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열 스톡홀름 필하모니 관현악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열 스톡홀름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1902년 스톡홀름 연주협회 관현악단으로 창단되어, 1992년 스웨덴 왕실로부터 '왕립' 칭호를 받아 현재의 명칭을 사용한다. 게오르크 슈네보익트, 바츨라프 탈리히, 한스 슈미트-이세르슈테트, 안탈 도라티,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 등 저명한 지휘자들이 거쳐갔으며, 2023년부터 라이언 뱅크로프트가 수석 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스톡홀름 음악당을 상주 공연장으로 사용하며, 노벨상 시상식의 식전 행사 음악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2년 설립된 단체 - 워싱턴 카네기 연구소
    워싱턴 카네기 연구소는 1902년 앤드루 카네기가 설립한 과학 연구 기관으로, 천문학, 지구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과학 교육에도 기여한다.
  • 1902년 설립된 단체 - 이상동맹
로열 스톡홀름 필하모니 관현악단
기본 정보
영어 명칭Royal Stockholm Philharmonic Orchestra
스웨덴어 명칭Kungliga Filharmonikerna
다른 스웨덴어 명칭Kungliga Filharmoniska Orkestern
위치스웨덴 스톡홀름
장르클래식 음악
활동 기간1902년 ~ 현재
웹사이트로열 스톡홀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공식 웹사이트
지휘자
현재 수석 지휘자라이언 밴크로프트

2. 역사

1902년 스톡홀름 연주협회의 부설 관현악단인 '스톡홀름 연주협회 관현악단'으로 창단되었다. 초기에는 오페라 등 무대 작품 공연과 관현악 연주회를 모두 소화했다. 1914년 대폭 개편되었고, 이듬해 게오르크 슈네보익트를 초대 상임 지휘자로 영입했다. 1916년에는 연주협회 소속 합창단이 결성되어 관현악단 공연에 합류하기 시작했다.

게오르크 슈네보익트 사임(1924년) 후 2년간 객원 지휘에 의존했고, 1926년 바츨라프 탈리히가 상임 지휘자에 취임, 1936년까지 재임하면서 악단의 연주력 향상에 주력했다. 이후 프리츠 부슈가 직책을 이어받았으나, 1940년 덴마크 방송 교향악단 직책에 주력하기 위해 물러났다. 1937년에는 연주회 정기 중계가 시작되어 사실상 방송 관현악단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1]

칼 가라굴리가 1953년까지 활동했고, 2년간 공백기를 거쳐 1955년 한스 슈미트-이세르슈테트가 부임하여 악단의 명성을 세계적으로 알리는 기초를 마련했다. 1957년에는 '스톡홀름 필하모니 관현악단'으로 개칭했다.[1] 한스 슈미트-이세르슈테트 사임 후 2년간 공백기 뒤 안탈 도라티가 부임하여 북구 음악 외에 독일이나 동유럽 음악 분야 연주력을 크게 향상시켰다.[1]

이후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와 유리 아로노비치가 상임 지휘자를 맡아 러시아/소련 음악을 적극 소개했으며, 1987년 파보 베르글룬드가 직책을 이어받았으나 1990년까지 단기 재임했다.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가 다시 복귀해 1995년까지 재임했으며, 1992년 스웨덴 왕실로부터 '왕립' 칭호를 받아 현재 명칭으로 개칭되었다.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 사임 후 앤드루 데이비스파보 예르비가 1998년까지 공동 상임 지휘자로 활동했다. 2000년 앨런 길버트가 단독 상임 지휘자로 부임했으나 2008년에 물러났다. 2008년부터 사카리 오라모가 임용되었으며, 계약은 2021년까지 연장되었다. 사카리 오라모는 2020-2021 시즌을 끝으로 수석 지휘자 직을 마치고 명예 지휘자 칭호를 가지고 있다.

2021년 12월, 2023-2024 시즌부터 라이언 밴크로프트를 차기 수석 지휘자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6]

2. 1. 창단과 초기 활동 (1902-1936)

1902년 스톡홀름 연주협회의 부설 관현악단인 '스톡홀름 연주협회 관현악단'으로 창단되었고, 초기에는 연주협회의 방침에 따라 오페라 등 무대 작품의 공연과 관현악 연주회를 모두 소화하는 악단으로 운영되었다.[1] 1914년에 연주회 전문 관현악단의 필요성을 인정한 협회 측의 결정으로 대폭 개편되었고, 이듬해 핀란드 출신 지휘자인 게오르크 슈네보익트를 초대 상임 지휘자로 영입했다.[3] 1916년에는 연주협회 소속 합창단이 결성되어 관현악단 공연에 합류하기 시작했다.

게오르크 슈네보익트가 1924년에 사임한 뒤로는 약 2년간 객원 지휘에 의존했고, 1926년에 체코 출신의 바츨라프 탈리히가 상임 지휘자에 취임했다. 바츨라프 탈리히는 1936년까지 10년 동안 재임하면서 악단의 연주력 향상에 주력했고, 탈리히 사임 후에는 독일에서 망명한 지휘자 프리츠 부슈가 직책을 이어받았다. 1937년에는 연주회의 정기적인 라디오 중계가 시작되어 사실상 방송 관현악단의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1]

2. 2. 탈리히와 부슈의 시대 (1926-1940)

1926년 바츨라프 탈리히가 상임 지휘자로 취임하여 1936년까지 10년 동안 재임하면서 악단의 연주력 향상에 주력했고, 탈리히 사임 후에는 독일에서 망명한 지휘자 프리츠 부슈가 직책을 이어받았다.[1] 그러나 부슈는 겸무 중이던 덴마크 방송 교향악단의 직책에 주력하기 위해 1940년에 물러났다.[1] 1937년에는 연주회의 정기적인 라디오 중계가 시작되어 사실상 방송 관현악단의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1]

2. 3. 가라굴리, 슈미트-이세르슈테트, 도라티의 시대 (1942-1974)

프리츠 부슈의 후임으로 헝가리 출신 지휘자인 칼 가라굴리가 임명되어 1953년까지 활동했고,[1] 가라굴리 사임 후 2년간 공백기가 있었다. 1955년에 독일 지휘자인 한스 슈미트-이세르슈테트가 부임하여, 스웨덴에만 국한되어 있던 악단의 명성을 세계적으로 만들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주력했으며,[1] 재임 중이던 1957년에는 악단의 이름을 '스톡홀름 필하모니 관현악단'으로 개칭했다.[1] 슈미트-이세르슈테트 사임 후 2년간 공백기를 거쳐 후임으로 임명된 안탈 도라티도 특유의 조련 능력을 살려 북구 음악 외에 독일이나 동유럽 음악 분야의 연주력을 크게 향상시켰다.[1]

2. 4. 로제스트벤스키와 아로노비치, 베르글룬드의 시대 (1974-1990)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와 유리 아로노비치가 차례로 상임 지휘자를 맡아 러시아/소련 음악을 적극적으로 소개했으며, 1987년에는 파보 베르글룬드가 직책을 이어받았다. 그러나 베르글룬드는 1990년까지 단기 재임에 그쳤다.[1]

2. 5. 로제스트벤스키의 복귀와 왕립 칭호 (1991-1995)

파보 베르글룬드는 1990년까지 단기 재임하였고, 후임으로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가 다시 복귀해 1995년까지 재임했다. 1992년 로제스트벤스키의 두 번째 재임 기간 중 스웨덴 왕실로부터 '왕립' 칭호를 받아, 현재의 명칭인 로열 스톡홀름 필하모니 관현악단으로 개칭되었다.

2. 6. 데이비스, 예르비, 길버트, 오라모의 시대 (1995-2021)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의 두 번째 재임 기간 중인 1992년, 스웨덴 왕실로부터 '왕립' 칭호를 받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다.[2] 로제스트벤스키 사임 후에는 최초로 공동 상임 제도를 도입하여 영국앤드루 데이비스에스토니아미국파보 예르비가 1998년까지 활동했다.[1]

2000년에는 미국 출신의 젊은 지휘자인 앨런 길버트가 단독 상임 지휘자로 부임했으나, 2008년에 물러났다.[1] 그 후임으로 2008년부터 핀란드 출신 지휘자인 사카리 오라모가 임용되었다.[3] 2011년, 오라모와 관현악단의 계약은 2015년까지 연장되었으며, 2016년 4월에는 2021년까지 추가 연장되었다.[4] 오라모는 2020-2021 시즌을 끝으로 로열 스톡홀름 필하모닉의 수석 지휘자 직을 마쳤으며, 현재는 관현악단의 명예 지휘자(''hedersdirigent'') 칭호를 가지고 있다.

2. 7. 밴크로프트 시대 (2023-)

라이언 밴크로프트는 2019년에 처음으로 관현악단을 객원 지휘했다. 2021년 12월, 관현악단은 2023-2024 시즌부터 밴크로프트를 차기 수석 지휘자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6]

3. 주요 활동 및 특징

로열 스톡홀름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1902년 '''스톡홀름 콘서트 협회 관현악단'''(Stockholms konsertförenings orkester)으로 창단되었다. 1914년에 상설 앙상블이 되었으며, 1937년부터 스웨덴 라디오(Radiotjänst)는 자체 관현악단을 두는 대신 이 관현악단을 주요 방송 관현악단으로 활용했다.[1] 1957년 '''스톡홀름 필하모닉 관현악단'''(Stockholms Filharmoniska Orkester)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92년 스웨덴 왕가의 후원을 받아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2]

게오르그 슈네보익트는 1915년부터 1924년까지 관현악단의 초대 수석 지휘자를 역임했다. 사카리 오라모는 2008년부터 수석 지휘자로 활동했으며,[3] 2020-2021 시즌을 끝으로 수석 지휘자 직을 마치고 현재는 관현악단의 명예 지휘자(hedersdirigent) 칭호를 가지고 있다.[4]

2019년, 라이언 밴크로프트가 처음으로 관현악단을 객원 지휘했다. 2021년 12월, 관현악단은 2023-2024 시즌부터 밴크로프트를 차기 수석 지휘자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6]

3. 1. 상주 공연장과 노벨상 시상식

초기에 오페라극장 관현악단 활동을 겸했던 만큼, 상주 공연장으로 스웨덴 왕립 오페라극장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1926년에 연주회 전용으로 지어진 스톡홀름 음악당으로 옮겨 현재까지 상주 악단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 공연장은 매년 노벨상 시상식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식전 행사의 음악도 스톡홀름 왕립 필이 계속 맡고 있어서 유명하다.[1]

3. 2. 방송 및 음반 활동

양차 세계대전 중에도 중립국으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악단 활동에 큰 지장을 받지는 않았지만, 한동안 해외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외국인 지휘자를 상임으로 영입했으며, 이외에도 빌헬름 푸르트벵글러나 야샤 호렌슈타인 같은 유명 지휘자들을 자주 객원으로 초빙해 공연했다. 그러나 세계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한 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이며, 상업용 음반 녹음은 195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도라티는 시벨리우스를 비롯한 북구 관현악 작품을 RCA에 녹음했고, 로제스트벤스키는 쇼스타코비치의 발레 작품들을 세계 최초로 전곡 녹음하는 등 소련 시절 레퍼토리의 음반화에 집중했다. 데이비스도 라흐마니노프의 관현악 작품을 위시한 음반을 취입한 바 있다. 그러나 다른 유명 악단들과 비교하면 아직 녹음량은 적은 편이다. 이외에도 푸르트벵글러가 지휘한 녹음의 방송 실황이나 호렌슈타인의 말러 교향곡 녹음도 발매되고 있다.

로제스트벤스키 지휘로 쇼스타코비치의 발레 음악 전곡집, 앤드루 데이비스 지휘로 라흐마니노프 작품집 외에도,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지휘로 베토벤 교향곡 8번과 9번의 실황 음반, 최근에는 아쉬케나지 지휘의 시벨리우스 교향곡 전집 등이 있다.

3. 3. 페스티벌 개최

관현악단은 매년 노벨상 시상식과 폴라 음악상 행사에 참여한다. 또한 스톡홀름 콘서트 홀에서 매년 두 개의 축제, 즉 스톡홀름 국제 작곡가 페스티벌과 5월의 작곡가 주말을 개최하며, 현대 스웨덴 작곡가에 초점을 맞춘다.

4. 역대 상임 지휘자

이름재임 기간
게오르크 슈네보익트1915년 ~ 1924년
바츨라프 탈리히1926년 ~ 1936년
프리츠 부슈1937년 ~ 1940년
카를 폰 가라굴리1942년 ~ 1953년
한스 슈미트-이세르슈테트1955년 ~ 1964년
안탈 도라티1966년 ~ 1974년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1974년 ~ 1977년, 1991년 ~ 1995년
유리 아로노비치1982년 ~ 1987년
파보 베르글룬드1987년 ~ 1990년
앤드루 데이비스, 파보 예르비1995년 ~ 1998년
앨런 길버트2000년 ~ 2008년
사카리 오라모2008년 ~ 2021년
라이언 뱅크로프트2023년 ~ 현재


참조

[1] 간행물 European Radio Orchestras. II The Musical Times 1955-10
[2] 뉴스 Forged in Sweden, Bound for New York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10-07
[3] 뉴스 Sakari Oramo to Succeed Alan Gilbert at Royal Stockholm Philharmonic Orchestra http://www.playbilla[...] Playbill Arts 2006-03-31
[4] 웹사이트 Sakari Oramo Chief Conductor https://www.konserth[...] Konserthuset Stockholm 2019-12-06
[5] 웹사이트 Sista säsongen för Sakari Oramo https://imusiken.se/[...] 2020-04-22
[6] 간행물 Ryan Bancroft – Ny chefdirigent 2023/24 https://www.konserth[...] Royal Stockholm Philharmonic Orchestra 2021-12-10
[7] 웹사이트 ストックホルム発 〓 ロイヤル・ストックホルム・フィルの次期首席指揮者にライアン・バンクロフト https://m-festival.b[...] 月刊音楽祭 2021-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