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이 니콜라 다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 니콜라 다부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한 프랑스의 군인이자 제국 원수였다. 1770년에 태어나 하급 귀족 가문 출신으로 군사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프랑스 혁명 발발 후 공화주의에 동조하여 군 복무를 시작했다. 나폴레옹 전쟁에서 뛰어난 지휘 능력을 발휘하여 '철의 원수'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아우어슈테트 전투, 프리틀란트 전투 등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다.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에도 참여했으나, 함부르크 공방전 이후 루이 18세에게 항복했다. 백일천하 기간에는 전쟁 장관을 역임했으며, 1823년 사망하여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되었다.

2. 초기 생애

다부의 출생지인 아누


다부는 1770년 아누의 작은 마을에서 장-프랑수아 다부(1739~1779)와 그의 아내 프랑수아즈-아델라이드 미나르 드 벨라르(1741~1810)의 장남으로 태어났다.[3] 가난한 하급 프랑스 귀족 가문 출신이었지만,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다녔던 군사학교가 있는 인근 브리엔르샤토에서 교육을 받았다. 1785년 9월 29일 파리의 ''에콜 밀리테르''로 전학했으며,[4] 1788년 2월 19일 졸업하여 파드칼레주 에딘에 주둔한 왕립 샹파뉴 기병 연대의 소위로 임명되었다.[4] [5]

다부는 하급 귀족이자 군인 가문 출신으로, 조부와 부친처럼 군인의 길을 걸었다. 15세에 파리 육군 사관학교에 입교했으며,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보다 한 기수 위였으나, 특별한 친분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졸업 후 조부와 부친이 재직했던 기병 연대에 배속되어 군 생활을 시작했다. 프랑스 혁명 발발 후, 귀족 출신임에도 공화주의를 지지하여 연대 내 공화파를 조직하고 동료 장교들과 대립했다. 이로 인해 체포, 투옥되고 군적에서 박탈되었으나, 정세 변화로 복귀했다.

3. 프랑스 혁명 전쟁

프랑스 혁명 발발 시 다부는 그 원칙을 받아들였다. 1792년 원정에서 자원군 대대장(chef de bataillon)이었고, 이듬해 네르윈덴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냈다.[6] 준장으로 승진했으나 귀족 출신이라는 이유로 현역에서 제외되었다.[6] 1796년 1796년 라인 원정에서 복무했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집트 원정에 루이 드세 장군과 함께 참여했다.[6]

4. 나폴레옹 전쟁

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의 다부, 딕 드 롱레이 작


1804년 나폴레옹이 황제로 즉위했을 때, 다부는 최초의 18명의 제국 원수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 다부는 원수로 승진한 장군들 중 가장 젊고 경험이 부족했기 때문에, 다른 장군들의 적개심을 샀다.

그랑 아르메 제3군단 사령관으로서 다부는 아우스터리츠 전투, 아우어슈테트 전투, 에크뮐 전투, 바그람 전투 등에서 큰 공적을 세웠다. 특히 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는 다부의 28,000명 병력이 프로이센군 주력군(브룬스비크 공작 칼 대공 지휘, 63,000명 이상)을 상대로 승리하여[6] '철의 원수'라는 별명을 얻었다. 나폴레옹은 "네 원수는 분명히 두 배로 보였나 보군"이라며 다부의 안경 착용을 비꼬기도 했지만, 역사가 프랑수아-기 우르투유는 "예나에서 나폴레옹은 질 수 없는 전투에서 승리했다. 아우어슈테트에서 다부는 이길 수 없는 전투에서 승리했다."라고 평가했다.[7] 나폴레옹은 다부와 그의 부하들에게 1806년 10월 25일 베를린에 먼저 입성하는 영예를 주었다.

다부는 프리틀란트 전투와 아이라우 전투에서도 명성을 높였다. 1807년 틸지트 조약 이후 나폴레옹은 그를 바르샤바 공국 총독으로 임명했고, 이듬해 아우어슈테트 공작 작위를 수여했다. 1809년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에서는 에크뮐 전투에 참가하고, 바그람 전투에서 우익을 지휘하여 두각을 나타냈다.

모스크바 크렘린의 추도프 수도원에 있는 원수 다부, 바실리 베레시차긴 작


1810년 베르나도트가 스웨덴으로 떠난 후, 다부는 함부르크에서 엘베 관측군을 조직하는 임무를 맡았다.[8] 이 군대는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때 제1군단으로 확대되어 70,000명이 넘는 병력을 지휘하게 되었다. 다부는 민스크를 점령했지만 질병과 탈영으로 병력의 3분의 1을 잃었다. 모길료프에서 러시아군을 물리치고,[6] 모스크바에서 후퇴하는 동안 후위를 지휘했으나, 황제는 너무 느리다고 판단하여 네이로 교체했다. 크라스노이 전투에서 그의 무능력은 부대를 멸망 직전으로 몰아넣었고,[11] 구근위병이 도착하기 전까지 위기였다. 다부는 후위대의 희생으로 로스빈카 개울을 건넜지만, 마차는 코사크에게 넘어갔다.[12] 러시아군이 노획한 전리품 중에는 다부의 군자금, 지도, 원수 지팡이가 있었다.[13][14] 지팡이를 잃은 그는 불명예를 안고 엘바에서 돌아올 때까지 황제를 만나지 못했다.

1813년 4월, 다부는 함부르크 군관구를 지휘하며 함부르크 공방전을 통해 요새화와 보급이 부족한 도시를 오랫동안 방어했다. 1814년 4월 나폴레옹 퇴위 후 왕위에 오른 루이 18세의 명령에 따라 항복했다.[6]

다부의 원수 지팡이 사본 (에르미타주)


다부는 엄격한 규율주의자로, 부대원들에게 엄격하고 정확한 복종을 요구하여 그의 군단은 다른 군단보다 신뢰할 수 있었다. 그는 적 마을 약탈을 금지하고 사형으로 이 정책을 시행했다. 그랑 아르메 초기에 제3군단이 어려운 임무를 맡은 것은 이 때문이었다. 그는 당대 나폴레옹 원수들 중 가장 능력 있는 사람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

4. 1. 함부르크 공방전과 관련된 논란

러시아 원정 실패 후, 다부는 함부르크를 거점으로 엘베 강 하류 지역의 수비를 맡아 함부르크에 주둔했다.[1]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나폴레옹의 주력군이 패배했음에도, 다부와 그의 군단은 고립된 채 1년 이상 끈질기게 저항했다.[1] 다부가 함부르크를 열고 항복한 것은 나폴레옹 퇴위 한 달 후였다.[1]

5. 백일천하와 이후

나폴레옹이 엘바 섬에서 탈출하여 복귀하자(백일천하), 다부는 그에게 합류하여 전쟁장관으로 임명되었고 프랑스군 재건에 힘썼다.[6] 나폴레옹은 다부를 워털루 전투에 참전시키는 대신 파리에 남겨두었는데, 일각에서는 그의 부재가 전투의 패배에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6]

워털루 전투 이후, 다부는 파리 방어를 지휘했으나,[6] 임시 정부의 명령에 따라 연합군과 협상해야 했다.[19] 1815년 6월 24일, 다부는 임시정부 의장 조제프 푸셰의 요청으로 퇴위한 황제에게 파리를 떠날 것을 전달했다. 나폴레옹은 냉담한 반응을 보였으나 다음날 파리를 떠났고,[20][21] 훗날 다부가 자신을 배신했다고 회고하기도 했다.[22] 이후 다부는 루아르 강 너머로 군대를 이끌고 가 1815년 7월 14일 항복하고, 자크 마크도날 원수에게 지휘권을 넘겼다.[19]

제2왕정 복고 후, 다부는 1815년 12월 27일 작위를 박탈당하고 루비에로 유배되었다. 부하 장군들이 숙청당할 위기에 처하자, 다부는 그들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고 주장하며 네이의 구명을 위해 노력했다. 1817년, 다부는 복권되었고, 1819년에는 귀족원 의원이 되었다.[6]

1822년, 다부는 사비니쉬르오르주 시장으로 선출되어 1년간 재임했다.[24] 그의 아들 루이-나폴레옹 역시 1843년부터 1846년까지 이 도시의 시장을 지냈다. 다부는 1823년 6월 1일 파리에서 사망하여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되었다.[25]

6. 죽음

다부는 1823년 6월 1일 파리에서 폐결핵으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되어 있으며, 묘지에는 화려한 묘비가 세워져 있다.[6]

파리 페르 라셰즈 묘지에 있는 다부의 묘

7. 유산

다부는 나폴레옹 휘하 최고의 장군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행정 능력을 겸비한 인물로 기억된다. 대부분의 전투에서 그의 부대는 중요한 격전지에 배치되었고, 적보다 수적으로 불리한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생애 무패"라 일컬어지는 군역을 쌓았다.[6] 그의 이름은 파리의 개선문에 새겨져 있으며, 파리와 사비니쉬르오르주에는 그의 이름을 딴 거리와 광장이 있다.[24][25] 다부의 막내딸 아델라이드-루이즈의 유언에 따라, 1897년 브르타뉴 팽마르크 곶에 엑뮐 등대가 세워졌다.

8. 성격 및 평가

다부는 엄격한 규율주의자였으며, 부하들에게 철저한 복종을 요구했다. 예를 들어, 다부는 부대가 적의 마을을 약탈하는 것을 금지했고, 사형을 통해 이 정책을 시행했다. 이 때문에 그랑 아르메 초기에 제3군단은 가장 어려운 임무를 맡는 경향이 있었다.[6] 그는 당대 사람들에게 나폴레옹의 원수들 중 가장 능력 있는 사람들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

다부는 군사적, 개인적 일 모두에서 체계적인 사람이었다. 군대 내부와 사회적 동료들 사이에서 그는 종종 냉담하고 냉정한 사람으로 여겨졌다. 존경받았지만, 인기는 없었다. 평화 시대에는 높은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기보다는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집안을 돌보는 것을 선호했다.

고집스러운 성격과 제한적인 사회성 때문에 그는 군대 장교단 내에서 많은 적과 반대자들을 만들었는데, 특히 장-바티스트 베르나도트, 조아킴 뮈라(1812년 전역에서 심하게 충돌했음), 베르티에, 티에보 남작(회고록에서 다부를 심하게 비판했음) 등이 포함된다.

다부는 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베르나도트가 지원에 실패했다고 여겼는데, 연기가 보이고 대포 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의 분노는 너무 격렬해서 다부는 결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요청했지만, 나폴레옹의 개입으로 막혔다. 베르나도트는 바그람 전투에서 명령 없이 후퇴하는 것이 나폴레옹에게 발각된 후 결국 파리로 쫓겨났다.

다른 원수들 중에서 다부는 네이, 우디노, 구비옹 생시르와 가장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다부의 재능은 단순한 전선 지휘관에 그치지 않고, 나폴레옹의 전략을 고차원적으로 이해하여 독자적으로 군대를 유지하고 지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 또한 행정관으로서 조직을 관리하고 통솔하는 능력에도 뛰어났다. 나폴레옹에 대한 충성심은 신앙에 가까웠다고 한다.

나폴레옹은 다부의 유능함을 인정하면서도, 그의 재능에 대한 질투심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9. 가족 관계

루이즈 아임 르클레르와 두 딸


다부는 1801년 에메 르클레르와 결혼하여 8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그중 4명은 어린 시절 사망했다.[30]

이름출생-사망
1802~1803
조제핀1804~1805
앙투아네트 조제핀1805~1821
(1820년 아킬, 콩트 펠릭스-비지에와 결혼)
아델 나폴레옹1807~1885
(1827년 에티엔, 콩트 드 캉바세레스와 결혼)
나폴레옹1809~1810
나폴레옹 루이1811~1853
(아우어슈테트 공작, 에크뮐 공작 작위 계승, 미혼으로 자녀 없음)
1812~1813
아델라이드-루이즈1815~1892
(1835년 프랑수아-에드몽 드 쿨리부프, 블록크빌 후작과 결혼)



나폴레옹 루이 다부가 자녀 없이 사망하여 작위가 단절된 후, 1864년 나폴레옹 3세에 의해 다부의 사촌 레오폴드 다부에게 아우어슈테트 공작 작위가 재수여되면서 가문이 이어졌다.[30]

참조

[1] 웹사이트 Louis Davout http://www.napoleong[...] 2015-07-28
[2] 서적 Napoleon's Marshals MacMillan 1987
[3] 서적 The Iron Marshal: A Biography of Louis N. Davout Greenhill Books 2000
[4] 간행물 D'Avout ou Davout (Louis-Nicolas duc d'Awerstaedt et prince d'Eckmühl)
[5] 서적 Napoleon's Marshals Weidenfeld and Nicolson 1987
[6] 백과사전 Davout, duc d'Auerstaedt https://archive.org/[...] 1866
[7] 학술지 Napoleon's Double Knock-out Punch 2009-10
[8] 문서 Die französischen Besatzer in Hamburg. Zeugnisse zu den Jahren 1811-1814 https://d-nb.info/11[...]
[9] 문서 Correspondance de Napoleon, Tome XXIV, 18911 https://gallica.bnf.[...]
[10] 서적 1812: The March on Moscow
[11] 서적 Napoléon Et la Grande Armée en Russie, Ou, Examen Critique de L'ouvrage de M. Le Comte Ph. de Ségur 1825
[12] 서적 Moscow 1812 https://archive.org/[...] 2004
[13] 문서 (unspecified)
[14] 서적 Napoleon in Russia: A Concise History of 1812 Pen & Sword Military
[15] 문서 (unspecified)
[16] 학술지 Le maréchal Davout, „le beau siège de Hambourg“ en 1813/14 et „le nom français“ 2009
[17] 서적 Postwar Cities: The Cost of the Wars of 1813–1815 on Society in Hamburg and Leipzig Palgrave Macmillan 2016
[18] 서적 Chambers's Encyclopædia: A Dictionary of Universal Knowledge, New Edition Vol. 5 William & Robert Chambers 1890
[19] 서적 Cyclopædia of Biography Vols. and II Bradbury And Evans 1858
[20] 서적 The Consulate and the Empire: 1809–1815 Vol. 2 AMS Press 1967
[21] 서적 Napoleon After Waterloo: England and the St. Helena Decis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8
[22] 서적 Talks of Napoleon at St Helena with General Baron Gourgaud https://archive.org/[...] A. C. McClurg 1904
[23] 서적 Napoleon at Work A. and C. Black 1914
[24] 웹사이트 Google query https://www.google.i[...] 2015-07-28
[25] 웹사이트 Google query for the square https://www.google.i[...] 2015-07-28
[26] 서적 Annuaire de la pairie et de la noblesse de France et des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et de la diplomatie https://books.google[...] Bureau de la Publ. 1845
[27] 서적 Almanach impérial https://books.google[...] Testu 1810
[28] 서적 The iron marshal: a biography of Louis N. Davou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76
[29] 문서 (unspecified) 1791, 1794
[30] 서적 Les maréchaux du Premier empire : leur famille et leur descendance 1957
[31] 문서 (unspecified)
[32] 서적 華麗なるナポレオン軍の軍服 マール社
[33] 서적 軍装・服飾史カラー図鑑 2016-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