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우 노이즈 블록 다운컨버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우 노이즈 블록 다운컨버터(LNB)는 위성 신호를 증폭하고 주파수를 변환하는 장치이다. LNB는 저잡음 증폭기를 사용하여 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국부 발진기를 통해 높은 주파수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IF)로 변환하여 케이블 전송 손실을 줄인다. LNB의 잡음 지수는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며, HEMT와 같은 기술 및 개별 조정을 통해 잡음을 줄일 수 있다. LNB는 피드혼과 편광기를 통합한 LNBF 형태로도 사용되며, 다양한 주파수 대역과 편파 방식을 지원한다. 또한, 다중 출력, 위성 채널 라우터(SCR), 광대역, 광섬유, 모노블록 LNB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저온 환경에서 수분 응결을 방지하기 위해 LNB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성방송 - 셋톱박스
    셋톱박스는 텔레비전 수신기의 기능 확장 장치로, 디지털 방송 수신 및 디코딩을 거쳐 VOD, 타임 시프팅 등 스마트 TV 유사 기능을 제공하지만 개인정보 침해 및 에너지 소비 문제도 존재한다.
  • 위성방송 - 방송위성
    방송위성은 지상에서 전파를 받아 주파수를 변환 후 다시 지상으로 송신하는 인공위성으로, 통신 위성과 달리 Ku 밴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높은 송신 출력을 갖도록 설계되고 커버 범위가 제한되기도 한다.
  • 텔레비전 기술 - 크롬캐스트
    구글이 개발한 크롬캐스트는 동글형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제품군으로, 모바일 기기나 PC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TV나 오디오 시스템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하며, 구글 캐스트 기술 지원 앱이나 크롬 브라우저 미러링으로 제어 가능하고, 다양한 모델 출시와 저렴한 가격, 편리한 사용성으로 스트리밍 미디어 대중화에 기여했다.
  • 텔레비전 기술 - 아날로그 텔레비전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영상과 음성 신호를 보내고 받는 텔레비전 시스템으로, 브라운관 개발을 거쳐 다양한 방송 시스템으로 발전했지만 디지털 방송의 등장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방송이 종료되었다.
로우 노이즈 블록 다운컨버터
기본 정보
LNB 장치의 예
LNB 장치의 예
유형마이크로파 수신기
용도위성 텔레비전
관련 표준디지털 위성 장비 제어
DiSEqC
기술 정보
입력 주파수 범위일반적으로 3.4–12.75 GHz
출력 주파수 범위일반적으로 950–2150 MHz
전압13-18V DC
전력 소비200–300 mA
이득50–60 dB
잡음 지수0.2 dB에서 3 dB
작동 원리
작동 방식LNB는 위성에서 전송된 극도로 약한 마이크로파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를 증폭한다.
신호의 주파수를 더 낮은 주파수 범위로 다운컨버팅한다. (L-대역 주파수)
더 낮은 주파수에서 위성 수신기로 신호를 전송한다.
추가 설명
추가 설명LNB는 접시의 초점에 장착된다.
위성에서 전송된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모은다.
LNB는 동축 케이블을 통해 수신기에 전원을 공급받는다.
위성 수신기는 LNB에 전압을 공급하고, LNB는 수신된 신호를 다시 수신기로 보낸다.

2. 증폭 및 잡음

LNB가 수신하는 신호는 매우 약하므로 하향 변환 전에 증폭해야 한다. LNB의 저잡음 증폭기 부분은 이 약한 신호를 증폭하는 동시에 신호에 가능한 한 최소량의 잡음만 추가한다.

LNB의 저잡음 품질은 잡음 지수(또는 때로는 잡음 온도)로 표현된다. 이는 입력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SNR)를 출력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로 나눈 값이다. 일반적으로 데시벨(dB) 값으로 표현된다. 이상적인 LNB, 즉 완벽한 증폭기는 0 dB의 잡음 지수를 가지며 신호에 잡음을 추가하지 않는다. 모든 LNB는 약간의 잡음을 발생시키지만, HEMT와 같은 정교한 설계 기술, 고가의 고성능 저잡음 부품, 그리고 제조 후 LNB의 개별 조정을 통해 LNB 부품에서 발생하는 잡음의 일부를 줄일 수 있다. 매우 낮은 온도로 냉각하는 능동 냉각 또한 잡음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과학 연구 응용 분야에서 자주 사용된다.

생산 라인에서 나오는 모든 LNB는 제조 공차 때문에 잡음 지수가 다르다. LNB의 적합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사양에 명시된 잡음 지수는 일반적으로 해당 특정 LNB 또는 전체 주파수 범위의 성능을 나타내지 않는다. 잡음 지수는 생산 배치에서 평균적으로 계산된 '전형적인' 수치이기 때문이다.

Ku-대역 선형 편파 LNBF

3. 블록 하향변환

LNB는 높은 주파수의 신호를 낮은 주파수(중간 주파수, IF)로 변환하여 케이블을 통한 전송 손실을 줄인다. 이러한 주파수 변환은 LNB 내부의 국부 발진기가 생성하는 고정 주파수를 들어오는 신호와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주파수 합 신호는 필터링되고 주파수 차 신호(IF)가 증폭되어 케이블을 통해 수신기로 전송된다.

주파수 변환 공식은 다음과 같다.


  • C 대역: f_\text{IF} = f_\text{LO} - f_\text{recv}
  • Ku 대역: f_\text{IF} = f_\text{recv} - f_\text{LO}


여기서 \scriptstyle f는 주파수를 나타낸다.

국부 발진기 주파수는 수신기가 예상하는 주파수로 다운 변환되는 들어오는 주파수 블록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아스트라 1KR의 신호(10.70–11.70 GHz)를 표준 유럽 수신기의 IF 튜닝 범위(950–2,150 MHz) 내로 다운 변환하려면 9.75 GHz 국부 발진기 주파수가 사용된다. 아스트라 2A 및 2B에서 사용되는 더 높은 전송 주파수 블록(11.70–12.75 GHz)의 경우에는 10.60 GHz의 국부 발진기 주파수가 사용된다.[6] C 대역 안테나 설정(전송 주파수 3.7–4.2 GHz)에서는 5.150 GHz의 국부 발진기 주파수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27 MHz의 광대역 위성 텔레비전 반송파 수신에는 유전체 발진기(DRO)를 사용할 수 있다. 좁은 대역폭 반송파 또는 고급 변조 기술을 사용하는 반송파를 수신하려면 매우 안정적이고 위상 잡음이 낮은 LNB 국부 발진기가 필요하며, 이러한 발진기는 위상 고정 루프(PLL) 발진기를 사용한다.

4. 저잡음 블록 피드혼 (LNBF)

1988년 SES가 유럽 최초의 DTH 방송 위성인 아스트라 1A를 발사하면서, 대중 시장을 겨냥해 안테나 설계가 간소화되었다. 특히, 피드혼(신호를 모아 LNB로 전달하는 역할)과 편광기(서로 다른 편파 신호 중에서 선택하는 역할)가 LNB 자체와 통합되어 LNB-피드 또는 LNB-피드혼(LNBF), 또는 심지어 "아스트라 타입" LNB라고 불리는 단일 장치로 제작되었다.[1] 이러한 통합 장치의 보급으로 인해 오늘날에는 LNB라는 용어가 피드혼 유무에 관계없이 블록 다운 컨버전 기능을 제공하는 모든 안테나 장치를 지칭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

피드혼과 편광기를 포함하는 아스트라 타입 LNBF가 가장 흔한 종류이며, 이는 피드혼과 전자 패키지 사이의 LNB 도파관 목 주변에 칼라를 고정하는 브래킷을 사용하여 접시에 장착된다.[1] LNB 목과 칼라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40mm이지만 다른 크기도 생산된다.[1] 영국에서는 스카이 디지털 및 프리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판매되는 "미니디시"가 통합 클립인 마운트가 있는 LNBF를 사용한다.[1]

피드혼이 내장되지 않은 LNB는 일반적으로 입력 도파관 입구 주위에 (C120) 플랜지가 제공되며, 이는 피드혼 또는 편광기 장치의 출력 주변에 있는 일치하는 플랜지에 볼트로 고정된다.[1]

5. 편파 (Polarization)

위성 TV 신호는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 더 많은 채널을 전송하기 위해 편광을 사용한다. 이 방식은 수신 장비가 들어오는 신호를 편광에 따라 걸러낼 수 있게 한다. 서로 다른 편광을 사용하면 두 개의 위성 TV 신호를 동일 주파수 (또는 근접 주파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 장비는 여전히 이들을 분리하여 원하는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위성 TV 전송은 수직 및 수평 선형 편광을 사용하지만, 북미의 DBS 전송은 좌/우 원형 편광을 사용한다. 북미 DBS LNB는 도파관 내에 유전체 슬래브를 사용하여 좌/우 원형 편광 신호를 수직/수평 선형 편광 신호로 변환한다.

LNB 도파관 내부의 프로브는 자신과 동일한 평면에 있는 편광 신호를 수집한다. 신호 강도를 최대화하고 반대 편광의 신호 수신을 최소화하기 위해 프로브는 들어오는 신호의 편광과 정렬된다. 이는 LNB의 '스큐'(도파관 축을 중심으로 회전)를 조정하여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과거에는 두 편광 사이를 원격으로 선택하고 스큐 각도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LNB 도파관 입구 앞에 '편광기'를 설치했다. 이 편광기는 전자석을 사용하여 들어오는 신호를 회전시키거나(자기 편광기), 서보 모터를 사용하여 도파관 내의 중간 프로브를 회전시키는(기계적 편광기)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정 가능한 스큐 편광기는 오늘날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유럽의 아스트라 DTH 방송 위성은 안테나 설계를 단순화하여 LNBF를 만들었다. 아스트라 타입 LNBF는 도파관에 서로 직각인 두 개의 프로브를 통합한다. LNB를 로컬 편광 각도에 맞게 스큐 조정하면, 한 프로브는 수평 신호를, 다른 프로브는 수직 신호를 수집한다. 전자 스위치(수신기에서 LNB 전원 공급 전압으로 제어: 수직 13V, 수평 18V)는 어떤 편광 신호를 증폭 및 블록 하향 변환할지 결정한다.[1]

이러한 LNB는 움직이는 부품 없이 위성에서 전송되는 모든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기에 케이블 하나만 연결하면 된다. 따라서 현재 가장 일반적인 LNB 유형이 되었다.[1]

6. 일반적인 LNB 종류

LNB는 수신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주로 사용되는 LNB는 다음과 같다.


  • C 밴드 LNB: 주로 북미 지역에서 사용되며, 낮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잡음 온도는 켈빈(K) 단위로 표시된다.
  • Ku 밴드 LNB: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LNB이다. 표준 LNB와 Universal LNB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표준 LNB: 단일 국부 발진 주파수를 사용하며, 특정 주파수 대역과 편파를 수신한다.
  • Universal LNB: 전환 가능한 국부 발진 주파수를 사용하여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과 두 가지 편파(수직 및 수평)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1990년대 SES가 아스트라 위성을 통해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도입되었다.
  • Ka 밴드 LNB: Ku 밴드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주로 고화질(HD) 방송이나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에 사용된다.
  • S 밴드 LNB: 매우 드물게 사용되는 LNB로, 인도네시아와 같이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인도스타-1과 인도스타-2 위성에서 사용된다. S 밴드는 대기 투과율이 높아 80cm의 소형 안테나로도 고품질 전송을 제공한다.


각 밴드별 LNB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LNB 종류
밴드특징주요 사용처비고
C 밴드낮은 주파수 대역, 잡음 온도는 켈빈(K) 단위북미 지역
Ku 밴드표준 LNB: 단일 국부 발진 주파수전 세계
Universal LNB: 전환 가능한 국부 발진 주파수아스트라 위성 서비스 확장으로 도입
Ka 밴드높은 주파수 대역고화질(HD) 방송,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
S 밴드매우 드문 주파수 대역, 대기 투과율 높음인도네시아 등 강우량이 많은 지역인도스타-1, 인도스타-2 위성


6. 1. C 밴드 LNB

전압블록국부 발진기
주파수중간
주파수 범위편파주파수 대역13 V수직3.40 - 4.20 GHz5.15 GHz950 - 1,750 MHz18 V수평3.40 - 4.20 GHz5.15 GHz950 - 1,750 MHz


6. 2. Ku 밴드 LNB

전압블록국부 발진기
주파수중간
주파수 범위편파주파수 대역13 V수직11.70–12.20 GHz10.75 GHz950–1,450 MHz18 V수평11.70–12.20 GHz10.75 GHz950–1,450 MHz



1990년대에 SES가 아스트라 위성을 19.2°E 궤도에 더 많이 발사함에 따라, FSS 대역(10.70–11.70 GHz)에서 사용되는 다운링크 주파수의 범위가 당시의 표준 LNB 및 수신기에서 지원하는 범위를 넘어섰다. 아스트라 1D에서 신호를 수신하려면 수신기의 IF 튜닝 범위를 950~1,950 MHz에서 950–2,150 MHz로 확장하고, LNB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일반적인 10 GHz에서 9.75 GHz로 변경해야 했다(소위 "향상된" LNB).[6]

아스트라 1E와 이후 위성의 발사는 아스트라가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를 위해 BSS 대역 주파수(11.70–12.75 GHz)를 처음 사용하게 했으며, 10.70–12.75 GHz의 전체 주파수 범위를 수신하는 "Universal" LNB의 도입을 요구했다.

Universal LNB는 9.75 GHz / 10.60 GHz의 전환 가능한 국부 발진 주파수를 가지고 있어 낮은 대역 수신(10.70–11.70 GHz)과 높은 대역 수신(11.70–12.75 GHz)의 두 가지 작동 모드를 제공한다. 국부 발진 주파수는 연결된 수신기에서 공급 전압에 중첩된 22 kHz 신호에 응답하여 전환된다. 편파 간 전환에 사용되는 공급 전압 레벨과 함께, 이를 통해 Universal LNB는 수신기의 제어 하에 위성 Ku 밴드의 전체 주파수 범위를 두 가지 편파(수직 및 수평)와 네 개의 하위 대역으로 수신할 수 있다:[7]

다음은 유럽에서 사용되는 Universal LNB의 예시이다.



전원블록국부 발진
주파수
중간
주파수 범위
전압편파주파수 대역
13 V0 kHz수직10.70–11.70 GHz, 낮음9.75 GHz950–1,950 MHz
18 V0 kHz수평10.70–11.70 GHz, 낮음9.75 GHz950–1,950 MHz
13 V22 kHz수직11.70–12.75 GHz, 높음10.60 GHz1,100–2,150 MHz
18 V22 kHz수평11.70–12.75 GHz, 높음10.60 GHz1,100–2,150 MHz



다음은 DBS에 사용되는 LNB의 예시이다.



공급
전압
블록국부 발진기
주파수
중간
주파수 범위
편파주파수 대역
13 V우향12.20–12.70 GHz11.25 GHz950–1,450 MHz
18 V좌향12.20–12.70 GHz11.25 GHz950–1,450 MHz


6. 3. Ka 밴드 LNB

다음은 Ka 밴드 LNB의 예시이다.

공급 전압블록국부 발진기 주파수중간 주파수 범위
편파주파수 대역
13 V우향20.2–21.2 GHz19.25 GHz950–1,950 MHz
18 V좌향20.2–21.2 GHz19.25 GHz950–1,950 MHz
13 V우향21.2–22.2 GHz20.25 GHz950–1,950 MHz
18 V좌향21.2–22.2 GHz20.25 GHz950–1,950 MHz



다음은 노르삿(Norsat) Ka 밴드 LNB의 예시이다.

공급 전압블록국부 발진기 주파수중간 주파수 범위
편파주파수 대역
13 V우향18.2–19.2 GHz17.25 GHz950–1,950 MHz
18 V좌향18.2–19.2 GHz17.25 GHz950–1,950 MHz


6. 4. S 밴드 LNB

전압블록국부 발진기
주파수중간
주파수 범위편파주파수 대역13 V수직2.52-2.67 GHz1.57 GHz950–1,100 MHz18 V수평2.52-2.670 GHz1.57 GHz950–1,100 MHz



이 LNB의 주파수 범위는 매우 드문 경우인데, S 밴드 주파수를 사용하는 유일한 직접 방송 위성은 인도스타-1과 인도스타-2 뿐이며, 이 둘 다 인도네시아의 가정 직접 방송 사업자인 MNC 비전에서 사용한다. 인도네시아와 같이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 S 밴드가 선택된 이유는 이 주파수가 대기를 효율적으로 통과하고, 직경 80cm의 소형 안테나로 고품질 전송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유사한 Ku- 또는 C-밴드 수신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습한 대기를 통과하기 위해 더 높은 전송 전력이나 훨씬 더 큰 안테나가 필요하다.

7. 다중 출력 LNB

여러 개의 튜너(별도의 수신기 또는 트윈 튜너 PVR 수신기의 경우 동일한 수신기 내)에 연결하기 위해 여러 출력을 가진 LNB이다. 일반적으로 2개(트윈), 4개(쿼드) 또는 8개(옥토)의 출력이 제공된다. 각 출력은 다른 출력과 독립적으로 튜너의 대역 및 편파 선택 신호에 응답하며 튜너에 별도의 LNB처럼 "보인다".[3] 이러한 LNB는 일반적으로 모든 출력에 연결된 수신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출력은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 둘 수 있지만, 전체 LNB를 보호하기 위해 방수 처리해야 한다.[3]

쿼트로 LNB는 공유 디시 설치에 사용하도록 고안된 특수 유형의 LNB이다(쿼드 LNB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쿼트로 LNB는 단일 피드혼과 4개의 출력을 가지며, 각 출력은 Ku 서브 밴드 중 하나(로우 밴드/수평 편파, 하이 밴드/수직 편파, 로우/수직 및 하이/수평)를 멀티스위치 또는 여러 개의 멀티스위치 배열에 공급하고, 멀티스위치는 연결된 각 튜너에 해당 튜너가 필요로 하는 서브 밴드를 전달한다.[8]

여러 튜너를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3개의 SCR 탭이 있는 SCR LNB

7. 1. 듀얼, 트윈, 쿼드, 옥토 LNB

여러 개의 튜너(별도의 수신기 또는 트윈 튜너 PVR 수신기의 경우 동일한 수신기 내)에 연결하기 위해 여러 출력을 가진 LNB이다. 일반적으로 2개(트윈), 4개(쿼드) 또는 8개(옥토)의 출력이 제공된다. 각 출력은 다른 출력과 독립적으로 튜너의 대역 및 편파 선택 신호에 응답하며 튜너에 별도의 LNB처럼 "보인다".[3] 이러한 LNB는 일반적으로 모든 출력에 연결된 수신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출력은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 둘 수 있지만, 전체 LNB를 보호하기 위해 방수 처리해야 한다.[3]

참고: 미국에서는 출력이 두 개인 LNB를 "듀얼 LNB"라고 하지만, 영국에서는 "듀얼 LNB"라는 용어가 역사적으로 두 개의 출력을 가진 LNB를 설명하며, 각 출력은 멀티스위치에 연결하기 위해 하나의 편파만 생성했다.[3] (이 용어와 LNB는 범용 LNB와 멀티스위치에 해당하는 쿼트로 LNB가 도입되면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오늘날 "듀얼 LNB"(및 "듀얼 피드")는 두 개의 위성 위치에서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설명하며, 두 개의 개별 LNB 또는 두 개의 피드혼이 있는 단일 모노블록 LNB를 사용한다. 영국에서는 단일 피드혼이 있지만 두 개의 독립적인 출력이 있는 LNB에 일반적으로 "트윈 출력 LNB" 또는 단순히 "트윈 LNB"라는 용어가 사용된다.[3]

7. 2. 쿼트로 LNB

쿼트로 LNB는 공유 디시 설치에 사용하도록 고안된 특수 유형의 LNB이다(쿼드 LNB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쿼트로 LNB는 단일 피드혼과 4개의 출력을 가지며, 각 출력은 Ku 서브 밴드 중 하나(로우 밴드/수평 편파, 하이 밴드/수직 편파, 로우/수직 및 하이/수평)를 멀티스위치 또는 여러 개의 멀티스위치 배열에 공급하고, 멀티스위치는 연결된 각 튜너에 해당 튜너가 필요로 하는 서브 밴드를 전달한다.[8]

쿼드 LNB와 쿼트로 LNB의 차이점을 언급하면, 쿼드 LNB는 전체 Ku 밴드의 신호를 제공하는 각 출력을 통해 4개의 튜너를 직접 구동할 수 있다. 반면 쿼트로 LNB는 공유 디시 분배 시스템의 멀티스위치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각 출력은 Ku 밴드 신호의 1/4만 제공한다. 쿼트로 LNB는 일반적으로 쿼드 LNB와 유사하게 생겼지만, 수신기에 직접 연결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8. 위성 채널 라우터 (SCR) 또는 유니케이블 LNB

유니케이블 LNB는 하나의 출력 커넥터를 가지고 있지만, 표준 LNB와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여 단일 동축 케이블을 따라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여러 튜너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SCR LNB는 수신된 전체 스펙트럼을 블록 다운변환하는 대신, 수신기로부터의 DiSEqC 호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수신 신호의 작은 섹션(위성의 단일 트랜스폰더의 대역폭과 동일)을 IF의 고정된 주파수로 다운변환하여 출력한다. 최대 32개의 튜너에 IF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할당할 수 있으며, 각 튜너에 대해 SCR LNB는 해당 개별적으로 요청된 트랜스폰더를 다운변환한다.[9]

대부분의 SCR LNB는 기존 작동 모드 또는 기존의 방식으로 전체 IF 범위로 블록 다운변환된 수신 스펙트럼을 제공하는 별도의 기존 출력을 포함한다.

9. 광대역 LNB

ASTRA 유니버설 광대역 LNB(발진 주파수 10.40 또는 10.41 GHz)가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고대역과 저대역으로 분리되지 않으므로 중간 주파수 대역이 기존 LNB보다 훨씬 넓다.

광대역 LNB 신호는 Inverto/Fuba,[10] Unitron,[11] Optel,[12] GT-Sat/Astro와 같은 새로운 광대역 튜너 및 SCR 시스템에서 광 전송 여부에 관계없이 수신할 수 있다. 광대역 신호는 기존 쿼트로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13] 그 반대도 가능하다.[14]

2016년 2월, Sky(영국)는 새로운 광대역 튜너와 호환되는 새로운 LNB를 출시했다.[15] 이 LNB는 저대역 및 고대역의 모든 수직 편파 채널을 위한 포트 하나와 저대역 및 고대역의 모든 수평 채널을 위한 포트 하나를 가지고 있다. 기본 모델은 단 2개의 연결부만 있으며, 입력 10.7–12.75 GHz에서 290–2340 MHz의 중간 주파수를 갖는 10.41 GHz의 로컬 발진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LNB는 Unitron의 ASTRA 유니버설 광대역 LNB와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16] 모든 채널에 액세스하려면 최소 2개의 케이블이 필요하다. Sky Q 박스에서는 여러 튜너가 여러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듀얼 동축 시스템의 일반적인 두 채널보다 많다. 이러한 유형의 LNB는 영국에서 사용되는 더 일반적인 Astra 유니버설 LNB와 호환되지 않으므로 업그레이드 시 LNB가 변경된다. Sky Q 외에 Freesat과 같은 여러 레거시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해 Sky Q용 2개 및 Astra 유니버설 LNB용 4개, 총 6개의 연결부를 가진 LNB 모델이 있다. 아파트 단지 등 단일 케이블만 가능한 경우, BSkyB SCR을 사용하는 Sky Q 호환 멀티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17]

10. 광섬유 LNB

광섬유 위성 신호 분배 시스템용 LNB는 기존의 전기 LNB와 유사하게 작동하지만, 10.70–12.75 GHz 전체 Ku 대역 스펙트럼의 두 신호 편광에 걸쳐 있는 네 개의 하위 대역이 동시에 블록 다운 변환된다(quattro LNB와 같이). 네 개의 하위 대역 IF는 0.95–5.45 GHz 범위(4.5 GHz 대역폭)의 하나의 IF를 생성하기 위해 스택된다. 이 IF는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여 광 신호로 변조되어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다.

수신기에서 광 신호는 다시 전통적인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수신기에 기존 LNB처럼 "보이게" 된다.[18]

11. 모노블록 LNB

모노블록(또는 모노블록 LNB)은 두 개 이상의 LNB와 DiSEqC 스위치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한 것이다. 이는 서로 가까이 위치한 여러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중 선택된 신호를 수신기로 보내도록 설계되었다.[19]

일반적으로 두 LNB의 피드혼은 특정 궤도 간격(주로 6°, 때로는 4°)의 위성을 수신하도록 고정된 거리를 유지한다. 별도의 LNB와 스위치로도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모노블록 LNB는 설치가 더 편리하고, 두 개의 피드혼을 개별 LNB보다 더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9] 피드혼 간 거리는 수신할 위성의 궤도 간격, 접시의 직경 및 초점 거리, 위성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모노블록 LNB는 특정 지역의 표준 접시에 맞춰 설계된 솔루션이다.[19]

예를 들어, 유럽에서는 핫 버드와 아스트라 19.2°E 위성을 수신하기 위한 모노블록이 널리 사용된다. 이는 전동 접시 없이도 단일 접시에서 두 위성을 모두 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스트라 23.5°E와 아스트라 19.2°E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듀오 LNB도 비슷한 이점을 제공한다.

세 개의 위성을 수신할 수 있는 트리플 모노블록 LNB도 있다. 예를 들어 핫버드 13°E, 유텔샛 16°E, 아스트라 19.2°E를 수신하거나, 동일한 간격의 유텔샛 7°E, 유텔샛 10°E, 핫버드 13°E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간격의 위성 조합을 위한 모노블록도 있다. 예를 들어 아스트라 1: 19.2°E, 아스트라 3: 23.5°E, 아스트라 2: 28.2°E 조합이 있다.

네 개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4개 피드 모노블록 LNB도 있다. 예를 들어 유로버드 9°E, 핫버드 13°E, 아스트라 19.2°E, 아스트라 23.5°E를 수신할 수 있다.

대부분의 최신 수신기는 DiSeqC 1.0 이상을 지원하므로, 리모컨으로 채널을 변경하면 모노블록 LNB가 자동으로 위성 간 전환을 수행한다.

12. 저온 환경

LNB 내부의 수분이 얼어붙어 극저온에서 얼음이 생길 수 있다. 이는 LNB가 위성 수신기에서 전원을 공급받지 않을 때(예: 시청하는 프로그램이 없을 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1]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위성 수신기는 수신기가 대기 상태일 때 LNB에 전원을 계속 공급하는 옵션을 제공한다.[1] 실제로 대부분의 LNB는 온도를 안정시키고, LNB 회로의 발열을 통해 국부 발진기 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전원이 계속 공급된다.[1]

영국 BSkyB 수신기의 경우, 수신기가 펌웨어 업데이트 및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도록 LNB는 대기 상태에서도 전원이 유지된다.[1] 미국에서는 Dish Network 수신기에 연결된 LNB에 전원이 계속 공급되어 시스템이 야간에 무선으로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업데이트와 가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1] 터키에서는 Digiturk MDU가 VOD 콘텐츠, STB 펌웨어, EPG 데이터 및 유료 TV 키를 수신하여 암호화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전원이 공급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Glossary of Satellite Terms http://www.satnews.c[...] 2011-01-27
[2] 서적 An Introduction To Domestic Radio TV And Satellite Reception CAI 2002
[3] 간행물 Getting The Most Out Of An LNB What Satellite & Digital TV 2008-11
[4] 웹사이트 Satellite Glossary http://www.sat-unive[...] 2007-02-23
[5] 웹사이트 Ku dish through glass http://www.satellite[...] 2013-11-06
[6] 웹사이트 Understanding lnb specifications http://www.satcritic[...] 2002-11-15
[7] 웹사이트 Professional Dish Installation https://pro.ses-astr[...] ASTRA (GB) Limited 2005-03
[8] 웹사이트 Astra Glossary - Quattro LNB http://www.onastra.c[...] SES ASTRA 2010-12-30
[9] 간행물 Inverto Unicable LNB What Satellite & Digital TV 2006-02
[10] 웹사이트 Inverto - IDLU-UWT110-CUO1O-32P - http://www.inverto.t[...] 2016-07-01
[11] 웹사이트 Unitron catalog http://www.unitrongr[...] 2016-07-01
[12] 웹사이트 Optel http://www.optelit.c[...] 2016-07-01
[13] 웹사이트 Wideband to Quattro Convertor - Unitron Group http://www.unitrongr[...] 2016-07-01
[14] 웹사이트 Sky Q Installation http://www.solutions[...]
[1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corporate.sk[...] 2016-05-14
[16] 웹사이트 LNB http://www.unitrongr[...] 2020-08-06
[17] 웹사이트 Unitron Group • Your dedicated partner for customize IP and RF solutions http://www.unitrongr[...] 2016-05-14
[18] 웹사이트 FibreMDU Optical LNB http://www.globalinv[...] Global Invacom 2010-01-12
[19] 간행물 Multi-feed dishes What Satellite & Digital TV 20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