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하일브로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하일브로너는 1919년 뉴욕에서 태어나 2005년 사망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사회 이론가이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 복무를 했다. 이후 사회연구신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뉴스쿨에서 경제학 교수로 재직하며 경제사상사를 가르쳤다. 그는 경제를 전통 경제, 명령 경제, 시장 경제, 혼합 경제로 분류했으며, 평생 사회주의를 지지했지만, 자본주의의 우위를 인정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세속의 철학자들》, 《경제 사회의 형성》 등이 있으며, 제럴드 로브 상을 여러 차례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 스쿨 교수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뉴 스쿨 교수 - 세일라 벤하비브
세일라 벤하비브는 튀르키예 출신의 정치철학자이며, 문화의 순수성을 부정하고 다원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양립을 주장하며, 저서로 『타자의 권리』 등이 있고 북미철학회상 등을 수상했다. - 경제사상사학자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경제사상사학자 - 존 메이너드 케인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거시경제 이론을 통해 현대 경제학과 정책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 개입을 옹호하는 그의 사상은 현대 경제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뉴욕주의 경제학자 - 알렉산더 해밀턴
알렉산더 해밀턴은 미국의 건국 아버지이자 초대 재무장관으로, 미국의 경제 시스템 구축에 기여했으며, 독립 전쟁에서 활약, 강력한 중앙 정부 수립을 옹호했고, 국가 부채 해결과 국립은행 설립 등 경제적 기반을 다졌으나, 에런 버와의 결투로 사망한 후 뮤지컬을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 뉴욕주의 경제학자 - 앨런 그린스펀
앨런 그린스펀은 1987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을 역임한 경제학자이자 공공 인물로서, 경제 컨설팅 회사 설립 및 경제 자문관 활동 경력이 있으며, 장기간 연준 의장 재직 후 2008년 금융 위기 책임론과 경제 정책 논쟁, 그리고 객관주의 철학 영향과 저서 집필, 다수의 수상 경력과 고문 활동을 했다.
로버트 하일브로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19년 3월 24일 |
출생지 | 뉴욕 시, 미국 |
사망일 | 2005년 1월 4일 |
사망지 | 뉴욕 시, 미국 |
분야 | 경제학 |
직장 | 연방 가격 행정청 사회 연구를 위한 새로운 학교 월스트리트 상품 회사 |
2. 생애
(내용 없음)
2. 1. 유년 시절과 교육
하일브로너는 1919년 뉴욕에서 부유한 독일계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루이스 하일브로너는 남성 의류 소매업체 웨버 앤 하일브로너를 설립한 사업가였다.[2] 로버트는 1940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철학, 정부학, 경제학을 전공하여 ''최우등'' 학위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 육군에서 복무했으며, 제도 경제학자인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 아래에서 가격 통제국에서 일했다.2. 2. 학문적 경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하일브로너는 잠시 은행원으로 일했으며 1950년대에 뉴욕 뉴스쿨에서 연구원으로 학계에 들어섰다. 이 시기에 그는 독일 역사학파의 대표적인 인물이었던 독일 경제학자 아돌프 로베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1963년, 하일브로너는 경제학 박사 학위를 뉴스쿨에서 받았으며, 이후 1971년 노먼 토마스 경제학 교수로 임명되어 20년 넘게 재직했다. 그는 주로 뉴스쿨에서 경제사상사 강좌를 가르쳤다.하일브로너는 역사, 경제, 철학 분야를 통합하려는 사회 이론가이자 "세속적 철학자"(경제 구조와 같은 "세속적" 문제에 몰두하는 철학자)로서 자신을 여겼으며, 매우 비전통적인 경제학자였음에도 불구하고 동료들로부터 저명한 경제학자로 인정받았다. 그는 1972년 미국 경제학회 부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또한 경제를 전통 경제(주로 농업 기반, 어쩌면 자급자족 경제), 명령 경제(중앙 계획 경제, 종종 국가가 관여), 시장 경제(자본주의), 또는 혼합 경제로 분류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거의 평생 동안 사회주의를 공개적으로 지지했던 하일브로너는 소련 붕괴 이전에 1989년 ''뉴요커''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 공식적으로 시작된 지 75년도 채 안 되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경쟁은 끝났다: 자본주의가 이겼다... 자본주의는 사회주의보다 인류의 물질적 문제를 더 만족스럽게 조직한다.
그는 또한 1992년 ''디센트''에서 "자본주의는 사회주의가 실패했듯이 확실한 성공을 거두었다"라고 썼으며 밀턴 프리드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루트비히 폰 미제스가 자유 시장의 우월성을 주장한 것에 대해 칭찬했다. 그는 "민주적 자유는 스스로 반자본주의를 표방한 어떤 국가에서도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하일브로너가 선호하는 자본주의 모델은 스칸디나비아의 고도로 재분배적인 복지 국가였으며, 그는 자신의 모델 사회를 "약간 이상화된 스웨덴"이라고 말했다.
2. 3. 가족과 사망
로버트 하일브로너는 두 아들 데이비드와 피터 하일브로너, 그리고 네 명의 손주 퀜틴, 카트리나, 헨리, 샘을 두었다.하일브로너는 2005년 뉴욕에서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6]
3. 사상과 업적
로버트 하일브로너는 경제사상사 분야에서 중요한 기여를 한 경제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베스트셀러 경제학 교양서인 《세속의 철학자들》 저술, 경제 체제를 전통 경제, 명령 경제, 시장 경제, 혼합 경제로 분류한 것, 그리고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입장 변화 등이 있다. 특히 그는 사회주의에 대한 오랜 지지에도 불구하고 말년에는 자본주의의 효율성을 인정하면서도, 사회적 형평성을 중시하는 스칸디나비아식 복지 국가 모델을 선호하는 입장을 보였다.
3. 1. 《세속의 철학자들》
1953년에 출판된 《세속의 철학자들: 위대한 경제 사상가들의 삶, 시대, 그리고 사상》(The Worldly Philosophers: The Lives, Times, and Ideas of the Great Economic Thinkers)은 약 4백만 부가 판매되어, 폴 새뮤얼슨의 베스트셀러 대학 교재인 《경제학》 다음으로 역사상 두 번째로 많이 팔린 경제학 서적이 되었다.[7] 1999년에 나온 제7판에는 "세속 철학의 종말?"(The End of the Worldly Philosophy?)이라는 새로운 마지막 장이 추가되었다. 이 장에서는 당시 경제학계의 상황에 대한 다소 비관적인 평가와 함께, 자본주의의 사회적 측면을 다시금 중요하게 고려하는 "재생된 세속 철학"에 대한 희망을 제시했다.이 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 | 제목 | 주요 내용 |
---|---|---|
1 | 서론 | |
2 | 경제 혁명 | |
3 | 애덤 스미스의 멋진 세상 | |
4 | 토머스 맬서스 목사와 데이비드 리카도의 암울한 예감 | |
5 | 유토피아 사회주의자들의 꿈 | 로버트 오웬, 앙리 드 생시몽, 샤를 푸리에, 존 스튜어트 밀 |
6 | 카를 마르크스의 냉혹한 시스템 | |
7 | 빅토리아 시대와 경제학의 지하 세계 | 프랜시스 이시드로 에지워스, 프레데리크 바스티아, 헨리 조지, 존 A. 홉슨, 앨프리드 마셜 |
8 | 토르스타인 베블렌의 야만 사회 | |
9 |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이단 | |
10 | 요제프 슘페터의 모순 | |
11 | 세속 철학의 종말? | (제7판 추가) |
3. 2. 경제 체제 분류
로버트 하일브로너는 경제 체제를 분류하는 하나의 방식을 제시했다. 그가 분류한 경제 체제는 다음과 같다:- 전통 경제: 주로 농업에 기반하며, 때로는 자급자족 경제의 형태를 띤다.
- 명령 경제: 중앙 정부가 생산과 분배를 통제하는 계획 경제 방식으로, 종종 국가가 깊이 관여한다.
- 시장 경제: 생산과 소비가 시장의 가격 메커니즘을 통해 결정되는 경제 방식으로, 자본주의가 대표적이다.
- 혼합 경제: 시장 경제를 기본으로 하면서 정부의 개입이 혼합된 형태이다.
3. 3.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관점
하일브로너는 경제 체제를 전통 경제(주로 농업 기반, 때로는 자급자족 경제), 명령 경제(중앙 계획 경제, 종종 국가 주도), 시장 경제(자본주의), 또는 혼합 경제로 구분하는 틀을 제시했다.그는 거의 평생 동안 사회주의를 공개적으로 지지했으나, 소련 붕괴 직전인 1989년 ''뉴요커''에 기고한 글에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간의 경쟁이 자본주의의 승리로 끝났음을 인정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공식적으로 시작된 지 75년도 채 안 되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경쟁은 끝났다: 자본주의가 이겼다... 자본주의는 사회주의보다 인류의 물질적 문제를 더 만족스럽게 조직한다.
1992년에는 ''디센트''에 기고한 글에서 "자본주의는 사회주의가 실패했듯이 확실한 성공을 거두었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 글에서 그는 자유 시장의 우월성을 역설한 밀턴 프리드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루트비히 폰 미제스 등의 주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또한 "민주적 자유는 스스로 반자본주의를 표방한 어떤 국가에서도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드러냈다.
하지만 하일브로너가 선호했던 자본주의 모델은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처럼 재분배 정책이 활발한 복지 국가였다. 그는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사회를 "약간 이상화된 스웨덴"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이는 그가 시장의 효율성을 인정하면서도 사회적 형평성을 중시하는 복지 자본주의를 지지했음을 보여준다.
4. 저서
- ''세속적인 철학자들''(The Worldly Philosophers), 1953, 사이먼 & 슈스터 (7판, 1999)
- ''부의 탐구: 탐욕적인 인간에 대한 연구''(The Quest For Wealth: A Study of Acquisitive Man), 1956, 사이먼 & 슈스터
- ''역사로서의 미래''(The Future as History), 1960, 하퍼 & 로우
- ''경제 사회의 형성''(The Making of Economic Society), 1963, 프렌티스 홀 (10판 1992, 11판 2001; 초판은 박사 학위 논문으로 사용)
- ''위대한 상승: 우리 시대의 경제 개발을 위한 투쟁''(The Great Ascent: The Struggle for Economic Development In Our Time), 1963, 하퍼 & 로우
- ''정부 지출에 대한 입문''(A Primer on Government Spending) (공저 피터 L. 번스타인), 1963, 빈티지 북스
- ''미국 자본주의의 한계''(The Limits of American Capitalism), 1966, 하퍼 & 로우
- "기계가 역사를 만드는가?"(Do Machines Make History?), ''기술과 문화'' 8권 (1967년 7월): 335-345.
- ''경제 문제''(The Economic Problem), 1968, 프렌티스 홀 (초판; 이후 판은 제임스 K. 갤브레이스, 레스터 서로와 공저)
-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사이. 정치 경제 에세이''(Between Capitalism and Socialism. Essays in Political Economics), 1970년 10월, 빈티지 북스 및 랜덤 하우스 (기존 발표 글 모음)
- ''경제적 적합성: 두 번째 시선''(Economic Relevance: A Second Look) (공저 아서 포드), 1971, 굿이어 출판사
- ''거시 경제학 이해''(Understanding Macroeconomics), 1972, 프렌티스 홀 (4판)
- ''인간 전망에 대한 탐구''(An Inquiry into the Human Prospect), 1974, W. W. 노턴 (2판 1980, 3판 1991)
- ''쇠퇴하는 비즈니스 문명''(Business Civilization in Decline), 1976, 마리온 보이어스 출판사 (펠리컨 북스판, 1977)
- ''마르크스주의: 찬성과 반대''(Marxism: For and Against), 1980, W.W. 노턴 (초판)
- ''미국의 경제적 변혁: 1600년부터 현재까지''(The Economic Transformation of America: 1600 to the Present), 1977, 하코트 브레이스 요바노비치 (2판 공저 아론 싱어, 1984; 4판 워즈워스 출판, 1998)
- ''설명된 경제학: 경제가 작동하는 방식과 미래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Economics Explained: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How the Economy Works and Where It's Going) (공저 레스터 서로), 1982 (4판 1998)
- ''자본주의의 본질과 논리''(The Nature and Logic of Capitalism), 1985, W. W. 노턴
- ''경제의 베일 뒤에서: 세속적 철학 에세이''(Behind the Veil of Economics: Essays in the Worldly Philosophy), 1988, W. W. 노턴
- ''부채와 적자: 허위 경보/실제 가능성''(The Debt and Deficit: False Alarms/Real Possibilities) (공저 피터 L. 번스타인), 1989, W. W. 노턴
- "현대 경제 사상의 역사에서 분석과 비전"(Analysis and Vision in the History of Modern Economic Thought),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1990년 9월): 1097-1114.
- ''21세기 자본주의''(21st Century Capitalism), 1993, W. W. 노턴
- "기술적 결정론 재고"(Technological Determinism Revisited), ''기술이 역사를 움직이는가? 기술적 결정론의 딜레마''(Does Technology Drive History? The Dilemma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수록 (편집 메리트 로 스미스, 레오 마르크스), 1994, MIT 프레스
- ''현대 경제 사상의 비전의 위기''(The Crisis of Vision in Modern Economic Thought) (공저 윌리엄 S. 밀버그), 1995,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세속적 철학으로부터의 가르침''(Teachings from the Worldly Philosophy), 1996, W. W. 노턴
- ''1865년 이후 미국의 경제적 변혁''(The Economic Transformation of America Since 1865) (공저 앨런 싱어), 1997, 하코트 브레이스 대학 출판사
5. 수상
참조
[1]
뉴스
Robert Heilbroner, Writer and Economist, Dies at 85
https://www.nytimes.[...]
2005-01-12
[2]
서적
A Brief History of Economics: Artful Approaches to the Dismal Science
2001
[3]
웹사이트
The Man Who Told the Truth
https://reason.com/2[...]
2005-01-21
[4]
간행물
Socialist Robert Heilbroner's Confession in 1990: "Mises Was Right."
https://mises.org/wi[...]
Mises Institute
[5]
뉴스
Why do conservatives want to European-ize America?
https://www.salon.co[...]
Salon
2010-06-15
[6]
뉴스
Robert Heilbroner, Writer and Economist, Dies at 85
https://www.nytimes.[...]
2021-12-26
[7]
뉴스
Arts
https://nytimes.com/[...]
2019-05-04
[8]
웹사이트
Times Writer Shares Gerald Loeb Award
https://timesmachine[...]
2019-01-31
[9]
뉴스
Times writers Delugach, Soble get Loeb Award
https://newspapers.c[...]
2019-02-15
[10]
웹사이트
Historical Winners List
https://www.anderson[...]
2019-01-31
[11]
뉴스
Times writer wins Loeb Award
https://www.newspape[...]
1988-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