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흐나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흐나마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초대 대통령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가 저술한 책으로, 투르크멘의 역사, 문화, 도덕적 가치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종교적 경전과 같은 권위를 부여받아 니야조프 시대에 개인 숭배의 도구로 활용되었으며, 교육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졌다. 루흐나마는 다양한 문학 장르를 혼합한 형태로, 투르크멘의 역사를 왜곡하고 민족주의를 강조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니야조프 사후, 루흐나마의 영향력은 점차 감소했으나, 교육 과정에서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르크메니스탄의 정치 - 투르크메니스탄 의회
    투르크메니스탄 의회는 1992년 독립 후 설립되어 2023년 단원제 의회로 재편되었으며, 12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법률 제정, 예산 심의 등 입법권을 행사한다.
루흐나마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루흐나마
저자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국가투르크메니스탄
언어투르크멘어
주제투르크메니스탄의 문화, 투르크멘인
출판일1990년대 (회수)
2001년 (V1)
2004년 (V2)
출판사투르크멘 국립 출판 서비스
어원(영혼)
(책)

기타
관련 기사독재자의 우주 안내서
논문투르크메니스탄: 역사 편찬 대신 서사시

2. 배경

서사시는 여러 세기에 걸쳐 중앙아시아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2] 이 지역의 근대 이전 통치자들은 서사시의 내용을 이용하여 자신과 등장인물 간의 연관성을 만들어내 새로운 질서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다.[2]

2. 1. 스탈린 시대의 탄압

조셉 스탈린은 중앙아시아의 서사시들이 "정치적으로 의심스럽고" 민족주의적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했다.[2] 1951~1952년까지 거의 모든 중요한 투르크멘 서사시들이 비난받고 금지되었다.[2] 이러한 서사시들은 글라스노스트가 시작되면서야 비로소 공개적, 학문적 담론으로 복권되었다.[2]

2. 2. 글라스노스트와 복권

글라스노스트가 시작되면서 여러 투르크멘 서사시들이 공개적(그리고 학문적) 담론으로 복권되었다.[2] 루흐나마는 이러한 복권 단계를 기반으로 건설되었다.[2]

3. 제작 과정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는 뛰어난 투르크멘 조상들이 자신에게 투르크멘족을 "황금빛 삶의 길"로 인도하라고 촉구하는 예언적인 환상을 보았다고 주장했다.[2] 1990년대에 첫 번째 판이 출시되었지만 니야조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곧 철회되었다.[3] 이후 개정된 책에 대한 준비가 시작되었고, 2001년 12월에 첫 번째 권이 출판되었으며,[5][22] 2004년 9월에는 두 번째 권이 발행되었다.[2][7] 1년 후 출판된 『루흐나마』에 대한 편집된 권에서는 그의 전반적인 목적이 국가의 예술과 과학 분야에 대한 중요한 공헌을 강조하는 데 있었다고 한다.[8]

빅토리아 클레멘트와 리카르도 니콜로시는 이 작품이 대필되었을 가능성을 의심한다.[22][16]

3. 1. 초판 발행과 철회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는 뛰어난 투르크멘 조상들이 자신에게 투르크멘족을 "황금빛 삶의 길"로 인도하라고 촉구하는 예언적인 환상을 보았다고 주장했다.[2] 1990년대에 첫 번째 판이 출시되었지만 니야조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곧 철회되었다.[3] 개정된 책에 대한 준비는 1999년 4월 니야조프가 『무카데시 루흐나마』(Mukaddes Ruhnama)가 쿠란 다음으로 투르크멘족의 두 번째 중요한 경전이 될 것이라고 선언했을 때부터 시작되었다.[2][4]

3. 2. 개정판 준비와 발행

1999년 4월, 니야조프는 『무카데시 루흐나마』가 쿠란 다음으로 투르크멘족에게 중요한 경전이 될 것이라고 선언하면서 개정판 준비를 시작했다.[2][4] 2001년 12월에 첫 번째 권이 출판되었고,[5][22] 2001년 2월 18일 투르크메니스탄 장로회의와 국회의 10차 합동회의에서 채택되었다.[6] 2004년 9월에는 두 번째 권이 발행되었다.[2][7]

4. 장르

학자들은 《루흐나마》가 다양한 문학 장르의 "모자이크"라고 평가한다.[2][9][10] 이 책은 영적인 조언, 정치적 조언, 전설, 자서전, 단편 소설, 시, 그리고 (날조된) 투르크멘 역사를 결합하고 있다. 니야조프는 "소련의 왜곡 없이 진정한 투르크멘 역사를 회복하기" 위해 이 책을 집필했으며, 오구즈 카간 시대의 과거로의 회귀를 약속했지만, 고대 투르크멘의 행동이 그의 현명한 지도에 따라 모방될 때에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2]

후기 사회주의 역사 서술 연구자인 아미에케 보우마에 따르면, 이 책은 그 자체로 서사시, 즉 3천년대의 오구즈나메로 가장 잘 취급된다.[2] 타냐 L. 쉴즈는 이를 거의 "장엄함에 있어 코믹에 가깝다"는 반식민지 자서전으로 해석한다.[11] 이 책은 케말 아타튀르크의 『누툭』과 레오니드 브레즈네프의 『트릴로기야』와 비교되기도 했다.[13]

4. 1. 다양한 장르의 혼합

학자들은 《루흐나마》가 다양한 문학 장르의 "모자이크"라고 지적한다. 이 책은 영적인 조언, 정치적 조언, 전설, 자서전, 단편 소설, 시, 그리고 (날조된) 투르크멘 역사를 결합하고 있다.[2][9][10] 니야조프는 "소련의 왜곡 없이 진정한 투르크멘 역사를 회복하기" 위해 이 책을 집필했으며, 오구즈 카간 시대의 과거로의 회귀를 약속했지만, 고대 투르크멘의 행동이 그의 현명한 지도에 따라 모방될 때에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2]

아미에케 보우마에 따르면, 이 책은 그 자체로 서사시, 즉 3천년대의 오구즈나메로 가장 잘 취급된다.[2] 타냐 L. 쉴즈는 이를 거의 "장엄함에 있어 코믹에 가깝다"는 반식민지 자서전으로 해석한다.[11] 이 책은 케말 아타튀르크의 『누툭』과 레오니드 브레즈네프의 『트릴로기야』와 비교되기도 했다.[13]

4. 2. 서사시와의 비교

학자들은 《루흐나마》가 다양한 문학 장르의 "모자이크"라고 지적하며, 이 책은 영적인 조언과 정치적 조언, 전설, 자서전, 단편 소설, 시, 그리고 (날조된) 투르크멘 역사를 결합하고 있다고 평가한다.[2][9][10] 니야조프는 "소련의 왜곡 없이 진정한 투르크멘 역사를 회복하기" 위해 이 책을 집필했으며, 오구즈 카간 시대의 과거로의 회귀를 약속했지만, 고대 투르크멘의 행동이 그의 현명한 지도에 따라 모방될 때에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2]

후기 사회주의 역사 서술 연구자인 아미에케 보우마에는 이 책을 3천년대의 오구즈나메와 같은 서사시로 취급한다.[2] 타냐 L. 쉴즈는 이를 "장엄함에 있어 코믹에 가깝다"는 반식민지 자서전으로 해석한다.[11] 이 책은 케말 아타튀르크의 『누툭』, 레오니드 브레즈네프의 『트릴로기야』와 비교되기도 한다.[13]

5. 내용

투르크메니스탄의 도덕 교육과 모범적인 행동 규범을 홍보하기 위해 오구즈나메, 데데 코르쿠트 서사시, 코로그루 서사시 등 투르크멘 서사시에서 이야기와 속담을 차용하였다.[2]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의 해설로 보충된 이 내용은 관용, 단결, 겸손, 환대, 인내, 정직, 조국 수호, 여성의 존엄성 보호, 말 돌보기와 같은 미덕을 강조한다.[2] 투르크멘을 찬양하는 니야조프의 시, 그의 어린 시절 부모의 죽음, 고향에 대한 애착, 소련 제국주의로부터 주권을 획득하려는 애국심 등이 본문 전반에 걸쳐 자세히 설명된다.[2]

2권은 코란과 유사하게 작성되었으며, 정기적인 기도처럼 ''루흐나마''를 낭송할 것을 요구했다.[2] 몸을 깨끗이 한 후 ''루흐나마''를 정기적으로 낭송하고, 부정한 곳에 눕지 말 것을 강조했다.[2] 총 21개의 장에서 다양한 상황과 대상 독자를 위한 최적의 예절과 예의범절을 다루며, 니야조프 자신의 이야기가 권위 있는 위치를 차지한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서사시에 의존하지 않는다.[2][16]

5. 1. 1권

투르크메니스탄의 도덕 교육과 모범적인 행동 규범을 홍보하기 위해 기존 투르크멘 서사시인 『오구즈나메』, 『데데 코르쿠트 서사시』, 『코로그루 서사시』에서 이야기와 속담을 차용하였다.[2] 이러한 내용은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의 해설로 보충된다.[2] 관용, 단결, 겸손, 환대, 인내, 정직, 조국 수호, 여성의 존엄성 보호, 그리고 말 돌보기와 같은 미덕이 강조된다.[2] 투르크멘을 찬양하는 니야조프의 시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2] 니야조프의 어린 시절 부모의 죽음, 고향에 대한 애착, 소련 제국주의로부터 주권을 획득하려는 애국심 등이 본문 전반에 걸쳐 자세하게 설명된다.[2]

5. 1. 1. 투르크멘 민족주의 역사관

『샤자라-이 타라키마』(저자 미상)와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의 저술을 바탕으로 투르크멘 민족의 역사를 재구성하였다.[13] 투르크멘 민족이 건설했다고 주장하는 국가는 약 70개에 달하며, 여기에는 아나우 문화, 파르티아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 셀주크 제국, 오스만 제국 등이 포함된다. 이 역사는 18세기까지 이어지며, 네 개의 서사시 시대로 구분된다.[2][13]

시대기간설명
오구즈 칸 시대기원전 5000년 – 서기 650년투르크멘 민족은 노아의 후손이자 오구즈 칸을 통해 최초의 정치 체제를 수립한 민족으로 묘사된다.
고르쿠트 아타 시대서기 650년 – 10세기
괴로그리 시대10세기 – 17세기
마그티무굴리 시대17세기 – 20세기



투르크멘 민족은 인류의 시작부터 튀르크인과 동일시되며, 약 5000년 전 오구즈 카간을 통해 최초의 정치 체제를 수립한 노아의 후손으로 묘사된다.[2][13][12] 고대 투르크메니스탄은 "알틴테페에서 아뉴, 누사이, 타크갈라, 메르브 전체, 코네우르겐치, 카스피아-발흐 지역을 포함하여 세이훈-제이훈에서 동쪽에서 서쪽으로 북쪽의 이딜 해까지 뻗어 있었다"고 묘사된다.[13] 이란과 아랍 역사가들은 이러한 국가들을 자국의 역사로 편입하고, 이후 투르크인으로 일반화한 것에 대해 비난받았다. 투르크메니스탄 SSR 역사가들은 비판적 검토 없이 이러한 주장을 반복한 것에 대해 비난받았다.[13][12]

중세 시대 투르크멘 정치에 대한 페르시아의 영향은 제거되었다. 조로아스터는 불숭배를 따르지 말라고 조언한 투르크멘 영웅으로 묘사되었다.[13] 18세기와 19세기는 마그티무굴리 피라기와 게옥 테페 전투를 제외하고는 건너뛴다.[2][3][12] 소련 시대 투르크메니스탄은 식민지배로 비난받으며 한 페이지에 걸쳐 설명된다.[14][15]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가 국가의 독립을 가져온 것으로 서술이 재개된다.[2]

5. 2. 2권

2권은 코란과 유사하게 작성되었으며, 정기적인 기도처럼 ''루흐나마''를 낭송할 것을 요구했다.[2]

5. 2. 1. 도덕과 윤리 강조

이 책은 몸을 깨끗이 한 후 ''루흐나마''를 정기적인 기도처럼 낭송할 것을 요구했으며, 부정한 곳에 누워서는 안 된다고 했다.[2]

주제적으로 이 책은 도덕과 윤리에 관심을 두고 있다. 총 21개의 장에서는 다양한 상황과 대상 독자를 위한 최적의 예절과 예의범절을 다룬다.[2] 니야조프 자신의 이야기는 권위 있는 위치를 차지하며, 그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서사시에 의존하지는 않는다.[2][16]

6. 사회적 영향

『루흐나마』는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의 개인숭배 이념을 널리 알리는 데 가장 중요한 수단이었다.[17][2][18][19][20][21][22] 니야조프는 이 책을 세 번 읽으면 천국에 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3][9][23][24]

2006년에는 투르크메니스탄 곳곳에 『루흐나마』 광고가 걸려 있었고, 정부 기관에서는 책상 위에 『루흐나마』를 전시했으며, 국영 언론은 종교적인 경의를 표하며 내용을 정기적으로 방송했다.[18][17][31][22] 공식 행사에서는 수백 명의 투르크메니스탄인들이 이 책을 따라 노래했고, 9월 12일은 국경일로 지정되었다.[32][3]

니야조프 사후 초기에는 『루흐나마』의 위상이 이전 같지 않았지만, 교육 과정에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2][41] 2011년에는 중등학교 시험에서 『루흐나마』 관련 내용이 폐지되었고,[42] 2014년에는 대학 입학 시험에서도 『루흐나마』 관련 문제가 출제되지 않게 되었다.[43][44]

6. 1. 니야조프 시대

『루흐나마』는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개인숭배 이념 선전의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17][2][18][19][20][21][22] 이는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정치, 문화적 소양의 척도이자 생존의 열쇠였다.[17][2][18][19][20][21][22] 니야조프는 이 책을 세 번 읽은 자는 천국에 갈 운명이라고 주장했다.[3][9][23][24]

2006년 사진 기사에 따르면, 투르크메니스탄은 『루흐나마』 광고로 가득 차 있었고, 각 광고 비용은 2달러였다.[30][22] 정부 기관에서는 책상 위에 『루흐나마』를 눈에 띄게 전시했고, 국영 언론은 종교적 숭배와 같은 경의를 표하며 내용을 정기적으로 방송했다.[18][17][31][22] 공식 행사에서는 수백 명의 투르크메니스탄인들이 이 책을 따라 노래했고, 9월 12일은 국경일로 선포되었다.[32][3]

6. 1. 1. 종교적 숭배

니야조프는 모스크와 교회에 『루흐나마』를 코란과 성경만큼 눈에 띄게 전시하고 설교 중에 그 구절을 인용하도록 했다.[2][3][18] 2002년 그의 출생지에 건설된 투르크멘바시 루흐 모스크는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큰 모스크이며, 벽과 첨탑에는 『루흐나마』와 코란의 조각이 새겨져 있다.[2][16][26] 2003년 아슈하바트 공원에는 6미터 높이의 네온사인 『루흐나마』가 세워졌다.[27][18] 2005년 8월에는 『루흐나마』 1권이 우주로 발사되어 "우주를 정복"할 수 있도록 했다.[29]

6. 1. 2. 교육

모든 학생들에게 '''루흐나마''' 강좌가 의무화되었다.[2][18] 모든 대학교에서 필독서였으며, 국가 고용을 위해서는 루흐나마에 대한 지식이 필요했기에, 투르크멘어에 능숙하지 않은 소수 민족 차별이 만연했다.[3][22][9][35][36][37] 운전 면허 취득에도 16시간짜리 '''루흐나마''' 강좌를 수강해야 했다.[3][38] 투르크메니스탄 국립대학교에는 "위대한 투르크멘바시의 성스러운 '''루흐나마''' 학과"가 있었고, '''루흐나마''' 연구는 국가 주요 연구 과제로 추진되었으며, 종종 다른 학문 분야를 희생하면서까지 진행되었다.[3][39]

니야조프 사망 전까지 해당 서적은 모든 투르크메니스탄 학교에서 유일하게 정부가 승인한 역사 교과서였으며, 학문적 연구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2][3][18] 2004년, 초·중등학교에서는 주당 2~4시간, 대학교는 4~8시간을 '''루흐나마'''에 할애했다.[22] 2006년 투르크메니스탄 대학 입학 시험 문제 57개 중 26개가 '''루흐나마''' 관련 주제였다.[33]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도 '''루흐나마''' 중심 문제가 출제되었다.[33] 로라 E. 케네디는 '''루흐나마'''가 신학적 열정으로 가르쳐졌다고 말한다.[40]

6. 2. 베르디무하메도프 시대

초기에는 '루흐나마'가 이전처럼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지만, 교육 과정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2][41] 2007년 봄, '루흐나마'에 대한 공식적인 언급이 줄었고, 2009년에서 2010년경에는 '루흐나마' 방송이 중단되었다.[41] 학자들은 이러한 점진적인 변화를 베르디무하메도프가 투르크메니스탄의 르네상스를 이끄는 인물로서 자신의 행보에 맞추기 위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는 그의 전임자 재임 기간에 대한 부분적인 비판을 필요로 했다.[2][41]

2011년에는 '루흐나마'에 대한 중등학교 시험 응시 요건이 폐지되었다.[42] 2014년에는 투르크메니스탄 대학이 더 이상 지원자의 '루흐나마' 지식을 시험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선언했는데, 슬라보미르 호락은 이를 '루흐나마'가 투르크메니스탄 교육 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된 것으로 해석했다.[43][44]

니야조프의 후임인 베르디무하메도프가 집필한 책들이 그가 지도자가 된 후 교육 과정에 포함되기 시작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글래스고 대학교 교수이자 이 지역 전문가인 루카 안체스키는 이를 니야조프의 개인숭배가 베르디무하메도프에게 이전된 것으로 해석했다.[42][45]

7. 번역

《루흐나마》는 5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13] 이러한 번역은 주로 니야조프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얻기 위해 외국 기업들이 기획한 것이며, 국제적인 소비를 위한 것은 아니었다.[46][36] 독일어 번역은 다임러-크라이슬러(1권)와 지멘스(2권)가 담당했다.[16]

이러한 국가 승인 번역들은 서로 상당히 다르며, 이로 인해 댄 샤피라(Dan Shapira)는 본문이 계속 변화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13][47] 영어판은 《루흐나마》의 튀르키예어 번역본에서 번역되었는데, 많은 부분에서 투르크메니스탄어판과 일치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러시아어 번역보다 더 정확하고 분량이 많다.[13][2]

8. 비판

(이전 출력에서 원본 소스 부족으로 내용 생성이 불가능했던 부분은 여전히 유지됩니다. 주어진 지시사항은 이전 출력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수정하는 것이며,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8. 1. 이슬람과의 충돌

우야마 토모히코는 『루흐나마』가 코란처럼 취급되고, 니야조프 자신도 예언자에 비견되는 것은 무함마드를 최종적이고 완전한 예언자로 여기는 이슬람의 가르침과 모순되므로, 해외의 무슬림들로부터 비판받고 있다고 지적한다.[49]

참조

[1] 뉴스 A dictator's guide to the universe https://www.theguard[...] 2006-12-29
[2] 논문 Turkmenistan: Epics in Place of Historiography
[3] 서적 Turkmenistan: Strategies of Power, Dilemmas of Development: Strategies of Power, Dilemmas of Development Routledge 2015
[4] 논문 Between the state and cultural zones: Nation building in Turkmenistan 2002-03
[5] 뉴스 The cult of the Turkmen leader http://news.bbc.co.u[...] 2001-11-02
[6] 논문 Aryans or Proto-Turks? Contested Ancestors in Contemporary Central Asia 2009-09
[7] 뉴스 Turkmenistan: President's personality cult imposed on religious communities https://www.forum18.[...] 2012-05-25
[8] 논문 Halk, Watan, Berdymukhammedov! Political Transition and Regime Continuity in Turkmenistan
[9] 서적 Art and Politics 2016
[10] 서적 On Hitler's Mein Kampf: The Poetics of National Socialism The MIT Press 2017
[11] 서적 The Legacy of Eric Williams: Into the Postcolonial Moment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15
[12] 서적 Central Asia: A New History from the Imperial Conquests to the Pres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
[13] 논문 Īrān-o Tūran: On Iranian (and Quasi-Iranian) in the Ruhnama 2010
[14] 논문 History writing as agitation and propaganda: the Kazakh history book of 1943 2012-12
[15] 논문 The Battle of Gökdepe in the Turkmen post-Soviet historical discourse 2015-04-03
[16] 서적 Tyrants Writing Poetry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7] 서적 Learning to Become Turkmen: Literacy, Language, and Power, 1914-2014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18
[18] 논문 Articulating national identity in Turkmenistan: inventing tradition through myth, cult and language 2014-07
[19] 논문 The Art of the Impossible: Political Symbolism, and the Crea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Collective Memory in Post-Soviet Turkmenistan 2009-09
[20] 서적 (Re)Constructing Memory 2014
[21] 서적 Osteuropa Nomos Verlagsgesellschaft mbH & Co KG
[22] 서적 Learning to Become Turkmen: Literacy, Language, and Power, 1914-2014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18
[23] 잡지 The Land of Turkmenbashi https://www.newyorke[...] 2006-04-23
[24] 뉴스 Read My Words, Go to Heaven, Leader Says https://www.latimes.[...] 2012-05-25
[25] 논문 Realigning Religion and Power in Central Asia: Islam, Nation-State and (Post)Socialism 2009-11
[26] 논문 A tale of two presidents: personality cult and symbolic nation-building in Turkmenistan 2015-05
[27] 논문 Cult of Personality in Monumental Art and Architecture: The Case of Post-Soviet Turkmenistan https://src-h.slav.h[...]
[28] 서적 Learning to Become Turkmen: Literacy, Language, and Power, 1914-2014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18
[29] 뉴스 Turkmen book 'blasted into space' http://news.bbc.co.u[...] 2005-08-27
[30] 논문 Photojournal: Turkmenistan 2006-12
[31] 뉴스 Turkmen live by leader's book http://news.bbc.co.u[...] 2002-05-29
[32] 잡지 Shadow of the Ruhnama https://www.newyorke[...] 2010-04-27
[33] 서적 Language Change in Central Asia 2016
[34] 서적 The Central Asian Economi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Paving a New Silk Roa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35] 서적 The Fight for Influence: Russia in Central Asia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13
[36] 논문 Presidential Seat or Padishah's Thron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Supreme Power in Central Asian States 2007-11-00
[37] 서적 Dictators Without Borders 2020-00-00
[38] 서적 Death by a Thousand Cuts: The Slow Demise of Democracy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21-00-00
[39] 논문 Transformations in Turkmen higher education: curren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t a new university 2017-10-02
[40] 논문 Dreams of Glory: Narcissism and Politics 2014-07-04
[41] 서적 Turkmenistan: Strategies of Power, Dilemmas of Development: Strategies of Power, Dilemmas of Development Routledge 2015-00-00
[42] 뉴스 Turkmen Government Removes Ruhnama as Required Subject https://eurasianet.o[...] 2021-07-05
[43] 웹사이트 Turkmenistan Is Finally Putting the 'Ruhnama' Behind Them https://www.vice.com[...] 2018-11-19
[44] 서적 Education in Central Asia 2020-00-00
[45] 뉴스 Cult of Turkmen 'Father' fades into history, 10 years on https://www.yahoo.co[...] 2016-12-22
[46] 논문 Strategies of legitimation in Central Asia: regime durability in Turkmenistan 2017-10-02
[47] 논문 De l'intraculturel à l'interculturel : l'opération traduisante: Exemples de quelques problèmes rencontrés lors de l'opération de décodage et de transcodage 2007-11-21
[48] 논문 Turkmenistan: Rage Against the Ruhnama https://www.ceeol.co[...]
[49] 간행물 トルクメニスタン ニヤゾフの個人崇拝 明石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