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 네임 서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트 네임 서버는 인터넷의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에서 최상위 계층을 담당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루트 도메인은 DNS 계층의 최상위이며, 모든 최상위 도메인(TLD) 정보를 포함하는 루트 존 파일을 게시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가 도메인 이름을 확인해야 할 때, DNS 리졸버는 루트 서버를 사용하여 해당 TLD에 대한 권한 있는 서버를 찾는다. 전 세계적으로 13개의 논리적인 루트 네임 서버가 운영되고 있으며, 각 서버는 여러 지리적 위치에 분산되어 애니캐스트 기술을 사용하여 성능과 내결함성을 높인다. 루트 서버는 인터넷의 핵심 인프라로서 DDoS 공격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ICANN 산하 DNS 루트 서버 시스템 자문 위원회에서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메인 네임 시스템 - 국제화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국제화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은 다양한 언어의 문자를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2009년부터 신청을 받아 아랍어, 러시아어, 중국어 등 다양한 국가에서 도입되었으나 혼동 가능성과 보안 문제 등의 과제도 안고 있다. - 도메인 네임 시스템 - DNSSEC
DNSSEC는 DNS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메인 정보에 디지털 서명을 추가하여 응답 레코드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DNS 위장 공격을 막는 기술로, RRSIG, DNSKEY 등 다양한 리소스 레코드 유형을 사용하여 인증 체인을 구성하며 공개 키 암호 방식을 활용한다.
루트 네임 서버 | |
---|---|
설명 | |
정의 | DNS 영역의 최상위에 있는 루트 영역에 대한 이름 서버 |
역할 | DNS 이름을 IP 주소로 해석하는 과정을 시작하는 데 사용됨 |
역사 | |
배경 | 초기에는 SRI-NIC에서 관리 |
현재 운영 | ICANN의 통제하에 여러 기관에서 운영 운영 기관들은 계약에 따라 기술 및 운영 기준을 준수해야 함 |
기술 | |
서버 수 | 13개의 루트 서버가 존재 (A부터 M까지 이름 부여) |
인스턴스 수 | 전 세계에 수백 개의 인스턴스가 존재 (애니캐스트 사용) |
애니캐스트 | 애니캐스트를 사용하여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에 동일한 IP 주소 할당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서버로 트래픽을 라우팅하여 응답 시간 단축 및 서비스 가용성 향상 |
소프트웨어 | 다양한 DNS 서버 소프트웨어 사용 (BIND, NSD, Knot DNS 등) 각 소프트웨어는 안정성, 보안, 성능을 고려하여 선택됨 |
운영 | |
운영 주체 | A: 베리사인 B: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정보 과학 연구소 C: Cogent Communications D: 메릴랜드 대학교 E: 미국 항공우주국 (NASA) F: Internet Systems Consortium G: 미국 국방부 H: 미국 육군 연구소 I: Netnod J: 베리사인 K: RIPE NCC L: ICANN M: WIDE 프로젝트 |
변경 사항 관리 | IANA에서 루트 영역 파일 변경 요청 처리 베리사인에서 영역 파일 생성 및 배포 다른 루트 서버 운영자에게 영역 파일 전송 |
안정성 및 보안 | 높은 수준의 안정성과 보안 유지 필요 DDoS 공격, 데이터 손상, 무단 변경으로부터 보호 DNSSEC를 사용하여 DNS 응답의 무결성 보장 |
기타 | |
중요성 | 인터넷 인프라의 중요한 구성 요소 |
관리 | 기술적, 정치적 복잡성 내포 |
2. 루트 도메인
DNS는 컴퓨터, 서비스, 또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리소스에 대한 계층적 이름 지정 시스템이다. 이 계층 구조의 최상단에는 루트 도메인이 위치한다. 루트 도메인은 공식적인 이름이 없으며, DNS 계층 구조에서 그 레이블은 빈 문자열로 표현된다. 인터넷상의 모든 전체 주소 도메인 네임(FQDN)은 이론적으로 이 루트 도메인의 빈 문자열로 끝나기 때문에, "www.example.com."과 같이 마침표 문자로 끝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하지만 현대의 DNS 소프트웨어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할 때 마지막 마침표를 명시적으로 요구하지 않으므로, 이는 보통 암시적으로 처리된다.
루트 존 파일은 약 2 MB 크기의 작은 데이터 세트이며[53], 루트 네임 서버의 주요 목적은 이 파일을 게시하는 것이다. 이는 리졸버를 부트스트랩하는 데 사용되는 'root.hints' 파일과는 구별된다.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가 도메인 이름을 확인해야 할 때, 컴퓨터는 리졸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조회를 수행한다. 리졸버는 이름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레이블 단위로 분해한다. 첫 번째 구성 요소인 TLD는 루트 네임 서버에 질의하여 해당 도메인을 관리하는 서버 정보를 얻는다. 각 레이블에 대한 쿼리는 원래 요청에 대한 답을 반환할 때까지 점차 더 구체적인 네임 서버 정보를 반환한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의 핵심을 이루는 13개의 논리적인 루트 네임 서버가 지정되어 있다. 이 서버들은 `
루트 도메인은 인터넷의 모든 최상위 도메인(TLD)을 포함한다. 2015년 7월 기준으로, 루트 도메인에는 730개의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과 301개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을 포함하여 총 1,058개의 TLD가 존재했다.[4] 또한, .arpa 도메인은 인터넷 주소 지정 및 기타 자원 관리 목적의 기술적 네임스페이스로 사용된다. .test 도메인은 국제화 도메인 네임(IDN)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다.
3. 루트 존 파일
루트 존 파일은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이라는 계층적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최상단에 위치한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대부분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에서 'www.wikipedia.org'와 같은 전 세계적으로 고유한 이름을 IP 주소와 같은 다른 식별자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루트 존 파일에는 최상위 도메인(TLD)과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에 대한 권한 있는 DNS 서버의 이름과 IP 주소 목록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com, org, edu 등이 있으며, 루트 도메인 자체(마침표 '.')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2004년 12월 12일 기준으로, TLD에 대한 773개의 서로 다른 권한 있는 서버가 목록에 있었다. 이후 TLD의 수는 크게 증가하여, 2020년 7월 기준으로 루트 존에는 1511개의 유효한 TLD가 포함되어 있다 (할당되지 않은 55개, 폐기된 8개, 테스트용 11개 도메인 제외).
다른 네임 서버는 특정 도메인에 대한 권한 있는 서버 정보를 모를 경우, 해당 쿼리를 루트 네임 서버로 전달한다. 루트 네임 서버는 루트 존 파일을 참조하여 해당 TLD의 권한 있는 서버 정보를 제공하거나, 해당 TLD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린다.[54]
4. 리졸버 작동 방식
실제로 이러한 정보의 대부분은 수 시간 동안 잘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중간 네임 서버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된 이름 캐시에 저장된다. 이 때문에 루트 네임 서버에 직접 DNS 조회를 하는 경우는 비교적 드물다. 2003년 조사에 따르면 루트 서버에 대한 전체 쿼리 중 단 2%만이 정상적인 요청이었다. 잘못되거나 존재하지 않는 캐싱으로 인한 쿼리가 75%를 차지했고, 알 수 없는 TLD에 대한 쿼리가 12.5%,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처럼 사용한 조회가 7%였다.[5] 일부 잘못 설정된 데스크톱 컴퓨터가 TLD에 대한 루트 서버 레코드를 직접 업데이트하려고 시도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와 유사한 문제들과 권장 해결책은 RFC 4697 문서에 정리되어 있다.
리졸버는 루트 서버의 주소를 알기 위해 인터닉(Internic)[53]에서 게시하는 약 3kB 크기의 작은 ''root.hints'' 파일을 사용한다. 이 파일은 리졸버가 처음 작동할 때 필요한 루트 서버 주소 목록을 제공하여, 루트 서버 주소를 조회하기 위해 다시 루트 서버의 주소를 알아야 하는 순환 종속성 문제를 해결한다.
5. 루트 서버
''letter''.root-servers.net
` 형식의 논리적 이름을 가지며, 여기서 `''letter''`는 a부터 m까지의 알파벳 문자를 나타낸다.[6]
루트 서버가 13개인 이유는 초창기 DNS 사양이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사용 시 최대 패킷 크기를 512바이트로 제한했기 때문이다.[6] 기술적으로는 IPv4 패킷에 14개의 네임 서버 정보를 담을 수 있지만, 루트 네임 서버에 IPv6 주소를 추가하면서 512바이트 이상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는 EDNS0 확장을 통해 지원된다.[7]
13개의 논리적 서버가 존재하지만, 실제 물리적 서버의 수는 훨씬 많다. 각 운영자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오류 발생 시에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복된 컴퓨터 장비를 사용한다. 또한, 대부분의 루트 서버는 애니캐스트(anycast) 주소 지정을 사용하여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운영된다. 이를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고 내결함성을 높여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서버가 미국에 있었지만, 애니캐스트 도입 이후 전 세계적으로 분산 운영되고 있다.
각 논리 서버(G-Root 제외)에 대한 정보는 [https://root-servers.org/ 루트 서버 기술 운영 협회] 도메인 아래의 웹사이트(`http://''letter''.root-servers.org/
` 형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루트 서버는 인터넷의 매우 중요한 기반 시설이다. 만약 모든 루트 서버가 작동을 멈춘다면, 호스트 이름이나 도메인 이름에 대한 DNS 질의 응답(이름 해석)이 불가능해져, URL이나 이메일 주소 등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루트 서버는 과거 여러 차례 DDoS 공격의 대상이 되었으나[67][68][69][70], 애니캐스트와 같은 기술 덕분에 인터넷 전체 성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정도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5. 1. 루트 서버 목록
문자 | IPv4 주소 | IPv6 주소 | 이전 이름 | 관리자 | 서버 소재지 | 소프트웨어 |
---|---|---|---|---|---|---|
[http://a.root-servers.org/ A] | 198.41.0.4 | 2001:503:ba3e::2:30 | ns.internic.net | 미국 Verisign | 애니캐스트 분산 | NSD, Verisign ATLAS |
[https://b.root-servers.org/ B] | 170.247.170.2[13][16][17] | 2801:1b8:10::b[13] | ns1.isi.edu | 미국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ISI | 애니캐스트 분산 | BIND, Knot DNS[19] |
[https://c.root-servers.org/ C] | 192.33.4.12 | 2001:500:2::c | c.psi.net | 미국 Cogent Communications | 애니캐스트 분산 | BIND |
[http://d.root-servers.org/ D] | 199.7.91.13[21][22] | 2001:500:2d::d | terp.umd.edu |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 | 애니캐스트 분산 | NSD[25] |
[https://e.root-servers.org/ E] | 192.203.230.10 | 2001:500:a8::e | ns.nasa.gov | 미국 NASA 에임스 연구 센터 | 애니캐스트 분산 | BIND, NSD |
[https://www.isc.org/f-root/ F] | 192.5.5.241 | 2001:500:2f::f | ns.isc.org | 미국 인터넷 시스템 컨소시엄 | 애니캐스트 분산 | BIND[28] |
[https://disa.mil/G-Root G][29] | 192.112.36.4[30] | 2001:500:12::d0d[30] | ns.nic.ddn.mil | 미국 국방 정보 시스템국 | 애니캐스트 분산 | BIND |
[https://h.root-servers.org/ H] | 198.97.190.53[32][34][63] | 2001:500:1::53[33][34][63] | aos.arl.army.mil | 미국 미국 육군 연구소 | 애니캐스트 분산 | NSD |
[https://web.archive.org/web/20101123140731/http://i.root-servers.org/ I] | 192.36.148.17 | 2001:7fe::53 | nic.nordu.net | 스웨덴 Netnod | 애니캐스트 분산 | BIND |
[http://j.root-servers.org/ J] | 192.58.128.30[38] | 2001:503:c27::2:30 | 해당 없음 | 미국 Verisign | 애니캐스트 분산 | NSD, Verisign ATLAS |
[https://www.ripe.net/analyse/dns/k-root/ K] | 193.0.14.129 | 2001:7fd::1 | 해당 없음 | 네덜란드 RIPE NCC | 애니캐스트 분산 | BIND, NSD, Knot DNS[42] |
[http://l.root-servers.org/ L] | 199.7.83.42[43][44] | 2001:500:9f::42[45][46] | 해당 없음 | 미국 ICANN | 애니캐스트 분산 | NSD, Knot DNS[49] |
[https://m.root-servers.org/ M] | 202.12.27.33 | 2001:dc3::35 | 해당 없음 | 일본 WIDE 프로젝트 | 애니캐스트 분산 | BIND |
M 루트 서버(IPv4: 202.12.27.33, IPv6: 2001:dc3::35)는 일본의 WIDE 프로젝트가 관리하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와 협력하여 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 세계에 분산 운영되고 있다.[117][118] 대부분의 루트 서버는 안정성과 속도 향상을 위해 이처럼 애니캐스트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지역에 서버를 분산시켜 운영한다.
6. 루트 서버의 중요성 및 공격 사례
루트 서버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의 핵심 인프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만약 모든 루트 서버가 작동을 멈춘다면, 호스트 이름이나 도메인 이름에 대한 이름 확인 작업이 불가능해진다. 이는 곧 URL이나 이메일 주소처럼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인터넷 주소를 통해 서비스에 접속할 수 없게 됨을 의미한다.
루트 서버의 중요성 때문에 과거 여러 차례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
7. 루트 서버 관리
DNS 루트 서버 시스템 자문 위원회는 ICANN 산하 위원회이다.[52] ICANN 정관에 따르면, 이 위원회는 ICANN에 자문을 제공하지만 서버 또는 서버 운영자에 대한 직접적인 권한은 갖지 않는다.
참조
[1]
메일링리스트
Reason for Limited number of Root DNS Servers
https://lists.isc.or[...]
2011-11-11
[2]
웹사이트
DNS root server FAQ
https://www.netnod.s[...]
Netnod
2016-01-18
[3]
웹사이트
root-servers.org
https://root-servers[...]
2024-03-04
[4]
웹사이트
Root Zone Database
https://www.iana.org[...]
IANA
[5]
웹사이트
Wow, That's a Lot of Packets
http://dns.measureme[...]
2013-11-07
[6]
문서
RFC 1035 Domain names – implementation and specification
[7]
문서
ICANN: Accommodating IP Version 6 Address Resource Records for the Root of the Domain Name System
https://www.icann.or[...]
[8]
문서
AS-numbers and IP-addresses from Root-servers.org homepage
[9]
문서
Location and sites from Root-servers.org homepage
[10]
문서
AS19836 is not listed by the RIPEstat tool, though one can see it in https://stat.ripe.net/AS19836#tabId=at-a-glance
https://stat.ripe.ne[...]
[11]
문서
AS64820 is listed as "private use" in RIPE's RISwhois tool
http://www.ris.ripe.[...]
[12]
웹사이트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4-01-23
[13]
웹사이트
List of Root Servers
https://www.iana.org[...]
[14]
웹사이트
New IPv4 address for b.root-servers.net
https://b.root-serve[...]
2004-02-02
[15]
웹사이트
B-Root's IPv4 address to be renumbered 2017-10-24
https://b.root-serve[...]
2017-08-09
[16]
웹사이트
New addresses for b.root-servers.net
https://b.root-serve[...]
2023-05-16
[17]
웹사이트
LACNIC asigna recursos de numeración al servidor raíz de USC/ISI
https://www.lacnic.n[...]
2023-05-30
[18]
웹사이트
Root Server Technical Operations Assn
https://root-servers[...]
root-servers.org
2017-08-07
[19]
웹사이트
B-Root Software Diversity With Bind and Knot
https://b.root-serve[...]
USC-[[Information Sciences Institute|ISI]]
2021-02-18
[20]
웹사이트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3-10-13
[21]
문서
Since 3 January 2013; originally was {{IPaddr|128.8.10.90}}.
[22]
웹사이트
D-Root is Changing its IPv4 Address on 3 January 2013
http://d.root-server[...]
2012-12-16
[23]
문서
Since November 2017; originally was AS27.
[24]
문서
RISwhois, excluding less-specific AS3303 route announcement
http://www.ris.ripe.[...]
[25]
문서
D-root History page
http://d.root-server[...]
[26]
웹사이트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7-10-30
[27]
웹사이트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4-01-23
[28]
웹사이트
F-root {{!}} Internet Systems Consortium
https://www.isc.org/[...]
2009-09-09
[29]
문서
Formerly http://www.nic.mil/ (Internet Archive link); unlike all other DNS root servers, G-Root does not implement a homepage under root-servers.org, i.e. http://g.root-servers.org/{{dead link|date=April 2018 |bot=InternetArchiveBot |fix-attempted=yes }}.
[30]
문서
Unlike all other DNS root servers, G-Root does not respond to [[Ping (networking utility)|pings]].
[31]
웹사이트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3-09-18
[32]
문서
Since 1 December 2015; originally was {{IPaddr|128.63.2.53}}.
[33]
문서
Since 1 December 2015; originally was {{IPaddr|2001:500:1::803f:235}}.
[34]
웹사이트
Advance notice – H-root address change on December 1, 2015
https://www.ietf.org[...]
DNSOP
2015-08-31
[35]
문서
Since 1 December 2015; originally was AS13.
[36]
웹사이트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4-01-23
[37]
웹사이트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4-01-23
[38]
문서
Since November 2002; originally was {{IPaddr|198.41.0.10}}.
[39]
웹사이트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4-01-23
[40]
웹사이트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4-01-23
[41]
웹사이트
Peering Networks Detailed View
https://www.peeringd[...]
Peeringdb.com
2014-01-23
[42]
문서
K-root Homepage
http://k.root-server[...]
[43]
문서
Since 1 November 2007; originally was {{IPaddr|198.32.64.12}}.
[44]
웹사이트
Advisory — "L Root" changing IP address on 1 November
https://www.icann.or[...]
ICANN
[45]
문서
Since 23 March 2016; originally was {{IPaddr|2001:500:3::42}}.
[46]
웹사이트
L-Root IPv6 Renumbering
http://www.dns.icann[...]
ICANN
[47]
문서
excluding less-specific AS3303 route announcement
http://www.ris.ripe.[...]
[48]
웹사이트
Peering Networks Detailed View
https://www.peeringd[...]
Peeringdb.com
2014-01-23
[49]
문서
l.root-servers.net
http://l.root-server[...]
[50]
웹사이트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4-01-23
[51]
웹사이트
Peering Networks Detailed View
https://www.peeringd[...]
Peeringdb.com
2014-01-23
[52]
웹사이트
BYLAWS FOR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 A California Nonprofit Public-Benefit Corporation – ICANN
https://www.icann.or[...]
2019-07-10
[53]
웹사이트
IANA – Root Files
https://www.iana.org[...]
2019-07-10
[54]
간행물
DNS Root Name Servers explained for the non-expert
https://www.internet[...]
ISOC
2010-03-19
[55]
뉴스
Important Informational Message - root.zone change
http://www.cafax.se/[...]
DNSOP mailing list
2002-11-04
[56]
뉴스
J.ROOT-SERVERS.NET.のIPアドレスが変更される
https://srad.jp/stor[...]
スラッシュドット ジャパン
2002-11-05
[57]
뉴스
B.ROOT-SERVERS.NET の IP アドレス、変更の模様
https://srad.jp/stor[...]
スラッシュドット ジャパン
2004-01-29
[58]
뉴스
Advisory — “L Root” changing IP address on 1st November
http://blog.icann.or[...]
ICANN
2007-10-24
[59]
뉴스
L.root-servers.netのIPv4アドレス、11月1日に変更
https://srad.jp/stor[...]
スラッシュドット ジャパン
2007-10-26
[60]
뉴스
F.ROOT-SERVERS.NET IPv6 address has changed.
https://groups.googl[...]
Newsgroup comp.protocols.dns.bind
[61]
뉴스
ルートゾーンへの AAAA レコードの追加について
https://jprs.jp/tech[...]
株式会社日本レジストリサービス
2008-02-07
[62]
뉴스
Dルートネームサーバ(D.ROOT-SERVERS.NET)のIPv4アドレス変更について
https://www.nic.ad.j[...]
社団法人日本ネットワークインフォメーションセンター
2012-12-18
[63]
문서
H-Root will change its addresses on 1 December 2015
http://h.root-server[...]
[64]
문서
b.root-servers.net(B-Root)のIPv6アドレス変更に伴う設定変更について
https://jprs.jp/tech[...]
[65]
문서
B-Root will change its addresses on 24 October 2017
http://www.root-serv[...]
[66]
문서
b.root-servers.net(B-Root)のIPアドレス変更に伴う設定変更について
https://jprs.jp/tech[...]
[67]
뉴스
ルートサーバに一斉DoS攻撃
https://www.itmedia.[...]
ITmedia
2002-10-23
[68]
뉴스
DNSルートサーバーに分散サービス拒否攻撃
http://www.watch.imp[...]
INTERNET Watch
2002-10-24
[69]
뉴스
DNSルートサーバの一部がハッカーの攻撃で一時まひ
http://www.itmedia.c[...]
ITmedia
2007-02-07
[70]
뉴스
インターネットの基幹サーバーに大規模攻撃、発信源は韓国のもよう
http://www.technobah[...]
Technobahn
2007-02-13
[71]
웹사이트
F-root | Internet Systems Consortium
https://www.isc.org/[...]
[72]
웹사이트
K-root Homepage
http://k.root-server[...]
[73]
웹사이트
l.root-servers.net
http://l.root-server[...]
[74]
메일링
Reason for Limited number of Root DNS Servers
https://lists.isc.or[...]
2011-11-11
[75]
웹인용
DNS root server FAQ
https://www.netnod.s[...]
Netnod
2016-01-18
[76]
웹인용
root-servers.org
https://root-servers[...]
2020-01-11
[77]
웹인용
Root Zone Database
https://www.iana.org[...]
IANA
[78]
문서
AS-numbers and IP-addresses from Root-servers.org homepage checked 9 January 2014
https://root-servers[...]
[79]
문서
Location and sites from Root-servers.org homepage checked 10 October 2014
http://root-servers.[...]
2017-08-24
[80]
웹사이트
is not listed by the RIPEstat tool, though one can see it in https://stat.ripe.net/AS19836#tabId=at-a-glance
https://stat.ripe.ne[...]
[81]
웹사이트
is listed as "private use" in RIPE's RISwhois tool
http://www.ris.ripe.[...]
[82]
웹인용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4-01-23
[83]
문서
Originally it was 128.9.0.107; It was changed to 192.228.79.201 from January 2004 to October 2017.
[84]
웹인용
B-Root's IPv4 address to be renumbered 2017-10-24
https://b.root-serve[...]
[85]
웹인용
New IPv4 address for b.root-servers.net
http://www.root-serv[...]
2020-02-13
[86]
웹인용
List of Root Servers
http://www.iana.org/[...]
[87]
웹인용
Root Server Technical Operations Assn
https://root-servers[...]
root-servers.org
2017-08-07
[88]
웹인용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3-10-13
[89]
문서
Since 3 January 2013; originally was 128.8.10.90.
[90]
웹인용
D-Root is Changing its IPv4 Address on 3 January 2013
http://d.root-server[...]
2012-12-16
[91]
웹사이트
RISwhois, excluding less-specific AS3303 route announcement
http://www.ris.ripe.[...]
[92]
웹사이트
D-root History page
http://d.root-server[...]
[93]
웹인용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7-10-30
[94]
웹인용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4-01-23
[95]
웹인용
F-root ! Internet Systems Consortium
https://www.isc.org/[...]
2020-02-13
[96]
웹사이트
Formerly http://www.nic.mil/ (Internet Archive link); unlike all other DNS root servers, G-Root does not implement a homepage under root-servers.org, i.e. http://g.root-servers.org/
https://web.archive.[...]
[97]
문서
Unlike all other DNS root servers, G-Root does not respond to pings.
[98]
웹인용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3-09-18
[99]
문서
Since 1 December 2015; originally was 128.63.2.53.
[100]
문서
Since 1 December 2015; originally was 2001:500:1::803f:235.
[101]
웹인용
Advance notice – H-root address change on December 1, 2015
https://www.ietf.org[...]
DNSOP
2015-08-31
[102]
문서
Since 1 December 2015; originally was AS13.
[103]
웹인용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4-01-02
[104]
웹인용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4-01-23
[105]
문서
Since November 2002; originally was 198.41.0.10.
[106]
웹인용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4-01-23
[107]
웹인용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3-06-20
[108]
웹인용
Peering Networks Detailed View
https://www.peeringd[...]
Peeringdb.com
2014-01-23
[109]
Homepage
K-root Homepage
http://k.root-server[...]
[110]
문서
Since 1 November 2007; originally was {{IPaddr|198.32.64.12}}.
[111]
웹인용
Advisory — "L Root" changing IP address on 1 November
https://www.icann.or[...]
ICANN
[112]
문서
Since 23 March 2016; originally was {{IPaddr|2001:500:3::42}}.
[113]
웹인용
L-Root IPv6 Renumbering
http://www.dns.icann[...]
ICANN
[114]
문서
'[http://www.ris.ripe.net/cgi-bin/riswhois.cgi?address=199.7.83.42&matchtype=L&submit=Query+RISwhois], excluding less-specific AS3303 route announcement'
[115]
웹인용
Peering Networks Detailed View
https://www.peeringd[...]
Peeringdb.com
2014-01-23
[116]
문서
'[http://l.root-servers.org/ l.root-servers.net]'
[117]
웹인용
RIS – RIPE Network Coordination Centre
http://www.ris.ripe.[...]
Ris.ripe.net
2014-01-23
[118]
웹인용
Peering Networks Detailed View
https://www.peeringd[...]
Peeringdb.com
2014-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