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자 마이레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자 마이레더는 1858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난 여성으로, 페미니스트 사상가, 작가, 예술가였다. 그녀는 사회의 가부장적 구조와 기존 페미니즘을 비판하며 여성의 권리 확대를 위해 활동했다. 저서로는 '여성성에 대한 비판'과 '성과 문화' 등이 있으며, 오스트리아 여성 협회 창립 멤버로 참여하고 평화 운동에도 헌신했다. 또한, 그림에도 재능을 보여 수채화가 클럽에 입회하고 미술학교를 설립했으며, 니체의 철학에 영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여성주의자 - 파멜라 렌디바그너
파멜라 렌디바그너는 오스트리아의 의사이자 정치인으로, 감염 역학 및 백신 예방 분야에서 전문 의학자로 활동했으며, 오스트리아 보건여성부 장관과 사회민주당 대표를 역임했다. - 오스트리아의 여성주의자 - 엘프리데 옐리네크
엘프리데 옐리네크는 1946년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소설가, 극작가, 시인으로, 마르크스주의적 시각과 여성의 성, 권력 관계를 다룬 작품으로 유명하며 1998년 게오르크 뷔히너 상과 200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1858년 출생 - 시어도어 루스벨트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허약한 체질을 극복하고 다양한 정치 경력을 쌓아 제26대 미국 대통령이 되었으며, 진보적인 개혁 정책 추진, 러일 전쟁 중재 등 국내외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1858년 출생 - 사이토 마코토
사이토 마코토는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이자 정치가로, 해군대신,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 등을 역임하며 해군력 확장, 문화 통치 추진, 만주국 승인, 국제연맹 탈퇴 등의 행적을 남겼으나 2·26 사건으로 암살당했다. - 20세기 사회학자 - 로베르트 미헬스
로베르트 미헬스는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 이론을 제시했으며, 정당의 관료화와 소수 엘리트 지배의 관계를 연구했다. - 20세기 사회학자 - 막스 베버
막스 베버는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 경제학자, 역사학자, 법학자로서, 종교사회학, 정치 체제 등을 연구하고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프로테스탄티즘의 영향을 분석했으며, 권위의 유형을 구분하고 사회과학 연구의 객관성과 가치 중립성을 강조했다.
로자 마이레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로자 오버마이어 |
출생 | 1858년 11월 30일 |
출생지 | 빈 |
사망 | 1938년 1월 19일 (79세) |
사망지 | 빈 |
국적 | 오스트리아 |
배우자 | 카를 마이레더 |
직업 | 자유 사상가, 작가, 화가, 음악가, 페미니스트 |
2. 생애와 결혼
로자 마이레더는 1858년 빈에서 부유한 선술집 주인의 딸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여성에게 제한적인 교육 기회와 사회적 역할에 불만을 품고 성장했으며, 이는 훗날 그녀의 페미니즘 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이레더의 가족, 사회 분위기, 그리고 그녀의 성격은 1873년 4월 28일 자를 포함한 일련의 일기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일기에는 일상생활부터 전쟁에 대한 감정까지 다양한 주제가 담겨 있다.[1] 1928년, 70세가 된 그녀는 빈 명예 시민으로 인정받았다.[2]
1881년, 훗날 빈 기술대학교 총장이 된 건축가 카를 마이레더와 결혼했다.
2. 1. 성장 배경과 교육
로자 마이레더는 1858년 11월 30일에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 프란츠 아놀드 오버마이어는 번영하는 선술집 주인이었다.[1] 마이레더는 부유한 가정에서 자라면서 당시 부유층 여성들에게 일반적인 교육을 받았다. 사교육 선생님들로부터 피아노 연주, 노래, 프랑스어, 그림을 배웠다. 그러나 학업 성취도가 낮았던 남동생들이 더 많은 교육 기회를 얻은 것에 질투심을 느꼈다.[1]이후 마이레더는 중산층 여성 교육 방식에 반기를 들었다. 그녀는 성적 이중 잣대와 매춘을 비판했다.[2] 18세에는 코르셋을 절대 착용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는데, 이는 사회적 성명일 뿐만 아니라, 남편과 아들로부터 자아를 얻어야 한다고 믿었던 어머니를 향한 개인적인 비판이기도 했다.[1]
성인이 되면서 마이레더는 수많은 예술가, 작가, 철학자들과 교류했다.[3] 요제프 슈토르크, 빈 응용미술학교, 루돌프 폰 발트하임, 프리드리히 에크슈타인, 그리고 그녀의 형제들인 카를, 율리우스, 루돌프와의 잦은 만남은 마이레더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니체, 괴테, 칸트의 저술 또한 그녀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1] 이러한 만남을 통해 마이레더는 사회에서 남녀 간의 불균형을 인식하고 사회 문제에 참여하도록 격려하는 사람들과 접촉할 수 있었다.[3]
2. 2. 결혼과 개인적 삶
1881년 로자는 훗날 빈 기술대학교 총장이 된 건축가 카를 마이레더와 결혼했다. 이들의 결혼 생활은 원만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1883년 로자는 낙태를 했고, 두 차례 혼외 정사를 가졌는데, 이에 대해 그녀는 일기에 자세히 기록했다.[1] 카를은 1912년부터 1935년 사망할 때까지 반복적인 우울증을 앓았다.3. 페미니즘, 저술 및 예술 활동
로자 마이레더는 가부장제 사회 구조와 기존의 페미니즘 운동 모두를 비판한 급진적인 사상가였다.[4] 여성의 진정한 표현이 부족하다는 것에 좌절감을 느꼈고,[3] 남녀 간의 불균형을 개혁하고 여성의 역할을 확대하고자 했다.[4] 그녀는 여성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것을 자신의 천직으로 여겼다.[3]
글쓰기 외에도 그림에 취미를 들여 수채화가 클럽에 입회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1891년 비엔나 쿤스트러하우스(예술가의 집) 연례 전시회에 수채화 작품을 출품했다.[5] 올가 프래거, 마리아네 하이니쉬, 카를 페데른과 함께 여성 및 소녀를 위한 미술학교를 설립했다.[5]
3. 1. 주요 저술 활동
로자 마이레더는 1905년에 '''여성성에 대한 비판 (Zur Kritik der Weiblichkeit)'''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영어로 1912년에 '''여성 문제 조사 (A Survey of the Woman Problem)'''로 번역되었다. 이 책은 "인정받는" 철학자들의 주장을 반박하고 여성 문제의 근원을 분석한 수필 모음집으로, 17세기와 18세기의 이상에서 영감을 받은 글쓰기 스타일이었다.[3] '''여성 문제 조사'''는 여성 운동의 기반이 경제적, 사회적, 윤리적-심리적 세 가지 문제로 인해 발생했다는 그녀의 믿음에 기반을 두고 있다.[6] 1923년에는 여성에 대한 이중 잣대와 차별을 비판한 '''성과 문화 (Geschlecht und Kultur)'''를 출판했으며, 이 책은 영어로 번역되었다. 그녀는 또한 자서전 '''란트스크롱가세의 집 (Das Haus in der Landskrongasse)'''을 출판했다.제1차 세계 대전 중 마이레더는 '''신여성 (Neues Frauenleben)'''과 '''국제판 (Internationale Rundschau)''' 등 다양한 매체에서 평화주의적 접근 방식을 옹호하는 기사와 보고서를 발표했다.[7]
그녀는 휴고 볼프와 따뜻한 우정을 쌓았고, 그의 오페라 '''검찰관 (Der Corregidor)'''의 대본[10](1896년 만하임에서 초연됨)으로 그녀의 이야기 중 하나를 개발했다. 이 시기에 그녀는 첫 번째 소설인 '''나의 청춘 (Aus meiner Jugend)'''을 출판했다.
3. 2. 여성 운동 참여
로자 마이레더는 오스트리아 여성 협회(General Austrian Women's Association)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다.[8] 마리 랑을 통해 루돌프 슈타이너를 만났으며, 그와 오랫동안 편지를 주고받았다.[9] 휴고 볼프와 프리드리히 엑슈타인도 만났는데, 볼프와는 따뜻한 우정을 쌓아 그녀의 이야기 중 하나를 바탕으로 오페라 검찰관 (Der Corregidor)의 대본[10](1896년 만하임에서 초연)을 쓰기도 했다. 이 시기에 그녀는 첫 소설인 '''나의 청춘 (Aus meiner Jugend)'''을 출판했다. 랑의 모임에서 마리아네 하이니쉬를 만났고, 함께 1902년에 설립된 오스트리아 전국 여성 협회 (Allgemeiner Österreichischer Frauenverein)에서 활동했다.마이레더는 1907년 설립된 비엔나 사회학 협회의 유일한 여성 창립 멤버였다.[11]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평화 운동에 참여했고, 1919년 국제 여성 평화 자유 연맹 (Internationale Frauenliga für Frieden und Freiheit, IFFF) 회장이 되었다.
3. 3. 예술 활동
마이레더는 그림에도 재능을 보여 수채화가 클럽에 입회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1891년 비엔나 쿤스트러하우스(예술가의 집) 연례 전시회에 수채화 작품을 출품했다.[5]또한 올가 프래거, 마리아네 하이니쉬, 카를 페데른과 함께 여성 및 소녀를 위한 미술학교(Kunstchule for Frauen und Madchen)를 설립했다.[5]
그녀는 휴고 볼프와 따뜻한 우정을 쌓았고, 그의 오페라 '''검찰관 (Der Corregidor)'''(1896년 만하임에서 초연됨)의 대본을 작성했다.[10]
4. 로자 마이레더와 니체 철학
초기 페미니즘과 공중보건과 같은 다양한 사회 문제에 관한 출판물에서 마이레더는 니체의 업적에 열정적으로 찬사를 보냈다. 1920년대 후반의 후기 저술에서 마이레더는 니체의 글과 니체 철학 주변에서 등장하는 극단적인 숭배에 대해 더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지만, 니체에 대한 전반적인 긍정적인 평가를 버리지는 않았다.[12]
5. 저서
참조
[1]
논문
Feminism and Pacifism: Rosa Mayreder's Writings against War
2013
[2]
웹사이트
Review of Mayreder, Rosa, Gender and Culture
http://www.h-net.org[...]
2011-02-00
[3]
서적
Rosa Mayreder and a Case of "Austrian Fate": The Effects of Repressed Humanism and Delayed Enlightenment on Women's Writing and Feminist Thought in Fin-de-siecle Vienna
PhD thesis
[4]
서적
Nietzsche and Early German and Austrian Sociology
[5]
서적
Gender Studies: Women Inside and Outside the Box
Editura Printech
[6]
서적
Survey of the Woman Problem
G.H. Doran Co.
[7]
논문
Feminism and Pacifism: Rosa Mayreder's Writings against War
2013
[8]
논문
Austrian Fin-De-Siècle Gender Heteroglossia: The Dialogism of Misogyny, Feminism, and Viriphobia
www.jstor.org/stable[...]
2005
[9]
서적
The Education of the Child and Early Lectures on Education
https://archive.org/[...]
Anthroposophic Press
[10]
논문
Conversations with Hugo Wolf
1960
[11]
서적
Nietzsche and Early German and Austrian Sociology
[12]
서적
Nietzsche and Early German and Austrian Sociology
[13]
웹사이트
Rosa Mayreder Books {{!}} List of books by author Rosa Mayreder
https://www.thriftbo[...]
2018-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