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류자신 선생 묘 및 신도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류자신 선생 묘 및 신도비는 경기도 시흥시 능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류자신의 묘와 신도비입니다. 2000년 1월 31일 시흥시 향토유적 제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류자신(柳自新, 1541~1612) 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지언(止彦), 본관은 문화(文化)입니다. 아버지는 공조판서 류잠(柳潛)이며, 광해군의 장인입니다. 1564년(명종 19)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여러 관직을 거쳐 1608년(광해군 즉위년) 광해군 즉위 후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에 이르렀습니다.
류자신 선생 묘는 부인과 합장한 원형의 단분(單墳)으로, 봉분 주변에 호석(護石)을 둘렀습니다. 묘 중앙에는 높이 2.42m의 묘비가 있고, 상석, 향로석, 높이 1.92m의 사각 장명등이 세워져 있습니다. 묘의 좌우에는 망주석과 문인석이 각각 있습니다. 특히 문인석은 얼굴 표현이 매우 사실적이며 조각 솜씨가 뛰어납니다. 류자신 선생 묘는 안산(案山)인 군자산을 바라보는 시흥 지역 8대 명당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도비는 1617년(광해군 9)에 세워졌으며, 묘역에서 약 400m 떨어진 곳에 위치합니다. 원래 위치에서 동쪽으로 약 150m 지점에 있었으나 광복 직후 이전했다고 합니다. 신도비문은 류근(柳根)이 짓고, 글씨는 오정(吳靖)이 썼으며, 김상용(金尙容)이 전(篆)을 올렸습니다. 귀부(龜趺)는 화강암, 비신(碑身)과 이수(螭首)는 한 장의 백대리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총 높이는 약 4.1m이며, 이수에는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다투는 모습이 생동감 있게 조각되어 있습니다.

류자신 선생 묘역에는 류자신 선생 묘 외에도 아버지 류잠, 동생 류덕신, 큰아들 류희갱의 묘가 함께 조성되어 있습니다. 묘역 입구에는 재실(齋室)인 영모재(永慕齋)가 있습니다. 영모재는 1885년(고종 22)에 건립되었으며, 류자신 선생을 추모하는 공간입니다.

류자신 선생 묘 및 신도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류자신 선생 묘 및 신도비
국가대한민국
위치경기도 시흥시 능곡동 산32
유형향토유적
지정 번호4
지정일2000년 1월 31일
시대조선시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