"
[i̯ɛu̯]jeu "나"로도 쓰임
[ɔ]comba "다리", pom "사과",
[ɔ]vouta "시간"푸테르에서
[o]rouda "바퀴"발라데르에서
[ou̯]nous "우리"Surmiran에서
[u]luvrar "일하다", tudas-ch "독일어"단어와 방언에 따라 다름
[o], [ʊ]cudisch "책", cudesch "책"
[u̯a]quater "네", aguagliöl "못"
[u̯ɛ]quen "지폐"
[u̯i]quint "지폐"
[uɔ̯]buob "소년", chamuotsch "샤무아"
[u̯ai̯]quai "이것", frequaint "자주"
[u̯ɛi̯]quei "이것"
[u̯au̯]uaul "숲"
[ø]chaschöl "치즈"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만
[y]tü "너"
[yɛ̯]spüerta "제안"
(원래 언어의 발음에 따라 다름)hockey "하키"외래어에서만 나타남



다섯 가지 지역 서면 방언의 모음 목록은 크게 다르며 (특히 이중모음과 관련하여), 발음은 그 안에서도 방언에 따라 다릅니다. Sutsilvan의 철자는 특히 복잡하여 지역 방언에 따라 모음의 발음이 다를 수 있으며 이 표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2. 1. 1. 모음

로만슈어의 모음 체계는 방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전설 원순 모음 와 는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만 발견된다. 이들은 역사적으로 다른 방언에서는 원순화되지 않았으며, 최근 독일어 차용어에서만 발견된다. 지역 공용어인 룸안츠 그리슈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하인젠베르크의 거의 사멸된 수트실반 방언은 pl'à'ntarm "식물" 또는 "나무"와 같이 를 가지고 있지만, 이것은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 발견되는 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없다. 음소 의 정확한 구현은 방언에 따라 에서 까지 다양하다. / "책".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를 주변 음소 또는 와 별개의 음소가 아니라고 여기기도 한다.

단어 억양은 일반적으로 단어의 마지막 음절이나 그 앞 음절에 온다. 무성모음은 일반적으로 또는 와 같은 슈와로 축약되며, "노래"와 같다. 모음 길이는 예측 가능하다.


  • 무성모음은 짧다.
  • 폐음절(종지가 있는 음절)의 강세 모음은:
  • : 앞에서는 길다.
  • : 그 외에는 짧다.
  • 개음절의 강세 모음은:
  • : 무성 자음 앞에서는 짧다.
  • : 그 외에는 길다.


이중모음의 수는 방언에 따라 크게 다르다. 수르실반 방언은 11개의 이중모음과 4개의 삼중모음(, , , 및 )을 포함한다.

이중모음강세 내림강세 올림
폐쇄align=center |
중심화align=center |
개방



다른 방언은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푸테르는 , , 와 삼중모음이 없지만, 수르실반에는 없는 를 가지고 있다. 하강 이중모음의 두 번째 모음이 로 발음되는 "강화된 이중모음"이라는 현상은 한때 푸테르에서 흔했지만, 오늘날에는 수르미란에만 국한된다. strouschrm '거의 ~않다' > .

2. 1. 2. 자음

로만슈어는 26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이 중 두 개는 일부 방언에서만, 다른 하나는 독일어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입술소리순치음치음, 치경음구개치경음치경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 n  ɲŋ 
파열음p b t d tɕ dʑ k ɡ 
파찰음  ts   
마찰음 f vs zʃ ʒ ç h
접근음     j  
설측음  l  ʎ  
전동음  r     



일부 방언, 특히 수르미란 방언에서 ŋ는 paungrm "빵"과 같이 어말에만 나타난다. 광범위한 표기에서는 구개 파열음 c와 ɟ로 전사되는 경우가 많다. 일부 방언, 특히 푸테르 방언에서 ç는 amihrm "친구"와 같이 어말에만 나타난다. h는 ʁ/halunc}} "갈고리"와 같은 독일어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수르실반의 일부 방언에서는 r가 {{IPAblinkrm로 발음되기도 한다.

유성 폐쇄음은 로만슈어에서 완전히 유성으로 발음된다. 이는 스위스 독일어와 대조적이다. 무성 폐쇄음은 무기음이다. 그러나 유성 폐색음은 어말에서 무성화된다. 예를 들어 buobrm "소년"은 로, chödrm "따뜻한"은 로, saungrm "피"는 로, clavrm "열쇠"는 로 발음된다.

2. 1. 3. 발음

로만슈어는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며, 문자와 소리 간의 대응이 높은 편으로, 대부분 음소 문자를 따른다. 철자 표기는 방언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주로 24개의 문자가 사용된다.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WY는 외래어나 차용어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자음
표기IPA예시주석
"교회", "우물"
"바구니", "끈", , 및 자음 앞
, "축하하다" 및 앞
"모자", "설탕"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
"설탕"수르실반, 수트실반 및 수르미란에서
"안쪽", "바퀴"
"실", "불"
"새끼 고양이", "숲", , 및 유성 자음 앞
"오두막", "게임", "피", , , 및 앞; 다른 모음이 뒤따를 때 는 묵음;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 어말 (보통 무성화)
"선물을 주다", "찡그림" 및 앞 (다른 곳에는 나타나지 않음)
"글라루스", "얼음", , , , 및 앞
"눈", "음식", "빛", 및 어말 앞; 다른 모음이 뒤따를 때 는 묵음
"신경", "바구니"
(묵음) "주거", "오늘"대부분의 경우; , , 및 도 참조
"사기꾼", "취미"일부 감탄사 및 외래어에서
"친구"구 푸테르에서
"주", "2살짜리 암소"
"킬로그램", "작은 조각"푸테르와 발라데르를 제외하고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남.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는 및 앞에도 나타남
"빛", "꿀"
"노란색", "두더지"
"빵", "다리"아래를 제외하고
pang "빵"Surmiran에서만
"농부", "사과"
"네", "지폐"
또는 "세", "세"방언과 화자에 따라 치경 또는 연구개가 될 수 있음
"태양", "무언가"일반적으로 단어의 시작과 자음 뒤에; 항상 에서 그리고 항상 단어 끝에
"집", "테이블"일반적으로 모음 사이; 때때로 , , 또는 뒤에; 때때로 단어의 시작에
"찬장", "나비"무성 자음 앞; , , 또는 앞 단어의 시작에
"실수", "숟가락"유성 파열음 앞
"무딘", "잊다"모든 위치에서, 와 구별되지 않음
"버터", "일하다"어말을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와 구별되지 않음
"목장"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만 나타나며, 다른 방언에서는 에 해당
"모든", "모든"
"마을"⟨e⟩, ⟨i⟩ 앞; 다른 모음이 뒤따를 때 ⟨i⟩는 묵음; 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는 에 해당
"이야기하다", "파업"
"해안", "채소"
pista da bowling "볼링장"외래어에서만 나타남
"정확히"주로 외래어와 고유 명사에 나타남
(원래 언어의 발음에 따라 다름) "하키"외래어에서만 나타남
"노래", "숨는 곳"



모음
표기IPA예시주석
"열쇠", "목욕탕"강세를 받는 음절에서
또는 "집", "노래", "노래", "노란색"무강세 음절에서
"거친", "눈"
"금", "농부"대부분의 방언에서
"손"푸테르에서
"빛", "창문"강세를 받는 음절에서
"오두막", "인사"강세를 받는 음절에서
또는 "노란색", "책"무강세 음절에서
"배"일반적으로 가 와 대조되는 단어만 악센트가 붙여 쓰임
"한 쌍"일반적으로 가 와 대조되는 단어만 악센트가 붙여 쓰임
"한 쌍"
, , 또는 "테이블", "의사"정확한 발음은 방언에 따라 다름
"나", "사람들"
"너", "불을 지피다"하지만 위의 및 참조
"더블베이스"모음이 다음 모음과 이중모음을 형성하지 않음을 표시
"축제"
"하늘", "꿀"
"식초"
"이별"
"나"로도 쓰임
"다리", "사과",
"시간"푸테르에서
"바퀴"발라데르에서
[ou̯]u/nous}} "우리"Surmiran에서
"일하다", "독일어"단어와 방언에 따라 다름
, "책", "책"
"네", "못"
"지폐"
"지폐"
"소년", "샤무아"
quairm "이것", uei/frequaint}} "자주"
"이것"
"숲"
"치즈"푸테르와 발라데르에서만
[y] "너"
"제안"
(원래 언어의 발음에 따라 다름) "하키"외래어에서만 나타남



다섯 가지 지역 서면 방언의 모음 목록은 크게 다르며 (특히 이중모음과 관련하여), 발음은 그 안에서도 방언에 따라 다릅니다. Sutsilvan의 철자는 특히 복잡하여 지역 방언에 따라 모음의 발음이 다를 수 있으며 이 표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2. 2. 형태론

로만슈어 명사는 격변화를 하지 않으며, 문법적 범주는 어순으로 표현된다. 대부분의 다른 로맨스어와 마찬가지로, 남성과 여성의 두 가지 문법적 성을 가진다. 정관사는 남성의 경우 ilrm 또는 모음 앞에서는 iglrm이며, 여성은 larm이다. 부정관사는 남성의 경우 inrm, egnrm, enrm 또는 ünrm이고(방언에 따라 다름), 여성은 inarm, egnarm, enarm 또는 ünarm이다. 복수는 일반적으로 접미사 -s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수르실반어에서는 남성 명사가 때때로 불규칙적이며, 어간 모음이 변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il mirrm "벽"의 복수형은 ils mirsrm "벽들"이고, la casarm "집"의 복수형은 las casasrm "집들"이다. 불규칙 복수형의 예시는 igl ievrm "달걀" – ils ovsrm "달걀들"이다.

로만슈어는 사물의 집합체를 전체적으로 지칭하는 "집합적 복수"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il craprm "돌" – ils crapsrm "돌들"에 대해, 집합적 복수는 la crapparm "암석"이 된다.

형용사는 성과 수에 따라 어형이 변한다. 여성형은 항상 규칙적이지만, 남성형에서는 어간 모음이 변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여성형은 bialrm (단수) – bialarm (복수) "좋은"이고, 남성형은 bienrm (단수) – bunsrm (복수) "좋은"이다. 수르실반어는 단수 형용사에서 서술적 형태와 한정적 형태를 구분하지만, 다른 방언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정적 용법은 in bien carstgaunrm "착한 사람"이고, 서술적 용법은 il carstgaun ei bunsrm "그 사람은 착하다"이다.

로만슈어에는 세 가지 단수/복수 인칭 대명사가 있다(아래는 수르실반어 형태).

단수복수
1인칭jeurmnusrm
2인칭tirmvusrm
3인칭elrm/ellarm/ei(igl)rmelsrm/ellasrm/eirm



친밀한 tirm와 정중한 vusrm 사이의 T-V 구분이 있다. 푸테르(Putèr)와 발라데르(Vallader) 방언은 친밀한 türm와 vusrm, 그리고 정중한 Elrm/Ellarm와 Elsrm/Ellasrm를 구분한다. 푸테르(Putèr)와 발라데르(Vallader) 방언의 정중한 표현을 위한 대명사는 3인칭 대명사와 구별하기 위해 항상 대문자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Eau cugnuosch a Sia sourrm "당신의 누이를 압니다"와 Eau cugnuosch a sia sourrm "그/그녀의 누이를 압니다"는 구별된다.

직접 목적어를 위한 1인칭과 2인칭 대명사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하나는 전치사 arm 뒤에 나온다. 예를 들어 dai a mi tiu codischrm "제게 당신의 책을 주세요"와 같다.

수르실반어의 특징 중 하나는 재귀 동사가 모두 재귀 대명사 se-rm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원래 3인칭 대명사였다.


  • jeu selavelrm "나는 나 자신을 씻는다."
  • ti selavesrm "너는 너 자신을 씻는다."
  • el/ella selavarm "그는/그녀는 자신을 씻는다."
  • nus selaveinrm "우리는 우리 자신을 씻는다."
  • els/ellas selavanrm "그들은 그들 자신을 씻는다."

다른 로만슈어 방언은 다른 재귀 대명사를 구분한다.

소유 대명사는 대명사적 형태와 서술적 형태가 있으며, 남성 형태에서만 다릅니다.

  • miu tgaunrm "나의 개" – il tgaun ei mesrm "그 개는 내 것이다."
  • vies problemrm "당신의 문제" – quei problem ei vosrm "그 문제는 당신 것이다."

여성 형태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예를 들어 sia casarm "그녀/그의 집" – quella casa ei siarm "이 집은 그녀/그의 것이다"와 같다.

세 가지 다른 지시 대명사 quelrm, tschelrm, lezrm가 구별된다. 예를 들어 A quel fidel jeu, a tschel bucrm "나는 저 사람을 신뢰하지만, 저 사람은 아니다." 또는 Ed il bab, tgei vegn lez a dir?rm "그리고 아버지는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가?"와 같이 사용된다.

동사 시제는 종합 형태(현재, 과거)와 분석 형태(완료, 과거완료, 미래, 수동태)로 나뉘며, 직설법, 접속법, 조건법, 명령법의 문법적 법으로 구별된다. 아래는 수르실반어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시제예시번역
직설법 현재 시제jeu sun da Trunrm"나는 트룬(Trun) 출신이다."
직설법 완료 시제jeu sun staus en vacanzasrm"나는 휴가를 보냈다."
과거 시제da quei savevel jeu nuotrm"나는 그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
미래 시제els vegnan a dirrm"그들은 말할 것이다."
명령법cantei!rm"노래해라!"
조건법jeu durmessrm"나는 잠들 것이다."


2. 3. 통사론

로만슈어의 구문론은 아직까지 철저히 연구되지 않았다. 일반적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이지만, 여러 경우에 주어-조동사 도치가 발생하여 동사가 문장의 앞에 놓인다.[75]

  • 의문문을 만들 때: 아이스/Eisrm el aunc cheu? – "그는 아직 거기에 있습니까?"
  • 서술문에서: 다마운 마인 누스 엔 바칸차스/Damaun mein nus en vacanzasrm – "내일 우리는 휴가를 갑니다."
  • 종속절 뒤에 독립절이 올 때: 쿠라 켈 에이 엔트라우스, 아인 투츠 스타이 신 파이스/Cura ch'el ei entraus, ein tuts stai sin peisrm – "그가 들어오자 모두 일어섰다."
  • 기타 문체적 변화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독일어 구문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독일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것이 전적으로 언어 접촉 때문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실, 유사한 경향은 고대 프랑스어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75]

문장은 부정어를 추가하여 부정된다. 수르실반어에서는 동사 뒤에 놓이는 bucrm이 부정어이고, 푸테르어나 발라더어와 같은 다른 방언에서는 동사 앞에 놓이는 nurm가 부정어이다.[75]

  • 수르실반어: 여 하이 부크 파트크 퀘이/Jeu hai buc fatg queirm – "나는 그것을 하지 않았다."
  • 푸테르어: 라 브쉬나운카 누 브겐 이솔레다 다 라 나이브/La vschinauncha nu vegn isoleda da la naivrm – "마을은 눈 때문에 고립되지 않는다."


푸테르어와 발라더어에서만 발견되는 특징(카스티야어 스페인어와 같음)은 직접 목적어가 사람이나 동물일 때 arm를 사용하는 직접 목적어의 전치사 사용이다. 예를 들어, 테스트 비스 아 파이더?/test vis a Peider?rm "피터를 보았습니까?", 에아우 데 므노 아 스파스 알 카운/eau d'he mno a spass al chaunrm "나는 개를 산책시켰다" 와 같지만, 헤스트 비스 라 바셀지아?/hest vis la baselgia?rm "교회를 보았습니까?" 와 같이 사용하지 않는다.[75]

어휘 외에도, 독일어의 영향은 문법 구조에서도 두드러지는데, 때로는 다른 로망스어보다 독일어에 더 가깝다.[75] 예를 들어, 로만슈어는 간접화법을 접속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유일한 로망스어이다. 수르실반어의 엘 디 켈 사이기 말사운스/El di ch'el seigi malsaunsrm, 푸테르어의 엘 디쉬 켈 사야 아말로/El disch ch'el saja amalorm ("그는 자신이 아프다고 말한다")는 이탈리아어 디체 케 에 말라토/Dice che è malatoit 또는 프랑스어 일 디 킬 에 말라데/Il dit qu'il est malade프랑스어와 비교된다. 리카르다 리버는 이것을 독일어의 영향으로 돌린다. 수르실반어에만 국한된 것은, 보조 동사와 분사 사이에 전체 구를 삽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쿤 마리아노 추오르 하 아우구스틴 벨리 디스쿠리우/Cun Mariano Tschuor ha Augustin Beeli discurriurm ("마리아노 추오르가 아우구스틴 베일리와 이야기했다")는 엔가디네스어 쿤 루돌프 가서 하 디스쿠뤼 지온 파이더 미쇼르/Cun Rudolf Gasser ha discurrü Gion Peider Mischolrm ("루돌프 가서가 지온 파이더 미쇼르와 이야기했다")와 비교된다.

현대 구어에서는 형용사 형태가 부사와 종종 구별되지 않는다. 수르실반어의 여 몬 디렉트/Jeu mon directrm ("나는 직접 간다")는 여 몬 디렉타마인/Jeu mon directameinrm이 아니다. 이러한 용법은 프랑스어 파를레 오/parler haut프랑스어 또는 이탈리아어 보사 포르트/vosà fortit ("큰 소리로 말하다")에서처럼 몇몇 산발적인 예외를 제외하고는 다른 대부분의 로망스어에서는 드물다. 그리고 구어 로만슈어에서의 일반적인 용법은 독일어의 영향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눈에 띄고 언어 순수주의자들에 의해 종종 비판받는 것은 아버/aberrm, 숀/schonrm, 할트/haltrm, 그라트/gradrm, 에바/ebarm, 또는 추아르/zuarrm과 같은 입자들이다. 이것들은 특히 수르실반어에서 일상적인 로만슈어 말하기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2. 4. 어휘

로만슈어 어휘는 대부분 라틴어에서 유래했지만, 켈트어, 레토어, 게르만어 등에서도 차용된 어휘가 존재한다.[59][60][61][62][63][64][65] 특히 로마 이전 시대의 지명에서 이러한 흔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66][67][68] 알프스 고유의 지형, 식물, 동물 이름, 그리고 알프스 유목 방목과 관련된 도구와 방법에서도 발견된다.[68]

다른 로망스어에서는 사라진 고대 라틴어 어휘를 보존하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교회"를 뜻하는 ''baselgia'', "마지못해, 억지로"를 뜻하는 ''nuidis'', "기도하다"를 뜻하는 ''urar'', "날씨"를 뜻하는 ''aura'' 등이 있다.[69][70][71]

독일어 차용어는 로만슈어 어휘의 또 다른 특징이다. 일부 게르만어 차용어는 고대 후기 또는 초기 중세 시대에 유입되었으며,[72] 19세기부터는 새로운 사물과 개념을 나타내는 독일어 단어가 많이 유입되었다.[73] 특히 감탄사는 일상어에서 자리를 잡았다.

이탈리아어의 영향은 주로 엔가딘 방언에서 강하게 나타나며,[74] Randulin을 통해 이탈리아로 이주한 이민자들의 영향도 받았다.

3. 방언

로만슈어는 단일 언어가 아닌, 여러 방언들의 집합이다. 1982년 취리히의 언어학자 하인리히 슈미트가 표준어인 '''로만슈 그리슌'''(Rumantsch Grischun)을 제정했으나, 각 방언 사용자들의 지지를 얻지 못해 지역에서는 여전히 개별 방언을 사용하고, 다른 방언 사용자 간에는 독일어를 사용한다.[14]

그라우뷔nden주 언어 분포. 빨강, 파랑, 보라색 등은 로만슈어 지역


로만슈어는 밀접하게 관련된 방언 집단으로, 일반적으로 5가지 변종으로 나뉜다.[14] 이들은 명확한 구분 없이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며, 역사적으로 연속적인 언어 사용 지역이었으나 현재는 독일어 확산으로 인해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다:

  • '''수르실반어''' (Sursilvan): 포데라인(Vorderrhein) 계곡, 룸네치아, 포파, 카디를 포함한 지역에서 사용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언이다. 2000년 스위스 인구 조사에서 로만슈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17,897명(54.8%)이었다.[14]
  • '''수트실반어''' (Sutsilvan): 힌터라인 계곡, 샴스/션스, 돔레슈크/툼레아스트가, 하인젠베르크/만토냐를 포함한 지역에서 사용된다. 가장 사용자가 적은 방언으로, 2000년 인구 조사에서 로만슈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1,111명(15.4%)이었다.[14] 20세기 초 이후 역사적 지역 대부분에서 사멸되었다.
  • '''수르미란어''' (Surmiran): 겔지아와 알불라/알브라 계곡, 수르세스와 수트세스를 포함한 지역에서 사용된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 로만슈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3,038명(44%)이었다.[14]
  • '''푸테르어''' (Putèr): 엔가딘 상부와 체르네츠의 브라일 마을에서 사용된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 로만슈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5,497명(30%)이었다.[14]
  • '''발라더어''' (Vallader): 엔가딘 하부와 발 뮈슈타이어에서 사용된다. 로만슈어의 두 번째로 흔한 변종으로, 2000년 인구 조사에서 로만슈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6,448명(79.2%)이었다.[14]


발 뮈슈타이어 방언은 발라더어와 유사하여 ''야우어어''(Jauer)로 불리기도 한다.[15] 투이에치와 발 메델 방언은 ''투아치신어''라고 불린다.[15][16]

1982년 표준화된 그리슈니아 로만슈어가 도입되었다. 발 브레갈리아 방언은 롬바르드어 변종으로 간주되며, 화자들은 이탈리아어를 사용한다.[17]

로만슈어 방언은 서쪽의 수르실반어와 동쪽의 엔가딘 방언(푸테르어와 발라더어, ''라딘어''라고도 함)으로 나뉘며, 수트실반어와 수르미란어는 그 사이의 전이 지역을 형성한다.[18] 라딘어는 둥근 전치 모음 및 를 유지하지만, 다른 방언에서는 둥글지 않다.[19] 수르실반어와 중앙 로만슈어를 구분하는 특징은 /a/ 앞의 라틴어 /k/ 구개음화 정도이다.[19]

로만슈어 방언은 항상 상호 이해가 가능한 것은 아니다. 특히 수르실반어와 라딘어 화자는 서로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21] 화자들은 자신의 지역 방언을 우선시하여 다른 방언 화자와 스위스 독일어로 소통하는 것을 선호한다.[22]

3. 1. 주요 방언

로만슈어는 단일 언어가 아닌, 여러 방언들의 집합이다. 1982년 취리히의 언어학자 하인리히 슈미트가 표준어인 '''로만슈 그리슌'''(Rumantsch Grischun)을 제정했으나, 각 방언 사용자들의 지지를 얻지 못해 지역에서는 여전히 개별 방언을 사용하고, 다른 방언 사용자 간에는 독일어를 사용한다.[14]

로만슈어는 밀접하게 관련된 방언 집단으로, 일반적으로 5가지 변종으로 나뉜다.[14] 이들은 명확한 구분 없이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며, 역사적으로 연속적인 언어 사용 지역이었으나 현재는 독일어 확산으로 인해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다.

  • '''수르실반어''' (Sursilvan): 포데라인(Vorderrhein) 계곡, 룸네치아, 포파, 카디를 포함한 지역에서 사용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언이다. 2000년 스위스 인구 조사에서 로만슈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17,897명(54.8%)이었다.[14]
  • '''수트실반어''' (Sutsilvan): 힌터라인 계곡, 샴스/션스, 돔레슈크/툼레아스트가, 하인젠베르크/만토냐를 포함한 지역에서 사용된다. 가장 사용자가 적은 방언으로, 2000년 인구 조사에서 로만슈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1,111명(15.4%)이었다.[14] 20세기 초 이후 역사적 지역 대부분에서 사멸되었다.
  • '''수르미란어''' (Surmiran): 겔지아와 알불라/알브라 계곡, 수르세스와 수트세스를 포함한 지역에서 사용된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 로만슈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3,038명(44%)이었다.[14]
  • '''푸테르어''' (Putèr): 엔가딘 상부와 체르네츠의 브라일 마을에서 사용된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 로만슈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5,497명(30%)이었다.[14]
  • '''발라더어''' (Vallader): 엔가딘 하부와 발 뮈슈타이어에서 사용된다. 로만슈어의 두 번째로 흔한 변종으로, 2000년 인구 조사에서 로만슈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6,448명(79.2%)이었다.[14]


발 뮈슈타이어 방언은 발라더어와 유사하여 ''야우어어''(Jauer)로 불리기도 한다.[15] 투이에치와 발 메델 방언은 ''투아치신어''라고 불린다.[15][16]

1982년 표준화된 그리슈니아 로만슈어가 도입되었다. 발 브레갈리아 방언은 롬바르드어 변종으로 간주되며, 화자들은 이탈리아어를 사용한다.[17]

로만슈어 방언은 서쪽의 수르실반어와 동쪽의 엔가딘 방언(푸테르어와 발라더어, ''라딘어''라고도 함)으로 나뉘며, 수트실반어와 수르미란어는 그 사이의 전이 지역을 형성한다.[18] 라딘어는 둥근 전치 모음 및 를 유지하지만, 다른 방언에서는 둥글지 않다.[19] 수르실반어와 중앙 로만슈어를 구분하는 특징은 /a/ 앞의 라틴어 /k/ 구개음화 정도이다.[19]

로만슈어 방언은 항상 상호 이해가 가능한 것은 아니다. 특히 수르실반어와 라딘어 화자는 서로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21] 화자들은 자신의 지역 방언을 우선시하여 다른 방언 화자와 스위스 독일어로 소통하는 것을 선호한다.[22]

3. 2. 표준어: 로만슈 그리슌 (Rumantsch Grischun)

1982년 하인리히 슈미트(Heinrich Schmid)가 제안한 로만슈 그리슌(Rumantsch Grischun)은 로만슈어의 표준어이다. 이 표준어는 수르실반어(Sursilvan), 발라더어(Vallader), 수르미란어(Surmiran) 등 주요 방언들의 공통 요소를 기반으로 인위적으로 구성되었다. 표기법은 기존 문학 작품의 철자법을 참고했으며, 일부 지역 특유의 음운 및 문법은 배제되었다.

로만슈 그리슌은 공문서, 교육 등에서 사용되지만, 여전히 논란이 있다. 1986년 연방 정부가 일부 텍스트에 로만슈 그리슌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나, 같은 해 도나트 카드루비(Donat Cadruvi)와 테오 칸디나스(Theo Candinas) 등은 로만슈 그리슌 도입을 비판했다. 특히 칸디나스는 루만치 그리슝을 "로만슈어에 대한 "재앙"이자 "사망 선고""라고 비판하며 논쟁을 격화시켰다.

지지자들은 반대자들을 보수적인 수르실반어 사용자와 CVP 정치인 등으로 묘사하며 반박했고, 반대자들은 루만치 그리슝을 "시험관 아기", "거세된 언어" 등으로 묘사하며 비판했다.

1996년 그리종스 주 정부는 모든 로만슈어 사용자에게 연설할 때 루만치 그리슝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지만, 단일 지역이나 지방 자치 단체에 연설할 때는 지역 방언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2001년 국민 투표에서 유권자의 65%가 루만치 그리슝을 주의 유일한 공식 로만슈어 방언으로 지정하는 데 찬성했다.

2003년 주 정부는 2006년부터 루만치 그리슝으로만 새로운 로만슈어 교재를 출판한다는 제안을 통과시켰으나, 이는 특히 엔가딘 지역에서 강한 반대에 부딪혔다. 반대자들은 로만슈어 문화와 정체성이 지역 방언을 통해 전달된다고 주장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여러 지방 자치 단체에서 1학년부터 루만치 그리슝을 교육 언어로 도입했으나, 2011년 이후 수르셀바와 엔가딘 지역의 반대자들은 지역 방언을 교육 언어로 되돌리기 위한 운동을 시작했다. 2013년까지 루만치 그리슝으로 전환했던 수르셀바 지역의 모든 지방 자치 단체는 수르실반어로 교육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리아 루만차는 루만치 그리슝이 학교에서 지역 방언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공존 모델을 지지하며, 2011년 지역 방언으로 교재를 지원하지 않기로 한 결정을 번복했다.

2014년 초, 루만치 그리슝은 그리종스 중부의 학교 언어와 쿠어(Chur) 지역의 이중 언어 수업에서 사용되었고, 쿠어의 교원 양성 대학교와 취리히 대학교, 프리부르 대학교(Fribourg)에서 로만슈어 방언과 함께 고등학교에서 가르쳐졌다. 또한 스위스 연방과 그리종스 주, 그리고 모든 로만슈어 사용 지역을 위한 공공 및 민간 기관에서 공식 및 행정 언어로 남아 있다.

2021년까지 수르미란어 사용 지방 자치 단체가 모두 루만치 그리슝으로 전환했으나, 2020년 국민 투표를 통해 2021년부터 수르미란어가 교육 언어로 복귀했다.

4. 역사

로만슈어는 기원전 15년 로마인들이 현대 그라우뷘덴 지역(로마 시대의 스위스)을 정복한 후 로마 병사, 상인, 관리들이 가져온 구어로 사용되던 라틴어에서 유래했다.[24] 그 이전에는 주민들이 켈트어와 레티아어를 사용했는데, 레티아어는 주로 하부 엔가딘 계곡에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언어들의 흔적은 츠린(Tschlin), 스쿠올(Scuol), 사보그닌(Savognin), 글리옹(Glion), 브레일/브리겔스(Breil/Brigels), 브리엔츠/브린차울스(Brienz/Brinzauls), 푸르텐차(Purtenza), 트룬(Trun)과 같은 지명에 남아 있다.[24] 알프스 고유의 동물, 식물, 지질학적 특징과 관련된 소수의 라틴어 이전 단어들도 로만슈어에 남아 있다.[24]

초기 중세 시대의 로만슈어


레티아 정복 이후 켈트족과 레티아족 주민들이 얼마나 빨리 로마화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로마 정복 직후 이 지역이 빠르게 로마화되었다고 보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4세기 또는 5세기까지 이 과정이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24] 5~6세기 레티아가 동고트 왕국의 일부가 되었을 때는 로마화 과정이 확실히 완료되었고, 로마 이전의 언어들은 멸종되었다. 서기 537년경 동고트족은 라에티아 프리마 지방을 프랑크 왕국에 넘겨주었고, 프랑크 왕국은 쿠어 공국을 통치하는 지역 통치자들을 계속 두었다. 그러나 마지막 빅토리드 통치자이자 주교인 텔로 주교가 서기 765년경 사망한 후, 샤를마뉴는 게르만 공작을 임명하여 이 지역을 다스리게 했다. 또한 쿠어 교구는 밀라노 대교구에서 마인츠 대교구로 이관되었다(서기 843년). 이러한 영향으로 독일어를 사용하는 북쪽으로 문화적 재편향이 이루어졌다.[24]

당시 로만슈어는 훨씬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는데, 북쪽으로는 현재의 글라루스 주와 산 갈렌 주까지, 북서쪽으로는 발렌제까지, 북동쪽으로는 뤼티와 알프스 라인 계곡까지 미쳤다. 동쪽으로는 오늘날 포어아르베르크의 일부와 티롤의 일부 지역에서도 로만슈어가 사용되었다. 하부 레티아라고 불리는 북부 지역은 12세기까지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되었고,[24] 15세기까지는 산 갈렌의 라인 계곡과 발렌제 주변 지역은 완전히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되었다.[24] 이러한 언어 변화는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었으며, 대도시들은 먼저 독일어를 채택한 반면, 주변 지역은 더 오랫동안 로만슈어를 사용했다. 독일어로의 전환은 특히 지역 독일어 사용 엘리트의 영향과 북쪽에서 온 독일어 사용 이민자들에 의해 야기되었으며, 하층민과 농촌 지역에서는 로만슈어가 더 오랫동안 유지되었다.[24]

1270년경부터 독일어를 사용하는 발제르(Walser)가 로만슈어 사용 지역의 인구 밀도가 낮거나 무인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발제르는 때때로 원래 정착지에서 로만슈어 사용 지역으로 확장되었고, 그러면 그 지역은 종종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되었다.[24]

"La mort da Benedetg Fontana", 두리히 쳄펠의 라틴어 연대기에 나오는 로만슈어 구절


쿠어의 독일화는 특히 장기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이 도시가 이미 오래전부터 로만슈어의 문화 중심지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쿠어 교구의 수도에서 사용되는 구어는 15세기까지 로만슈어였다.[24] 1465년 화재로 도시가 거의 파괴된 후, 피해 복구를 위해 불려온 많은 독일어 사용 장인들이 그곳에 정착하여 독일어가 주요 언어가 되었다. 많은 언어학자들은 쿠어가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된 것을 중대한 사건으로 본다.[26][27]

16세기 동안 로만슈어의 여러 지역적 문어 변종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잔 트라베르스(Gian Travers)는 푸테르 방언으로 로만슈어로 쓰여진 최초의 기록물인 ''Chianzun dalla guerra dagl Chiaste da Müs''를 저술했다. 1527년에 쓰여진 이 서사시는 트라베르스 자신이 참여했던 첫 번째 무소 전쟁을 묘사한다.[24] 트라베르스는 또한 수많은 성경극을 로만슈어로 번역했지만, 그중 많은 작품의 제목만 남아 있다. 푸테르 방언으로 글을 쓴 또 다른 초기 작가인 지아켐 비프룬(Giachem Bifrun)은 1552년에 출판된 교리서로 로만슈어로 된 최초의 인쇄물을 집필했다. 1560년 그는 신약전서를 번역한 ''L'g Nuof Sainc Testamaint da nos Signer Jesu Christ''를 출판했다.

''Ilg Vêr Sulaz da pievel giuvan''의 표지


수르실반 방언과 수트실반 방언으로 쓰인 최초의 작품은 17세기에 나타난다. 엔가딘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초기 작품들은 주로 종교적 주제, 특히 프로테스탄트와 반 종교개혁자들 사이의 갈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다니엘 보니파치(Daniel Bonifaci)는 1601년 수트실반 방언으로 출판된 교리서 ''Curt mussameint dels principals punctgs della Christianevla Religiun''으로 이 범주에 속하는 최초의 기록물을 제작했다. 1611년, 프로테스탄트 청년들을 위한 일련의 종교 지침인 Igl Vêr Sulaz da pievel giuvanrm("젊은이들의 진정한 기쁨")이 슈테판 가브리엘(Steffan Gabriel)에 의해 출판되었다. 4년 후인 1615년, 지온 안토니 칼벤차노(Gion Antoni Calvenzano)가 쓴 가톨릭 교리서 ''Curt Mussament''가 반응으로 출판되었다. 수르실반으로 번역된 신약전서의 최초 번역본은 슈테판 가브리엘의 아들인 루치 가브리엘(Luci Gabriel)에 의해 1648년에 출판되었다.

최초의 완전한 성경 번역본인 ''Bibla da Cuera''는 1717년부터 1719년 사이에 출판되었다. 따라서 수르실반 방언에는 일란츠(Ilanz)를 중심으로 하는 프로테스탄트 변종과 디젠티스 수도원(Disentis Abbey)을 중심으로 하는 가톨릭 변종이라는 두 가지 별개의 문어 변종이 있었다. 엔가딘 방언 또한 두 가지 변종으로 쓰였다. 상부 계곡의 푸테르와 하부 계곡의 발라더이다.[24]

16세기에 로만슈어와 독일어 사이의 언어 경계는 대체로 안정되었고, 19세기 후반까지 거의 변하지 않았다.[24] 이 기간 동안, 주로 투시스(Thusis) 주변의 몇몇 마을과 삼나운(Samnaun) 마을 등 일부 지역만이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되었다. 삼나운의 경우 주민들은 이웃 티롤의 바이에른 방언을 채택하여 삼나운을 바이에른 방언이 사용되는 스위스 유일의 지방자치단체로 만들었다. 남티롤의 빈슈가우(Vinschgau)는 17세기까지 로만슈어 사용 지역이었지만, 반종교개혁에서 로만슈어가 "프로테스탄트 언어"로 규탄된 후 완전히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되었다.[57]

1803년 나폴레옹의 중재법(Act of Mediation)에 따라 그라우뷘덴주(州)가 스위스의 칸톤으로 편입되면서, 16세기 이후 대체로 안정적이었던 독일어와의 언어 경계는 점점 더 많은 마을들이 독일어로 전환하면서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29] 이는 로만슈어 사용자들이 독일어 사용자들과 더 자주 접촉하게 되고, 독일어를 행정 언어로 사용해 온 그라우뷘덴 중앙 정부의 권력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다.[29] 또한, 많은 로만슈어 사용자들이 독일어를 사용하는 대도시로 이주한 반면, 독일어 사용자들은 로만슈어 마을에 정착했고, 경제적 변화와 인프라 개선으로 인해 로만슈어 사용 지역과 독일어 사용 지역 간의 무역 및 교류가 활발해졌다.[29]

관광업 발전으로 독일어 지식이 경제적 필수 요소가 되었고, 농업 부문의 중요성이 줄어들면서 독일어가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대부분의 로만슈어 사용자들은 독일어를 위협이 아닌 중요한 자산으로 여겼고, 일반 대중은 독일어 학습 기회를 요구했다. 1833년 일란츠(Ilanz)처럼 많은 지방 자치단체들이 독일어를 교육 언어로 채택했다.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e40c44a_6c8951ca.PNG|thumb|스위스 인구 조사에 따른 근대 로만슈어 사용자의 감소

]]

19세기 중반부터 "레토로만슈 르네상스(Rhaeto-Romansh renaissance)"라고 불리는 부흥 운동이 시작되어 문화 활동 증가와 로만슈어 보호를 위한 여러 단체들이 설립되었다. 1863년에는 모든 로만슈어 지역을 위한 협회를 설립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1885년에는 Società Retorumantschait가 설립되었다. 1919년에는 다양한 지역 언어 협회를 위한 상위 단체로서 리아 루만차(Lia Rumantscha)가 설립되었다. 1830년대와 1840년대에는 최초의 로만슈어 교과서가 출판되면서 학교에서 로만슈어의 역할이 강화되었고, 1860년에는 사범학교에서 로만슈어가 과목으로 도입되었으며 1880년에는 주 공식 언어로 인정되었다.

Ortografia et ortoëpia del idiom romauntsch d'Engiadin'otarm 표지


같은 시기에 지역 문어에 대한 문법과 철자 지침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1857년 자카리아 팔리오피(Zaccaria Pallioppi)의 Ortografia et ortoëpia del idiom romauntsch d'Engiadin'otarm가 출판되었다. 수르실반(Sursilvan)의 경우, 1858년 바젤리 카리지에트(Baseli Carigiet)의 Ortografia gienerala, speculativa ramontschait가 출판되었고, 1882년에는 수르실반-독일어 사전과 1888년 자켄 카스파르 무오트(Giachen Caspar Muoth)의 ''Normas ortografias''가 출판되었다. 수르실반은 1924년 지온 카하네스(Gion Cahannes)의 ''Grammatica Romontscha per Surselva e Sutselva''를 통해 표준화되었고, 1927년에는 ''Entruidament devart nossa ortografia''가 출판되었다. 수르미란(Surmiran) 방언은 1939년 ''Normas ortograficas per igl rumantsch da Surmeir''가 출판되며 표준화되었다. 엥가딘에서는 1928년 크리스토펠 바르돌라(Cristoffel Bardola)의 Pitschna introducziun a la nouva ortografia ladina ufficialait가 출판되었다. 수트실반(Sutsilvan)을 위한 별도의 문어는 1944년 주세페 갱갈레(Giuseppe Gangale)에 의해 개발되었다.

1880년경 로만슈어 사용 지역 전체는 여전히 연속적인 지리적 단위를 형성했지만, 세기 말까지 소위 "중부 그라우뷘덴 언어 다리"가 사라지기 시작했다.[32]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계곡의 나머지 마을들이 주로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되면서 분열이 확정되었다. 로만슈어의 쇠퇴를 막기 위해 리아 루만차는 1940년대부터 Scoletasrm라고 불리는 로만슈어 보육학교를 설립했지만, 이 프로그램은 결국 계곡에서 언어를 보존하는 데 실패했다.

20세기 로만슈어의 쇠퇴는 스위스 인구 조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백분율 감소는 로만슈어 지역의 독일어화 때문만은 아니며, 로만슈어를 사용하는 계곡 지역의 전체 인구 증가율이 주의 다른 지역보다 항상 낮았기 때문이다.[85]

그라우뷘덴의 로만슈어 사용자 수 (1803~1980)[86]
년도로만슈어
(절대 수)
로만슈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
180336,700약 50%약 36%약 14%
185042,43947.2%39.5%13.3%
188037,79439.8%46.0%13.7%
190036,47234.9%46.7%16.8%
192039,12732.7%51.2%14.8%
194140,18731.3%54.9%12.8%
196038,41426.1%56.7%16.1%
198036,01721.9%59.9%13.5%



1982년, 리아 루만차(Lia Rumantscha) 사무총장이었던 베르나르 카토마스(de)는 표준어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같은 해 하인리히 슈미트(Heinrich Schmid)는 루만치 그리슝(Rumantsch Grischun)이라는 표준어 규칙과 지침을 제시했다. 이는 수르실반어(Sursilvan), 발라더어(Vallader), 수르미란어(Surmiran)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형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표준어 개발은 스위스 국립 기금의 지원을 받아 조르주 다름(Georges Darms)과 안나-앨리스 다치-그로스(Anna-Alice Dazzi-Gross)의 지도하에 진행되었다.

리아 루만차는 루만치 그리슝을 공식 문서, 간판, 광고 등에 도입하기 시작했다. 1984년, 리아 루만차 대표자 회의는 그리종스(Grisons)의 모든 로만슈어 사용 지역에 연설할 때 새로운 표준어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1986년부터 연방 정부는 일부 텍스트에 루만치 그리슝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같은 해 도나트 카드루비(Donat Cadruvi) 등은 루만치 그리슝 도입을 비판했다. 로만슈어 작가 테오 칸디나스(Theo Candinas)는 루만치 그리슝을 "로만슈어에 대한 "재앙""이라고 칭하며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지지자들은 반대자들을 좁은 사고방식의 수르실반어 사용자와 CVP 정치인 등으로 묘사하며 반박했다.

1996년, 그리종스 주 정부는 모든 로만슈어 사용자에게 연설할 때 루만치 그리슝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지만, 지역 방언은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2001년, 국민 투표를 통해 루만치 그리슝을 주의 유일한 공식 로만슈어 방언으로 지정하는 데 65%가 찬성했다.[33]

2003년, 주 정부는 2006년부터 루만치 그리슝으로만 새로운 로만슈어 교재를 출판한다는 제안을 했고, 이는 지역 방언을 교육 언어로 폐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결정은 특히 엔가딘 지역에서 강한 반대에 부딪혔다. 반대자들은 로만슈어 문화와 정체성이 지역 방언을 통해 전달된다고 주장하며, 루만치 그리슝이 로만슈어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2007~2008년, 23개 지방 자치 단체에서 1학년부터 루만치 그리슝을 교육 언어로 도입했고, 이후 추가로 여러 곳이 도입했다.[34] 그러나 엔가딘 계곡 전체와 수르셀바 지역 대부분을 포함한 다른 지방 자치 단체들은 지역 방언을 계속 사용했다.[35] 주 정부는 2020년까지 로만슈어 학교의 유일한 교육 언어로 루만치 그리슝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5]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e40c765_1738a759.png|thumb|2013년 9월 상황 지도

]]

2011년, 수르셀바와 엔가딘 지역의 반대자들은 프로 이디오무스(Pro Idioms) 협회를 설립하고 지역 방언을 교육 언어로 되돌리기 위한 운동을 시작했다. 리인(Riein)을 시작으로 여러 지방 자치 단체가 지역 방언으로 교육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36] 리아 루만차는 루만치 그리슝이 지역 방언을 보완하는 공존 모델을 지지하며, 2011년 지역 방언 교재 지원 중단 결정을 번복했다.[40]

2021년까지 수르미란어 사용 지방 자치 단체가 모두 루만치 그리슝으로 전환했으나, 2020년 국민 투표를 통해 2021년부터 수르미란어가 교육 언어로 복귀했다. 루만치 그리슝은 스위스 로만슈어 라디오텔레비전(Radiotelevisiun Svizra Rumantscha) 뉴스, ''라 콰티디아나(La Quotidiana)'' 신문 등에서 사용되며 로만슈어 어휘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4. 1. 기원과 발전

로만슈어는 기원전 15년 로마인들이 현대 그라우뷘덴 지역을 정복한 후(로마 시대의 스위스) 로마 병사, 상인, 관리들이 가져온 구어로 사용되던 라틴어에서 유래했다.[24] 그 이전에는 주민들이 켈트어와 레티아어를 사용했는데, 레티아어는 주로 하부 엔가딘 계곡에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언어들의 흔적은 주로 지명에서 발견되며, 츠린(Tschlin), 스쿠올(Scuol), 사보그닌(Savognin), 글리옹(Glion), 브레일/브리겔스(Breil/Brigels), 브리엔츠/브린차울스(Brienz/Brinzauls), 푸르텐차(Purtenza), 트룬(Trun)과 같은 마을 이름에 남아 있다.[24] 또한, 알프스 고유의 동물, 식물, 지질학적 특징과 관련된 소수의 라틴어 이전 단어들이 로만슈어에 남아 있다.[24]

레티아 정복 이후 켈트족과 레티아족 주민들이 얼마나 빨리 로마화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로마 정복 이후 이 지역이 빠르게 로마화되었다고 가정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 과정이 4세기 또는 5세기까지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24] 5~6세기 레티아가 동고트 왕국의 일부가 되었을 때는 로마화 과정이 확실히 완료되었고, 로마 이전의 언어들은 멸종되었다. 서기 537년경 동고트족은 라에티아 프리마 지방을 프랑크 왕국에 넘겨주었고, 프랑크 왕국은 쿠어 공국을 통치하는 지역 통치자들을 계속 두었다. 그러나 마지막 빅토리드 통치자이자 주교인 텔로 주교가 서기 765년경 사망한 후, 샤를마뉴는 게르만 공작을 임명하여 이 지역을 다스리게 했다. 또한 쿠어 교구는 밀라노 대교구에서 마인츠 대교구로 이관되었다(서기 843년). 이러한 영향으로 독일어를 사용하는 북쪽으로 문화적 재편향이 이루어졌다.[24]

당시 로만슈어는 훨씬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는데, 북쪽으로는 현재의 글라루스 주와 산 갈렌 주까지, 북서쪽으로는 발렌제까지, 북동쪽으로는 뤼티와 알프스 라인 계곡까지 미쳤다. 동쪽으로는 오늘날 포어아르베르크의 일부와 티롤의 일부 지역에서도 로만슈어가 사용되었다. 하부 레티아라고 불리는 북부 지역은 12세기까지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되었고,[24] 15세기까지는 산 갈렌의 라인 계곡과 발렌제 주변 지역은 완전히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되었다.[24] 이러한 언어 변화는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었으며, 대도시들은 먼저 독일어를 채택한 반면, 주변 지역은 더 오랫동안 로만슈어를 사용했다. 독일어로의 전환은 특히 지역 독일어 사용 엘리트의 영향과 북쪽에서 온 독일어 사용 이민자들에 의해 야기되었으며, 하층민과 농촌 지역에서는 로만슈어가 더 오랫동안 유지되었다.[24]

1270년경부터 독일어를 사용하는 발제르(Walser)가 로만슈어 사용 지역의 인구 밀도가 낮거나 무인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발제르는 때때로 원래 정착지에서 로만슈어 사용 지역으로 확장되었고, 그러면 그 지역은 종종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되었다.[24]

쿠어의 독일화는 특히 장기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이 도시가 이미 오래전부터 로만슈어의 문화 중심지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쿠어 교구의 수도에서 사용되는 구어는 15세기까지 로만슈어였다.[24] 1465년 화재로 도시가 거의 파괴된 후, 피해 복구를 위해 불려온 많은 독일어 사용 장인들이 그곳에 정착하여 독일어가 주요 언어가 되었다. 많은 언어학자들은 쿠어가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된 것을 중대한 사건으로 본다.[26][27]

16세기 동안 로만슈어의 여러 지역적 문어 변종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잔 트라베르스(Gian Travers)는 푸테르 방언으로 로만슈어로 쓰여진 최초의 기록물인 ''Chianzun dalla guerra dagl Chiaste da Müs''를 저술했다. 1527년에 쓰여진 이 서사시는 트라베르스 자신이 참여했던 첫 번째 무소 전쟁을 묘사한다.[24] 트라베르스는 또한 수많은 성경극을 로만슈어로 번역했지만, 그중 많은 작품의 제목만 남아 있다. 푸테르 방언으로 글을 쓴 또 다른 초기 작가인 지아켐 비프룬(Giachem Bifrun)은 1552년에 출판된 교리서로 로만슈어로 된 최초의 인쇄물을 집필했다. 1560년 그는 신약전서를 번역한 ''L'g Nuof Sainc Testamaint da nos Signer Jesu Christ''를 출판했다.

수르실반 방언과 수트실반 방언으로 쓰인 최초의 작품은 17세기에 나타난다. 엔가딘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초기 작품들은 주로 종교적 주제, 특히 프로테스탄트와 반 종교개혁자들 사이의 갈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다니엘 보니파치(Daniel Bonifaci)는 1601년 수트실반 방언으로 출판된 교리서 ''Curt mussameint dels principals punctgs della Christianevla Religiun''으로 이 범주에 속하는 최초의 기록물을 제작했다. 1611년, 프로테스탄트 청년들을 위한 일련의 종교 지침인 Igl Vêr Sulaz da pievel giuvanrm("젊은이들의 진정한 기쁨")이 슈테판 가브리엘(Steffan Gabriel)에 의해 출판되었다. 4년 후인 1615년, 지온 안토니 칼벤차노(Gion Antoni Calvenzano)가 쓴 가톨릭 교리서 ''Curt Mussament''가 반응으로 출판되었다. 수르실반으로 번역된 신약전서의 최초 번역본은 슈테판 가브리엘의 아들인 루치 가브리엘(Luci Gabriel)에 의해 1648년에 출판되었다.

최초의 완전한 성경 번역본인 ''Bibla da Cuera''는 1717년부터 1719년 사이에 출판되었다. 따라서 수르실반 방언에는 일란츠(Ilanz)를 중심으로 하는 프로테스탄트 변종과 디젠티스 수도원(Disentis Abbey)을 중심으로 하는 가톨릭 변종이라는 두 가지 별개의 문어 변종이 있었다. 엔가딘 방언 또한 두 가지 변종으로 쓰였다. 상부 계곡의 푸테르와 하부 계곡의 발라더이다.[24]

16세기에 로만슈어와 독일어 사이의 언어 경계는 대체로 안정되었고, 19세기 후반까지 거의 변하지 않았다.[24] 이 기간 동안, 주로 투시스(Thusis) 주변의 몇몇 마을과 삼나운(Samnaun) 마을 등 일부 지역만이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되었다. 삼나운의 경우 주민들은 이웃 티롤의 바이에른 방언을 채택하여 삼나운을 바이에른 방언이 사용되는 스위스 유일의 지방자치단체로 만들었다. 남티롤의 빈슈가우(Vinschgau)는 17세기까지 로만슈어 사용 지역이었지만, 반종교개혁에서 로만슈어가 "프로테스탄트 언어"로 규탄된 후 완전히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되었다.[57]

4. 2. 19세기와 20세기

1803년 나폴레옹의 중재법(Act of Mediation)에 따라 그라우뷘덴주(州)가 스위스의 칸톤으로 편입되면서, 16세기 이후 대체로 안정적이었던 독일어와의 언어 경계는 점점 더 많은 마을들이 독일어로 전환하면서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29] 이는 로만슈어 사용자들이 독일어 사용자들과 더 자주 접촉하게 되고, 독일어를 행정 언어로 사용해 온 그라우뷘덴 중앙 정부의 권력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다.[29] 또한, 많은 로만슈어 사용자들이 독일어를 사용하는 대도시로 이주한 반면, 독일어 사용자들은 로만슈어 마을에 정착했고, 경제적 변화와 인프라 개선으로 인해 로만슈어 사용 지역과 독일어 사용 지역 간의 무역 및 교류가 활발해졌다.[29]

관광업 발전으로 독일어 지식이 경제적 필수 요소가 되었고, 농업 부문의 중요성이 줄어들면서 독일어가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대부분의 로만슈어 사용자들은 독일어를 위협이 아닌 중요한 자산으로 여겼고, 일반 대중은 독일어 학습 기회를 요구했다. 1833년 일란츠(Ilanz)처럼 많은 지방 자치단체들이 독일어를 교육 언어로 채택했다.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e40c44a_6c8951ca.PNG|thumb|스위스 인구 조사에 따른 근대 로만슈어 사용자의 감소

]]

19세기 중반부터 "레토로만슈 르네상스(Rhaeto-Romansh renaissance)"라고 불리는 부흥 운동이 시작되어 문화 활동 증가와 로만슈어 보호를 위한 여러 단체들이 설립되었다. 1863년에는 모든 로만슈어 지역을 위한 협회를 설립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1885년에는 Società Retorumantschait가 설립되었다. 1919년에는 다양한 지역 언어 협회를 위한 상위 단체로서 리아 루만차(Lia Rumantscha)가 설립되었다. 1830년대와 1840년대에는 최초의 로만슈어 교과서가 출판되면서 학교에서 로만슈어의 역할이 강화되었고, 1860년에는 사범학교에서 로만슈어가 과목으로 도입되었으며 1880년에는 주 공식 언어로 인정되었다.

같은 시기에 지역 문어에 대한 문법과 철자 지침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1857년 자카리아 팔리오피(Zaccaria Pallioppi)의 Ortografia et ortoëpia del idiom romauntsch d'Engiadin'otarm가 출판되었다. 수르실반(Sursilvan)의 경우, 1858년 바젤리 카리지에트(Baseli Carigiet)의 Ortografia gienerala, speculativa ramontschait가 출판되었고, 1882년에는 수르실반-독일어 사전과 1888년 자켄 카스파르 무오트(Giachen Caspar Muoth)의 ''Normas ortografias''가 출판되었다. 수르실반은 1924년 지온 카하네스(Gion Cahannes)의 ''Grammatica Romontscha per Surselva e Sutselva''를 통해 표준화되었고, 1927년에는 ''Entruidament devart nossa ortografia''가 출판되었다. 수르미란(Surmiran) 방언은 1939년 ''Normas ortograficas per igl rumantsch da Surmeir''가 출판되며 표준화되었다. 엥가딘에서는 1928년 크리스토펠 바르돌라(Cristoffel Bardola)의 Pitschna introducziun a la nouva ortografia ladina ufficialait가 출판되었다. 수트실반(Sutsilvan)을 위한 별도의 문어는 1944년 주세페 갱갈레(Giuseppe Gangale)에 의해 개발되었다.

1880년경 로만슈어 사용 지역 전체는 여전히 연속적인 지리적 단위를 형성했지만, 세기 말까지 소위 "중부 그라우뷘덴 언어 다리"가 사라지기 시작했다.[32]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계곡의 나머지 마을들이 주로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되면서 분열이 확정되었다. 로만슈어의 쇠퇴를 막기 위해 리아 루만차는 1940년대부터 Scoletasrm라고 불리는 로만슈어 보육학교를 설립했지만, 이 프로그램은 결국 계곡에서 언어를 보존하는 데 실패했다.

20세기 로만슈어의 쇠퇴는 스위스 인구 조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백분율 감소는 로만슈어 지역의 독일어화 때문만은 아니며, 로만슈어를 사용하는 계곡 지역의 전체 인구 증가율이 주의 다른 지역보다 항상 낮았기 때문이다.[85]

그라우뷘덴의 로만슈어 사용자 수 (1803~1980)[86]
년도로만슈어
(절대 수)
로만슈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
180336,700약 50%약 36%약 14%
185042,43947.2%39.5%13.3%
188037,79439.8%46.0%13.7%
190036,47234.9%46.7%16.8%
192039,12732.7%51.2%14.8%
194140,18731.3%54.9%12.8%
196038,41426.1%56.7%16.1%
198036,01721.9%59.9%13.5%


4. 3. 21세기

1982년, 리아 루만차(Lia Rumantscha) 사무총장이었던 베르나르 카토마스(de)는 표준어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같은 해 하인리히 슈미트(Heinrich Schmid)는 루만치 그리슝(Rumantsch Grischun)이라는 표준어 규칙과 지침을 제시했다. 이는 수르실반어(Sursilvan), 발라더어(Vallader), 수르미란어(Surmiran)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형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표준어 개발은 스위스 국립 기금의 지원을 받아 조르주 다름(Georges Darms)과 안나-앨리스 다치-그로스(Anna-Alice Dazzi-Gross)의 지도하에 진행되었다.

리아 루만차는 루만치 그리슝을 공식 문서, 간판, 광고 등에 도입하기 시작했다. 1984년, 리아 루만차 대표자 회의는 그리종스(Grisons)의 모든 로만슈어 사용 지역에 연설할 때 새로운 표준어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1986년부터 연방 정부는 일부 텍스트에 루만치 그리슝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같은 해 도나트 카드루비(Donat Cadruvi) 등은 루만치 그리슝 도입을 비판했다. 로만슈어 작가 테오 칸디나스(Theo Candinas)는 루만치 그리슝을 "로만슈어에 대한 "재앙""이라고 칭하며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지지자들은 반대자들을 좁은 사고방식의 수르실반어 사용자와 CVP 정치인 등으로 묘사하며 반박했다.

1996년, 그리종스 주 정부는 모든 로만슈어 사용자에게 연설할 때 루만치 그리슝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지만, 지역 방언은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2001년, 국민 투표를 통해 루만치 그리슝을 주의 유일한 공식 로만슈어 방언으로 지정하는 데 65%가 찬성했다.[33]

2003년, 주 정부는 2006년부터 루만치 그리슝으로만 새로운 로만슈어 교재를 출판한다는 제안을 했고, 이는 지역 방언을 교육 언어로 폐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결정은 특히 엔가딘 지역에서 강한 반대에 부딪혔다. 반대자들은 로만슈어 문화와 정체성이 지역 방언을 통해 전달된다고 주장하며, 루만치 그리슝이 로만슈어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2007~2008년, 23개 지방 자치 단체에서 1학년부터 루만치 그리슝을 교육 언어로 도입했고, 이후 추가로 여러 곳이 도입했다.[34] 그러나 엔가딘 계곡 전체와 수르셀바 지역 대부분을 포함한 다른 지방 자치 단체들은 지역 방언을 계속 사용했다.[35] 주 정부는 2020년까지 로만슈어 학교의 유일한 교육 언어로 루만치 그리슝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5]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e40c765_1738a759.png|thumb|2013년 9월 상황 지도

]]

2011년, 수르셀바와 엔가딘 지역의 반대자들은 프로 이디오무스(Pro Idioms) 협회를 설립하고 지역 방언을 교육 언어로 되돌리기 위한 운동을 시작했다. 리인(Riein)을 시작으로 여러 지방 자치 단체가 지역 방언으로 교육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36] 리아 루만차는 루만치 그리슝이 지역 방언을 보완하는 공존 모델을 지지하며, 2011년 지역 방언 교재 지원 중단 결정을 번복했다.[40]

2021년까지 수르미란어 사용 지방 자치 단체가 모두 루만치 그리슝으로 전환했으나, 2020년 국민 투표를 통해 2021년부터 수르미란어가 교육 언어로 복귀했다. 루만치 그리슝은 스위스 로만슈어 라디오텔레비전(Radiotelevisiun Svizra Rumantscha) 뉴스, ''라 콰티디아나(La Quotidiana)'' 신문 등에서 사용되며 로만슈어 어휘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5. 스위스에서의 공적 지위

1938년 국민투표를 통해 로만슈어는 스위스의 네 번째 국가 언어로 인정되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정신적 방어(Spiritual defence)의 일환으로, 스위스의 다국가적 정체성을 강조하고 이탈리아의 영토 주장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리아 루만차(Lia Rumantscha)는 국가 언어 지위 획득에 만족했지만, 공식 문서에 사용되는 공용어 지위를 얻는 데는 실패했다.

1956년 스위스 국립은행(Swiss National Bank)은 새로운 지폐 시리즈에 로만슈어를 포함시키려 했으나, 어떤 방언을 사용할지에 대한 논쟁 끝에 이탈리아어가 두 번 표기되었다. 1976/77년 새로운 지폐에는 수르실반어와 발라더어의 절충안인 Banca naziunala svizrarm가 추가되었고, 숫자는 수르미란어로 인쇄되었다.

로만슈어가 표기된 최초의 지폐인 6차 시리즈 10-스위스 프랑 지폐


1996년 국민투표를 통해 로만슈어는 연방 헌법 제70조에 따라 스위스의 부분적 공용어로 인정되었다.[51] 이에 따라 로만슈어 사용자는 연방 행정부에 로만슈어로 연락하고 답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51] 그러나 실제로는 로만슈어 사용자들이 표준어인 루만슈 그리슈운어를 선호하지 않거나 독일어에 능통하여 로만슈어 서비스 수요가 적다.[53]

스위스 국방군(Swiss Armed Forces)은 1988년부터 1992년까지 로만슈어를 지휘 언어로 도입하려 했으나, 로만슈어 사용 부사관 부족으로 1995년에 중단되었다.

그라우뷘덴 주는 로만슈어를 공식 언어로 인정하는 스위스 유일의 주이다.[54] 1794년 연맹 의회는 독일어, 이탈리아어, 수르실반어, 라딘어(푸테르어와 발라더어)를 동등한 공식 지위를 갖도록 선언하였다. 2004년 새로운 주 헌법은 독일어, 이탈리아어, 로만슈어를 주의 동등한 국어이자 공식 언어로 인정한다.

발텐스부르크/푸오르츠(Waltensburg/Vuorz)의 로만슈어 도로 표지판


주의 모든 시민은 선택한 언어로 서비스와 투표용지와 같은 공식 문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세 가지 언어 모두 법정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주 의회 의원은 세 가지 언어 중 어느 것이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1991년부터 주 의회의 모든 공식 문서는 로만슈어로 번역되어야 하며, 주 정부 사무소에는 세 가지 언어 모두로 된 표지판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 주 행정부 내에서 로만슈어의 역할은 제한적이고 종종 상징적이며, 주요 공용어는 독일어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모든 로만슈어 사용자가 완벽하게 이중 언어 사용자이며 독일어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는 이유로 주 공무원들에 의해 정당화된다. 1980년대까지 주 의회에서 의원이 연설 중 로만슈어를 사용하는 것은 도발로 여겨졌다.[55]

주 법은 행정 및 교육의 자체 언어를 지정하는 것을 구역과 지방 자치 단체에 맡긴다. 그러나 주 헌법 제3조에 따르면, 지방 자치 단체는 "전통적인 언어 구성을 고려하고 토착 언어 소수 민족을 존중해야 한다". 이는 로만슈어 사용 지역이 공식적으로 정의된 적이 없으며, 모든 지방 자치 단체가 공식 언어를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5. 1. 연방 정부

1938년 국민투표를 통해 로만슈어는 스위스의 네 번째 국가 언어로 인정되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정신적 방어(Spiritual defence)의 일환으로, 스위스의 다국가적 정체성을 강조하고 이탈리아의 영토 주장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리아 루만차(Lia Rumantscha)는 국가 언어 지위 획득에 만족했지만, 공식 문서에 사용되는 공용어 지위를 얻는 데는 실패했다.

1956년 스위스 국립은행(Swiss National Bank)은 새로운 지폐 시리즈에 로만슈어를 포함시키려 했으나, 어떤 방언을 사용할지에 대한 논쟁 끝에 이탈리아어가 두 번 표기되었다. 1976/77년 새로운 지폐에는 수르실반어와 발라더어의 절충안인 "Banca naziunala svizrarm"가 추가되었고, 숫자는 수르미란어로 인쇄되었다.

1996년 국민투표를 통해 로만슈어는 연방 헌법 제70조에 따라 스위스의 부분적 공용어로 인정되었다.[51] 이에 따라 로만슈어 사용자는 연방 행정부에 로만슈어로 연락하고 답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51] 그러나 실제로는 로만슈어 사용자들이 표준어인 루만슈 그리슈운어를 선호하지 않거나 독일어에 능통하여 로만슈어 서비스 수요가 적다.[53]

스위스 국방군(Swiss Armed Forces)은 1988년부터 1992년까지 로만슈어를 지휘 언어로 도입하려 했으나, 로만슈어 사용 부사관 부족으로 1995년에 중단되었다.

5. 2. 그라우뷘덴 주

그라우뷘덴 주는 로만슈어를 공식 언어로 인정하는 스위스 유일의 주이다.[54] 1794년 연맹 의회는 독일어, 이탈리아어, 수르실반어, 라딘어(푸테르어와 발라더어)를 동등한 공식 지위를 갖도록 선언하였다. 2004년 새로운 주 헌법은 독일어, 이탈리아어, 로만슈어를 주의 동등한 국어이자 공식 언어로 인정한다.

주의 모든 시민은 선택한 언어로 서비스와 투표용지와 같은 공식 문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세 가지 언어 모두 법정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주 의회 의원은 세 가지 언어 중 어느 것이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1991년부터 주 의회의 모든 공식 문서는 로만슈어로 번역되어야 하며, 주 정부 사무소에는 세 가지 언어 모두로 된 표지판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 주 행정부 내에서 로만슈어의 역할은 제한적이고 종종 상징적이며, 주요 공용어는 독일어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모든 로만슈어 사용자가 완벽하게 이중 언어 사용자이며 독일어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는 이유로 주 공무원들에 의해 정당화된다. 1980년대까지 주 의회에서 의원이 연설 중 로만슈어를 사용하는 것은 도발로 여겨졌다.[55]

주 법은 행정 및 교육의 자체 언어를 지정하는 것을 구역과 지방 자치 단체에 맡긴다. 그러나 주 헌법 제3조에 따르면, 지방 자치 단체는 "전통적인 언어 구성을 고려하고 토착 언어 소수 민족을 존중해야 한다". 이는 로만슈어 사용 지역이 공식적으로 정의된 적이 없으며, 모든 지방 자치 단체가 공식 언어를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6. 사용 현황

6. 1. 지리적 분포

초기 중세 시대에는 로만슈어가 보덴 호수 북쪽까지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그라우뷘덴 주의 일부 지역으로 제한되어 있다. 남티롤의 빈슈가우(Vinschgau) 지역은 17세기에 독일어 사용 지역이 되면서 주 외부에서 로만슈어를 사용했던 마지막 지역이 되었다.[57] 그라우뷘덴 주 내에서 로만슈어 사용 경계는 16세기에 대체로 안정되었고 19세기까지 거의 변하지 않았다. 이 지역은 통계학자 장-자크 퓨러(Jean-Jacques Furer)가 스위스 인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도입한 "전통적인 로만슈어 사용 지역"으로 불린다.[57]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e40d400_89c2cbbd.PNG|thumb|left|1860년 인구 조사에 따른 로만슈어 사용 가구, 전통적인 로만슈어 사용 지역과 대체로 일치함

]]

퓨러는 1860년부터 1888년 사이의 처음 네 번의 스위스 인구 조사에서 로만슈어를 모국어로 선언한 다수의 시정촌을 이 지역으로 정의하며, Fürstenau를 포함하여 당시 121개(현재 116개) 시정촌이었다. 17세기까지 로만슈어를 사용했던 Samnaun, Sils im Domleschg, Masein, Urmein 마을들은 1860년까지 로만슈어 사용 인구가 다수를 차지하지 않게 되어 이 정의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전통적인 로만슈어 사용 지역 내에서 로만슈어 사용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2000년에는 66개 시정촌이 여전히 로만슈어 사용 인구가 다수였고, 추가로 32개 시정촌에서는 최소 20%가 로만슈어를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 또는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로 선언했다. 반면 나머지 18개 시정촌에서는 로만슈어가 멸종되었거나 소수만이 사용하고 있다. Surselva 지역에서는 78.5%가 습관적으로 사용하고 66%가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 사용하는 반면, Sutselva 지역에서는 Schams를 제외하고는 로만슈어가 멸종되었거나 소수의 노인들만이 사용하고 있다. Surmiran 지역에서는 Surses 지역이 주요 언어이지만, Albula 계곡에서는 더 이상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Upper Engadine 계곡에서는 30.8%가 습관적으로 사용하고 13%가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 사용하지만, 학교 시스템을 통해 대부분의 어린이들이 여전히 로만슈어를 습득하고 있다. Lower Engadine에서는 거의 모든 시정촌에서 로만슈어 사용자가 다수를 차지하며, 2000년에는 60.4%가 로만슈어를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 77.4%가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로 선언했다.

전통적인 로만슈어 사용 지역 외부에서는 "로만슈어 디아스포라(diaspora)"라고 불리는 사람들, 즉 로만슈어를 사용하는 계곡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로만슈어를 사용한다. 상당수는 그라우뷘덴 주의 주도인 쿠어(Chur)와 그라우뷘덴 주 외부의 스위스 도시들에서 발견된다.

6. 2. 사용자 수

2000년 스위스 인구 조사에 따르면 로만슈어를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 답한 사람은 35,095명으로, 그라우뷘덴(Graubünden) 주 인구의 약 1/6에 해당한다. 이는 1990년의 39,632명에 비해 감소한 수치이다. 하지만, 가족 언어(49,134명), 직장 언어(20,327명), 학교 언어(6,411명)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60,561명이 어떤 형태로든 로만슈어를 사용한다고 답하여 스위스 인구의 0.83%를 차지한다.

로만슈어는 스위스에서 11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알바니아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영어, 터키어보다 화자 수가 적다.

전통적인 로만슈어 사용 지역은 66개 시정촌으로, 전체 화자의 56.1%(33,991명)가 거주하며, 이 지역에서는 로만슈어가 주요 언어이다.

2000년 로만슈어 사용 지역 내 화자 현황
구분비율(%)
총계33,99146.44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24,01632.81
가족 언어28,71242.50
직장에서 사용하는 언어13,73438.14
학교에서 사용하는 언어5,64554.91



프린(Vrin): 2000년 기준 로만슈어를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 답한 비율이 95.6%로 가장 높은 시정촌


로만슈어의 지위는 지역별로 차이가 크다. 수르젤바(Surselva)와 하부 엔가딘(Lower Engadine) 대부분, 수르세스(Surses) 일부 지역에서는 주요 언어이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독일어가 우세하다. 특히 수르젤바 서부 카디(Cadi (Swiss region))와 룸네치아(Lumnezia)에서는 80% 가량이 로만슈어를 가장 능숙하게 구사한다고 응답했다. 하부 엔가딘에서는 거의 모든 곳에서 로만슈어가 주요 언어이며, 발 뮈스타이르(Val Müstair)에서는 86.4%가 습관적으로 사용하고 74.1%가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 답했다.

로만슈어 화자 수는 감소 추세에 있지만, 수르젤바와 하부 엔가딘 등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로만슈어 학교 시스템이 언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6. 3. 언어 사용 상황

오늘날 로만슈어 화자는 거의 모두 로만슈어와 독일어를 사용하는 이중언어 사용자이다.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로만슈어 단일어 사용자가 흔했지만, 현재는 취학 전 아동에게서만 발견된다. 1999년 로만슈어 언어학자 리카르다 리버(Ricarda Liver)는 "50년 전만 해도 로만슈어만 이해하고 말하는 수염을 기르고 양말을 짜는 알프스 목동이라는 고정관념이 여기저기서 현실이었을 수도 있지만, 오늘날에는 이중언어 능력을 갖추지 못한 성인 로만슈어 화자는 없다."라고 썼다.

오늘날의 언어 상황은 여러 이중언어 사용(diglossia) 간의 복잡한 관계로 구성된다. 로만슈어 자체 내에서도 지역 방언, 지역 표준 변종, 그리고 현재는 전 지역 변종 루만치 그리슈쿤(Rumantsch Grischun) 사이에 기능적 분포가 있다. 또한 독일어 역시 두 가지 변종, 즉 스위스 독일어(Swiss German)와 표준 독일어(Standard German)로 습득된다. 발 뮈스타이르(Val Müstair)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제2언어로 바이에른 독일어(Bavarian German)를 사용하며, 독일어 외에도 많은 로만슈어 화자들은 학교에서 배우거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습득한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또는 영어와 같은 추가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1990년과 2000년 스위스 인구 조사에서는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뿐만 아니라 가정, 직장, 학교에서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를 질문했다. 1990년에는 39,632명이 로만슈어를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 지명했고, 2000년에는 35,095명으로 감소했다. 가족 언어, 직장, 학교에서 사용하는 언어로서의 비율은 조금씩 차이가 있다. 전반적으로 총 60,561명이 어떤 형태로든 로만슈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한다고 보고했으며, 이는 스위스 인구의 0.83%를 차지한다.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서 로만슈어는 스위스에서 0.74%로 11위를 차지하며, 비국어인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알바니아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영어, 터키어 모두 로만슈어보다 더 많은 화자를 보유하고 있다.

모든 화자의 약 3분의 2가 거주하는 그라우뷘덴 주 전체에서, 약 6분의 1이 로만슈어를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 보고했다 (1990년 29,679명, 2000년 27,038명). 전반적으로 2000년 그라우뷘덴 주 인구의 21.5%(40,168명)가 로만슈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한다고 보고했다. 2000년 모든 화자의 56.1%(33,991명)가 거주했던 전통적인 로만슈어 사용 지역 내에서는 66개 시정촌에서 로만슈어가 주요 언어이다.

장-자크 퓨러(Jean-Jacques Furer)가 정의한 로만슈어 사용 지역 내 화자수는 다음과 같다.

rowspan=2|1990년2000년
%%
총계34,27451.32%33,99146.44%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25,89438.78%24,01632.81%
가족 언어30,98547.68%28,71242.50%
직장에서 사용하는 언어11,65537.92%13,73438.14%
학교에서 사용하는 언어4,47954.44%5,64554.91%



로만슈어의 지위는 전통적인 지역 내에서도 매우 다르다. 어떤 지역에서는 거의 모든 주민이 로만슈어를 사용하는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다른 곳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만이 로만슈어를 사용한다. 전반적으로 로만슈어는 수르젤바(Surselva)와 하부 엔가딘(Lower Engadine) 대부분과 수르세스(Surses) 일부 지역에서 주요 언어이지만, 다른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독일어가 일상 언어로 우세하며, 로만슈어는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전승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로만슈어는 수르젤바 대부분 지역에서 주요 언어이다. 서부 지역인 카디(Cadi (Swiss region))와 룸네치아(Lumnezia)에서는 약 80%가 로만슈어를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 지명하며, 거의 모든 주민의 일상 언어이다. 그루오브(Gruob) 주변 일란츠(Ilanz) 동부 지역에서는 독일어가 일상생활에서 훨씬 더 우세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전히 로만슈어를 정기적으로 사용한다.

임보덴 구(Imboden District)에서는 22%만이 습관적으로 사용하며,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는 9.9%만이 지명한다. 수르메이르(Surmeir) 지역에서는 수르세스에서 여전히 일상 언어로 우세하지만, Albula Valley)에서는 대부분 사라졌다.

상부 엔가딘(Upper Engadine)에서는 30.8%가 습관적으로 사용하고,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는 13%가 지명하며, S-찬프(S-chanf)만이 로만슈어가 주요 언어이다. 반대로 하부 엔가딘에서는 거의 모든 곳에서 로만슈어가 주요 언어이며, 대부분 마을에서 80% 이상이 습관적으로 사용한다고 보고했다. 로만슈어의 지위는 발 뮈스타이르(Val Müstair)에서 더욱 강하며, 86.4%가 습관적으로 사용한다고 보고하고, 74.1%가 가장 잘 구사하는 언어로 지명했다.

장-자크 퓨러(Jean-Jacques Furer)는 로만슈어 사용 지역의 축소가 계속되고 있지만, 지역에 따라 그 속도는 다르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로만슈어가 여전히 매우 활기차게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로만슈어는 앞으로도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될 것이 확실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전반적인 언어 상황이 바뀌지 않으면, 각 세대마다 화자 수가 서서히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특정 지역에서는 적어도 장기적으로 로만슈어가 생존할 만큼 충분한 화자가 여전히 있다고 결론짓는다. 그는 로만슈어 학교 시스템을 이러한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한다.

7. 교육

로만슈어 사용 지역에서는 로만슈어 학교, 이중 언어 학교, 로만슈어 과목을 가르치는 독일어 학교 등 세 가지 유형의 교육 모델을 찾아볼 수 있다.

2003년 기준 그라우뷘덴주의 로만슈어 사용 지역의 교육 언어


로만슈어 학교에서는 9년 의무 교육 과정 중 처음 3~6년 동안 로만슈어를 주요 교육 언어로 사용하고, 나머지 3~9년 동안은 독일어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이 학교 유형을 종종 "소위 로만슈어 학교"라고 부른다. 실제로 로만슈어 교육의 비중은 의무 교육 기간의 절반에서 4/5까지 다양하며, 로만슈어를 구사하는 교사의 수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2001년 기준으로 이러한 "소위 로만슈어 학교"는 그라우뷘덴주의 82개 시정촌에 있었다. 이중언어 학교는 사메단, 폰트레시나, 일란츠/슈나우스에서만 발견되었다. 2001년 기준으로 15개 시정촌에서는 로만슈어를 과목으로 가르치는 독일어 교육만 이루어졌다.

전통적으로 로만슈어가 사용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로만슈어가 과목으로 제공되지 않으며, 2001년 기준으로 로만슈어의 역사적 언어 사용 지역 내 17개 시정촌에서는 로만슈어를 과목으로 가르치지 않았다. 중등 교육 수준에서는 주로 독일어가 교육 언어이며, 로만슈어 사용 지역에서는 로만슈어가 과목으로 제공된다.

전통적인 로만슈어 사용 지역 외부에서는 그라우뷘덴주의 주도인 쿠어에서 로만슈어-독일어 이중언어 초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56]

고등 교육 수준에서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로만슈어 언어와 문학에 대한 학사 및 석사 과정을 제공한다. 그곳의 로만슈어 학과는 1991년부터 존재해왔다. 취리히 대학교도 1985년부터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와 함께 로만슈어 언어와 문학에 대한 부분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8. 문학, 음악, 미디어

로만슈어는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79]

2010년 2월 「엔가디너 포스트/포스타 라디나」(Engadiner Post/Posta Ladina) 1면


라디오는 스위스 로만슈어 방송(Radiotelevisiun Svizra Rumantscha)에서 제작하는 라디오 룸안슈(Radio Rumantsch)가 24시간 정보 및 음악 방송을 제공한다.[79] 방송인들은 주로 자신의 지역 방언을 사용하며, 뉴스 방송은 룸안슈 그리슝(Rumantsch Grischun) 방언으로 진행된다.[79] 라디오 그리샤(Radio Grischa)와 라디오 엔가디나(Radio Engiadina)는 지역 라디오 방송국으로, 가끔 로만슈어로 방송하지만 주로 독일어를 사용한다.[79]

텔레비전은 텔레비지온 룸안슈(Televisiun Rumantscha)가 SF 1에서 정규 방송을 하며, 독일어 자막이 제공된다.[79] 매일 방송되는 정보 방송인 Telesguardrm와 주말에 방송되는 어린이 프로그램 Minisguardrm, 정보 방송 Cuntrastsrm 등이 있다.[79]

신문으로는 라 콰티디아나(La Quotidiana)라는 일간지가 1997년에 설립되어 5개의 로만슈어 방언과 룸안슈 그리슝(Rumantsch Grischun)으로 기사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지역 독자를 위한 라 파지나 다 수르마이어(La Pagina da Surmeir)와 엔가디너 포스트(Engadiner Post) (일부 로만슈어)가 있다. 1997년부터는 로만슈어 통신사인 아젠투라 다 노비타드 룸안슈(Agentura da Novitads Rumantscha)가 운영되고 있다.[79]

2018년 9월에는 최초의 로만슈어 텔레비전 영화인 「끝없는 사랑」(Amur senza fin)이 스위스 국영 텔레비전에서 처음 방영되었다.

8. 1. 문학

16세기 이전에는 구전 전통이 중심이었으나, 「산타 마가리타의 노래」(Canzun da Sontga Margriata)와 같은 노래를 제외하고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78] 10세기의 뷔르츠부르크 사본(Würzburg manuscript)과 12세기 초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설교에 대한 행간 번역인 아인지델른 설교문(Einsiedeln Homily)은 초기 로만슈어 방언으로 된 기록이다. 1389년에 작성된 무슈타이르 언어 기념물(Müstair linguistic monument)은 목초지 사용권에 관한 문서의 단편이다.[78]

출생지와 방언별 로만슈어 작가 개요(룸안슈 그리슝 포함)


1527년 잔 트라베르스(Gian Travers)는 푸테르(Putèr) 방언으로 제1차 무소 전쟁을 묘사한 서사시 「무소 전쟁의 노래」(Chianzun dalla guerra dagl Chiaste da Müs)를 썼다. 이후 성경 번역, 종교 교육 교재, 성경극 등 종교적 주제를 다룬 작품들이 등장했다. 1560년 지아켐 비프룬(Giachem Bifrun)은 로만슈어 신약 성경 첫 번째 번역본인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새로운 성약」(L'g Nuof Sainc Testamaint da nos Signer Jesu Christ)을 출판했다. 1562년 두리히 챰펠(Durich Chiampel)은 발라더(Vallader) 방언으로 된 로만슈어 교회 성가 모음집인 「시편집」(Cudesch da Psalms)을 출판했다. 수르실반(Sursilvan) 방언으로는 1611년 슈테판 가브리엘(Steffan Gabriel)의 「젊은이들의 참된 기쁨」(Ilg Vêr Sulaz da pievel giuvan), 1615년 지온 안토니 칼벤자노(Gion Antoni Calvenzano)의 「간략한 교리」(Curt Mussament)가 출판되었다. 루치 가브리엘(Luci Gabriel)은 1648년 수르실반으로 된 신약 성경 첫 번째 번역본을 출판했고, 1717년부터 1719년 사이에는 완전한 성경 번역본인 「쿠에라 성경」(Bibla da Cuera)이 출판되었다.[78]

로만슈어는 현대 팝이나 힙합 음악에도 사용된다. 1989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Eurovision Song Contest 1989)에서 스위스는 로만슈어 노래인 「너 없이 사는 것」(Viver senza tei)으로 참가했다. 2004년부터 힙합 그룹 리리카스 아날라스(Liricas Analas)는 로만슈어 노래를 통해 알려졌다. 파스칼 감보니(Pascal Gamboni)가 리드 보컬로 있는 록 밴드 「파시우나이(Passiunai)」, 록/팝 밴드 더 캐푼즈(The Capoonz)도 활동한다. 작곡가 지온 안토니 데룽스(Gion Antoni Derungs)는 로만슈어 대본으로 「마법의 원」(Il cerchel magic) (1986), 「씨뿌리는 사람」(Il semiader) (1998), 「트레데시킨」(Tredeschin) (2000) 등의 오페라를 작곡했다.[78]

로만슈어 방송은 스위스 로만슈어 방송(Radiotelevisiun Svizra Rumantscha)에서 제작한다. 라디오 룸안슈(Radio Rumantsch)는 24시간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방송인들은 자신의 지역 방언을 사용한다. 텔레비지온 룸안슈(Televisiun Rumantscha)는 SF 1에서 정규 방송을 하며, 독일어 자막이 제공된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Telesguardrm, Minisguardrm, Cuntrastsrm, Controversrm, Pled sin viarm 등이 있다.[79]

로만슈어 신문은 지역과 방언에 따라 분열되어 있었으나, 1997년 「라 콰티디아나(La Quotidiana)」라는 일간 신문으로 통합되었다. 「라 콰티디아나」 외에도 「라 파지나 다 수르마이어(La Pagina da Surmeir)」, 「엔가디너 포스트(Engadiner Post)」 등이 로만슈어로 출판된다. 1997년부터 로만슈어 통신사인 아젠투라 다 노비타드 룸안슈(Agentura da Novitads Rumantscha)가 운영되고 있다.[78]

2018년 9월, 최초의 로만슈어 텔레비전 영화인 「끝없는 사랑」(Amur senza fin)이 스위스 국영 텔레비전에서 처음 방영되었다.[78]

8. 2. 음악

로만슈어 사용 지역에서는 합창단이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78] 전통 음악과 노래 외에도 로만슈어는 현대 팝이나 힙합 음악에도 사용되며, 그중 일부는 로만슈어 사용 지역 외부에서도 알려지게 되었다.[78] 예를 들어, 1989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스위스는 로만슈어 노래인 「너 없이 사는 것」(Viver senza tei)으로 참가했다. 2004년부터 힙합 그룹 리리카스 아날라스(Liricas Analas)는 로만슈어 노래를 통해 그라우뷘덴주 외부에서도 알려지게 되었다.[78] 다른 현대 그룹으로는 리드 보컬 파스칼 감보니(Pascal Gamboni)가 있는 록 밴드 「파시우나이(Passiunai)」나 록/팝 밴드 더 캐푼즈(The Capoonz)가 있다.[78] 작곡가 지온 안토니 데룽스(Gion Antoni Derungs)는 로만슈어 대본으로 세 편의 오페라를 작곡했는데, 「마법의 원」(Il cerchel magic) (1986), 「씨뿌리는 사람」(Il semiader) (1998), 「트레데시킨」(Tredeschin) (2000)이다.[78]

8. 3. 미디어

로만슈어는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79]

신문으로는 라 콰티디아나(La Quotidiana)라는 일간지가 1997년에 설립되어 5개의 로만슈어 방언과 룸안슈 그리슝(Rumantsch Grischun)으로 기사를 제공하며, 쥐트오스트슈바이츠(Südostschweiz) 신문사에서 발행한다.[94] 이 외에도 지역 독자를 위한 라 파지나 다 수르마이어(La Pagina da Surmeir)와 엔가디너 포스트(Engadiner Post) (일부 로만슈어)가 있다. 엔가디너 포스트/포스타 라디나(Engadiner Post/Posta Ladina)는 엔가딘 지역 신문으로, 일부 발라더(Vallader) 방언과 푸테르(Putèr) 방언을 사용하며 일주일에 세 번 발행된다.[95] 1997년부터는 로만슈어 통신사인 아젠투라 다 노비타드 룸안슈(Agentura da Novitads Rumantscha)가 운영되고 있다.[79]

라디오는 스위스 로만슈어 방송(Radiotelevisiun Svizra Rumantscha)에서 제작하는 라디오 룸안슈(Radio Rumantsch)가 24시간 정보 및 음악 방송을 제공한다.[79] 방송인들은 주로 자신의 지역 방언을 사용하며, 뉴스 방송은 룸안슈 그리슝(Rumantsch Grischun) 방언으로 진행된다.[79] 라디오 그리샤(Radio Grischa)와 라디오 엔가디나(Radio Engiadina)는 지역 라디오 방송국으로, 가끔 로만슈어로 방송하지만 주로 독일어를 사용한다.[79], [93]

텔레비전은 텔레비지온 룸안슈(Televisiun Rumantscha)가 SF 1에서 정규 방송을 하며, 독일어 자막이 제공된다.[79] 매일 방송되는 정보 방송인 Telesguardrm와 주말에 방송되는 어린이 프로그램 Minisguardrm, 정보 방송 Cuntrastsrm 등이 있다.[79] 스위스 독일어권 국영 방송은 매일 17시 40분에 뉴스 프로그램을, 일주일에 한 번 다큐멘터리 영화를 로만슈어로 방송하며, 국민투표에 맞춰 토론 프로그램도 방송한다.[91]

2018년 9월에는 최초의 로만슈어 텔레비전 영화인 「끝없는 사랑」(Amur senza fin)이 스위스 국영 텔레비전에서 처음 방영되었다. 또한 스위스 국영 방송국 건물 내부 표기는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와 함께 로만슈어를 포함한 4개 국어로 표기되어 있다.

9. 로만슈어가 한국에 미친 영향 (더불어민주당 관점)

참조

[1] 웹사이트 Hauptsprachen in der Schweiz - 2019 https://www.bfs.admi[...] 2021-01-25
[2] 웹사이트 Romansh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2-05-24
[3] official site Amtssprachen und Landessprachen der Schweiz https://www.nb.admin[...] Swiss National Library (NL) 2013-08-27
[4] 뉴스 Switzerland's fourth language under pressure https://www.swissinf[...] SRG SSR 2013-08-05
[4] 뉴스 Romansh faces a silent future https://www.swissinf[...] SRG SSR 2006-08-08
[5] 웹사이트 Linguistic geography http://www.liarumant[...] Lia Rumantscha
[6] 웹사이트 Die neue Volkszählung – Das System http://www.bfs.admin[...]
[7] 웹사이트 Hauptsprachen in der Schweiz - 2019 https://www.bfs.admi[...] 2021-01-25
[8] official site Ständige Wohnbevölkerung nach Hauptsprachen in der Schweiz https://www.bfs.admi[...] Federal Statistical Office 2019-02-21
[9] official site Ständige Wohnbevölkerung nach Hauptsprachen und Kanton https://www.bfs.admi[...] Federal Statistical Office 2019-02-21
[10] 웹사이트 Romansh speakers rebel against standard language https://www.swissinf[...] 2011-03-06
[11] 논문 The Decline of Ethno-Diversity in High Mountain Regions: The Spatial Development of the Rhaetoromansch Minority in Grisons, Switzerland http://www.jstor.org[...] 1996
[12] 서적 Liver in Schläpfer & Bickel 2000. pp. 215–216
[13] 서적 The Rhaeto-Romance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12-20
[14] 웹사이트 Entstehung der romanischen Idiome Graubündens http://www.drg.ch/fi[...] Institut dal Dicziunari Rumantsch Grischun (DRG) 2008
[15] 서적 Curdin & Schläpfer (1984). pp. 261, 265
[16] 서적 A grammar of Tuatschin https://langsci-pres[...] Language Science Press 2021
[17] 문서 Bergell 2005-11-15
[18] 서적 Curdin & Schläpfer (1984). pp. 260–165
[19] 서적 Curdin & Schläpfer (1984). p. 264
[20] 서적 Curdin & Schläpfer (1984) pp. 264–65.
[21] 서적 Liver in Schläpfer & Bickel 2000 p. 219.
[22] 서적 Curdin & Schläpfer (1984) p. 260.
[23] 서적 Jachen Curdin Arquint in Schläpfer & Bickel 2000, p. 244.
[24] 서적 Kraas (1992) pp. 132–34
[25] 서적 Krass (1992) p. 138
[26] 서적 Osswald 1988 in Kraas 1992. p. 133
[27] 서적 in Schläpfer & Bickel 2000, p. 243
[28] 서적 Jachen Curdin Arquint in Schläpfer & Bickel 2000, pp. 258–259
[29] 서적 Coray 2008, p. 95
[30] 서적 Kundert 2007, p. 134
[31] 서적 Kundert 2007, p. 134
[32] 서적 Kraas (1992). p. 151
[33] 서적 Grünert et al. (2008). p. 368
[34] 웹사이트 Landesbericht Graubünden 2009 http://www.gr.ch/DE/[...]
[35] 웹사이트 Rumantsch Grischun bis 2020 an allen romanischen Schulen | Schweizer Radio DRS http://www.drs.ch/ww[...] Drs.ch 2010-08-24
[36] 웹사이트 Riein: Sursilvan soll zurück an die Schule | Schweizer Radio DRS http://www.drs.ch/ww[...] Drs.ch 2013-06-08
[37] 웹사이트 News – Schweizer Radio und Fernsehen http://www.tagesscha[...] Tagesschau.sf.tv 2010-11-30
[38] 웹사이트 Pro Idioms blickt auf Erfolgsjahr zurück | Bote der Urschweiz http://www.bote.ch/p[...] Bote.ch 2012-06-14
[39] 웹사이트 Mögliche Wende im Streit um Rumantsch | Schweizer Radio DRS http://www.drs.ch/ww[...] Drs.ch 2011-11-16
[40] 웹사이트 Rückschlag für Rumantsch Grischun an den Volksschulen | Mein Regionalportal http://www.suedostsc[...] Suedostschweiz.ch 2012-10-08
[41] 웹사이트 PLEDARI GROND http://www.pledarigr[...]
[42] 웹사이트 pagina da partenza - pro rumantsch http://www.prorumant[...]
[43] 웹사이트 Niev vocabulari Sursilvan ONLINE https://www.vocabula[...] 2020-12-11
[44] 웹사이트 UdG Dicziunari Vallader ⇔ Deutsch http://www.udg.ch/di[...] 2020-12-11
[45] 웹사이트 UdG Dicziunari Puter ⇔ Deutsch http://www.udg.ch/di[...] 2020-12-11
[46] 웹사이트 PLEDARI GROND http://www.pledarigr[...] 2020-12-11
[47] 웹사이트 PLEDARI GROND http://www.pledarigr[...] 2020-12-11
[48] 웹사이트 Grammatica Vallader http://www.udg.ch/di[...] 2020-12-11
[49] 웹사이트 Grammatica Puter http://www.udg.ch/di[...] 2020-12-11
[50] 웹사이트 RUMANTSCH GRISCHUN PER RUMANTSCHS: GRAMMATICA I http://www.pledarigr[...]
[51] 웹사이트 art. 4 and 70 of the 1999 Swiss Federal Constitution http://www.admin.ch/[...]
[52] 웹사이트 CC 441.1 Federal Act of 5 October 2007 on the National Languages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Linguistic Communities (Languages Act, LangA) https://www.admin.ch[...] 2020-12-11
[53] 웹사이트 Official Romansh still has some way to go http://www.swissinfo[...] 2006-09-21
[54] 문서 Die drei Sprachen des Kanton sind als ‹Landesprachen› gewährleistet
[55] 서적 Richter (2005:949) in Cordey (2008). p. 81
[56] 웹사이트 Standardsprache Rumantsch Grischun http://lia.rumantsch[...] 2012-02-28
[57] 간행물 Vinschgau 2013-02-28
[58] 서적 Liver (1999)
[59] 뉴스레터 Newsletter Val Müstair http://www.muenstert[...] 2012-05-24
[60] 뉴스레터 Newsletter Val Müstair 2006
[61] 서적 Rätisches Namenbuch Zürich 1985
[62] 서적 Vocabulario anpezan Gerbrunn 1982-1988
[63]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Errance 2008
[64] 서적 Decurtins (1993)
[65] 서적 Liver in Schläpfer & Bickel 2000
[66] 논문 Der surselvische Wortschatz, die questione ladina und die quantitative Arealtypologie http://epub.ub.uni-m[...] 1994
[67] 서적 Krefeld (1994)
[68] 서적 Krefeld (1994)
[69] 서적 Schläpfer & Bickel 2000
[70] 서적 Liver in Schläpfer & Bickel 2000
[71] 서적 Dictionnaire des langues PUF 2011
[72] 문서 Carigiet, Werner in Schläpfer & Bickel 2000, p. 238
[73] 논문 Italienischer Einfluss in Lexemverbänden und Wortformenparadigmen des Bündnerromanischen Francke
[74] 웹사이트 Ein italienischer Streifzug durch die Rumantschia https://www.zora.uzh[...] 2016-01-09
[75] 학술지 La Negaziun an Rumantsch-Surmeir: cuntribuziun agls studis da morfologia e sintaxa digl lungatg rumantsch
[76] 서적
[77] 서적 "un corpo che perde l'anima sua propria per assumerne un'altra di affatto estranea"
[78] 웹사이트 Literary estates and archives in Romansh https://www.nb.admin[...] 2020-12-11
[79] 웹사이트 Über Uns http://www.rtr.ch/ho[...] 2012-02-28
[80] 웹사이트 Population résidante permanente âgée de 15 ans ou plus, selon la langue principale http://www.bfs.admin[...] Federal Statistical Office (Switzerland) 2014-11-17
[81] 서적 Eidgenössische Volkszählung 2000. Die Lage des Romanischen
[82] 서적 世界一豊かなスイスとそっくりな国ニッポン 講談社
[83] 서적 Romanisch. Facts & Figures
[84] 서적 スイス「ロマンシュ語」入門 大学書林
[85] 서적
[86] 서적
[87] 뉴스 Rückschlag für Rumantsch Grischun an den Volksschulen https://www.suedosts[...] suedostschweiz.ch 2011-12-08
[88] 문서 Beschlüsse der Gemeindeversammlung Surses https://surses.ch/up[...] surses.ch 2020-07-28
[89] 뉴스 Klares Votum gegen Rumantsch Grischun https://www.suedosts[...] suedostschweiz.ch 2020-07-25
[90] 문서 Botschaft Zur Gemeindeversammlung vom 24. Juli 2020 https://surses.ch/up[...] surses.ch 2020-07-24
[91] 웹사이트 http://www.rtr.ch/ho[...]
[92] 웹사이트 http://www.rtr.ch/ho[...]
[93] 웹사이트 http://www.radioengi[...]
[94] 웹사이트 http://www.suedostsc[...]
[95] 웹사이트 Engadiner Post, Posta Ladina http://www.engadin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