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스벨트 계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스벨트 계론은 1904년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이 발표한 정책으로, 미국이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안정을 위해 개입할 권리를 주장하며 먼로 독트린을 확장한 것이다. 베네수엘라 위기 등을 배경으로, 미국은 유럽 열강의 개입을 막고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이 정책을 활용했다. 루스벨트 계론은 도미니카 공화국을 시작으로 쿠바, 니카라과, 아이티 등에서 미국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사용되었으며, 선린 정책 시기를 거쳐 냉전 시기에도 부활하여 과테말라 쿠데타 등에 영향을 미쳤다. 이 정책은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엇갈리며, 미국의 제국주의적 팽창을 정당화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2. 배경

1902-1903년 베네수엘라 위기는 루스벨트 계론이 등장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영국, 독일, 이탈리아베네수엘라의 치프리아노 카스트로 대통령이 대외 채무와 내전 피해 배상을 거부하자 해상 봉쇄를 단행했다.[2] 이 문제는 헤이그의 상설 중재 재판소로 넘겨졌고, 재판소는 봉쇄국들의 채무 변제 우선권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려,[2][3] 미국 등 다른 채권국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 내 반유럽 정서를 확산시켰다. 또한, 명백한 운명과 같이 '덜 발달된' 국가를 돕는 미국의 의무를 강조하는 개념도 루스벨트 수정안의 배경이 되었다.[4] 테오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1901년 연례 메시지에서 "인류 복지를 위해" 서반구의 경찰 국가로서 미국의 역할을 강조했다.[5]

2. 1. 1902-1903년 베네수엘라 위기

루스벨트 수정안은 1902-1903년 베네수엘라 위기 이후에 명확하게 제시되었다. 1902년 말, 영국, 독일, 이탈리아는 치프리아노 카스트로 대통령이 대외 부채와 최근 베네수엘라 내전에서 유럽인들이 입은 피해에 대한 지불을 거부한 후, 베네수엘라에 대한 몇 달간의 해상 봉쇄를 실시했다.[2] 이 분쟁은 헤이그의 상설 중재 재판소에 회부되었으며, 1904년 2월 22일, 베네수엘라 위기에 연루된 봉쇄 세력들이 그들의 청구에 대한 우선적인 대우를 받을 자격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2][3] 이로 인해 미국을 포함하여 군사적 행동을 취하지 않은 다른 여러 국가들은 의지할 곳이 없게 되었다. 미국은 그 결과에 원칙적으로 동의하지 않았고, 테오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정치적인 행동을 취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 수정안은 향후 유럽 열강이 헤이그의 이 판결을 중앙 및 라틴 아메리카에서 군사 행동 및/또는 점령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미국의 해외 이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3]

1902년 후반, 베네수엘라의 시프리아노 카스트로 대통령은 대외 채무 변제 및 베네수엘라 내전으로 인한 유럽인에 대한 손해 배상 지불을 거부했기 때문에, 영국, 독일, 이탈리아 3개국은 제재로서 해상 봉쇄로 대응했다(베네수엘라 위기 (1902년~1903년)).[22] 이 분쟁은 헤이그의 상설 중재 재판소에 회부되어 1904년 2월 22일의 중재안으로 해결되었지만, 그 내용은 봉쇄국이 배상 우대 조치를 받을 권리를 인정하는 것이었다.[22] 이 중재안은 미국을 포함한 군사 행동을 취하지 않은 다른 많은 나라들은 구제받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미래에 유럽 열강의 군사 개입을 촉진하는 것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미국은 우려했다.[22]

2. 2. 미국의 반유럽 정서와 먼로 독트린

루스벨트 수정안은 1902~1903년 베네수엘라 위기 이후에 분명하게 제시되었다. 1902년 말, 영국, 독일, 이탈리아는 치프리아노 카스트로 대통령이 대외 부채와 베네수엘라 내전에서 유럽인들이 입은 피해에 대한 지불을 거부하자 베네수엘라에 대해 몇 달간 해상 봉쇄를 실시했다.[2] 이 분쟁은 헤이그의 상설 중재 재판소에 회부되었고, 1904년 2월 22일, 베네수엘라 위기에 연루된 봉쇄 세력들이 그들의 청구에 대한 우선적인 대우를 받을 자격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2][3] 이는 미국을 포함하여 군사적 행동을 취하지 않은 다른 여러 국가들은 의지할 곳이 없게 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1904년 루스벨트 수정안 주장에 기여한 요인은 베네수엘라 위기와 같은 물리적 사건과 이 시기 외교 정책을 형성한 미국 내 정신적 태도 모두 포함되었다. 그러한 정신적 태도 중 하나는 국제 중재 재판소가 유럽 열강에게 부여한 우선적 대우로 인해 베네수엘라 위기 동안 형성된 미국인들 사이의 반유럽 정서였다.[2] 미국 서부 변경 확장 기간 동안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명백한 운명이라는 오랫동안 존재해 온 개념조차 루스벨트 수정안을 구축하는 데 작용했다. 20세기 초까지 명백한 운명은 미국의 탁월함과 '덜 발달된' 국가의 발전을 돕는 의무를 나타내는 표현이 되었다.[4]

3. 루스벨트 수정안의 내용

루스벨트 수정안은 1904년 5월 20일 국무장관 엘리후 루트의 연설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6일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의 일반 교서 연설에서 구체화되었다.[6][3]

루스벨트는 연두교서에서 "이웃 국가들이 안정되고 질서 있으며 번영하는 것"을 바란다고 밝혔다. 그러나 "만성적인 불법 행위, 또는 문명 사회의 유대를 전반적으로 느슨하게 만드는 무능함"이 발생할 경우, 미국이 "국제 경찰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먼로 독트린이 유럽 열강의 아메리카 대륙 간섭을 막는 소극적인 정책이었던 것과 달리, 루스벨트 수정안은 미국이 필요하다면 해당 지역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루스벨트는 "미국은 유럽 열강의 개입을 허용하지 않으니, (지역 안정을 위해) 우리가 개입해야 한다"라고 선언하며 미국의 적극적인 개입 의지를 드러냈다.[25]

이 수정안은 미국이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세계 강대국으로 전환되는 데 기여했으며, 미국이 자국 국경을 넘어 국가에 대한 관심을 확장하고 국외에서 영향력과 사상을 증진하는 계기가 되었다.[8]

3. 1. 1904년 연두교서

Theodore Roosevelt영어 대통령은 1904년 12월 일반 교서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웃 국가들이 안정되고 질서 있으며 번영하기를 바란다. 자국민이 잘 행동하는 국가는 우리의 진심 어린 우정을 기대할 수 있다. 만약 어떤 국가가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있어서 합리적인 효율성과 품위를 가지고 행동할 줄 알고, 질서를 유지하며 의무를 다한다면, 미국으로부터의 간섭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만성적인 불법 행위, 또는 문명 사회의 유대를 전반적으로 느슨하게 만드는 무능함은 미국에서, 그리고 다른 곳에서도, 결국 어떤 문명 국가의 개입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서반구에서는 미국이 먼로 독트린을 준수함에 따라, 미국은 이러한 불법 행위나 무능함이 현저한 경우, 아무리 꺼려하더라도 국제 경찰력 행사를 강요받을 수 있다."[6][3]

3. 2. 먼로 독트린과의 관계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이 발표한 루스벨트 수정안은 먼로 독트린을 확장한 것이다. 먼로 독트린은 유럽 열강에게 아메리카 대륙의 국가에 손대지 말라고 경고하는 방어적인 것이었지만, 루스벨트 수정안은 라틴 아메리카와 중앙 아메리카에 개입하여 이 지역의 안정을 유지해야 하는 미국의 공격적인 군사적 "의무"로 바꾸었다.[7]

1904년 12월 6일, 루스벨트 대통령은 일반 교서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24]

> 우리 국가는 인접 국가가 안정되고 질서를 유지하며 번영하기를 바랄 뿐이다. 국민이 선량한 행위에 힘쓰는 국가라면 어느 국가라도 우리나라의 진심 어린 우정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국가가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해 합리적인 효율성과 양식을 가지고 행동하는 방법을 알고, 질서를 지키고 의무를 다한다면 미국의 간섭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만성적인 부정 행위나, 혹은 문명 사회의 유대를 전체적으로 느슨하게 만드는 무력함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지역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어느 문명국의 개입을 필요로 할지도 모르며, 그러한 부정과 무력함이 눈에 띄는 경우, 서반구에서는 먼로 독트린을 유지하는 미국이 마지못해 국제적인 경찰권(police power)의 행사를 할 수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이는 미국이 전통적으로 먼로 독트린에 의해 유럽 열강이 아메리카 대륙의 국가에 손을 대지 못하도록 경고했던 것을 감안하여, 루스벨트는 "미국은 유럽 열강의 개입을 허용하지 않으니, (지역 안정을 위해) 우리가 개입해야 한다"라고 선언한 것을 의미한다.[25]

루스벨트는 서반구의 불법 행위를 종식시키기 위해 미국이 "국제 경찰력"을 행사하는 것을 정당화했는데, 이는 먼로 독트린에 이미 존재했던 수정안의 더 제한적인 형태였다. 루스벨트 수정안은 중앙 아메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언어적 개입에서 적극적 개입으로의 전환을 가져왔다.[9]

4. 루스벨트 수정안의 적용

루스벨트 수정안은 먼로 독트린을 확장한 것이지만, 동시에 일탈로 볼 수도 있었다. 먼로 독트린이 유럽 국가들의 라틴 아메리카 간섭을 금지한 반면, 루스벨트 수정안은 미국이 유럽 국가들을 막기 위해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 군사력을 행사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역사가 월터 라피버는 루스벨트가 먼로 독트린을 뒤집어, 유럽은 물러나야 하지만 미국은 경찰력을 행사할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고 설명한다.[10]

이는 먼로 독트린에 대한 중대한 반전이었으며, 이후 15~20년 동안 미국은 군사력을 동원하여 라틴 아메리카에 약 12번이나 진출했다. 미국 해병대는 "국무부 군대"로 알려질 정도로 카리브해에서 국무부의 이익과 정책을 보호하기 위해 활동했다. 루스벨트의 먼로 독트린 재정의는 미국을 카리브해 및 중앙 아메리카 국가들과의 대립 시대로 이끌었고, 이는 미국 제국주의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10]

루스벨트는 1904년 도미니카 공화국에 이 외교 지침을 처음 적용했다. 이후 미국 대통령들은 루스벨트 계론을 쿠바(1906–1909), 니카라과, 아이티, 도미니카 공화국 등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인용했다. 이러한 외교 정책의 명목상 목적은 유럽의 아메리카 대륙 간섭을 막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자원(쿠바의 설탕, 니카라과의 석유 등)이나 신시장 확보 등, 기타 많은 권익을 노린 것이었다.

4. 1. 도미니카 공화국 (1904)

1904년 도미니카 공화국은 심각한 대외 채무로 파산 위기에 놓였는데, 이는 루스벨트 계론이 처음 적용된 사례이다. 1893년 뉴욕 회사인 산 도밍고 개선 회사(San Domingo Improvement Company, SDIC)가 도미니카의 재정을 장악하면서 미국과 도미니카의 이해관계가 가까워졌다. 1897년 SDIC가 유럽 채권자들에게 지불을 연체하자 도미니카는 경제적 재앙에 빠졌고, 미국은 이 사건에 대한 중재를 요구했다. 중재 결과, 도미니카가 SDIC에 지불하는 일정이 수립되었고, 미국은 도미니카 공화국이 지불을 하지 못할 경우 SDIC를 위해 도미니카 공화국으로부터 돈을 징수할 수 있게 되었다.[8]

1905년 미국은 도미니카가 지불을 연체하고 유럽 열강이 개입하겠다고 위협하자 군함을 파견하여 세관을 미국 협상가에게 넘겨줄 것을 요구했다. 협상가들은 수입금의 일부를 대외 채무 상환에 강제적으로 충당하는 정책을 시행했다.[3]

이 방식은 미국이 라틴 아메리카 국가를 일시적으로 보호령화하고, 고문을 통해 국정을 안정시키며, 유럽 국가들의 활동을 견제하는 것이었으며, "달러 외교"라고 불렸다. 그러나 도미니카에서의 실험은 다른 많은 "달러 외교" 협정과 마찬가지로 일시적이고 유지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고, 미국은 1916년에 대규모 군사 개입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했으며, 이는 1924년까지 이어졌다.[26]

4. 2. 기타 지역

미국 대통령들은 루스벨트 계론을 쿠바(1906–1909),[12] 니카라과(1909–1910, 1912–1925 및 1926–1933),[13] 아이티(1915–1934),[13] 도미니카 공화국(1916–1924)[13]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인용했다. 표면적인 이유는 유럽의 서반구 간섭을 막는 것이었지만, 미국의 명성을 유지하고, 쿠바의 설탕이나 니카라과의 석유와 같은 원자재 획득 및 새로운 시장 개척과 같은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목적도 있었다.[13]

5. 선린 정책으로의 전환과 수정안의 부활

1928년 캘빈 쿨리지 대통령은 클라크 각서를 발표하여 루스벨트 수정안을 부분적으로 부정했다. 허버트 후버 대통령 또한 니카라과아이티에서 군대를 철수시키고, 인접 국가의 내정에 불개입하는 등 미국의 외교 정책을 수정하였다.[14]

1930년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선린 정책을 추진하여 플랫 수정안을 폐지하고, 멕시코의 석유 자산 국유화에 대한 보상 협상을 진행하는 등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했다. 그러나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니카라과, 아이티 등에서 독재 정권이 등장하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15]

1945년 냉전의 시작과 함께 선린 정책은 종료되었고, 미국은 서반구를 소련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명분 하에 다시 강경책으로 전환하였다. 1954년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은 범미 회의에서 먼로 독트린과 루스벨트 수정안을 언급하며 과테말라에 대한 군사 개입을 정당화했다.[17]

5. 1. 클라크 각서 (1928)

1928년 캘빈 쿨리지 대통령은 클라크 각서를 발표했는데, 이는 유럽 열강의 위협이 있을 때 미국이 자동적으로 개입할 권리가 없다고 명시한 루즈벨트 수정안의 부분적인 부인으로 여겨진다.[14] 허버트 후버 또한 친선 투어를 하고, 니카라과아이티에서 군대를 철수시키고, 인접 국가의 내정에 불개입함으로써 미국을 루스벨트 수정안의 제국주의적 경향에서 벗어나도록 도왔다.[14]

5. 2. 선린 정책 (1930년대)

1934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선린 정책"을 수립하여 쿠바와의 관계 조약에 의해 플랫 수정안을 폐지했다.[14] 또한, 1938년 멕시코의 외국 소유 석유 자산 국유화에 대한 보상 협상을 진행했다.[14] 이러한 노력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쿠바의 풀헨시오 바티스타,[15] 도미니카 공화국의 라파엘 레오니다스 트루히요, 니카라과의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그리고 아이티의 프랑수아 뒤발리에와 같은 독재 정권의 등장을 방치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15]

5. 3. 냉전과 수정안의 부활

1945년 냉전이 시작되면서 선린 정책 시대는 종료되었는데, 미국은 서반구를 소련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더 크다고 느꼈다.[16]

1954년,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은 카라카스에서 열린 제10차 범미 회의에서 먼로 독트린과 루스벨트 계론을 인용하며 과테말라에서의 소련 공산주의 개입을 비난했다.[17] 이는 민주적으로 선출된 야코보 아르벤스 대통령을 축출하고 카를로스 카스티요 아르마스의 군사 정권을 수립한 PBSuccess 작전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이는 그 나라의 일련의 군사 독재 정권의 첫 번째였다.[18]

6. 평가

루스벨트 수정안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모두 존재하며, 학자마다 다른 시각을 보인다.

먼로 독트린이 유럽 제국의 아메리카 대륙 진입을 막으려 했다면, 루스벨트 수정안은 미국이 그 자리를 차지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수정안이 독립 선언에 명시된 자결권과 주권의 원칙을 위반한다는 비판도 있다. 루스벨트는 전쟁 영웅이자 개인주의자이며 평범한 사람들의 대표라는 미국의 가치를 구현한 인물이었으나, 라틴 아메리카에서의 그의 행동은 국제법의 정신과 모순된다는 비판을 받았다.

6. 1. 긍정적 평가

역사가 키루스 비저(Cyrus Veeser)와 마티아스 마스(Matthias Maass)는 루스벨트 수정안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제시한다. 비저는 루스벨트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SDIC와 같이 미국의 외교 정책 목표와 국외의 사적 경제 활동을 결합하려 했던 것처럼, 루스벨트 수정안을 미국 정치의 진보 시대 전환의 일부로 보았다.[8] 그는 데이비드 플레처의 생각을 활용하여 루스벨트 수정안이 19세기 후반의 '불확실성'과 '즉흥성'에서 20세기 초의 '행정부 주도, 개입주의 전략'으로 미국 외교 정책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한 역할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이 세계 강대국이 되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8]

마스 역시 루스벨트 수정안이 현대의 세계 제국주의 상황에 적합한 몬로 독트린의 업데이트된 버전이라고 보면서 그 역할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2] 그는 루스벨트 수정안이 반드시 기정사실은 아니었지만, 20세기 초 아메리카 대륙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상황에서 미국이 서반구의 주요 경찰 국가가 되어 유럽의 간섭을 막으려면 미국의 선언이 필수적이었다고 말한다.

미체너와 웨이덴미어는 루스벨트 계론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그들의 2006년 논의[35]는 "제국주의나 패권주의에 기반한 개입에 대한 연구에 일부 학자들이 일방적인 접근 방식을 도입하는 것을 상징하며, 제국주의의 유용성을 주장하는 자들이 얼마나 증가하고 지지를 받고 있는지를 잘 나타낸다"는 비판을 받았다.

6. 2. 비판적 평가

노엄 촘스키와 같은 비평가들은 루스벨트 수정안이 미국의 제국주의적 팽창을 정당화하는 도구였다고 비판한다. 이들은 수정안이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주권을 침해하고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19] 특히 촘스키는 루스벨트 수정안이 먼로 독트린을 기반으로 한 더 명시적인 제국주의적 위협일 뿐이며, 미국이 유럽 제국주의에 맞서 남미를 방어할 뿐만 아니라 미국 기업을 위한 양보나 특권을 얻기 위해 힘을 사용할 것임을 나타낸다고 보았다.[37]

파리 대학교의 프랑스 학자 세르주 리카르는 루스벨트 수정안이 단순한 먼로 독트린의 확장이 아니라, 미국의 '몽둥이 외교'를 대표하는 완전히 새로운 외교 원칙이었다고 평가한다.[20] 리카르는 루스벨트 수정안이 미국이 중남미에 대해 정당하고 가부장적인 견해를 보여주며, 이를 통해 미국의 외교적 간섭과 미국이 해당 국가에 안전하고 옳다고 간주하는 경제 원칙 시행을 정당화했다고 주장한다.[21]

즉, 먼로 독트린이 유럽 제국의 진입을 막으려 했다면, 루스벨트 수정안은 미국이 그 자리를 차지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수정안이 독립 선언에 명시된 자결권과 주권의 원칙을 위반한다는 점이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크리스토퍼 코인과 스티븐 데이비스는 루스벨트 계론을 모델로 한 외교 정책은 국가 안보 측면에서도, 국내 정치에 미치는 영향 측면에서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36]

참조

[1] 논문 Herbert Hoover, Occupation Withdrawal, and the Good Neighbor Policy 2014
[2] 간행물 Catalyst for the Roosevelt Corollary: Arbitrating the 1902–1903 Venezuela Crisis and Its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Roosevelt Corollary to the Monroe Doctrine 2009
[3] 논문 Empire, Public Goods, and the Roosevelt Corollary https://www.jstor.or[...] 2005
[4] 논문 Theodore Roosevelt and the Politics of the Roosevelt Corollary http://www.tandfonli[...] 2015-10-02
[5] 서적 Theodore Roosevelt: Conservative as Revolutionar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1-06
[6] 웹사이트 Document: Roosevelt Corollary to the Monroe Doctrine https://teachingamer[...] Ashland University 2019-12-03
[7] 서적 A short history of U.S. interventions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Wiley Blackwell 2016
[8] 논문 Inventing Dollar Diplomacy: The Gilded-Age Origins of the Roosevelt Corollary to the Monroe Doctrine https://www.jstor.or[...] 2003
[9] 서적 Roosevelt Launches a Corollary Houghton Mifflin 1998
[10] 기타 Theodore Roosevelt, 26th President http://www.pbs.org/w[...] David Grubin Productions, Inc. 1996
[11] 서적 From Colony to Superpower: U.S. Foreign Relations Since 1776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Unfinished Nation: a Concise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McGraw-Hill 2008
[13] 서적 A Latin American Protests (1943) Houghton Mifflin 1998
[14] 서적 The Unfinished Nation: a Concise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McGraw-Hill 2008
[15] 서적 American foreign relations: a history. Since 1895 Wadsworth 2010
[16] 웹사이트 The Good Neighbor Policy: History and Impact https://www.thoughtc[...] 2023-02-14
[17] 간행물 Challenged Monroe Doctrine http://library.cqpre[...] CQ Press 2023-02-14
[18] MA thesis Carlos Castillo Armas, The United States and the 1954 counterrevolution in Guatemala https://hdl.handle.n[...]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cramento 2011
[19] 서적 Hegemony or Survival: America's Quest for Global Dominance Metropolitan Books 2004
[20] 논문 The Roosevelt Corollary https://www.jstor.or[...] 2006
[21] 논문 The Roosevelt Corollary https://www.jstor.or[...] 2006
[22] 간행물 Catalyst for the Roosevelt Corollary: Arbitrating the 1902–1903 Venezuela Crisis and Its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Roosevelt Corollary to the Monroe Doctrine 2009
[23] 웹사이트 Digital History https://www.digitalh[...] 2023-02-14
[24] 웹사이트 Document: Roosevelt Corollary to the Monroe Doctrine https://teachingamer[...] Ashland University 2019-12-03
[25] 서적 Roosevelt Launches a Corollary Houghton Mifflin 1998
[26] 서적 From Colony to Superpower: U.S. Foreign Relations Since 1776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Unfinished Nation: a Concise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McGraw-Hill 2008
[28] 서적 A Latin American Protests (1943) Houghton Mifflin 1998
[29] 서적 The Unfinished Nation: a Concise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McGraw-Hill 2008
[30] 논문 Herbert Hoover, Occupation Withdrawal, and the Good Neighbor Policy 2014
[31] 서적 American foreign relations: a history. Since 1895 Wadsworth 2010
[32] 웹사이트 The Good Neighbor Policy: History and Impact https://www.thoughtc[...] 2023-02-14
[33] 간행물 Challenged Monroe Doctrine http://library.cqpre[...] CQ Press 2023-02-14
[34] Masters thesis Carlos Castillo Armas, The United States and the 1954 counterrevolution in Guatemala https://hdl.handle.n[...]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cramento 2011
[35] 보고서 Supersanctions and Sovereign Debt Repayment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Inc. 2005
[36] 웹사이트 Nineteen Public Bads of Empire, Nation Building, and the Like http://www.independe[...] 2007-06-01
[37] 서적 Hegemony or Survival: America's Quest for Global Dominance Metropolitan Books 2004
[38] 논문 The Roosevelt Corollary https://www.jstor.or[...]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