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알리소스잎귀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스알리소스잎귀쥐는 2010년 동물학자 페로 등(Ferro et al.)에 의해 처음 기술된 쥐의 일종이다. 완모식표본은 성체 수컷으로, 2007년 아르헨티나 투쿠만주 치킬리가스 캄포 델 로스 알리소스 국립공원에서 포획되었으며, 종소명은 이 국립공원 지명에서 유래했다. 아르헨티나 북서부, 특히 투쿠만주 지역에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기재된 포유류 - 월리스안경원숭이
월리스안경원숭이는 2010년 처음 기술된 술라웨시섬 고유종 안경원숭이로, 독특한 소리와 유전적 차이를 보이며 서식지 파괴로 인해 IUCN "취약" 등급으로 평가되었다. - 2010년 기재된 포유류 - 북부담황색뺨긴팔원숭이
북부담황색뺨긴팔원숭이는 수컷은 검은색 털과 밝은 갈색 가슴, 짙은 금빛-오렌지색 뺨을 가지며 암컷은 오렌지-베이지색 털을 가진 종이다. - 목화쥐아과 - 단색올드필드쥐
- 목화쥐아과 - 계곡오시쿠도
계곡오시쿠도는 2008년 동물학자들이 학술적으로 명명한 설치류의 일종으로, 아르헨티나 투쿠만 주에서 발견된 LMC 7247 모식표본을 통해 알려졌다.
로스알리소스잎귀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Phyllotis alisosiensis |
명명자 | Ferro, Martínez & Barquez, 2010 |
이명 | 해당 없음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쥐아목 |
상과 | 쥐상과 |
과 | 비단털쥐과 |
아과 | 목화쥐아과 |
족 | 큰귀생쥐족 |
속 | 큰귀생쥐속 |
보존 상태 | |
IUCN | 자료 부족 |
참고 자료 |
2. 분류학
2010년 동물학자 페로(Luis Ignacio Ferro)와 마르티네즈(Juan José Martínez), 바레즈(Rubén M. Barquez)가 처음 기술했다.[4] 완모식표본은 분류 번호 LMC 7542(원본 필드 번호 LIF 772)로, 성체 수컷 표본이며 피부와 두개골, 골격 등을 포함하고 있다. 2007년 10월 15일 페로(Luis Ignacio Ferro)와 로페즈(Ana María López)가 포획했다. 부모식표본은 분류 번호 LMC 7543(원본 필드 번호 LIF 769)으로, 아성체 수컷이며 피부와 두개골, 골격 등이다. 2007년 10월 13일 포획했다. 모식산지는 아르헨티나 투쿠만주 치킬리가스 캄포 델 로스 알리소스 국립공원 파팔 파라제(27 ° 11'S, 65 ° 57'W, 해발 2175m)이다. 종소명은 다른 곳에서 얻은 한 점의 표본을 제외한 거의 모든 표본이 발견된 캄포 델 로스 알리소스 국립공원 지명에서 유래했다.[4]
아르헨티나 북서부, 특히 투쿠만주에서 발견된다.[4]
[1]
간행물
"''Phyllotis alisosiensis''"
3. 분포 및 서식지
참조
[2]
논문
A new species of Phyllotis (Rodentia, Cricetidae, Sigmodontinae) from Tucumàn province, Argentina
https://link.springe[...]
2010
[3]
문서
2023-01-25
[4]
문서
A new species of Phyllotis (Rodentia, Cricetidae, Sigmodontinae) from Tucuman province, Argent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