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빈 숄코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빈 숄코비는 독일의 남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알리오나 사브첸코와 함께 페어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했다. 숄코비/사브첸코 조는 2010년과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5번,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번 우승했다. 또한,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4번 우승했다. 2014년 선수 은퇴 후에는 코치로 활동하며, 독일 올림픽 스포츠 연맹 임원, 스포츠 마케팅 회사 운영, 페어 스케이팅 개발 코디네이터, 켐니츠 아이스스케이팅 클럽 회장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탄자니아계 독일인 - 말라이카 미함보
    말라이카 미함보는 독일의 멀리뛰기 선수로, 201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2020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 2022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연패를 달성했으며 개인 최고 기록은 7.30m이다.
  • 그라이프스발트 출신 -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는 독일 낭만주의 풍경화의 대표 화가로, 자연에 대한 깊은 관조와 상징적 표현을 통해 숭고미를 추구하며 종교적, 정신적 의미를 풍경화로 전달하고자 했다.
  • 그라이프스발트 출신 - 토니 크로스
    토니 크로스는 독일 출신 축구 선수로, 중앙 미드필더로서 뛰어난 패스, 넓은 시야, 경기 조율 능력으로 "메트로놈"이라 불리며, 바이에른 뮌헨과 레알 마드리드에서 수많은 우승을 거머쥐었고 독일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으며 2014 FIFA 월드컵 우승을 이끌었으나 2024년 UEFA 유로를 끝으로 은퇴했다.
  • 독일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알리오나 사브첸코
    알리오나 사브첸코는 우크라이나 출신 독일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올림픽 금메달과 세계 선수권 7회 우승 등 화려한 경력을 가진 세계적인 페어 스케이터이며 은퇴 후 아이스쇼 출연 및 선수 코칭으로 활동하고 있다.
  • 독일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베르너 리트베르거
    독일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코치인 베르너 리트베르거는 1910년 세계 최초로 루프 점프를 성공시키고 독일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11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은퇴 후 서독 코치로 활동했다.
로빈 숄코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4년 숄코비
2014년의 숄코비
전체 이름로빈 숄코비
출생일1979년 7월 14일
출생지그라이프스발트, 동독
1.75m
스케이팅 클럽케므니츠 EC
스케이팅 시작1983년
은퇴2014년 3월 27일
파트너 정보
이전 파트너알리오나 사브첸코, 클라우디아 라우셴바흐, 요한나 오토
이전 코치잉고 슈토이어
이전 안무가잉고 슈토이어, 데이비드 윌슨
이전 훈련 장소케므니츠, 드레스덴
ISU 세계 랭킹 (페어, 사브첸코와 함께)
2013–142위 (2013–14)
2012–132위 (2012–13)
2011–121위 (2011–12)
2010–111위 (2010–11)
2009–101위 (2009–10)
2008–091위 (2008–09)
2007–081위 (2007–08)
2006–073위 (2006–07)
2005–067위 (2005–06)
2004–0528위 (2004–05)
최고 점수
총점227.03
총점 달성 날짜2013–14 그랑프리 파이널
쇼트 프로그램 점수79.64
쇼트 프로그램 점수 달성 날짜2014 동계 올림픽
프리 스케이팅 점수147.57
프리 스케이팅 점수 달성 날짜2013–14 그랑프리 파이널
메달 기록
올림픽2010 밴쿠버: 동메달
2014 소치: 동메달
세계 선수권2008 예테보리: 금메달
2009 로스앤젤레스: 금메달
2011 모스크바: 금메달
2012 니스: 금메달
2014 사이타마: 금메달
2010 토리노: 은메달
2013 런던: 은메달
2007 도쿄: 동메달
유럽 선수권2007 바르샤바: 금메달
2008 자그레브: 금메달
2009 헬싱키: 금메달
2011 베른: 금메달
2006 리옹: 은메달
2010 탈린: 은메달
2013 자그레브: 은메달
그랑프리 파이널2007-08 토리노: 금메달
2010-11 베이징: 금메달
2011-12 퀘벡: 금메달
2013-14 후쿠오카: 금메달
2006-07 상트페테르부르크: 은메달
2005-06 도쿄: 동메달
2008-09 고양: 동메달
2009-10 도쿄: 동메달
독일 국내 선수권2001 오버스트도르프: 금메달
2004 베를린: 금메달
2005 오버스트도르프: 금메달
2006 베를린: 금메달
2007 오버스트도르프: 금메달
2008 드레스덴: 금메달
2009 오버스트도르프: 금메달
2011 오버스트도르프: 금메달
2014 베를린: 금메달

2. 유년 시절 및 초기 경력

1979년 독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그라이프스발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당시 독일에서 유학 중이던 탄자니아 출신 의사였고, 어머니는 독일인 간호사였다. 4살 때 어머니와 함께 에어푸르트로 이사하면서 스케이트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남자 싱글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했으나, 16세 때 페어 스케이팅으로 전향하여 켐니츠에서 훈련을 시작했다. 첫 파트너는 요한나 오토였고, 이후 아네트 푀츠슈의 딸인 클라우디아 라우센바흐와 팀을 이루어 2001년 독일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라우센바흐가 은퇴한 후에는 잠시 싱크로나이즈드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하며 파트너를 찾다가, 2003년 우크라이나 출신의 알리오나 사브첸코와 새로운 페어를 결성하고 잉고 슈토이어의 지도를 받기 시작했다.

2. 1. 초기 경력

숄코비는 1983년, 어머니가 새로운 스케이트 링크 광고를 본 후 에르푸르트에서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원래 싱글 스케이팅 선수였으나, 16세에 페어 스케이팅으로 종목을 바꾸었다. 그의 첫 파트너는 요한나 오토였다.

1997년부터는 1980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아네트 푀츠슈의 딸인 클라우디아 라우센바흐와 팀을 이루었다. 라우센바흐와 함께 독일 주니어 선수권에서 3번 우승했고, 2001년에는 독일 시니어 선수권 정상에 올랐다. 세계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9위가 최고 성적이었다. 이때 코치는 모니카 샤이베였다.

라우센바흐가 은퇴한 뒤 약 1년 반 동안 파트너를 구하지 못했다. 이 시기에는 기술 감각을 유지하기 위해 싱크로나이즈드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후 알리오나 사브첸코와 팀을 이뤄 2005-06 시즌 그랑프리 시리즈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첫 그랑프리 금메달을 획득했고, 처음 출전한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독일 선수권에서 세 번째 우승을 차지한 뒤 참가한 2006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따냈다. 당시 우승팀인 러시아의 타티아나 토트미아니나 / 막심 마리닌 조와는 7.79점 차이였다.

파트너 사브첸코가 2005년 12월 29일 독일 시민권을 취득하면서 2006 토리노 동계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 하지만 올림픽을 앞두고 코치 잉고 슈토이어가 과거 동독 시절 비밀경찰인 슈타지에 협력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어 독일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올림픽 선수단 인증을 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했다. 슈토이어는 법적 대응을 통해 올림픽 참가 자격을 얻었다. 사브첸코/숄코비 조는 올림픽에서 총점 180.15점으로 6위에 올랐다. 이어 열린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총점 170.08점으로 6위를 기록했다.

3. 알리오나 사브첸코와의 파트너십

right에서 연기하고 있다.]]

2003년 우크라이나 출신의 알리오나 사브첸코와 새로운 파트너십을 시작했다. 이들은 독일 켐니츠에서 전 세계 챔피언 잉고 슈토이어의 지도를 받으며 훈련에 매진했다. 팀 결성 초기에는 언어 문제와 서로 다른 스케이팅 스타일을 조율하는 과정이 필요했지만, 곧 독일 최고의 페어 조로 자리매김했다.

사브첸코/숄코비 조는 11년간의 파트너십 동안 독일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국제 무대에서도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다.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4회 우승,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5회 우승, ISU 그랑프리 파이널 4회 우승을 달성하며 세계 최정상급 페어로 군림했다. 올림픽에서는 2010 밴쿠버 동계 올림픽과 2014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연속으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파트너십 기간 동안 코치 잉고 슈토이어의 과거 슈타지 협력 의혹이 불거지면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독일 내무부와 빙상 연맹의 압력으로 슈토이어 코치의 대회 참가 자격이 제한되는 등 외적인 문제에 직면했지만, 법적 대응을 통해 이를 극복했다. 선수들은 코치를 교체하라는 요구를 거부했고, 이로 인해 숄코비는 독일 연방군의 스포츠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불이익을 감수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개인 후원자와 팬들의 지지에 힘입어 활동을 이어갔다.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유종의 미를 거둔 후, 2014년 4월 26일 켐니츠에서 열린 아이스 쇼를 마지막으로 11년간의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공식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들의 8년 연속 세계 선수권 메달 획득은 이리나 로드니나 이후 두 번째 기록이며, 동일 파트너로서의 8회 연속 메달은 류드밀라 벨로소바/올레그 프로토포포프 조와 함께 역대 공동 1위에 해당한다.

3. 1. 파트너십 결성 (2003)

알리오나 사브첸코는 2000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에서 스타니슬라프 모로조프와 함께 우승했던 선수였다. 그녀는 새로운 파트너를 찾던 중 독일 기자에게 도움을 청했고, 기자는 독일 코치들과 상의하여 숄코비를 추천했다. 사브첸코는 이전 대회에서 숄코비를 본 적이 있었다.

2003년 5월, 사브첸코와 숄코비는 독일 켐니츠에서 성공적으로 오디션을 마쳤다. 3개월 뒤 사브첸코는 독일로 이주했고, 두 사람은 전 세계 챔피언이었던 잉고 슈토이어를 코치로 하여 본격적인 훈련에 돌입했다. 팀 결성 초기에는 서로 다른 스케이팅 기본기를 익혀왔기 때문에 이를 맞춰가는 과정이 필요했다. 또한 의사소통의 어려움도 겪었는데, 숄코비는 독일어와 영어를 구사했지만 사브첸코는 당시 러시아어만 할 수 있었다.

두 사람은 주로 켐니츠에서 일주일에 6일, 하루 두 차례 훈련했다. 잉고 슈토이어는 코치 역할뿐만 아니라 안무, 스케이트 날 관리, 음악 편집까지 도맡았다. 스케이팅 의상은 사브첸코가 직접 디자인했다. 켐니츠 아이스 링크가 문을 닫는 기간(보통 4월 초~5월 중순)에는 드레스덴에서 훈련을 이어갔다.

팀 결성 후 첫 시즌인 2003–2004 시즌에 바로 독일 선수권에서 우승했다. 2004–2005 시즌에는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독일 선수권 2연패를 달성했고, 2005년 유럽 선수권 4위, 2005년 세계 선수권 6위를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3. 2. 2004-2005 시즌: 국제 무대 데뷔

2003년 우크라이나 출신의 알리오나 사브첸코와 새로운 페어를 결성했다. 이들은 켐니츠에서 잉고 슈토이어 코치의 지도를 받기 시작했다. 2004-2005 시즌부터 ISU 그랑프리 시리즈에 출전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고,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며 시상대에 자주 오르는 등 주목받는 조로 성장했다.

3. 3. 2005-2006 시즌: 올림픽 데뷔 및 그랑프리 첫 우승

토리노 동계 올림픽을 앞둔 2005-2006 시즌, 사브첸코와 숄코비 조는 2005년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ISU 그랑프리 시리즈 첫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처음으로 출전한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3위에 오르는 성과를 거두었다. 2005년 12월 29일, 파트너 사브첸코가 독일 국적을 취득함에 따라, 두 사람은 독일 대표로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최종 6위를 기록하며 올림픽 무대에 데뷔했다.

3. 4. 2006-2007 시즌: 유럽 선수권 첫 우승 및 세계 선수권 첫 메달

2007년


2006-2007 시즌에 들어서, 사브첸코/숄코비 조는 2007년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서 열린 2007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3위에 오르며 세계 선수권 대회 첫 메달을 획득했다.

3. 5. 2007-2008 시즌: 세계 선수권 첫 우승

2007-2008 시즌, 2007년 네벨혼 트로피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2007/2008 ISU 그랑프리 시리즈에서는 2007년 스케이트 캐나다와 2007년 NHK 트로피 국제 피겨 스케이팅 대회에서 우승하고, 2007년 러시아 컵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이를 통해 세 번째로 진출한 2007/2008 ISU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모두 1위를 기록하며 첫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을 달성했다. 2008년 2008년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대회 2연패에 성공했다. 시즌 마지막 대회인 2008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마침내 첫 세계 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독일 페어 조로는 1997년, 당시 코치였던 잉고 슈토이어가 만디 뵈첼과 함께 우승한 이후 11년 만의 쾌거였다.

3. 6. 2008-2009 시즌: 세계 선수권 2연패

2009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08-2009 시즌에는 시즌 초반부터 안정적인 성적을 거두었다. 그랑프리 파이널을 제외한 출전한 모든 대회에서 우승하는 좋은 모습을 보였다. 특히 2009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우승하며 세계 선수권 2연패를 달성했다.

3. 7. 2009-2010 시즌: 밴쿠버 올림픽 동메달

2009-2010 시즌, 2009년 에릭 봉파르에서는 넘어짐과 요소 누락 등 큰 실수가 있어 3위를 기록했다. 이후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을 새롭게 구성하여 출전한 2009년 스케이트 캐나다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프로그램 구성 점수(PCS)에서 10.00 만점을 받는 등 좋은 평가를 받아 우승했다. 2009/2010 ISU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2위를 기록했지만, 프리 스케이팅에서의 실수로 인해 최종 3위에 머물렀다. 4연패를 노렸던 2010년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실수 없는 연기를 펼쳐 1위를 차지했지만, 프리 스케이팅에서 역전을 허용하며 2위를 기록했다. "금메달 외에는 필요 없다"는 각오로 임했던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2위에 올랐으나, 프리 스케이팅에서의 실수로 최종 순위 3위를 기록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3. 8. 2010-2011 시즌: 세계 선수권 세 번째 우승

2010-2011 시즌에는 시즌 초반부터 안정적인 성적을 거두며 출전한 모든 대회에서 우승했다. 2011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프리 스케이팅과 총점에서 세계 최고점을 갱신하며 통산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3. 9. 2011-2012 시즌: 세계 선수권 네 번째 우승

2011-2012 시즌, 사브첸코/숄코비 조는 2011/2012 ISU 그랑프리 시리즈 3개 대회에 출전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2011/2012 ISU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전년에 이어 우승을 차지했다. 이 시즌 쇼트 프로그램으로는 한스 짐머가 작곡한 천사와 악마를, 프리 스케이팅에서는 토마스 한라이히가 작곡한 피나를 선보였으며, 두 프로그램 모두 잉고 슈토이어가 안무를 맡았다.

그러나 2012년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파트너 알리오나 사브첸코의 부상으로 인해 쇼트 프로그램 시작 직전에 기권을 발표해야 했다.

부상에서 회복하여 2012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는 무사히 출전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비록 양발 착지였지만 스로 3회전 악셀을 성공시키는 등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이며 통산 네 번째 세계 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3. 10. 2012-2013 시즌

2012년 스케이트 캐나다에서는 우승했지만, 파트너 사브첸코의 발열로 인해 갈라 쇼 출전은 포기했다. 그 후, 사브첸코가 정맥동 감염증에 걸려 2012년 에릭 봉파르의 출전을 포기했고, 8년 연속 그랑프리 파이널 출전을 놓쳤다. 2013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프리 스케이팅의 마지막 요소에 스로 3회전 악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출전하여 2위를 차지하며, 7년 연속 메달을 획득했다.

3. 11. 2013-2014 시즌: 소치 올림픽 동메달 및 세계 선수권 다섯 번째 우승

2013-2014 시즌, 사브첸코와 숄코비는 중국 컵에서 우승하며 그랑프리 시리즈 6개 대회를 모두 석권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어서 로스텔레콤 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모두 개인 최고 연기를 선보이며 통산 4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2위를 기록했으나, 사브첸코가 감기에 걸려 프리 스케이팅에는 기권했다. 은퇴 무대로 생각했던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곡을 3시즌 전 프리 스케이팅에서 사용했던 '핑크 팬더'로 변경하여 출전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개인 최고 기록을 세우며 2위에 올랐으나, 프리 스케이팅에서는 두 차례 넘어지는 실수로 4위를 기록, 최종 순위는 3위로 밴쿠버 올림픽에 이어 두 대회 연속 동메달을 획득했다.

올림픽 이후 사브첸코가 현역 연장 의사를 밝히면서, 두 사람은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이 대회에서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모두 1위를 차지하며 통산 5번째 세계 선수권 우승을 달성하며 성공적으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이 우승으로 사브첸코와 숄코비는 8년 연속 세계 선수권 메달을 획득했는데, 이는 이리나 로드니나 이후 처음 있는 기록이다. 또한, 동일 파트너로서 8회 연속 메달 획득은 류드밀라 벨로소바와 올레그 프로토포포프 조와 함께 역대 공동 1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2014년 4월 26일, 연습 거점인 켐니츠에서 열린 아이스 쇼를 마지막으로 사브첸코와의 11년간의 파트너십을 공식적으로 마무리했다.

4. 선수 은퇴 이후 경력

2014년 2014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한 후, 코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스위스의 미리암 로이엔베르거와 페어를 이루어 아이스 쇼에 출연하기도 했다. 또한 러시아로 건너가 니나 모젤의 어시스턴트 코치로 활동했다.

러시아에서의 코치 활동을 마친 뒤, 2019년 1월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어바인으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제니 메노/토드 샌드 조 및 아이스 댄스 전문가 크리스틴 바인더와 함께 코칭 팀을 만들어 코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5. 프로그램



(알리오나 사브첸코와 함께)

시즌쇼트 프로그램프리 스케이팅갈라
2013–2014
2012–2013
2011–2012
2010–2011
2009–2010
2008–2009
2007–2008
2006–2007
2005–2006
2004–2005


6. 주요 대회 기록

사브첸코와 숄코비가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의 다른 메달리스트들과 함께


국제 대회
대회2003–042004–052005–062006–072007–082008–092009–102010–112011–122012–132013–14
올림픽6위3위3위
세계 선수권 대회6위6위3위1위1위2위1위1위2위1위
유럽 선수권 대회4위2위1위1위1위2위1위WD2위WD
GP 파이널3위2위1위3위3위1위1위1위
GP 봉파르1위3위1위WD
GP 중국3위1위
GP 러시아3위1위2위1위1위
GP NHK2위1위3위
GP 스케이트 캐나다1위1위1위1위
GP 스케이트 아메리카1위1위1위
네벨혼3위1위1위1위1위
오네페라 기념1위
NRW1위
국내 대회
독일 선수권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
WD: 기권


7. 사생활

동독 그라이프스발트 로스토크 구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간호사였고, 아버지는 탄자니아 출신 의사였다. 두 사람은 숄코비의 아버지가 그라이프스발트에서 학생일 때 만났다. 숄코비는 아버지의 사진만 보다가 2008년 3월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처음으로 아버지를 만났다.

2014년 8월 1일 켐니츠에서 스위스 취리히 출신인 로미 본(Romy Born)과 결혼했다.[15] 2015년 5월 11일, 아내 로미 본이 첫 아이를 임신했다는 소식이 알려졌고,[1] 같은 해 9월 14일에 아들 헨리(Henry)가 태어났다.

그의 성씨 '숄코비'는 카슈브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17] 다양한 표기 방식이 존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nother Baby on the Way https://m.facebook.c[...] International Figure Skating 2015-05-12
[2] 뉴스 Yan Han, Anna Pogorilaya win Cup of China http://olympictalk.n[...]
[3] 웹사이트 Savchenko/ Szolkowy (GER) claim fifth Pairs world title & Asada (JPN) captures Ladies Short Program http://www.isu.org/e[...] 2014-03-30
[4] 웹사이트 Szolkowy will continue coaching in Russia https://www.facebook[...] International Figure Skating 2015-06-10
[5] 웹사이트 Vasilisa Davankova and Alexander Enbert: New Russian Pair Team on the Rise http://www.ifsmagazi[...] 2015-04-24
[6] 웹사이트 Горшков подтвердил образование новой спортивной пары фигуристов Забияко/Энберт http://rsport.ru/fig[...] 2015-06-01
[7] 웹사이트 Pairs http://www.isuresult[...] ISU 2015-12-15
[8] 뉴스 Volosozhar, Trankov lead Russian pairs sweep http://web.icenetwor[...]
[9] 뉴스 Aliona Savchenko and Robin Szolkowy Chasing the Ultimate Triumph http://www.ifsmagazi[...]
[10] 뉴스 Savchenko sucht neuen Eiskunstlauf-Partner http://www.t-online.[...]
[11] 뉴스 サフチェンコ/ショルコウィー組がペア制し有終の美、世界フィギュア https://www.afpbb.co[...]
[12] 뉴스 Germany's Aliona Savchenko, Robin Szolkowy win fifth pairs at worlds http://msn.foxsports[...]
[13] 뉴스 Fans feiern noch einmal Aljona Savchenko und Robin Szolkowy http://www.freiepres[...]
[14] 뉴스 Robin Szolkowy kehrt auf das Eis zurück http://www.freiepres[...]
[15] 뉴스 Reinvented Szolkowy turns to pro skating, coaching http://web.icenetwor[...]
[16] 뉴스 Robin Szolkowy: "Das Abenteuer reizt mich total" https://www.freiepre[...]
[17] 웹사이트 https://ameblo.jp/ni[...]
[18] 문서 オープン参加選手を含めても1位
[19] 문서 バンクーバーオリンピック最終予選。国際スケート連盟主催。
[20] 뉴스 Savchenko, Szolkowy out to erase 2010 letdown http://web.icenetwor[...]
[21] 뉴스 Savchenko, Szolkowy to take classical curtain call http://web.icenetw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