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키우스 리키니우스 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수라는 로마 제국 시대의 정치인으로, 트라야누스 황제의 측근이자 신뢰받는 동료였다. 그는 마르티알리스, 소 플리니우스 등 동시대 작가들에게 언급되었으며,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인물로 묘사된다. 수라는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전쟁에 참여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세 번이나 집정관을 역임했다. 108년 경 사망했으며, 트라야누스는 그를 기리는 국장을 치르고 조각상을 세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키니우스 씨족 - 갈리에누스
갈리에누스는 253년부터 268년까지 로마 황제로 재위했으며, 게르만족 격퇴, 군사 개혁을 시도했으나 여러 반란과 암살을 겪고 사후 로마 제국은 분열되었다. - 리키니우스 씨족 - 발레리아누스
발레리아누스는 3세기 위기 시대에 로마 황제로서 아들 갈리에누스와 공동 통치하며 사산 제국과의 전쟁을 수행했으나, 샤푸르 1세에게 패배하여 포로로 잡히는 치욕을 겪고 기독교 박해 정책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세기 사망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사망 - 루키아노스
루키아노스는 로마 제국 시대에 활동한 시리아 출신 작가로, 다양한 형식을 통해 가벼운 문명 비판과 풍자를 담았으며, 에피쿠로스적 쾌락주의 사상을 드러내고 르네상스 시대 이후 유럽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수라 |
---|
2. 생애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수라는 트라야누스 황제의 가까운 친구이자 신뢰받는 정치인이었다. 마르티알리스의 <에피그람마>, 아리아노스의 ''에픽테토스의 생애'', 소 플리니우스의 편지 등 당대 여러 작가들의 기록에 등장하며, 그의 성격과 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18][19][20]
수라는 제1차 다키아 전쟁과 제2차 다키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트라야누스의 신임을 얻었으며, 세 번의 집정관직을 역임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배경
수라는 당대 여러 작가들의 기록에 등장하며, 그의 성격과 부유함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마르티알리스는 자신의 에피그램에서 수라를 부유한 인물로 묘사하였다.[18] 소 플리니우스는 그에게 과학적 문제에 대한 서신을 보내기도 했다.[20]2. 2. 트라야누스와의 관계
카시우스 디오는 트라야누스가 수라의 충성심을 증명한 일화를 전한다. 어느 날, 트라야누스는 예고 없이 수라의 집을 방문하여 호위병들을 돌려보냈다. 그리고 목욕을 한 뒤 수라에게 자신의 면도를 하게 하고 그와 함께 저녁 식사를 했다. 다음 날, 수라를 비난하는 자들에게 트라야누스는 "수라가 나를 죽이고 싶었다면, 어제 나를 죽였을 것이다."라고 말했다.[21]수라가 어떻게 이러한 신뢰를 얻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에드문트 그로아크는 네르바 황제가 친위대의 반란을 겪은 후에, 수라가 네르바에게 후임자로서 트라야누스를 제시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22] 하지만, 이 관점은 존 D. 그레인저가 후계자로서 트라야누스에 대한 네르바의 선택을 논할 때 그로아크의 가설 전부를 빠트리며 반대에 직면했다.[23] 베르너 에크는 수라가 96년부터 98년까지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의 총독이었다는 점을 지적했는데,[24] 네르바는 97년 10월에 후임자 선택을 공표했다.
2. 3. 다키아 전쟁에서의 역할
제1차 다키아 전쟁 당시, 타파이 전투 이후 트라야누스는 수라와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리비아누스를 데케발루스에게 보내 평화 협상을 제안했다. 데케발루스는 이들을 직접 만나지 않고 사절을 보냈기 때문에 직접적인 협상은 결렬되었다.[25] 그러나 로마군이 산악 지역 요충지를 점령하고 데케발루스의 여동생을 사로잡으면서, 다키아는 로마의 요구 조건을 수용하고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25] 이 공로로 수라는 102년 루키우스 율리우스 우르수스 세르비아누스와 함께 두 번째 집정관에 임명되었다.[26]이후 제2차 다키아 전쟁에도 참전한 수라는 개선식 장식을 받고 107년 퀸투스 소시우스 세네키오와 함께 세 번째 집정관에 임명될 정도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구체적인 역할은 기록되지 않았다.[27]
2. 4. 집정관 경력
수라는 제1차 다키아 전쟁 중 제2차 타파이 전투 이후 트라야누스 황제가 데케발루스와 강화 협상을 하기 위해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리비아누스와 함께 파견되었다.[25] 데케발루스가 이들을 만나지 않고 사절단을 보내왔지만, 로마군이 산악 지역의 중요 요새들을 점령하고 데케발루스의 누이를 생포하였기에 다키아 사절단은 로마 측의 요구 조건을 수용하여 로마와 다키아 간 강화 조약이 체결되었다.[25]이러한 공로로 수라는 102년에 루키우스 율리우스 우르수스 세르비아누스와 함께 두 번째 집정관직에 임명되었다.[26] 그는 또한 트라야누스의 제2차 다키아 전쟁에도 참전하였는데, 전쟁에서 그의 역할은 확실치 않지만, 개선식 장식을 수여받고 107년에 퀸투스 소시우스 세네키오와 함께 세 번째 집정관직을 부여받을 만큼 중요하였다.[27] 당시 로마 사회에서 세 번이나 집정관에 오른 것은 매우 드문 영예였다.
2. 5. 죽음
수라는 107년 세 번째 집정관직 이후 공식 기록에서 사라졌으며, 로널드 심은 그가 108년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한다.[18]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트라야누스는 수라에게 국장을 치러주고 그를 기리는 조각상을 세웠다고 한다.[28]참조
[1]
간행물
I consoli del 97 d. Cr. in due framenti gia' editi dei Fasti Ostienses
1973
[2]
논문
Zwei Konstitutionen für die Truppen Niedermösiens vom 9. September 97
https://www.jstor.or[...]
2005
[3]
논문
Sura and Senecio
https://www.jstor.or[...]
1970
[4]
서적
Some Arval Brethren
Clarendon Press
1980
[5]
문서
Diss. Epict.
[6]
서적
Epistulae
[7]
문서
LXVIII.15f
https://penelope.uch[...]
[8]
간행물
Realencyclopädie der classischen Altertumswissenschaft
1926
[9]
서적
Nerva and the Roman Succession Crisis of AD 96-99
Routledge
2003
[10]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2
[11]
문서
LXVIII.9
https://penelope.uch[...]
[12]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University Press
2012
[13]
서적
Cambridge Manual
[14]
문서
LXVIII.15.3
https://penelope.uch[...]
[15]
간행물
I consoli del 97 d. Cr. in due framenti gia' editi dei Fasti Ostienses
1973
[16]
논문
Zwei Konstitutionen für die Truppen Niedermösiens vom 9. September 97
https://www.jstor.or[...]
2005
[17]
논문
Sura and Senecio
https://www.jstor.or[...]
1970
[18]
서적
Some Arval Brethren
Clarendon Press
1980
[19]
문서
Diss. Epict.
[20]
서적
Epistulae
[21]
문서
LXVIII.15f
http://penelope.uchi[...]
[22]
간행물
Realencyclopädie der classischen Altertumswissenschaft
1926
[23]
서적
Nerva and the Roman Succession Crisis of AD 96-99
Routledge
2003
[24]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2
[25]
문서
LXVIII.9
http://penelope.uchi[...]
[26]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University Press
2012
[27]
서적
Cambridge Manual
[28]
문서
LXVIII.15.3
http://penelope.uch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